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238B1 -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 Google Patents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238B1
KR101358238B1 KR1020120030323A KR20120030323A KR101358238B1 KR 101358238 B1 KR101358238 B1 KR 101358238B1 KR 1020120030323 A KR1020120030323 A KR 1020120030323A KR 20120030323 A KR20120030323 A KR 20120030323A KR 101358238 B1 KR101358238 B1 KR 101358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housing
stone
main body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698A (ko
Inventor
이익규
Original Assignee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23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7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the work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a plurality of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를 절단장치 위치로 이송시키지 않고, 절단장치를 석재 위치로 직접 이송시키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재 절단휠1,2(11)(12)가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마련된 절단장치(10)가 상부에 안치되고, 하부에 구동부(1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캐스터(140)가 마련되어, 상기 절단휠1,2(11)(12)가 석재(1)를 절단시키도록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된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110) 상부의 절단장치(10)와 절단휠1,2(11)(12) 부분을 각각 격리시킨 상태로 감싸서 외부와 차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CARRIER FOR STONE CUTTING}
본 발명은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를 절단장치 위치로 이송시키지 않고, 절단장치를 석재 위치로 직접 이송시키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대차는 탑재된 피이송물 예컨대, 석재를 일정 경로를 따라 특정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단순 이송시키거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는 가공장치 예컨대, 절단장치를 경유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는 이송수단이다.
이러한 이송대차 중, 석재 절단을 위한 종래 이송대차를 예로 설명하면, 석재블럭(석재 덩어리)이 안착되는 상판과, 상판 하부에 마련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바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에는 각재(받침 막대)가 안치되어, 석재블럭이 상판으로부터 들뜬 상태로 놓여지게 한다.
이와 같이 된 종래 석재 가공을 위한 이송대차는 석재블럭이 탑재된 상태로 절단장치(회전하는 다이어몬드 절단톱을 갖는 장치)가 위치하는 부분을 경유하도록 유도하면서 석재블럭이 원하는 규격과 모양으로 즉, 일정한 가로/세로/높이(두께)를 갖는 부피체로 절단되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석재블록을 가공하여서 된 것 중 도로경계석이 있다. 상기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인도(보도)를 구분하는 경계 표시로서 도로안전경계석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도로경계석을 절단 가공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라인을 통한 대량 자동생산이 요구되고 있으며, 자연에서 채취한 울퉁불퉁한 원석을 규격에 맞는 형태로 절단 가공시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의 절단과정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그리고 석재를 사용한 도로경계석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기능적인 특성상, 도로 쪽을 향하는 측면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최소한 도로쪽 측면 상단의 모서리 부위를 부드럽게 절삭 가공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량의 타이어가 접촉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도로안전경계석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대해 구조적으로 타이어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타이어가 쉽게 파손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석재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양측이 경사지게 절단하는 경사 도로경계석 절단장치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절단휠(1 ; 경사절단휠이 나란히 위치하기도 함)이 석재블록(2)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고, 석재블록(2)이 안치된 이송대차(3)는 상기 절단휠(1)이 위치하는 부분을 직선 왕복 이동하면서 절단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석재블록(2) 절단과정에서 냉각 내지는 윤활제 역할을 하는 물이 절단 부위로 공급되는데, 이와 같이 공급되는 물이 절단과정에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단휠(1)의 상부에는 박스 형태의 물튐방지 커버(4)가 더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석재 절단장치(이송대차를 포함)는 절단 시, 절단휠(1)(2)과 석재블록(2)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작업장으로 확산되므로, 청각적 작업환경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적/기계적 장치들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므로, 공장 건물과 같은 실내에만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설치장소의 국한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장치를 구성하는 절단휠(1)의 진동이 극심하여 절단 시 오차가 발생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석재를 절단장치 위치로 이송시키지 않고, 절단장치를 석재 위치로 직접 이송시키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송대차 