KR101358603B1 - 체결구, 이것을 이용한 케이싱 및 체결 방법 - Google Patents

체결구, 이것을 이용한 케이싱 및 체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603B1
KR101358603B1 KR1020117031473A KR20117031473A KR101358603B1 KR 101358603 B1 KR101358603 B1 KR 101358603B1 KR 1020117031473 A KR1020117031473 A KR 1020117031473A KR 20117031473 A KR20117031473 A KR 20117031473A KR 101358603 B1 KR101358603 B1 KR 10135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portion
fastening
screw
surface engaging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880A (ko
Inventor
후미노부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16B1/02Means for securing elements of mechanisms after ope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89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characterized by the mounting of blades therein, e.g. brackets, rails,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48Multipart cooperating fastener [e.g., bolt and nut]

Abstract

복수의 부재를 체결하는 작업을 가능한 한 단독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체결구(50)는 장착 구멍에 삽통되는 나사 부재(1)와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를 갖고 있다.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는, 중첩된 복수의 부재(102, 103)의 제1 면(102b)측에 위치하고, 이 제1 면(102b)에 결합되는 제1 면 결합부(2a)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면 결합부(2a)로부터 제1 면(102b)의 이면측으로 되는 제2 면(103c)측을 향해 연설된 연설부(2c)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면(103c)측에 위치하고, 제2 면(103c)에 결합되는 제2 면 결합부(3c)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면 결합부(3c)를 나사 부재(1)의 회전에 따라서 제1 면 결합부(2a)측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3b)를 갖고 있다. 체결구(50)는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에 의해서 부재(102, 103)의 가체결 상태후에, 최종적인 체결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체결구, 이것을 이용한 케이싱 및 체결 방법{FASTENING DEVICE, CASING USING SAME, AND FASTENING METHOD}
본 발명은 체결구, 이것을 이용한 케이싱 및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를 탑재하는 캐비넷이나 락 장치 등을 조립하는 경우, 입설된 기둥 부재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 부재가 체결되는 일이 있다. 종래에, 이러한 기둥 부재와 레일 부재와의 체결을 개량하는 제안이 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이러한 기둥 부재와 레일 부재와의 체결에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보드 앵커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제2007-507862 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실용신안등록 공개 제 평1-124411 호 공보
그런데, 기둥 부재와 레일 부재를 체결하는 경우, 체결에 이용되는 나사의 머리부는, 기둥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레일 부재를 기둥 부재가 있는 벽면에 가압하도록 접촉시켜, 레일 부재가 접촉된 벽면의 이면측, 즉, 기둥 부재의 외측(전측)으로부터 수나사를 끼워넣어 머리부를 회전시켜, 양자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나사의 머리부가 기둥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기둥 부재와 레일 부재의 체결 작업을 단독으로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일이 있다. 단독으로 양자의 체결 작업을 실시하려고 하는 경우, 레일 부재를 기둥 부재에 가압하도록 보유지지하면서, 기둥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나사를 끼워넣어, 머리부를 회전시켜 단단히 조이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곤란하다. 이 때문에, 기둥 부재와 레일 부재의 체결은 2명이 한조가 되어 행해지는 일이 많다. 이러한 문제는 기둥 부재와 레일 부재의 체결 작업 뿐만 아니라, 복수의 부재를 체결할 때에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단독으로의 체결 작업이 가능해지도록, 복수의 부재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 개시의 체결구는, 각각 장착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부재를 중첩된 상태로 체결하는 체결구이다. 체결구는 상기 장착 구멍에 삽통되는 나사 부재와,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는, 상기 중첩된 복수의 부재의 제1 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에 결합되는 제1 면 결합부와, 상기 제1 면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면의 이면측이 되는 제2 면측을 향해 연설된 연설부와, 상기 제2 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에 결합되는 제2 면 결합부와, 상기 제2 면 결합부를 상기 나사 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면 결합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분리한 상태의 부재의 체결 작업이 용이해진다. 즉, 중첩시킨 복수의 부재의 제2 면측으로부터 체결구를 끼워넣어 부재를 가체결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측으로부터 나사 부재를 회전시켜, 최종적인 체결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체결구를 이용함으로써, 단독으로 이러한 체결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체결구에 의하면, 복수의 부재의 체결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실시예의 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전의 기둥 부재와 레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체결전의 체결구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제1 부재의 설명도로서, 도 4의 (A)는 정면도, 도 4의 (B)는 측면도, 도 4의 (C)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제2 부재의 설명도로서, 도 5의 (A)는 정면도, 도 5의 (B)는 측면도, 도 5의 (C) 단면도이다.
