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571B1 -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571B1
KR101356571B1 KR1020120060574A KR20120060574A KR101356571B1 KR 101356571 B1 KR101356571 B1 KR 101356571B1 KR 1020120060574 A KR1020120060574 A KR 1020120060574A KR 20120060574 A KR20120060574 A KR 20120060574A KR 101356571 B1 KR101356571 B1 KR 10135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parts
electromagnetic wa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850A (ko
Inventor
진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Priority to KR102012006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571B1/ko
Priority to JP2013060873A priority patent/JP5718963B2/ja
Publication of KR2013013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1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or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연소 시 유독가스를 유발하는 통상적인 방염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염성을 제공하고 전자파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와, 경량실러 10 내지 15 중량부, 및 분말수지 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보존기간이 늘어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도 부패할 우려가 적게 되므로, 편의성과 융통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POWDER TYPE WALL PAINT COMPOSITION FOR INCOMBUSTIBLE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WALLPAPER}
본 발명은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난연성(방염성)과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음이온을 발산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습도조절, 탈취, 항균의 기능을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벽체를 설치하고, 상기 내부 벽체의 벽면을 시멘트의 모르타르를 발라서 마감 처리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모르타르 마감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벽지가 도배되는 경우도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페인트(벽바름재)를 직접 도포하여 도색하거나 혹은 목재나 수지재 등으로 구성되는 2차 마감재를 사용하여 최종 마감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마감재는 주된 성분이 시멘트여서 이로부터 상당량의 독성이 방출되고, 비록 벽지를 도배한 경우라도 유해성분의 방출은 막을 수 없다. 또한, 벽지가 아닌 다른 내장재 혹은 인테리어재를 사용한 경우에도 이들을 도포하거나 설치할 때 사용되는 합성 접착제, PVC, 수지재 등으로부터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을 포함하는 유해가스는 물론 목재 등에 서식하는 유해충이 그 내부 공간에 주거하는 사람의 신체와 실내 환경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멘트의 독성과 유해가스는 이용자들의 눈과 코 및 기관지에 상당한 위해를 가하는 것은 물론,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등 이용자의 피부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어 근자에는 이러한 현상들을 새집증후군이라 칭하고 있다. 특히,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각종 합성소재의 마감재에 의하여 유독한 가스가 대량으로 방출되어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가정이나 사무실의 내부에는 텔레비전, 컴퓨터, 전자레인지 등 다양한 전자기기가 비치되어 있어 많은 양의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들이 신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여러 실험결과를 통하여 입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이나 전자파로 부터 안전한 실내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성 벽지 내지는 마감재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최근 황토를 함유한 벽지로 도배를 하거나, 유해물질을 중화시킬 수 있는 중화제를 마감면에 코팅하는 등의 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마감재의 독성과 유해가스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파를 차단하고 화재를 지연시킬 수 있는 벽바름재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물과 천연재료 및 천연 접착제로 형성된 벽바름재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벽바름재 조성물은 물이 함유되어 있어 보존기간이 한정되어 있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부패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물의 무게 때문에 제품의 무게 및 부피가 증가하여 물류비용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제조자나 판매업자 입장에서 보관비용 등이 증가한다.
아울러, 상기 벽바름재 조성물은 제품 구매 후 일부만 사용하고 보관하는 경우 완전히 밀봉하지 않으면, 물이 증발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점도 등이 변하여 추후 재사용 시에 제대로 된 시공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물을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전문가가 아니면 어느 정도로 물을 추가하여야 하는지 가늠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한편, 상기 벽바름재 조성물은 이미 정해진 양의 물이 포함된 상태로 시판되는 경우, 사용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공 대상인 벽의 성질이나 재질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묽기 등을 달리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정해진 비율의 물만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사용대상에 따라 융통성 있게 물을 첨가하여 사용하기 어렵다.