상에 설치되는 절단장치와 절단휠 및 절단되어질 석재 부분을 감싸는 하우징이 마련된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석재 절단시 절단휠과 석재 절단 부위의 냉각 내지는 윤활제로 투입되는 물을 상기 하우징 상부에 저장하여 공급시키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석재 절단휠1,2(11)(12)가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마련된 절단장치(10)가 상부에 안치되고, 하부에 구동부(1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캐스터(140)가 마련되어, 상기 절단휠1,2(11)(12)가 석재(1)를 절단시키도록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된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110) 상부의 절단장치(10)와 절단휠1,2(11)(12) 부분을 각각 격리시킨 상태로 감싸서 외부와 차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석재를 절단장치 위치로 이송시키지 않고, 절단장치를 석재 위치로 직접 이송시키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송대차의 왕복 이동 구간 양측에 석재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여, 일측에 위치한 석재가 절단된 후 타측 석재를 절단하기 위해 이송대차가 이동한 사이 절단된 일측 석재를 다른 석재로 교체하면서 연속적으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차 상에 설치되는 절단장치와 절단휠 및 절단되어질 석재 부분을 하우징으로 감싸서 외부와 격리시켜, 절단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단과정에서 냉각 내지는 윤활제로 투입되는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장치 부분을 하우징으로 감싸서 외부와 격리시켜, 우천, 강풍과 같은 자연 환경이 척박한 외부 예컨대, 원석 채취 장소(석산)에 설치하여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채취된 원석을 석재 가공공장으로 운반하는 비용 발생을 방지하여 석재 가공에 따른 비용 절감과 가공된 석재 자체의 단가를 다운시켜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 절단시 절단휠과 석재 절단 부위의 냉각 내지는 윤활제로 투입되는 물을 상기 하우징 상부에 저장하여, 절단 과정에서 절단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물이 흡수하면서 완충시킴으로써, 이송대차가 진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이송대차가 적용된 절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외형과 내부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이송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중 이송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절단장치 전체의 절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송 상태 및 절단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단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양쪽에서 절단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물튐방지커버가 내부에 더 마련된 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중 이송 구동부의 다른 구성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 절단휠1,2(11)(12)가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마련된 절단장치(10)가 상부에 안치되고, 하부에 구동부(1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캐스터(140)가 마련되어, 상기 절단휠1,2(11)(12)가 석재(1)를 절단시키도록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된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110) 상부의 절단장치(10)와 절단휠1,2(11)(12) 부분을 각각 격리시킨 상태로 감싸서 외부와 차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본체(110)는 절단장치(10) 설치 기반을 제공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하부 내측에는 구동부(130)와 캐스터(140) 및 연동수단(13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차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측면 사방에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운반 시에 고정용 고리가 끼워지는 고리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하우징(120)은 본체(110)의 상부면에 함체 형태로 고정되어, 절단장치(10)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제1하우징(121); 상기 제1하우징(121)의 일측에 역시 함체 형태로 마련되어, 제1하우징(121) 일측으로 노출되는 절단휠1,2(11)(12)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제2하우징(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1)은 사각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볼트 고정되고, 상부의 사방에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운반 시에 고정용 고리가 끼워지는 고리부재(121a)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21)의 높이면 중 상기 제2하우징(122)이 위치하는 높이면을 제외한 다른 면들에는 도어(121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122)은 절단휠1,2(11)(12)을 감싸는 함체로서, 상기 제1하우징(121)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방이 제1하우징(121)의 일측 면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어 개폐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122)의 하부는 왕복 이동 시, 바닥에 안치된 석재(1)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절결되고, 절결되면서 오픈되는 부분에 플렉시블한 차단부재(122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22a)는 고무재의 커튼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제1하우징(121)의 상부에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23); 상기 저수조(123)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펌프(124); 