도 6은 가체결시의 체결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체결시의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체결시의 체결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체결시의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도면중 각 부의 치수, 비율 등은 실제의 것과 완전하게 일치하도록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따라서는 상세부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도 1은 케이싱의 일 예인 락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락 장치(100)는 대좌부(101)상에 입설(세워 설치된)된 복수의 기둥 부재(102)를 갖고 있다. 이 기둥 부재(102)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재(103)가 체결되어 있다.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는 중첩된 상태로 체결된다. 기둥 부재(102)에 체결된 레일 부재(103)상에는, 서버 등의 전자 기기가 설치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락 장치(100)의 전, 후, 좌, 우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체결전의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의 체결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구(50)가 이용된다. 도 3은 가체결전의 체결구(50)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기둥 부재(10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 부재(103)를 체결하기 위한 장착 구멍(102a)을 갖고 있다. 장착 구멍(102a)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기둥 부재(102)에 형성된 장착 구멍(102a)의 직경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레일 부재(10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둥 부재(102)에 맞대어지는 플랜지부(103a)를 갖고 있다. 이 플랜지부(103a)에는, 기둥 부재(102)를 체결하기 위한 장착 구멍(103b)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03a)에 형성된 장착 구멍(103b)의 직경은 R3으로 설정되어 있다. 직경 R3은 직경 R1보다 크다.
여기서, 체결구(50)에 의해서 체결되는 기둥 부재(102)에 있어서, 전측에 위치하는 면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면(102b)으로 한다. 또한, 체결구(50)에 의해서 체결되는 레일 부재(103)의 플랜지부(103a)에 있어서, 후측에 위치하는 면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면(103c)으로 한다. 즉, 제2 면(103c)은 제1 면(102b)의 이면측이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결구(50)는 장착 구멍(102a, 103b)에 삽통되는 나사 부재(1)와,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를 갖고 있다.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는 체결의 대상이 되는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를 보유지지한다.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는 분리 가능한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를 포함하고 있다. 나사 부재(1)는 머리부(1a)와 수나사부(1b)를 갖고 있다. 머리부(1a)의 직경은 R2로 설정되어 있다. 직경 R2는 직경 R1보다 작다.
