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283B1 - 가스-절연 개폐기용 차단 스위치를 가지는 캡슐형 모듈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기용 차단 스위치를 가지는 캡슐형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283B1
KR101356283B1 KR1020117031659A KR20117031659A KR101356283B1 KR 101356283 B1 KR101356283 B1 KR 101356283B1 KR 1020117031659 A KR1020117031659 A KR 1020117031659A KR 20117031659 A KR20117031659 A KR 20117031659A KR 101356283 B1 KR101356283 B1 KR 101356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conductor
openings
dischar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086A (ko
Inventor
디에고 솔로구렌-산체스
틸로 볼리
발터 홀라우스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1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기 모듈용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공통 가스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1) 을 가지는 개폐기용 개폐기 모듈 (2) 에 관한 것이다. 개폐기 모듈 (2) 은, 공통 가스 챔버 내부에 수용된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을 포함하는 버스바 전도체 조립체;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를 가지고 하우징 내부에서부터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중 하나로 연장되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을 가지는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 및 3 개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차단 스위치는 분리점 (152, 162, 172) 에 의하여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중 하나를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에 연결한다. 배출 법평면 (E4) 은,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수직 이등분선과 평행을 이루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에 의해 한정된다. 분리점 (152, 162, 172) 은, 적어도 제 1 차단 스위치 (151, 161) 의 분리점 (152, 162) 이 배출 법평면 (E4) 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2 차단 스위치 (171) 의 분리점 (172) 이 제 1 측부에 대향한 배출 법평면 (E4) 의 제 2 측부에 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가스-절연 개폐기용 차단 스위치를 가지는 캡슐형 모듈 {ENCAPSULATION COMPONENT HAVING ISOLATING SWITCHES FOR A GAS-ISOLATED SWITCHGEAR}
본 발명의 양태는 개폐기 조립체 분야, 특히 가스-절연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GIS 라고도 함) 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공통 가스 공간 및 3 개의 가스-절연 버스바 (busbar) 전도체 부분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개폐기 조립체용 개폐기 조립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을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가스-절연 고전압 조립체에서, 스위치 베이 (switch bay) 의 회로 차단기, 접지 스위치 등과 같은 기능성 그룹의 모듈식 구조는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스위치 베이는 일반적으로 개폐기 조립체의 스위치 베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또한 예를 들어 배출 스위치 베이로 언급될 수 있다. 시판되는 GIS 개폐기 조립체에서, 단상 캡슐형 가이드의 주요 전도체를 가지는 스위치 베이를 포함한 GIS 는 3 상 캡슐형 가이드의 주요 전도체를 가지는 스위치 베이를 포함하는 GIS 와 근본적으로 다를 것이다. 단상 캡슐은 각각의 주요 전도체를 위한 전용 가스 공간을 제공하는 캡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3 상 캡슐은 공통 가스 공간 내에 3 개의 주요 전도체의 배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주요 전도체는 고전압 범위에서 정격 부하를 가지는 전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캡슐 형태 (단상 또는 3 상) 는 주로 원하는 정격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단상 캡슐형 스위치 베이 (베이들) 는 필적하는 복잡성을 가지는 훨씬 높은 정격 전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캡슐의 형태는 베이의 레이아웃 및 모듈식 기능성 그룹의 구성 및 배치에 중요한 영향을 가진다. 3 상 캡슐형 가이드의 주요 전도체용 하우징의 일례는 예를 들어 WO 2008/022893 A1 에서 설명된다.
가스-절연 서브스테이션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적어도 2 개의 베이가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서 소위 버스바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버스바라는 용어는 단상 및 3 상 캡슐 양자로 가이드 되는 주요 전도체 바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상 캡슐형 버스바 가이드를 가지는 GIS 는 역시 버스바에 대해 3 상 캡슐형 버스바 가이드를 가지는 GIS 와 근본적으로 다를 것이다.
GIS 는 시가지 또는 그 밖의 공간 제한 지역에서도 종종 사용되므로, 성능 이외에 서브스테이션의 조밀함도 매우 중요하다. 이런 두 가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GIS 스위치 베이의 전력 밀도 (물리적 볼륨당) 를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GIS 개폐기 조립체의 유지보수 친화성도 중요하다.