상기 저수조(123)에 저수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키는 센서(125); 상기 절단장치(10)의 절단휠1,2(11)(12)이 동작함과 동시에 저수조(123)를 개방시켜 절단휠1,2(11)(12) 향으로 유도된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밸브(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124)는 저수조(123)의 상방에 설치된 모터펌프일 수 있고, 상기 센서(125)는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일 수 있고, 상기 밸브(126)는 절단휠1,2(11)(12)의 동작 신호와 연동 신호를 입력받아 개방되는 수전용 밸브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구동부(130)는 첨부 도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부 내측 중앙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캐스터(140)는 본체(110) 하부의 베어링에 설치되는 다수의 축 양단에 고정되는 바퀴일 수 있으며, 바퀴의 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00)의 면에도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최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축은 예시적으로 6열이 평행하게 마련되며, 캐스터(140)는 각각의 축 양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구동부(130)와 캐스터(140)의 축은 연동수단(131)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연동수단(131)은 캐스터(140)의 축 각각에 고정되는 체인기어와 구동부(130)의 회전축에 마련된 체인기어가 체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체인의 장력 유지를 고려하여 체인을 가압하는 별도의 체인기어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석재 절단휠1,2(11)(12)가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마련된 절단장치(10)가 상부에 안치되고, 하부에 구동부(1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캐스터(140)가 마련되어, 상기 절단휠1,2(11)(12)가 석재(1)를 절단시키도록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된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110) 상부의 절단장치(10)와 절단휠1,2(11)(12) 부분을 각각 격리시킨 상태로 감싸서 외부와 차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하여서 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본체(110)는 절단장치(10) 설치 기반을 제공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하부 내측에는 구동부(130)와 캐스터(140) 및 연동수단(131)이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하우징(120)은 본체(110)의 상부면에 함체 형태로 고정되어, 절단장치(10)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제1하우징(121); 상기 제1하우징(121)의 일측에 역시 함체 형태로 마련되어, 제1하우징(121) 일측으로 노출되는 절단휠1,2(11)(12)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제2하우징(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하우징(121)과 제2하우징(122)이 격리되기 위해서는 중간에 차단판이 위치하며, 상기 차단판은 절단휠1,2(11)(12)이 승강하는 범위만큼이 절결되어야만 절단휠1,2(11)(12)가 간섭없이 승강된다.
상기, 제1하우징(121)은 사각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볼트 고정되고, 상부의 사방에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운반 시에 고정용 고리가 끼워지는 고리부재(121a)가 마련된다.
그리되면, 상기 고리부재(121a)에 크레인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설치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이송대차(100)는 석재 가공 공장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원석을 채취하는 석산 등에 설치되어 채취된 원석을 별도의 운반을 거치지 않고 바로 원하는 규격을 절단하여 반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21)의 높이면 중 상기 제2하우징(122)이 위치하는 높이면을 제외한 다른 면들에는 도어(121b)가 마련된다.
그리되면, 하우징(120) 내부의 장치들을 용이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122)은 절단휠1,2(11)(12)을 감싸는 함체로서, 상기 제1하우징(121)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상방이 제1하우징(121)과의 일측 면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어 개폐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122)의 하부는 왕복 이동 시, 바닥에 안치된 석재(1)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절결되고, 절결되면서 오픈되는 부분에 플렉시블한 차단부재(122a)가 마련되는데, 상기, 차단부재(122a)는 고무재의 커튼이다.
상기에서, 제1하우징(121)의 상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23); 상기 저수조(123)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펌프(124); 상기 저수조(123)에 저수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키는 센서(125); 상기 절단장치(10)의 절단휠1,2(11)(12)이 동작함과 동시에 저수조(123)를 개방시켜 절단휠1,2(11)(12) 향으로 유도된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밸브(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124)는 저수조(123)의 상방에 설치된 모터펌프이고, 상기 센서(125)는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이고, 상기 밸브(126)는 절단휠1,2(11)(12)의 동작 신호와 연동 신호를 입력받아 개방되는 수전용 밸브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구동부(130)는 본체(110)의 하부 내측 중앙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스터(140)는 본체(110) 하부의 베어링에 설치되는 다수의 축 양단에 고정되는 바퀴로서, 바퀴의 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00)의 면에도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마찰력을 최대로 유지하기도 한다.
