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109B1 -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109B1
KR101358109B1 KR1020120156171A KR20120156171A KR101358109B1 KR 101358109 B1 KR101358109 B1 KR 101358109B1 KR 1020120156171 A KR1020120156171 A KR 1020120156171A KR 20120156171 A KR20120156171 A KR 20120156171A KR 101358109 B1 KR101358109 B1 KR 10135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member
vision inspection
camera
inspe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to KR102012015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01N2021/8592Grain or other flowing solid samples

Landscapes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유닛; 상기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대상물이 미끄러져 이송되도록 상기 대상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설치되는 광투과성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지지 부재를 따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와이어 부재의 사이에 외부와 소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와이어 부재의 사이에 상호 떨어져서 설치되는 이격 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러져 이송되는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VISION INSPECTION APPARATUS HAVING OBJECT GUIDING FUNCTION}
본 발명은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의 발전 및 수요 증대에 힘입어 체결요소 부품도 전자제품의 고품질화 트렌드를 뒷받침하기 위해 소형화·정밀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의 고품질화에는 체결요소 부품의 품질 신뢰도 향상도 수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체결요소 부품의 검사는 품질관리의 중요한 부분으로 정착되고 있다.
이러한 체결요소 부품의 품질 관리를 위해, 최근에는 비전 검사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전 검사 장치는 검사할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판과, 이 이송판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이송판은 대상물을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주로 원판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비전 검사 장치는 전체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비전 검사 장치는 구동시마다 별도의 전력을 소모하는 고가의 회전 모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비전 검사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별도의 구동 요소 없이 검사할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는, 대상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유닛; 상기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대상물이 미끄러져 이송되도록 상기 대상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설치되는 광투과성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지지 부재를 따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와이어 부재의 사이에 외부와 소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와이어 부재의 사이에 상호 떨어져서 설치되는 이격 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러져 이송되는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대상물의 머리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대상물 중 상기 머리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몸체부와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선형의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대상물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선형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간격이 상기 공급 유닛에 근접할수록 더 벌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이송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이 상기 지지 부재와 선접촉하며 이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대상물을 촬영하는 광축이 상기 지지 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대상물의 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대상물의 저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저면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저면 카메라의 광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와이어 부재의 측방에 설치되고,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상기 와이어 부재 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에 의하면, 원형의 이송판을 가진 비전 검사 장치보다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작아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다.
또한, 전력을 소모하는 별도의 구동 요소 없이 검사할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율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대상물이 와이어 부재를 통해 안내되도록 구성되므로 제조 비용 측면에서도 효용성이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는, 공급 유닛(110), 이송 유닛(120), 대상물 감지 유닛(160), 카메라(170), 및 배출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유닛(110)은 대상물(N)을 공급하는 요소이다. 공급 유닛(110)은 공급 부재(111), 및 정렬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부재(111)는 호퍼(hopper)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상물(N)을 시간당 일정 양만큼 정렬 부재(113)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렬 부재(113)는 서로 모여져 있는 대상물(N)을 겹치지 않게 낱개 단위로 분리하고 일정한 자세로 정렬시킨다. 구성적인 측면에 있어서, 정렬 부재(113)는 볼(bowl) 피더(115), 및 직선 피더(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볼 피더(115)는 대상물(N)이 모여져 있는 상태에서 진동에 의하여 상호 분리되면서 특정 방향을 따라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볼 피더(115)는 대상물(N)을 이송하는 중에 대상물(N)이 특정 자세를 갖도록 유도하거나 특정된 자세를 갖지 않는 대상물(N)을 탈락시킨다. 