이런 배경에 대해,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 청구된 바와 같은 개폐기 조립체 모듈 및 청구항 28 에 청구된 바와 같은 서브스테이션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 특징, 양태 및 세부 사항,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특정 양태는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뒤따를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개폐기 조립체용 개폐기 조립체 모듈을 제안한다.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공통 가스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공통 가스 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포함하는 버스바 전도체 장치;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및 하우징 내부에서부터 각각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부분을 가지는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 및 각각이 분리점에 의하여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에 연결하는 (즉,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3 개의 차단 스위치를 포함한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때문에, 배출 법평면은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중간-수선과 평행을 이룬다는 사실에 의해 배출 법평면이 정의된다. 분리점은, 적어도 제 1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이 배출 법평면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2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이 배출 법평면의 제 1 측부에 대향한 제 2 측부에 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법평면 (이 경우에 배출 중간 법평면이라고도 함) 은, 배출 법평면이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중간-수선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양태 중 한 가지 장점은, 배출 법평면의 다른 측부에서 분리점의 배치가 분리점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분리점 사이의 전압 차이는 전기장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것은, 특히 높은 전기장이 분리점에서 발생할 수 있고 이런 높은 전기장이 전기 차폐를 위해 특히 중요한 부분을 나타내므로 유리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이 분리점의 배치는 조밀한 구성과 같은 3 상 캡슐형 장치의 장점을 없앨 필요없이, 서로에 대해 3 개의 배출 상 전도체 부분의 전기 차폐를 개선할 수 있다. 개선된 전기 차폐 덕분에, 더욱 조밀한 구성 및/또는 더욱 높은 전압도 가능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는 우수한 전기 차폐와 동시에 조밀한 구성을 가지는 고성능 개폐기 조립체 모듈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양태의 다른 장점은, 배출 전도체 개구부 때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상 캡슐형 구조가 가능한데 이것은 또한 높은 크기의 고전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의 모듈성 및 다용도성과 같은 단상 캡슐형 가이드의 주요 전도체의 장점은 3 상 캡슐형 모듈식 구조의 장점에 추가되어 통합된다. 따라서, 공통 가스 공간 때문에, 예를 들어 가스 압력의 간단한 모니터링 및 요구되는 가스 볼륨 및 하우징 재료의 감소가 전체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단지 절연 가스가 한 번 도입되고, 가스는 한 번 모니터되고 단일 초과 압력 보호 기구만 구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하우징이 모듈의 복수의 기능 (버스바와 차단 스위치의 분기) 을 수행한다는 사실 때문에, 비용 감소도 가능하다. 게다가, 작은 외부 크기뿐만 아니라 작은 내부 볼륨을 가지는 모듈이 현재 가능하므로, 그 결과로서 보호 가스 충전 볼륨이 감소될 수도 있다. 주요 연결부가 서로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는 사실은 잠재적으로 공간 절약형 구조에 추가 기여한다.
다른 장점은, 모듈 시스템과 관련하여 개폐기 조립체 모듈의 사용의 유연성에 있다. 예를 들어,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이중 버스바 시스템, 단일 버스바 시스템 또는 링 버스바 시스템과 관련하여 그리고/또는 브릿지 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성은 하우징의 사용에서 다용도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모든 형태의 스위치 베이, 심지어 커플링 베이에도 적합하다.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복수의 방향 (예를 들어 x 및 y 방향) 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복수의 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가능케 한다. 이 경우에, 모든 3 개의 상 (phase) 이 서로 평행하게 가이드되므로 직선 베이 레이아웃이 가능하다. 3 개의 상 전도체의 전도체 다발의 방향은 아무런 문제없이 편향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라, 직교하는 x-y-z 기준계는 제 1 직선이 z 방향을 한정한다는 사실에 의해 정의된다. 일 양태에 따라, 제 2 직선은 z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y 방향을 정의하고 또한 z 및 y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x 방향을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고 추가 유리한 양태 및 수정예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 각각은,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하우징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 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 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을 관통하는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 는 위쪽에서 본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4b 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의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다른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6 은 차단 스위치가 열렸을 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 모듈의 사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 는 도 6 에 나타낸 개폐기 조립체 모듈을 관통하는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차단 스위치가 닫혔을 때 도 6 에 나타낸 개폐기 조립체 모듈의 사시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제 각각의 실시형태들은 본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도록 일반적인 용어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도면의 명료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황에 따라 단순함을 이유로 단면도에 접촉면의 음영선이 제공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전방", "수평", "수직" 및 그 변형은 단지 도면에 도시된 물체의 정렬에 관련된다.
도 1a 내지 도 4b 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하우징 (1) 의 여러 도면들을 나타낸다. 관련된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은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 더 설명된다. 하우징 (1) 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하는 x-y-z 좌표계를 함께 이용하여 도면을 참고로 이하 설명될 것이다.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 (1) 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을 가진다. 상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은, 상부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로부터 상부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까지 y 방향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은 중앙 튜브형 하우징 부분 (12) 및 단부에 배치된 2 개의 튜브 기부 (12a, 12b), 상부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상부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상부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를 둘러싸는 플랜지 (15) 및 상부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를 둘러싸는 플랜지 (17) 를 포함한다.
중앙 및 하부 버스바 하우징 부분 (20, 30) 각각은 또한 대응하는 중앙 및 하부 제 1 및 제 2 버스바 개구부 (24, 26 및 34, 36) 사이에서 y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은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 (32)), 튜브 기부 (22a, 22b 및 32a, 32b), 각각의 버스바 개구부 (24, 26 및 34, 36) 를 둘러싸는 플랜지 (25, 27 및 35, 37) 를 각각 포함한다. 상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 (20, 30) 에 대응하여 적용한다. 하우징 부분 (11, 21, 31) 의 실린더 축선은 y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실린더 축선은 z 방향으로 한 축선 위에 다른 축선이 배치되어서, 그 결과 실린더 축선들이 y-z 평면에 함께 놓인다.