상기, 축은 예시적으로 6열이 평행하게 마련되며, 캐스터(140)는 각각의 축 양단에 마련된다.
상기에서, 구동부(130)와 캐스터(140)의 축은 연동수단(131)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연동수단(131)은 캐스터(140)의 축 각각에 고정되는 체인기어와 구동부(130)의 회전축에 마련된 체인기어가 체인을 통해 연결되며, 체인의 장력 유지를 고려하여 체인을 가압하는 별도의 체인기어들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되면, 각각의 캐스터(140)가 가이드레일(200)과 접하여 마찰하면서 이송동작이 이루어져 적은 힘으로도 수월하게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차의 본체(110) 상부에 간격을 두고 2열로 마련된 절단장치(10)가 이송대차의 본체(110)를 타고 소정의 구간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석재(1)의 절단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절단장치(10)는 석재(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한번 이동하면서 소정의 깊이만큼 절삭하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의 깊이만큼 절삭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결과적으로 석재(1)를 완전히 절단시킨다.
이때, 상기 석재(1) 역시 절단장치(10)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며 안치되는데,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2열의 석재(1)가 위치하되, 타측 방향에도 역시 간격을 두고 2열의 석재(1)가 위치하여, 일측 석재(1)의 절단이 완료되고나면,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른 석재(1)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다른 석재(1)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동안, 먼저 절단된 석재(1)들을 배출시키고, 새로운 석재(1)를 안치시켜 다음에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준비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석재(1)를 절단장치(10) 위치로 이송시키지 않고, 절단장치(10)를 석재(1) 위치로 직접 이송시키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송대차(100)의 왕복 이동 구간 양측에 석재(1)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여, 일측에 위치한 석재(1)가 절단된 후 타측 석재(1)를 절단하기 위해 이송대차(100)가 이동한 사이 절단된 일측 석재(1)를 다른 석재로 교체하면서 연속적으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대차(100) 상에 설치되는 절단장치(10)와 절단휠1,2(11)(12) 및 절단되어질 석재(1) 부분을 하우징(120)으로 감싸서 외부와 격리시켜, 절단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단과정에서 냉각 내지는 윤활제로 투입되는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장치(10) 부분을 하우징(120)으로 감싸서 외부와 격리시켜, 우천, 강풍과 같은 자연 환경이 척박한 외부 예컨대, 원석 채취 장소(석산)에 설치하여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채취된 원석을 석재 가공공장으로 운반하는 비용 발생을 방지하여 석재 가공에 따른 비용 절감과 가공된 석재 자체의 단가를 다운시켜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1) 절단시 절단휠1,2(11)(12)과 석재(1) 절단 부위의 냉각 내지는 윤활제로 투입되는 물을 상기 하우징(120) 상부에 저장하여, 절단 과정에서 절단장치(1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물이 흡수하면서 완충시킴으로써, 이송대차(100)가 진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단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석재(1)의 진행경로 중 중간 부분 전방과 후방에 각각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한 쌍씩 마련되어지되, 서로 교차하면서 겹쳐져 마련되는 전방의 절단휠1(11)과 후방의 절단휠2(12); 상기 절단휠1(11)의 회전축1(11c)과 절단휠2(12)의 회전축2(12c)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1,2(13)(14); 상기 이동부1,2(13)(14)에 마련되어 상기 각 회전축1,2(11c)(12c)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는 절단휠구동부(15); 상기 이동부1,2(13)(1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각도를 유지시키는 기울기조절/유지부(16);를 포함하여서 된 절단장치(10)가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휠1(11)과 절단휠2(12)은 일측은 석재(1)에 대해 수직 절단이 이루어지고 타측은 석재(1)에 대해 경사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절단장치(10)의 배열은 절단휠1,2(11)(12)가 일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절단장치(10)가 2열로 안착 배치된 것이나,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장치(10)의 절단휠1,2(11)(12)가 양측 방향으로 각각 위치하되, 하우징(120)은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121)의 양측에 대칭으로 제2하우징(122)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이송대차(100)의 