물론, 물을 추가하여 묽게 사용하는 것은 일정부분 가능하지만, 이 경우 균일하게 교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반대로 진하게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물의 일부를 제거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개별 사용자가 적정 수준의 물을 제거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1932호(2006.06.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2324호(2006.02.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5039호(2004.08.2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7847호(2010.08.0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유통되거나 보관되어도 부패되거나 품질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벽면의 재질이나 성질에 따라 묽기 등을 달리 사용할 수 있으며, 난연 및 전자파 차단이 가능한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견운모 100 중량부와, 경량실러 10 내지 15 중량부, 및 분말수지 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보존기간이 늘어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도 부패할 우려가 적게 되므로, 편의성과 융통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무게 및 부피가 축소되어 물류비용이 감소되며, 제품의 보관비용 등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구매 후 일부만 사용하고 보관하는 경우 완전히 밀봉하지 않아도 점도 등이 변하지 않아 추후 재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시 일정한 비율로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일반인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자체적으로 화염에 대한 방염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벽지의 연소를 지연시켜 준다. 이에 따라, 거주자가 피신하는 동안 최초 발원지로부터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지연시켜 거주자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조성물은 유기할로겐화물 등의 유해가스를 유발하는 방염용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대신 천연 광석물 기반의 방염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화염에 의해 연소되더라도 유해가스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즉, 본 발명은 유해가스에 의한 호흡기 손상 등의 2차 피해를 억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이 사용된 벽지는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다량 배출할 뿐만 아니라 천연 소재만을 사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위생적이고 안전한 건강 생활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실내의 습도조절, 탈취, 항균, 공기 정화 등의 효과 및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벽지의 방염성을 나타내기 위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벽지와 비교하기 위한 종래 벽지의 방염성을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3은 전자파 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조건 배치도 도면이다.
도 4는 전자파 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조건 배치도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지를 설치한 경우 전자파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실험데이터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실험데이터에 의한 전자파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지를 제거한 경우 전자파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실험데이터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실험데이터에 의한 전자파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난연 및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이하,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견운모 분말, 경량실러, 분말수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첨가제와 귀양석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성분들은 서로 화학적인 작용을 통하여 공동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기능 성분에만 의존 한다기보다는 여러 조성의 조합과 그 조합량에 특이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견운모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주원료인 견운모는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90% 이상 방출하며,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니는 물질이다.
이러한 견운모 분말이 물 등의 용제와 함께 혼합된 후 선박이나 건축물에 도포되면, 상기 물이 증발되는 건조과정을 거쳐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로 형성된 방염층의 대부분을 구성함으로써, 선박이나 건축물에 방염성 및 전자파 차단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물이 건조된 상태의 방염층에 견운모가 일정 수준으로 미만으로 포함되면,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을 발산하고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의 음이온을 발산할 수 있지만, 선박이나 건축물에 방염성이나 충분한 전자파 차단효과를 부여할 수는 없게 된다.
또한, 견운모 분말은 견운모를 분쇄기에서 4 내지 10㎛의 평균 입도를 갖도록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견운모 분말의 평균 입도가 4㎛ 미만이면 추후 물과 혼합될 때 혼합물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으며, 견운모 분말의 평균 입도가 10㎛를 초과하면 견운모 분말의 분쇄 비용에 대비하여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물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아울러, 견운모 분말은 비중이 2.6 내지 2.9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경량실러를 포함한다.
상기 경량실러는 다공질이며 벽 등에 도포되어 피도면(被塗面)의 미세한 홈(구멍, 스크래치)을 메우기 위해 사용하는 도료이서, PVC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공질면에 도료를 직접 도장하면 도료 중의 전색제가 흡수되어 도료의 내구력, 성능을 열화시킬 수 있지만, 상기 경량실러를 사용함으로써 전색제의 흡수가 저지되는 동시에 도막의 부착력이 향상된다.