종류에 있어서 볼 피더(115)는 계단형, 원추형, 원통형, 접시형, 단종형 등 알려져 있는 다양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 피더(115)에 의해 일정 자세로 공급된 대상물(N)은 직선 피더(117)에 의해 이송 유닛(120)에 일렬로 공급된다. 직선 피더(117)는 대상물(N)을 먼저 진행된 대상물(N)에 밀착시킨다. 공급 속도를 증대시키고 상호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직선 피더(117)에는 공기압 노즐과 같은 푸셔(pusher)가 구비될 수 있다. 직선 피더(117)의 끝단에는 한꺼번에 대상물(N)이 복수 개가 공급되는 것(잼)을 방지하기 위한 기계적 또는 전자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잼 방지 장치는 스프링에 의해 젖혀질 수 있는 암(arm) 또는 게이트(gate)나 롤러(roller)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이송 유닛(120)은 직선 피더(117)로부터 공급된 대상물(N)을 이송하는 요소이다. 대상물(N)은 이송 유닛(120)에 의해 이송 방향(T)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송 유닛(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대상물 감지 유닛(160)은 이송 유닛(120)으로 공급된 대상물(N)의 위치 또는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요소이다. 대상물 감지 유닛(160)은 대상물(N)이 대상물 감지 유닛(160)을 지나치는지를 감지하여 위치 및 대상물(N) 간의 간격에 관한 정보를 테이터 처리부에 전송한다. 대상물(N)의 감지를 위하여 광센서, 근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대상물 감지 유닛(160)은 엔코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대상물(N)을 촬영하는 요소이다. 카메라(170)는 이송 중인 대상물(N)을 촬영하여 대상물(N)의 표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7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배치에 대해서는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출 유닛(180)은 검사가 완료된 대상물(N)을 분류하여 배출시키는 요소이다. 배출 유닛(180)은 적어도 하나의 양품 배출부(181), 및 불량품 배출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한 배출을 위하여 배출 유닛(180)은 공압으로 대상물(N)을 이동시키는 공압 노즐(18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는 각 전자 부품들을 제어하거나 감지 또는 측정된 결과를 받는 데이터 처리부와, 검사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양품과 불량품을 구별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포함된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알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갖출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는 공급 유닛(110), 이송 유닛(120), 대상물 감지 유닛(160), 카메라(170), 및 배출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상물(N)은 너트, 볼트와 같은 나사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N)은 몸체부(NB)와 머리부(NH)를 가질 수 있으며, 몸체부(NB)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NH)는 몸체부(NB)의 일단에 형성되고, 몸체부(NB)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머리부(NH)는 십자형 또는 일자형의 골이 형성될 수 있는 헤드면(HS)을 가질 수 있다.
공급 유닛(110)은 이러한 대상물(N)을 이송 유닛(120)으로 공급하며, 공급된 대상물(N)은 대상물 감지 유닛(160)에 의해 위치 및 간격 등이 감지될 수 있다.
이송 유닛(120)은 공급된 대상물(N)이 미끄러져 이송될 수 있도록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유닛(120)은 지지 부재(121), 와이어 부재(123), 이격 부재(141), 및 자력 부재(14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21)는 대상물(N)의 이송 방향(T)을 따라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 유닛(110)으로부터 공급된 대상물(N)은 지지 부재(121)의 상측면과 맞닿아 미끄러지면서 이송될 수 있다. 지지 부재(121)는 강화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같은 광투과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부재(123)는 대상물(N)을 이송 방향(T)을 따라 안내하는 요소이다. 와이어 부재(123)는 지지 부재(12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대상물(N)이 지지 부재(121)를 따라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부재(141)는 지지 부재(121)와 와이어 부재(123)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이격 부재(141)는 지지 부재(121)와 와이어 부재(123)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자력 부재(147)는 촬영시 대상물(N)의 위치를 조정하는 요소이다. 자력 부재(147)는 와이어 부재(123)의 측방에 설치될 수 있다. 자력 부재(147)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대상물(N)을 와이어 부재(123)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자력 부재(147)로는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대상물(N)이 이송 유닛(120)에서 설정된 위치(범위)에 왔을 때 대상물(N)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대상물(N)의 촬영을 통해 대상물(N)의 표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몸체부(NB) 또는 머리부(NH) 등의 결손이나 결함 또는 크랙의 존재 등을 평가하는데 활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저면 카메라(171), 및 측면 카메라(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 카메라(171)는 머리부(NH)의 헤드면(HS)을 촬영할 수 있도록 대상물(N)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카메라(173)는 몸체부(NB)의 나사산 등을 촬영할 수 있도록 대상물(N)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유닛(180)은 이송 유닛(120)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촬영이 마쳐진 대상물(N)을 수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유닛(180)은 카메라(170)를 이용한 표면 검사의 결과에 따라 대상물(N)을 양품 배출부(181) 또는 불량품 배출부(183)에 분류하여 수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 방식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상술한 공급 유닛(110) 및 카메라(170) 이외에, 이송 유닛(12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또한, 상술한 대상물 감지 유닛(160), 배출 유닛(180)은 설명의 편의상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다.