도 4의 (A) 내지 (C)는 제1 부재(2)의 설명도이며, 도 4의 (A)는 정면도, 도 4의 (B)는 측면도, 도 4의 (C)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A) 내지 (C)는 제2 부재(3)의 설명도이며, 도 5의 (A)는 정면도, 도 5의 (B)는 측면도, 도 5의 (C)는 단면도이다.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는 중첩된 복수의 부재의 제1 면(102b)측에 제1 면 결합부(2a)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는, 체결이 완료된 상태의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의 제1 면(102b)측에 위치하고, 이 제1 면(102b)에 결합되는 제1 면 결합부(2a)를 갖고 있다. 제1 면 결합부(2a)는, 도 3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재(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부재(2)는, 이 제1 면 결합부(2a)로부터 제1 면(102b)의 이면측이 되는 제2 면(103c)측을 향해 연설된 연설부(2c)를 갖고 있다. 제1 면 결합부(2a)의 직경은 R4로 설정되어 있다. 직경 R4는 직경 R1보다 약간 크고, 직경 R3보다는 작다. 제1 부재(2)는 스테인리스강(SUS304)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제1 부재(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재료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는, 중첩된 복수의 부재의 제2 면(103c)측에 제2 면 결합부(3a)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는, 체결이 완료한 상태의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의 제2 면(103c)측에 위치하고, 이 제2 면(103c)에 결합되는 제2 면 결합부(3a)를 갖고 있다. 또한,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는, 이 제2 면 결합부(3a)를 나사 부재(1)의 회전에 따라서 제1 면 결합부(2a)측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3b)를 갖고 있다. 이 나사부(3b)는 나사 부재(1)가 조여들어감으로써, 연설부(2c)를 압축할 수 있다. 나사부(3b), 제2 면 결합부(3a)는, 도 3 및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부재(3)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부재(3)는, 제1 부재(2)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강(SUS304)에 의해 성형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다른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에 포함되는 제1 부재(2)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부재(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면 결합부(2a)와 연설부(2c)를 갖고 있다. 이 제1 면 결합부(2a)는, 제2 면(103c)측(후측)으로부터 제1 면(102b)측(전측)을 향해 작은 직경으로 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제1 면 결합부(2a)의 최대 직경이 직경 R4이다. 제1 면 결합부(2a)는, 그 머리부에, 제1 면 결합부(2a)가 직경이 줄어들도록 제1 면 결합부(2a)를 변형시키는 홈(2e)을 갖고 있다. 홈(2e)은,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면 결합부(2a)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4)와 같은 힘을 받음으로써, 최대 직경인 R4가 축소되도록 탄성변형할 수 있다.
제1 부재(2)는, 제1 면 결합부(2a)로부터 연설된 연설부(2c)를 갖고 있다. 연설부(2c)는, 제1 면 결합부(2a)에 가까운 측의 얇은 부분(2c1)과 제1 면 결합부(2a)로부터 먼 측의 두꺼운 부분(2c2)을 갖고 있다. 얇은 부분(2c1)은 얇게 되는 것으로, 그 주위에 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면 결합부(2a)와의 연속부에 단부(2b)가 형성되어 있다.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가 체결되었을 때, 이 단부(2b)가 제1 면(102b)에 밀착하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연설부(2c)는, 제1 면(102b)측(전측)으로부터 제2 면(103c)측(후측)을 향해 작은 직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부재(2)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부재(2)는, 도 4의 (C)에서, 화살표(5)로 나타내는 압축력을 받으면, 화살표(6)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직경인 R4가 확대되도록 탄성변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부재(2)의 단부(2b)가 측방으로 넓어져서, 체결 부재(102, 103)의 보다 강고한 체결이 실현된다.
도 5를 참조하면서,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에 포함되는 제2 부재(3)에 대해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부재(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면 결합부(3a)와 나사부(3b)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부재(3)는, 제1 부재(2)가 구비하는 연설부(2c)를 수용하는 수용부(3c)를 갖고 있다. 이 수용부(3c)는 연설부(2c)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면 결합부(3a)는 제2 부재(3)의 주위에 플랜지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면 결합부(3a)의 직경은 R5이며, 레일 부재(103)의 플랜지부(103a)에 형성된 장착 구멍(103b)의 직경 R3보다 크다. 이 때문에,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가 체결되었을 때, 이 제2 면 결합부(3a)가 제2 면(103c)에 밀착하는 상태로 된다.