또한, 경량실러는 견운모 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이 오래 보관되면, 견운모 분말과 경량실러는 서로 다른 비중에 의해 결과적으로 견운모 분말이 상부에 위치하고 경량실러는 하부로 내려와서 불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균일 혼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량실러는 견운모 분말보다 미세하게 분쇄된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량실러는 1.3 내지 2.6㎛의 평균 입도를 갖도록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량실러의 평균 입도가 2.6㎛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을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견운모 분말이 하부에 위치하고 경량실러가 상부에 위치한 불균일 혼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량실러의 평균 입도가 1.3㎛ 미만이면 대부분이 견운모 분말과 분말수지에 형성된 틈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되므로, 본명의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을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불균일 혼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경량실러는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5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경량실러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도포면에 형성된 미세한 홈을 메우는 기능이 축소되어 도포면 굴곡이 발생될 수 있으며, 경량실러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량실러의 추가 사용에 대비하여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물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분말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분말수지는 주원료인 견운모 분말의 입자들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분말수지는 본 발명의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을 벽지의 원지나 건축물의 벽면 등에 부착시키는 한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충격 강도 및 탄성계수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분말수지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이 저하되어 선박, 건물 등의 구조물의 접착면, 특히 철판 등의 금속면과 같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선박, 건물 등의 구조물에는 원활하게 부착되지 않으며, 분말수지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건조 후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인더 수지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면 인체에 유해한 VOC의 방출이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점도가 5,000 내지 15,000 mPas이며, 전단력 하에서 점도가 감소하고, 전단력이 없어지면 점도가 증가하는 칙소성(THIXO)을 유지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우수한 내오염성 및 표면 질감을 위해서 마감재의 표면은 매끄러워야 좋은데, 점도가 5,000 mPas 미만이면 바인더가 구조체에 스며들거나 하지면으로 가라앉아 마감재 표면에 굴곡이 심해짐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점도가 15,000 mPas를 초과하면 도포성이 좋지 않아 작업을 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귀양석 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귀양석은 장석계 중에서 음이온을 가장 많이 방사(24.140ed/cc초당)하는 물질로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상온(25℃)에서 96%로 천연광석물 중에서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의 세포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혈류량을 4.9%정도 증가, 혈류속도를 7.2% 감소시키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귀양석은 높은 계면활성효과(101% 증가)를 보이고, 뇌파 중 알파파를 다량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포함되는 귀양석 분말은 인체에 유익한 전류를 방사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귀양석 분말을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원적외선 방사 효과, 혈류 개선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귀양석 분말은 고가이기 때문에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귀양석 분말은 견운모 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이 오래 보관되면, 견운모 분말과 귀양석 분말은 서로 다른 비중에 의해 결과적으로 견운모 분말이 상부에 위치하고 경량실러는 하부로 내려와서 불균일한 혼합물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균일 혼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귀양석 분말은 견운모 분말보다 굵게 분쇄된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량실러는 15 내지 40㎛의 평균 입도를 갖도록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귀양석 분말의 평균 입도가 15㎛ 미만이면 본 발명의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을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귀양석 분말이 하부에 위치하고 견운모 분말이 상부에 위치한 불균일 혼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량실러가 40㎛를 초과하면 큰 입자로 인해 견운모 분말, 경량실러, 분말수지와 원활하게 혼합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방향제 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향제 분말은 향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고, 만족감을 향상시키며, 살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물에 포함된 것으로서,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방향제 분말을 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첨가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방향제 분말을 1 중량부 초과로 사용하면 과도한 방향 기능을 제공하여 일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방향제 분말로는 완전 건조시킨 솔잎 분말이나 허브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잎 분말은 테르펜 계통의 피톤치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그 자체로서 음이온을 발생하고, 솔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며,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최종 혼합물의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증점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로서,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에는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부의 증점제, 2 내지 5 중량부의 분산제, 0.5 내지 1 중량부의 소포제, 1 내지 4 중량부의 항균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점제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전분(starch), 또는 친수성 점토 겔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되고, 증점제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면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어 균일한 도포가 어려워진다.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의 분산을 촉진하고, 견운모 분말과 분말수지의 분리 현상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아크릴산 공중합체 소디움염(acrylic acid copolymer sodium salt), 카르복실산 에테르, 방향족 아미노 술폰산, 폴리알킬아릴 술폰산, 나프탈렌 술폰산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공중합체 소디움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분산 능력이 저하되어 균일한 조성물의 제조가 어렵게 되고, 분산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면 분산속도가 빨라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거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유기계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포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거품이 형성되어 균일한 도포가 어렵게 되며, 소포제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량에 비해 별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상기 항균제로는 프로폴리스, 피톤치드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보다 나은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곰팡이 방지는 물론 생활환경에 의한 악취를 순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항균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항균력이 저하되고, 항균제 분말의 함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하면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원가가 상승된다.