이송 유닛(120)은 지지 부재(121), 와이어 부재(123), 이격 부재(141), 및 자력 부재(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요소를 중심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와이어 부재(123)는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25)는 대상물(N)을 이송 방향(T)을 따라 안내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제1 와이어(125)는 대상물(N)의 이송 방향(T)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와이어(127)는 제1 와이어(125)와 함께 대상물(N)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요소이다. 제2 와이어(127)는 제1 와이어(125)와 대상물(N)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는 공급 유닛(110)에 근접할수록 서로의 간격이 더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는 두께가 얇은 금속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세 금속사는 금속의 인발, 꼬임(bundle), 및 연신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세 금속사는 대략 5 내지 500㎛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격 부재(141)는 상술한 것과 같이 지지 부재(121)와 와이어 부재(123)의 사이 이외에도, 대상물(N)의 사이즈에 따라 제1 와이어(125)와 제2 와이어(127)의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부재(141)는 이송되는 대상물(N)에 걸리지 않도록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의 측방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대상물(N)은 공급 유닛(110)으로부터 헤드면(HS)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이송 유닛(120)으로 공급된다. 공급된 대상물(N)은 머리부(NH)가 지지 부재(121)에 맞닿으면서 지지 부재(121)의 경사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여기서,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는 공급 유닛(110)과 근접한 부분에서 서로 더 멀리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대상물(N)은 이송 유닛(1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제1 와이어(125)와 제2 와이어(127)의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대상물(N)은 몸체부(NB)가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와 맞닿으면서 이송 방향(T)을 따라 안내된다.
대상물(N)이 이송되어 일정한 위치에 진입하게 되면, 자력 부재(147)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대상물(N)을 제2 와이어(127){또는 제1 와이어(125)} 측으로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대상물(N)들은 자력 부재(147)의 주변에서 모두 일정한 자세를 갖도록 정렬될 수 있다.
대상물(N)이 일정한 자세를 갖도록 정렬되면, 측면 카메라(173)는 대상물(N)의 측면을 촬영한다. 여기서,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는 미세 금속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면 카메라(173)를 통해 촬영되는 몸체부(NB)의 이미지에서 제1 와이어(125){또는 제2 와이어(127)}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N)의 측면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대상물(N)에 대한 측면 카메라(173)의 촬영과 함께, 저면 카메라(171)의 촬영 과정도 진행된다. 저면 카메라(171)는 지지 부재(121)를 투과하여 머리부(NH)의 헤드면(HS)를 촬영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 부재(121)는 저면 카메라(171)의 광축(X2)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121)를 투과하여 대상물(N)을 촬영하는 저면 카메라(171)는, 지지 부재(121)에 의해 굴절되지 않고 본래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헤드면(HS)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면(HS)의 검사 결과에 대한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 부재(141)는 접이식 망원경과 같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이격 부재(141)는 지지 부재(121)와 와이어 부재(123) 사이의 간격이 머리부(NH)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머리부(NH)의 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대상물(N)들이 지지 부재(121)와 와이어 부재(123)의 사이에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격 부재(141)는 대상물(N)의 이송 방향(T)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격 부재(141)는 제1 와이어(125)와 제2 와이어(127)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몸체부(NB)의 지름이 상이한 복수의 대상물(N)들을 이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 유닛(120')은 대상물(N)의 이송 방향(T)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121)는 대상물(N)의 이송 방향(T)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지면과 일정한 경사각(α)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는 지지 부재(12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와이어(125) 및 제2 와이어(127) 사이의 간격은 몸체부(NB)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125)와 지지 부재(121) 사이의 간격, 및 제2 와이어(127)와 지지 부재(121) 사이의 간격도 머리부(NH)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상물(N)은 지면과 경사각(α)을 이루는 지지 부재(121)로 인해 기울어진 채로 이송되게 된다. 기울어진 대상물(N)의 몸체부(NB)는 제1 와이어(125)와 맞닿게 되고, 대상물(N)은 몸체부(NB)가 제1 와이어(125)에 기대어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 대상물(N)은 헤드면(HS)의 모서리가 지지 부재(121)의 상측면과 접촉 라인(C)을 따라 선접촉하면서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121)는 헤드면(HS)과 전체적으로 맞닿지 않게 되어 스크래치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면 카메라(171')는 스크래치가 없는 광투과성의 지지 부재(121)를 투과하여 선명한 헤드면(HS)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저면 카메라(171')는 그 광축(X2)이 대상물(N)의 헤드면(HS)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카메라(173')도 그 광축(X1)이 대상물(N)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170')가 대상물(N)을 비스듬히 촬영하지 않고 반듯하게 촬영할 수 있어 대상물(N)의 정확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100':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110: 공급 유닛 120,120': 이송 유닛