나사부(3b)는 나사 부재(1)의 수나사부(1b)와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나사 부재(1)의 회전에 따라서 제2 부재(3)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나사 부재(1)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제2 부재(3)는, 수용부(3c)내에 수용된 연설부(2c)를 압축할 수 있다. 즉, 연설부(2c)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C)에 있어서 화살표(5)로 나타내는 압축력을 받는다. 이 결과, 제1 면 결합부(2a)는 최대 직경인 R4가 확대되도록 변형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체결구(50)를 이용한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와의 체결 작업에 대해,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체결구(50)를 이용해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를 체결하는 경우,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를 가체결 상태로 한다. 도 6은 가체결시의 체결구(50)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가체결시의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작업자는, 가체결 상태로 할 때, 나사 부재(1)의 수나사부(1b)에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를 이 순서로 장착하고, 수나사부(1b)와 나사부(3b)를 나사결합해 둔다. 그리고, 연설부(2c)가 수용부(3c)내에 수용되어지는 상태로 한다. 이러한 상태로 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段)부(2b)와 제2 면 결합부(3a) 사이에 간격(8)이 형성된다. 이 간격(8)에 체결 부재인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가 통합되어 배치된다. 다만, 이 단계에서는,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는 밀착하고 있지 않다.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는 장착 구멍(102a)과 장착 구멍(103b)의 위치를 맞춘 상태로 중첩시켜 둔다. 그리고, 나사 부재(1), 제1 부재(2), 제2 부재(3)가 조합된 상태의 체결구(50)를, 장착 구멍(103b), 장착 구멍(102a)의 순서로 삽통시킨다. 즉, 나사 부재(1)를 제2 부재(3)의 나사부(3b)에 나사결합한 상태의 체결구(50)를, 제2 면(103c)측으로부터 제1 면(102b)측을 향해 장착 구멍(103b, 102a)에 삽통시킨다. 이때, 최초로 장착 구멍(103b)을 통과하는 것은, 나사 부재(1)의 머리부(1a)이다. 이와 같이 해서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에 형성된 간격(8)에 기둥 부재(102) 및 레일 부재(103)를 보유지지한다. 이로써,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를 가체결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 결합부(2a)의 장착 구멍(102a)의 통과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 구멍(102a)의 직경 R1은, 나사 부재(1)의 머리부(1)의 직경 R2보다 크다. 또한, 장착 구멍(103b)의 직경 R3도 머리부(1)의 직경 R2보다 크다. 이 때문에, 머리부(1)는 장착 구멍(103b), 장착 구멍(102a)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런데, 제1 면 결합부(2a)의 직경 R4는, 직경 R3보다는 작기는 하지만, 직경 R1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면 결합부(2a)는, 레일 부재(103)에 형성된 장착 구멍(103b)을 통과할 수 있지만,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기둥 부재(102)에 형성된 장착 구멍(102a)을 통과할 수 없다. 그래서, 작업자가 테이퍼형상으로 성형된 제1 면 결합부(2a)를 장착 구멍(102a)에 가압하면, 제1 면 결합부(2a)는 도 4의 (B)에 있어서 화살표(4)로 나타내는 힘을 받는다. 이로써, 제1 면 결합부(2a)는 직경 R4가 축소되도록 변형되고, 장착 구멍(102a)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면 결합부(2a)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또한 홈(2e)을 갖는 것에 의해 직경 R4가 줄어들기 쉬워진다.
일단 장착 구멍(102a)을 통과한 제1 면 결합부(2a)는 다시 직경이 직경 R1보다 약간 큰 직경 R4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체결구(50)가 장착 구멍(102a) 및 장착 구멍(103b)으로부터 탈락할 일은 없다.
이와 같이 해서, 기둥 부재(102) 및 레일 부재(103)는 체결구(50)의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에 보유지지되어 가체결 상태로 된다. 이러한 가체결 상태로 되기 이전의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는 분리된 상태이지만, 가체결 상태후는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의 위치 관계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레일 부재(103)의 보유지지로부터 개방된다.
