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223B1 -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223B1
KR101357223B1 KR1020130043533A KR20130043533A KR101357223B1 KR 101357223 B1 KR101357223 B1 KR 101357223B1 KR 1020130043533 A KR1020130043533 A KR 1020130043533A KR 20130043533 A KR20130043533 A KR 20130043533A KR 101357223 B1 KR101357223 B1 KR 10135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lette
steel pipe
welding
weld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호
Original Assignee
엠에스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파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강판을 용접하여 형성한 강관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강관 이동부; 상기 강관이 용접된 용접부에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외주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관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축으로 회전하는 룰렛부; 및 상기 룰렛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룰렛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용접부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룰렛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는 강관의 용접부에 용접 영역임을 표시하는 홈의 깊이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압력을 줄여 금형의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강관의 크랙 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Apparatus for indicating the weld zones of a pipe}
본 발명은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에 관련된다.
강관은 유체 수송용, 기계의 구조물, 일반 구조물용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강관은 주로 강판을 말아서 제작된다. 강관은 주로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양 끝단을 서로 용접하여 결합시킨다. 이 경우 강판을 말아 원통형으로 만든 후 다양한 방식으로 용접하여 강관을 제작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6340호에는 성형성이 우수한 강관 및 그의 제조방법이 도시된다. 하지만, 강관 중 용접한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강도가 떨어져서 이를 사용하는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강관의 크기에 상응하여 강관의 용접부에 마크를 표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강관의 용접부에 용접 영역임을 표시하는 홈의 깊이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을 줄여 금형의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강관의 크랙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공정 직후 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셋팅이 용이한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판을 용접하여 형성한 강관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강관 이동부; 상기 강관이 용접된 용접부에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외주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관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축으로 회전하는 룰렛부; 및 상기 룰렛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룰렛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용접부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룰렛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은 전기저항용접이며, 상기 강관의 용접부는 전기저항용접 후 냉각전 상기 룰렛부에 의해 상기 연속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강관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룰렛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강관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강관을 지지하는 전방 강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룰렛부는, 상기 룰렛부가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 상기 강관이 용접된 용접부에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외주부에 형성되는 룰렛 중심부; 및 상기 룰렛 중심부의 양측면에 결합하는 룰렛 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룰렛 중심부는 상기 룰렛 측부와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룰렛 높이 조절부는, 상기 룰렛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 및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일단이 결합하며, 스크류 방식으로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크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는 강관의 용접부에 용접 영역임을 표시하는 홈의 깊이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압력을 줄여 금형의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강관의 크랙 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는 용접 공정 직후 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셋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중 룰렛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에 의해 홈이 형성된 강관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강관(100), 홈(105), 룰렛부(110), 회전축(120), 회전축 지지부(130), 스크류부(140), 전방 강관 지지부(150), 강관 통과홀(155), 후방 강관 지지부(16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강관의 용접부에 용접 영역임을 표시하는 홈의 깊이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룰렛부(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룰렛부(110)에 의해 다양한 크기 및 조건에 따른 강관에 홈을 선명하게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강관(100)은 강판을 용접하여 형성한다. 즉, 강관(100)은 강판을 말아서 파이프 형상으로 만든 후 서로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강판을 용접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기저항용접이 될 수 있다.
룰렛부(110)는 강관(100)이 용접된 용접부에 연속된 홈(105)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외주부에 형성되며 강관(100)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축으로 회전하여, 강관(100)에 연속된 홈(105)을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강관(100)의 용접부 표시 장치에 의해 홈이 형성된 강관(100)의 사진이 도시된다.
여기서, 룰렛부(110)는 본 실시예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모 등에 의해 사용 수명이 다한 룰렛부(110)는 간단히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축(120)은 룰렛부(110)가 중심으로 회전하는 축이다. 회전축(120)은 룰렛부(110)의 양 측면에 결합하여 룰렛부(11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120)은 회전축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회전축(120)은 회전축 지지부(13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20)은 회전축 지지부(130)의 일면에서 회전축 지지부(13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 후 회전축 지지부(130)의 타면에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타면에 돌출된 회전축(120)은 너트 등으로 고정되어 회전축 지지부(130)의 홀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룰렛부(110)의 높이를 조절하여 룰렛부(110)에 형성된 돌출부가 강관이 용접된 용접부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룰렛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룰렛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룰렛부(110)는 스크류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룰렛 높이 조절부는, 룰렛부(11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130)와, 회전축 지지부(130)에 일단이 결합하며, 스크류 방식으로 회전축 지지부(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크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룰렛 치구의 높이조절을 스크류 방식으로 채택함으로써, 강관(100) 외경에 따른 높이 조절이 용이하며, 좌우 가압조절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회전축 지지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구조를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과, 회전축(120)이 삽입되고 외부 프레임 내부에서 스크류부(14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내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류부(140)는 외부 프레임의 상단 홀에 형성된 태핑(tapping) 홀에 삽입되며, 내부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부(140)가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면 내부 프레임은 스크류부(140)와 함께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강관(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강관 서포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관 서포터부는 룰렛부(110)의 하방에서 강관(100)을 지지하여 룰렛부(110)가 강관(100)을 누르는 경우 강관(100)이 하부로 쳐지지 않고 받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방 강관 지지부(150)는 강관(10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룰렛부(110) 전방에 위치하며, 강관(100)이 통과하는 홀(155)이 형성되어 강관(100)을 지지한다. 또한, 후방 강관 지지부(160)는 룰렛부(110)에 의해 홈(105)이 형성되기 전 위치인 룰렛부(110) 후방에 위치하며, 강관(100)이 통과하는 홀(155)이 형성되어 강관(100)을 지지한다.