121: 지지 부재 123: 와이어 부재
125: 제1 와이어 127: 제2 와이어
141: 이격 부재 147: 자력 부재
170,170': 카메라 180: 배출 유닛

Claims (10)

  1. 대상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공급 유닛;
    상기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대상물이 미끄러져 이송되도록 상기 대상물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설치되는 광투과성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지지 부재를 따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와이어 부재의 사이에 외부와 소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와이어 부재의 사이에 상호 떨어져서 설치되는 이격 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러져 이송되는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대상물의 머리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대상물 중 상기 머리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몸체부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선형의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대상물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선형의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간격이 상기 공급 유닛에 근접할수록 더 벌어지게 형성되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이송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이 상기 지지 부재와 선접촉하며 이송되도록 형성되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대상물을 촬영하는 광축이 상기 지지 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대상물의 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대상물의 저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저면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저면 카메라의 광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와이어 부재의 측방에 설치되고,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상기 와이어 부재 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KR1020120156171A 2012-12-28 2012-12-28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KR10135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71A KR101358109B1 (ko) 2012-12-28 2012-12-28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71A KR101358109B1 (ko) 2012-12-28 2012-12-28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109B1 true KR101358109B1 (ko) 2014-02-05

Family

ID=5026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171A KR101358109B1 (ko) 2012-12-28 2012-12-28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5528A (zh) * 2017-04-21 2017-07-07 王亚辉 用于柱状产品的检测装置
KR101785439B1 (ko) 2017-03-20 2017-10-17 (주)부산미르구조진단 건축구조물 외벽체의 크랙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7624U (ko) * 1986-08-29 1988-03-10
JPH06167323A (ja) * 1992-10-02 1994-06-14 Seiko Instr Inc 部品検査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検査方法
JP2007121039A (ja) * 2005-10-26 2007-05-17 Yutaka:Kk 貫通孔の内径の検査方法およびナット検査装置
KR101183872B1 (ko) * 2011-04-21 2012-09-19 주식회사 서울금속 부품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7624U (ko) * 1986-08-29 1988-03-10
JPH06167323A (ja) * 1992-10-02 1994-06-14 Seiko Instr Inc 部品検査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検査方法
JP2007121039A (ja) * 2005-10-26 2007-05-17 Yutaka:Kk 貫通孔の内径の検査方法およびナット検査装置
KR101183872B1 (ko) * 2011-04-21 2012-09-19 주식회사 서울금속 부품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439B1 (ko) 2017-03-20 2017-10-17 (주)부산미르구조진단 건축구조물 외벽체의 크랙감시 시스템
CN106925528A (zh) * 2017-04-21 2017-07-07 王亚辉 用于柱状产品的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8493B2 (en) Carrying device an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for test objects
EP2159171B1 (en) Vibrating feeder, carrying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US20100188501A1 (en)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KR101454823B1 (ko) 외관 검사 장치
TW201502498A (zh) 檢查系統
EP3149457A1 (en) Method for particle detection on flexible substrates
JPH0654226B2 (ja) チップ状部品の自動外観検査機
KR101358109B1 (ko) 대상물 안내 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KR101533976B1 (ko) 방향성 부품의 공급을 위한 피더 및 그의 공급 방법
KR101358108B1 (ko) 미끄러지는 대상물에 대한 비전 검사 장치
JP2013083491A (ja) 半導体ウェハの表面検査システム
EP0085124A1 (en) Screw inspection device
KR101366188B1 (ko) 측면 및 표면 검사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KR101554712B1 (ko) 비전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111272B1 (ko)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KR101358112B1 (ko) 대상물의 복수 부분을 검사하기 위한 비전 검사 장치
KR101366196B1 (ko) 대상물 3차원 비전 검사 장치 및 방법
EP2600140A1 (en) Inspection system
KR101299127B1 (ko) 대상물 비전 검사를 위한 조명 어셈블리
KR101327273B1 (ko) 너트 비전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613738B1 (ko) 전송-모드 측정을 위한 오프-축 시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36650B1 (ko) 와전류를 이용한 너트 내주면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KR101308885B1 (ko) 나사 검사장치의 나사지지구조
KR101366190B1 (ko) 측면 검사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KR101399006B1 (ko) 대상물 표면 비전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