작업자는, 이상의 일련의 작업, 즉 레일 부재(103)의 기둥 부재(102)에의 가압, 체결구(50)의 삽통을 레일 부재(103)측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를 체결하려고 한 경우, 볼트는 기둥 부재(102)측으로부터 장착 구멍(102a), 장착 구멍(103b)에 삽통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즉, 볼트는 전측으로부터 장착 구멍(102a), 장착 구멍(103b)에 삽통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레일 부재(103)는 후측으로부터 기둥 부재(102)에 가압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후측으로부터 레일 부재(103)를 기둥 부재(102)에 가압시키면서, 전측으로부터 볼트를 장착 구멍(102a), 장착 구멍(103b)에 삽통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예의 체결구(50)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체결구(50)를 장착 구멍(102a), 장착 구멍(103b)에 삽통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가체결 상태로 한 후에는, 나사 부재(1)를 회전시켜서 최종적인 체결 작업이 행해진다. 최종적인 체결 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자는, 레일 부재(103)를 보유지지하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나사 부재(1)를 본 체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1)를 본 체결하는 작업자는, 기둥 부재(102)의 전 측으로 이동하고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작업자는 용이하게 체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8은 나사 부재(1)의 본 체결이 행해진 체결시의 체결구(50)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체결시의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7)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작업자가 나사 부재(1)를 본 체결하면, 나사 부재(1)의 수나사부(1b)가 나사결합한 제2 부재(3)는, 레일 부재(103) 측으로 이동한다. 즉, 제2 면 결합부(3a)를 제1 면 결합부(2a)측으로 이동시켜, 양자를 접근시킨다. 그리고, 제1 부재(2)와 제2 부재(3)는 수용부(3c)에 있어서 서서히 밀착 상태가 되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8)이 좁아진다. 간격(8)이 좁아지는 것에 의해, 제1 면 결합부(2a)와 제2 면 결합부(3a)에 의해서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가 협지되게 된다.
또한, 이때, 제1 부재(2)의 제1 면 결합부(2a)는 제1 면(102b)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연설부(2c)는 압축된다. 이로써, 제1 부재(2)는 도 4의 (C)에서 화살표(5)로 나타내는 압축력을 받게된다. 그리고, 제1 면 결합부(2a)는 그 직경 R4가 확대되도록 변형된다. 이로써, 제1 부재(2)의 단부(2b)가 측방으로 넓어져서, 체결 부재(102, 103)의 보다 강고한 체결이 실현된다.
이상으로,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의 체결이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 개시의 체결구(50)를 이용하면, 단독으로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의 체결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락 장치(100)를 단독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를 분해할 때는, 나사 부재(1)를 회전시켜, 제2 부재(3)의 나사부(3b)와의 나사결합을 해제한다. 이로써, 나사 부재(1) 및 제1 부재(2)를 기둥 부재(102)의 전측으로 뽑아낼 수 있다. 제1 부재(2)를 기둥 부재(102)의 전측으로 뽑아냄으로써, 제1 부재(2)의 제1 면 결합부(2a)의 직경 R4가 장착 구멍(102a)의 직경 R1보다 큰 것이 문제가 되는 일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관련 특정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락 장치(100)를 형성하는 기둥 부재(102)와 레일 부재(103)의 체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명세서의 개시의 체결구(50)의 체결 대상이 되는 부재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체결되는 부재도 이 부재로 한정되지 않고, 체결구는 또한 더 많은 부재를 체결할 수 있다.