도면에서 강관(100)은 룰렛부(110)에 의해 홈(105)이 형성된 후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관(100)이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강판을 용접하여 형성한 강관(100)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강관 이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관 이동부는 강관(100)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롤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롤러가 강관(100)의 측면에 결합하여 회전시 강관(100)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룰렛부(110)가 강관(100)에 홈(105)을 형성하는 공정은 용접 공정에 연속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용접 공정과 홈 형성 공정이 연속된 라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강관 이동부가 강관(100)을 이동시키는 경우 하나의 공정 라인의 전단에서 용접 공정을 수행하고, 후단에서 홈 형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용접이 전기저항용접인 경우 홈 형성 공정 후 냉각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저항용접 이후 냉각 전에 룰렛 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압력을 줄여서 금형의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강관(100)의 크랙 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접 공정 직후 홈 형성 공정이 수행됨으로써, 강관(100) 제조 장치의 셋팅이 용이하다.
또한, 이러한 공정에 따르면, 공정 위치상 룰렛 공정 전, 후에서 롤러가 강관을 고정시켜줌으로써, 별도의 좌, 우측면 가압 롤러없이 용접부위에 정확히 롤렛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중 룰렛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룰렛부(110)는 룰렛 중심부(111), 룰렛 측부(113a, 113b), 회전축(115a, 115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룰렛부(110)가 교체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에 결합한다. 룰렛부(110)는 전체가 회전축 지지부(130)와 착탈식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품으로 나뉘어 룰렛 중심부(111)가 룰렛 측부(113a, 113b)와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룰렛부(110)는 룰렛부가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115)과, 강관(100)이 용접된 용접부에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외주부에 형성되는 룰렛 중심부(111)와, 룰렛 중심부(111)의 양측면에 결합하는 룰렛 측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룰렛 중심부(111)는 룰렛 측부(113)와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룰렛 측부(113a, 113b)는 룰렛 중심부(111)의 양측면에 결합하며, 회전축(115)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룰렛 중심부(111)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룰렛 측부(113a, 113b)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 수단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수단은 회전축(115) 방향으로 룰렛 측부(113a, 113b)를 관통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하는 나사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서술할 각 단계는 상술한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가 주체가 되어 수행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기술되는 과정은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410에서, 강판을 용접하여 강관(100)을 형성한다. 여기서, 용접은 전기저항용접이 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강관 이동부는 강판을 용접하여 형성한 강관(100)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용접 라인에 연장된 라인 상으로 강관(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다음 단계 수행 전에 룰렛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룰렛 높이 조절부는 룰렛부(110)의 높이를 조절하여 룰렛부(110)가 용접부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의하여 강관(100)의 크기 및 외형에 상응하여 강관(100)에 표시되는 홈의 크기 및 깊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룰렛부(110)가 이동하는 강관(100)의 용접부에 연속된 홈을 형성한다. 룰렛부(110)는 강관(100)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룰렛부(110)는 회전시 강관(100)을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기 때문에 룰렛부(110)에 형성된 톱니에 의하여 강관(100)에 연속된 홈(105)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홈(105)이 형성된 강관(100)을 냉각한다. 본 실시예는 냉각 전에 강관(100)의 용접부에 홈(105)을 형성하여 보다 간단하게 홈 형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시스템 구성, 강관 제조 장치, 엑추에이터, 배터리, 카메라, 센서 등 부품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의 용접부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상술한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여 결합하거나, 착탈식으로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구역에서 제어되는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또는 제어실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강관 105 : 홈
110 : 룰렛부 111 : 룰렛 중심부
113a, 113b : 룰렛 측부 115a, 115b : 회전축
120 : 회전축 130 : 회전축 지지부
140 : 스크류부 150 : 전방 강관 지지부
155 : 강관 통과홀 160 : 후방 강관 지지부

Claims (5)

  1. 강판을 용접하여 형성한 강관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강관 이동부;