양쪽에서 2열로 교차하면서 안착 배치된 절단장치(10)들이 절단을 수행하므로, 한번에 다량의 석재(1) 절단이 이루어져 더욱더 작성능률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휠1(11)과 절단휠2(12)의 상방을 각각 대칭으로 마주하여 감싸되, 마주하는 개방부 상방에 테두리 형태의 보조덮개(17a)가 더 마련된 물튐방지덮개(17)를 절단휠1(11)과 절단훨2(12)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 상에 고정시켜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석재(1)의 절단 과정에서 물이 튀는 것을 물튐방지덮개(17)가 1차적으로 차단하고, 2차적으로 제2하우징(122)이 차단하여 완벽하게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음 역시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30)는 본체(110)의 하부 내측 중앙에 고정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마련된 피니언(135); 상기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레일(200)의 중간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135)이 정/역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크기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구동중심이 이송대차(100)가 이동하는 경로의 센터에 위치하게 되므로, 좌우 치우침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송대차 110 : 본체
120 : 하우징 121 : 제1하우징
121a : 고리부재 121b : 도어
122 : 제2하우징 122a : 차단부재
123 : 저수조 124 : 펌프
125 : 센서 126 : 밸브
130 : 구동부 131 : 연동수단
140 : 캐스터 200 : 가이드레일
10 : 절단장치 11,12 : 절단훨1,2

Claims (14)

  1. 석재 절단휠1,2(11)(12)가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마련된 절단장치(10)가 상부에 안치되고, 하부에 구동부(13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캐스터(140)가 마련되어, 상기 절단휠1,2(11)(12)가 석재(1)를 절단시키도록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된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110) 상부의 절단장치(10)와 절단휠1,2(11)(12) 부분을 각각 격리시킨 상태로 감싸서 외부와 차단하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23)가 마련되어, 간격을 두고 절단 위치에 안치된 석재(1) 사이를 왕복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은 본체(110)의 상부면에 함체 형태로 고정되어, 절단장치(10)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제1하우징(121); 상기 제1하우징(121)의 일측에 역시 함체 형태로 마련되어, 제1하우징(121) 일측으로 노출되는 절단휠1,2(11)(12)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제2하우징(12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21)은 사각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볼트 고정되고, 상부의 사방에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운반 시에 고정용 고리가 끼워지는 고리부재(121a)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21)의 높이면 중 상기 제2하우징(122)이 위치하는 높이면을 제외한 다른 면들에는 도어(121b)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122)은 절단휠1,2(11)(12)을 감싸는 함체로서, 상기 제1하우징(121)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122)은 절단휠1,2(11)(12)을 감싸는 함체로서, 상방이 제1하우징(121)의 일측 면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122)의 하부는 왕복 이동 시, 바닥에 안치된 석재(1)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절결되고, 절결되면서 오픈되는 부분에 플렉시블은 차단부재(122a)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21)의 상부에 마련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123); 상기 저수조(123)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펌프(124); 상기 저수조(123)에 저수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키는 센서(125); 상기 절단장치(10)의 절단휠1,2(11)(12)이 동작함과 동시에 저수조(123)를 개방시켜 절단휠1,2(11)(12) 향으로 유도된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밸브(1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140)는 본체(110) 하부의 베어링에 설치되는 다수의 축 양단에 고정되는 바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140)는 본체(110) 하부의 베어링에 설치되는 다수의 축 양단에 고정되는 바퀴로 이루어지되, 바퀴의 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00)의 면에도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140)는 축이 연동수단(131)에 의해 