1 : 나사 부재
1a : 머리부
1b : 수나사부
2 : 제1 부재
2a : 제1 면 결합부
2b : 단부
2c : 연설부
3 : 제2 부재
3a : 제2 면 결합부
3b : 나사부
3c : 수용부
7 :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
50 : 체결구
100 : 락 장치
101 : 대좌부
102 : 기둥 부재
102a : 장착 구멍
102b : 제1 면
103 : 레일 부재
103a : 플랜지부
103b : 장착 구멍
103c : 제2 면

Claims (7)

  1. 각각 장착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부재를 중첩된 상태로 체결하는 체결구로서,
    상기 장착 구멍에 삽통되는 나사 부재와,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중첩된 복수의 부재의 가장 전측의 면이 되는 제1 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에 결합되는 제1 면 결합부와, 상기 제1 면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면의 이면측이 되고, 상기 중첩된 복수의 부재의 가장 후측의 면이 되는 제2 면측을 향해 연설(延設)된 연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면에 결합되는 제2 면 결합부와, 상기 제2 면 결합부를 상기 나사 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면 결합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면측에서의 상기 장착 구멍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면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제2 면측에서의 상기 장착 구멍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설부는, 상기 제2 면 결합부의 상기 제1 면 결합부측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결합부는, 상기 제1 면 결합부가 직경이 줄어들도록 상기 제1 면 결합부를 변형시키는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결합부는, 상기 제2 면측으로부터 상기 제1 면측을 향해 작은 직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6. 각각 장착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부재를 중첩된 상태로 체결하는 체결구를 이용해 기둥 부재와 레일 부재를 체결한 케이싱으로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장착 구멍에 삽통되는 나사 부재와,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중첩된 복수의 부재의 가장 전측의 면이 되는 제1 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에 결합되는 제1 면 결합부와, 상기 제1 면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면의 이면측이 되고, 상기 중첩된 복수의 부재의 가장 후측의 면이 되는 제2 면측을 향해 연설(延設)된 연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면에 결합되는 제2 면 결합부와, 상기 제2 면 결합부를 상기 나사 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면 결합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7. 체결구를 이용하고, 각각 장착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부재를 중첩된 상태로 체결하는 체결 방법으로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장착 구멍에 삽통되는 나사 부재와,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는, 상기 중첩된 복수의 부재의 제1 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에 결합되는 제1 면 결합부와, 상기 제1 면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 면의 이면측이 되는 제2 면측을 향해 연설(延設)된 연설부와, 상기 제2 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에 결합되는 제2 면 결합부와, 상기 제2 면 결합부를 상기 나사 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 면 결합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 부재를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한 상태의 상기 체결구를, 상기 제2 면측으로부터 상기 제1 면측을 향해 상기 장착 구멍에 삽통시켜 상기 체결 부재 보유지지부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부재를 보유지지하고,
    그후, 상기 나사 부재의 머리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면 결합부와 상기 제2 면 결합부를 접근시켜 상기 복수의 부재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방법.
KR1020117031473A 2009-06-30 2009-06-30 체결구, 이것을 이용한 케이싱 및 체결 방법 KR101358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1969 WO2011001511A1 (ja) 2009-06-30 2009-06-30 締結具、これを用いた筐体および締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880A KR20120024880A (ko) 2012-03-14
KR101358603B1 true KR101358603B1 (ko) 2014-02-04

Family

ID=4341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473A KR101358603B1 (ko) 2009-06-30 2009-06-30 체결구, 이것을 이용한 케이싱 및 체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8369B2 (ko)
EP (1) EP2450579A1 (ko)
JP (1) JP5310854B2 (ko)
KR (1) KR101358603B1 (ko)
CN (1) CN102459925B (ko)
WO (1) WO2011001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6307B2 (en) * 2018-05-10 2021-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mbers and locks for securing devices and/or slots in a computer rack