    상기 강관이 용접된 용접부에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외주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관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축으로 회전하는 룰렛부; 및
    상기 룰렛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룰렛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용접부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룰렛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은 전기저항용접이며, 상기 강관의 용접부는 전기저항용접 후 냉각전 상기 룰렛부에 의해 상기 연속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룰렛부는,
    상기 룰렛부가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회전축;
    상기 강관이 용접된 용접부에 연속된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외주부에 형성되는 룰렛 중심부; 및
    상기 룰렛 중심부의 양측면에 결합하는 룰렛 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룰렛 중심부는 상기 룰렛 측부와 착탈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룰렛 높이 조절부는,
    상기 룰렛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 및
    상기 회전축 지지부에 일단이 결합하며, 스크류 방식으로 상기 회전축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크류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 지지부는,
    상기 룰렛부의 좌우측에서 외부 구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외부 프레임과;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프레임 각각의 내부에서 스크류부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한 쌍의 외부 프레임의 상단 홀에 형성된 태핑(tapping) 홀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내부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관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룰렛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강관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강관을 지지하는 전방 강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30043533A 2013-04-19 2013-04-19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KR10135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533A KR101357223B1 (ko) 2013-04-19 2013-04-19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533A KR101357223B1 (ko) 2013-04-19 2013-04-19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223B1 true KR101357223B1 (ko) 2014-02-04

Family

ID=5026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533A KR101357223B1 (ko) 2013-04-19 2013-04-19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0104B2 (en) 2017-08-22 2021-06-29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compri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819A (ja) * 1983-08-01 1985-02-21 Kawasaki Steel Corp 鋼帯コイルの溶接部等の表示紙挿入装置
KR200200912Y1 (ko) 2000-05-10 2000-10-16 조흥전기산업주식회사 스폿 용접기의 용접위치 표시장치
KR101048011B1 (ko) 2011-03-16 2011-07-28 에스에이지주식회사 탈착 이동식 관로 케리어장치 및 관로 설치방법
KR101107129B1 (ko) 2011-10-13 2012-01-31 금아파이프(주) 전기저항용접 강관의 용접부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819A (ja) * 1983-08-01 1985-02-21 Kawasaki Steel Corp 鋼帯コイルの溶接部等の表示紙挿入装置
KR200200912Y1 (ko) 2000-05-10 2000-10-16 조흥전기산업주식회사 스폿 용접기의 용접위치 표시장치
KR101048011B1 (ko) 2011-03-16 2011-07-28 에스에이지주식회사 탈착 이동식 관로 케리어장치 및 관로 설치방법
KR101107129B1 (ko) 2011-10-13 2012-01-31 금아파이프(주) 전기저항용접 강관의 용접부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0104B2 (en) 2017-08-22 2021-06-29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8117B1 (en) Straightening device for welding wire
EP3821995B1 (en) Rolling mill area production equipment with laser lineation positioning device, and hot rolling production line
JP6254253B2 (ja) リール支持装置
CN104384243A (zh) 一种带钢表面缺陷局部整形设备
KR101357223B1 (ko) 강관의 용접부 표시 장치
EP3446802B1 (en) Spinning forming device
JP2017185498A (ja) 溝付き金属管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213080482U (zh) 一种用于螺旋钢管管头焊接装置
KR101530786B1 (ko) 코일 누름장치
JP5883950B2 (ja) 圧延スタンド
JP5937958B2 (ja) 金属板の曲げ加工装置および曲げ加工方法
JP2016107342A (ja) シーム溶接用ローラ電極の整形装置及び整形方法
JP6359399B2 (ja) スパイラル鋼管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5398014B2 (ja) 電縫管スクイズミル
KR102258563B1 (ko)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KR101205155B1 (ko)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US9802232B2 (en) Positioning drive shaft support for roller leveler
JP2018187675A (ja) プロファイル加工ラインのためのローラ保持器
JP6817047B2 (ja) 溝付き金属管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20075020A (ko) 롤 레이저 용접장치
CN104438331A (zh) 一种带钢补料整形设备
KR101490615B1 (ko) 선재 연연속압연 가이드장치
JP5247541B2 (ja) 形鋼用多列圧延装置
JP2018130737A (ja) パイプ曲げ装置
KR100742885B1 (ko) 벤딩량 측정이 가능한 압연롤 벤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