구동부(13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연동수단(131)은 캐스터(140)의 축 각각에 고정되는 체인기어와 구동부(130)의 회전축에 마련된 체인기어가 체인을 통해 연결되고, 체인의 장력 유지를 고려하여 체인을 가압하는 별도의 체인기어들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10)의 절단휠1,2(11)(12)가 양측 방향으로 각각 위치하되, 하우징(120)은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121)의 양측에 대칭으로 제2하우징(122)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휠1(11)과 절단휠2(12)의 상방을 각각 대칭으로 마주하여 감싸되, 마주하는 개방부 상방에 테두리 형태의 보조덮개(17a)가 더 마련된 물튐방지덮개(17)를 절단휠1(11)과 절단훨2(12)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 상에 고정시켜서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본체(110)의 하부 내측 중앙에 고정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마련된 피니언(135); 상기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레일(200)의 중간에 가이드레일(200)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상기 피니언(135)이 정/역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크기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KR1020120030323A 2012-03-26 2012-03-26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KR101358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323A KR101358238B1 (ko) 2012-03-26 2012-03-26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323A KR101358238B1 (ko) 2012-03-26 2012-03-26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698A KR20130108698A (ko) 2013-10-07
KR101358238B1 true KR101358238B1 (ko) 2014-03-05

Family

ID=4963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323A KR101358238B1 (ko) 2012-03-26 2012-03-26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2393B (zh) * 2016-10-29 2018-12-11 安徽旭虹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拆卸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034A (ja) * 1995-03-24 1996-10-08 Nippon Cement Co Ltd 石材用切断機
KR100715621B1 (ko) * 2006-03-21 2007-05-09 이익규 회전기능을 갖는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0901847B1 (ko) * 2008-08-21 2009-06-09 성도건설산업㈜ 무수 냉각 도로 커터
KR101049569B1 (ko) * 2010-11-25 2011-07-14 바위산업 주식회사 도로경계석의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034A (ja) * 1995-03-24 1996-10-08 Nippon Cement Co Ltd 石材用切断機
KR100715621B1 (ko) * 2006-03-21 2007-05-09 이익규 회전기능을 갖는 경계석 절단가공장치
KR100901847B1 (ko) * 2008-08-21 2009-06-09 성도건설산업㈜ 무수 냉각 도로 커터
KR101049569B1 (ko) * 2010-11-25 2011-07-14 바위산업 주식회사 도로경계석의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698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731B1 (ko) 이형 절단할 수 있는 경계석 절단장치
KR101049569B1 (ko) 도로경계석의 절단장치
KR102153107B1 (ko) 레일 표면 연마장치
KR200385536Y1 (ko)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KR100906108B1 (ko) 경계석 승강이송장치
KR101358238B1 (ko) 석재 절단을 위한 이송대차
CN111032965A (zh) 液压挖掘机
KR20090022805A (ko) 폐기물 슬러지 수거함 자동평탄기
KR101364115B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용 연삭장치
KR20120064515A (ko) 고무크롤러의 장력 완충구조가 구비된 언더캐리지
CN111113189B (zh) 一种多功能防扬尘的立式石材磨边机
CN106076586B (zh) 移动式碎石机
KR101599999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301778B1 (ko) 다엽식 석재절삭기
JP2004114562A (ja) ワイヤソー式切断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切断工法
CN104842440B (zh) 一种生产蒸压加气砌块用u型架防尘切割车
CN104542177B (zh) 自行走式起苗机
KR101280360B1 (ko) 석재절단장치의 물튐방지커버
KR20140030924A (ko) 염전용 소금채취 장치
KR200460351Y1 (ko) 콤바인의 예취날 연삭장치
KR101067284B1 (ko) 절삭각도 조절이 용이한 석재 절단장치
CN109715531A (zh) 输送机装置
CN2272805Y (zh) 一种石材用圆盘锯水平切割机
KR200461757Y1 (ko)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CN107350922B (zh) 卧式玻璃双边磨边机中间托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