JP6769509B2 (ja) 2019-03-27 2020-10-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ラックマウント型電子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229Y1 (ko) * 1995-12-28 1998-09-15 김태구 자동차용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JP2002130231A (ja) * 2000-10-30 2002-05-0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一方向ネジ止め用ナ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4466U (ko) * 1977-11-28 1979-06-15
JPS5484466A (en) 1977-12-19 1979-07-05 Sony Corp Ssb demodulator circuit
US4579491A (en) * 1981-12-28 1986-04-01 Sps Technologies Blind fastener assembly
US4540222A (en) * 1983-02-28 1985-09-10 Burrell Alfred A Cabinet structure for storing, displaying and indexing
DE3445713A1 (de) * 1984-12-14 1986-06-19 Hilti Ag, Schaan Spreizanker
JPH01124411A (ja) 1987-11-09 1989-05-17 Yogo Sumikin Sangyo Kk 収納ベッド装置
US4919577A (en) * 1989-02-13 1990-04-24 Hi-Shear Corporation Blind fastener
US5250752A (en) * 1992-11-23 1993-10-05 Gamlet Incorporated Knockdown EMI/RFI shielded electronic rack enclosure
US5816761A (en) * 1996-01-11 1998-10-06 The Boeing Company Lightweight structural blind fastener
GB9718733D0 (en) * 1997-09-04 1997-11-12 Mcalpine & Co Ltd Anchoring device
JP4331356B2 (ja) 1999-10-29 2009-09-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回路装置
US6547500B2 (en) * 2000-09-13 2003-04-15 Huck Patents, Inc. Blind fastener and drive nut assembly
US6537004B2 (en) * 2000-09-13 2003-03-25 Huck Patents, Inc. Blind fastener and drive nut assembly
EP1389929B1 (en) * 2001-05-30 2008-09-03 Pem Management, Inc. Quick-turn panel fastener
CN2498393Y (zh) * 2001-07-25 2002-07-03 管文法 两头膨胀式膨胀螺栓
US6997530B2 (en) * 2003-03-12 2006-02-14 Maytag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appliance cabinet assembly
US20050025602A1 (en) * 2003-07-29 2005-02-03 Kun-Tsung Huang Expansion screw
BR0303969A (pt) 2003-10-08 2005-05-31 Melquisedec Francisquini Aperfeiçoamento em estrutura metálica para construção de quadros/gabinetes elétricos
US20060062650A1 (en) * 2004-09-20 2006-03-23 The Boeing Company Hybrid fastener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CN2813971Y (zh) * 2005-07-15 2006-09-06 戴艳红 吊顶连接膨胀螺丝
DE102010060771A1 (de) * 2009-12-16 2011-06-22 fischerwerke GmbH & Co. KG, 72178 Befestigungselement
US8961086B2 (en) * 2011-09-14 2015-02-24 John D. Pratt Fasten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229Y1 (ko) * 1995-12-28 1998-09-15 김태구 자동차용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JP2002130231A (ja) * 2000-10-30 2002-05-0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一方向ネジ止め用ナ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90157A1 (en) 2012-04-19
JP5310854B2 (ja) 2013-10-09
US9078369B2 (en) 2015-07-07
KR20120024880A (ko) 2012-03-14
CN102459925B (zh) 2014-01-08
EP2450579A1 (en) 2012-05-09
JPWO2011001511A1 (ja) 2012-12-10
WO2011001511A1 (ja) 2011-01-06
CN102459925A (zh)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753B1 (ko) 금속 칼라 및 금속 칼라의 장착 방법
EP2547917B1 (en) Blind rivet with a plastic rivet body
US20200158157A1 (en) Blind rivet-nut and method for securing a component to a carrier
TW201114522A (en) Clinch pin fastener
US20070224014A1 (en) Fastener for the temporary joinder of parts made of composite material
KR20040072656A (ko) 고정방법
KR101358603B1 (ko) 체결구, 이것을 이용한 케이싱 및 체결 방법
WO2012026154A1 (ja) 部材取付具、部材取付構造、および、部材取付方法
KR101743074B1 (ko) 일방향 볼트 체결 결합체
GB2310904A (en) Blind rivet nut for fixing three sheets
US8468868B1 (en) Bucking bar devices and methods of assembling bucking bar devices
CA2922677C (en) Fastener with a belleville head
KR20090036682A (ko) 고정용 너트 혹은 볼트
JP2000234604A (ja) 重ね合わされる二枚の段ボールの締結具
GB2300031A (en) Retainer for a blind rivet nut assembly
JP4177126B2 (ja) 板材の締結具および板材の締結方法
JP2009121625A (ja) 基板連結具
JP4657271B2 (ja) 締め付け構造及び建築部材連結構造
US20210115962A1 (en) Fastene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780654A (zh) 扣接结构
KR20080100551A (ko) 와이어 체결용 플라스틱 패스너
KR200476104Y1 (ko) 풀림방지용 볼플런저
KR20220161886A (ko) 일방향 볼트 체결장치
JP2003064785A (ja) 締付金具
JPH0641938U (ja) 鍛造プレスの金型取り付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