일반적으로, 물이 포함되지 않은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대부분 장시간의 유통기간을 갖기 때문에 비중이 크거나, 또는 입자가 고운 성분은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였다.
같은 맥락으로, 본 발명의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도 분말 형태로 유통되며, 일정한 비율의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국부적으로 그 혼합비율이 서로 다르면 본연의 기능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은 견운모 분말과 경량실러 및 귀양석 분말이 그 비중에 따라 서로 다른 평균 입도를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유통되거나 소정 시간 후 재사용되어도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견운모 분말 1,000g, PVC 수지 140g, 아크릴 수지[ACRONAL 296D, 바스프사, 독일] 100g, 증점제 20g, 항균제 25g, 분산제[SOKALAN PA 30, 바스프사, 독일] 35g, 소포제 5g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이를 30분간 800rpm으로 교반하여 분말 상태의 벽바름재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2. 상기 분말 상태의 벽바름재 조성물과 물 675g을 잘 혼합하여 균일하게 점성이 있는 2kg의 벽바름재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 귀양석 파우더 1,350g과 견운모 파우더 900g, 상층부에 가라앉은 고운 입자를 가진 황토 150g 및 밀가루 600g을 넣고 물과 잘 혼합하여 균일하게 점성이 있는 3kg의 조성물을 얻어 벽바름재 조성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방염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과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벽바름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방염성능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각 벽바름재 조성물은 벽지 원지의 표면에 0.3㎜ 두께로 도포한 후 자연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방염실험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염성능 실험 방법인 KOFEIS 1001에 의거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표1) 및 도 2(표2)에 나타낸다.
< 표 1 > 실시예의 벽바름재 조성물에 대한 방염 실험 결과
Figure 112012045038692-pat00001

< 표 2 > 비교예의 벽바름재 조성물에 대한 방염 실험 결과
Figure 112012045038692-pat00002
상기 표 1과 표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이 사용된 벽지의 방염 기능이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전자파 차단실험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벽지의 전자파 차단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하였다.
도 3는 전자파 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조건 배치도 도면이다.
도 3에 의하면, 모니터,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를 나무로 된 테이블 위에 배치하고, AC 220V, 60Hz의 전원을 공급한 것으로 한 후, 이러한 테이블을 3방향에서 둘러싸도록 본원발명에 의한 벽지가 도포된 벽체를 위치시켰다.
도 4는 전자파 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조건의 실제 배치도의 사진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주파수 및 전계강도(Level)을 측정하였고, 이를 도 5의 실험데이터로 나타내었고, 도 6은 상기 도 5의 실험데이터에 의한 전자파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한편, 비교를 위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본원발명에 의한 벽지가 부착된 벽체를 제거하고, 주파수 및 전계강도(Level)를 측정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벽지를 제거한 경우 전자파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실험데이터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실험데이터에 의한 전자파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5 내지 8에 의하면, 본원발명에 의한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전자파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전자파를 차단 및 감소시켜 인체에 나쁜 영향이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4 내지 10㎛의 범위의 입도로 형성된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
    피도면의 미세한 홈을 메우기 위해 사용하는 PVC 수지인 경량실러 10 내지 15 중량부; 및
    분말수지 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성분 0.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실러의 입도는 1.3 내지 2.6㎛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15 내지 40㎛ 범위의 입도를 가지는 귀양석 분말 20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증점제 1 내지 3 중량부;
    소포제 0.5 내지 1 중량부;
    분산제 2 내지 5 중량부;
    항균제 1 내지 4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KR1020120060574A 2012-06-05 2012-06-05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KR10135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74A KR101356571B1 (ko) 2012-06-05 2012-06-05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JP2013060873A JP5718963B2 (ja) 2012-06-05 2013-03-22 難燃性及び電磁波遮断効果を有する壁用粉体塗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74A KR101356571B1 (ko) 2012-06-05 2012-06-05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850A KR20130136850A (ko) 2013-12-13
KR101356571B1 true KR101356571B1 (ko) 2014-01-29

Family

ID=4995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574A KR101356571B1 (ko) 2012-06-05 2012-06-05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18963B2 (ko)
KR (1) KR101356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43B1 (ko) * 2014-09-19 2015-01-08 주식회사 삼경엠에스엠 무독성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실내건축용 견운모 마감재 조성물
KR102443077B1 (ko) * 2019-12-24 2022-09-14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83B1 (ko) * 2005-11-04 2007-04-04 박종수 천연소재를 이용한 다기능성 코팅바닥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6976B2 (ja) * 1988-08-31 1998-10-27 アキレス株式会社 多孔質塩化ビニル系樹脂壁紙
JPH06287894A (ja) * 1992-04-20 1994-10-11 Tokushu Seishi Kk 難燃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57857A (ja) * 1992-11-17 1994-06-07 Asahi Corp シーリング材組成物
JPH11106706A (ja) * 1997-10-07 1999-04-20 Nippon Paint Co Ltd 塗装による壁面の改装方法及び塗料組成物
JP2004269860A (ja) * 2003-02-18 2004-09-30 Kansai Paint Co Ltd 水再分散性を有する粉状塗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121193B2 (ja) * 2006-09-07 2013-01-16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塗料組成物
KR100801553B1 (ko) * 2006-12-29 2008-02-12 (주)동양리빙퀘스트 건축물 마감용 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61888A (ja) * 2008-01-10 2009-07-23 Mitsubishi Paper Mills Ltd 印刷用塗工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83B1 (ko) * 2005-11-04 2007-04-04 박종수 천연소재를 이용한 다기능성 코팅바닥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53226A (ja) 2013-12-19
KR20130136850A (ko) 2013-12-13
JP5718963B2 (ja)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213B1 (ko) 천연 기능성 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31544A (ko) 라돈가스 흡착용 난연 활성탄 슬러리 및 그 성형제품
KR20100046834A (ko) 기능성 친환경 건축용 퍼티
KR101356571B1 (ko)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US8888904B2 (en) Heat generating graphite sodium silicate coating agent
KR100964580B1 (ko) 수용성 아크릴 수지계 친환경 벽지 결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JP6836252B2 (ja) 水性塗料
KR101044239B1 (ko)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0918122B1 (ko) 벽지용 결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5061396B2 (ja) 珪藻土系室内塗装材による塗装方法及び当該塗装方法に用いられる珪藻土系室内塗装材
KR101244418B1 (ko)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벽지용 천연소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99152B1 (ko) 왕겨를 포함한 건축 내장재
CN103818086A (zh) 防火吸音板
KR101224186B1 (ko) 친환경용 수용성 타일 접착제
JP2008115351A (ja) 消臭性、抗菌性及び調湿性を保持する内装材
JP2002138252A (ja) 珪藻土含有塗料組成物
JP2005105010A (ja) 無機系塗料とそれを用いたvoc吸着機能材
KR100888700B1 (ko) 천연 무기광물계 불연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4067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93853B1 (ko) 콘크리트 표면 처리 조성물
KR102063758B1 (ko) 솔잎, 왕겨 및 톱밥을 이용한 친환경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6555B1 (ko) 친환경 불연성 단열 액체벽지
JP2007113243A (ja) 建築資材
KR20090114503A (ko) 실내 공기 질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기능성 방시공방법
KR102340624B1 (ko) Pvc 방염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방염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