각각의 버스바 개구부 (14, 16 및 24, 26 및 34, 36) 는, 각각의 하우징 부분 (11, 21, 31) 의 상호 대향한 단부면에서 각각의 실린더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다.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된 버스바 개구부 (제 1 버스바 개구부라고도 함) (14, 24, 34) 는 제 1 버스바 연결 그룹을 형성한다. 대응하여, 하우징의 반대측에 배치된 버스바 개구부 (제 2 버스바 개구부라고도 함) (16, 26, 36) 는 제 2 버스바 연결 그룹을 형성한다.
또한,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 (1) 은 실린더형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을 포함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은, 제 2 직선 (6) 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축선 또는 작동 축선 (144) (도 4b 참고) 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은, 하우징 (1) 의 작동 중에 가스 공간 (3) 내부에 배치된 스위칭 요소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돌출한 작동축 단부편 (42) 을 더 포함한다. 작동축 단부편 (42) 은, 그 단부면에서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의 실린더 축선 또는 작동 축선 (144) 에 대해 동심으로 끼워진다. 도 1b 에서 볼 수 있듯이, 대응하는 작동축 단부편이 대향한 단부면에도 도시된다. 양쪽 작동축 단부편은 닫혀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 작동축 단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작동축이 하우징 외부로 통과되는 작동축 개구부를 가지고, 작동축용 구동축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다. 작동축을 구동하기 위한 작동 장치 체결용 체결 수단이 작동축 단부편 (42) 에 끼워진다 (미도시).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 (1) 은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을 더 포함한다.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은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53) 을 가지는 제 1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50) 을 포함하는데,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53) 은 z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에서 상부 단부편 (52) 에 의해 그리고 하부에서 전이편 (54) 에 의해 제한된다. 실린더형 튜브 기부 (53a) 는,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53) 으로부터 떨어져 x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튜브 기부의 실린더 축선 방향) 연장된다. 튜브 기부는 튜브형 단부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튜브형은 단부편이 중공 프로파일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튜브 기부 (53) 는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에서 노출된다.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는 이를 둘러싸는 플랜지 (57) 를 가진다.
대응하여,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도 제 2 및 제 3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60, 70) 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하우징 부분은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63, 73) 및 각각의 상부 단부편 (62, 72) 을 포함한다. 각각의 튜브 기부 (63a, 73a) 는 각각의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63, 73) 으로부터 떨어져 x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66, 76) 에서 노출된다. 배출 전도체 개구부 (66, 76) 는 각각의 플랜지 (67, 77) 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마찬가지로 제 3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70) 은 제 1 전이편 (54) 에 대응하는 전이편 (74) 을 가지는 반면, 제 2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60) 은 이러한 전이편을 가지지 않는다. 그 대신에, 제 2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60) 은 하부 단부편 (65) 에 의해 하부에서 제한된다.
하기 본문은,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낸 개폐기 조립체 모듈의 여러 부품의 배치 및 일부 특성을 설명한다. 이 설명의 각각의 양태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태를 나타내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는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낸 개폐기 조립체 모듈의 세부에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및 그 부품의 배치 및 일부 특성이 설명될 것이다.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제 1 버스바 개구부라고도 함) 는 제 1 개방면 (E1) 에서 영역에 의하여 배치된다. 이것은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의 림에 의해 한정된 각각의 개구부 영역이 제 1 개방면 (E1) 의 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개방면 (E1) 은 x-z 평면, 즉 x 및 z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이다. 또한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는 제 1 직선 (4) 을 따라 배치되고, 즉 개구부 (14, 24, 34) (또는 그 개구부 영역) 의 각각의 중심 (14a, 24a, 34a) 은 예를 들어 도 2b 에 특히 잘 나타난 것처럼 제 1 직선 (4) 에 놓여 있다.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는,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에 바로 대향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는 다른 평면 (E3) 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 3 개방면으로도 불리는 평면 (E3) 은 x-z 평면과 마찬가지여서 제 1 개방면 (E1) 에 평행을 이룬다. 또한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는 제 1 직선 (4) 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제 3 직선 (4') 을 따라 배치된다.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각각은 y 방향으로 배향되고, 즉 그 법선 (개방면에 대한 법선) 은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는, 제 1 직선 (4) 및 개구부 (14, 24, 34) 의 상호 평행을 이루는 법선에 의해 정해진 제 1 버스바 법평면 (y-z 평면) 을 한정하여서, 그 결과 이 법선은 모두 버스바 법평면에 놓인다. 즉,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는, 개구부를 중심에 수직으로 (즉, 법선과 평행) 두는 버스바 전도체가 이 버스바 법평면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에 의해 대응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제 2 버스바 법평면은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에 의해 한정된 버스바 법평면, 즉 직선 (4, 4') 을 포함하는 y-z 평면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버스바 법평면에 놓여 있는 버스바 전도체는 하우징 (1) 을 직선으로 통과할 수 있다.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각각은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각각에 대해 쌍으로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3 개의 버스바 개구부 쌍 (14, 16) (24, 26) 및 (34, 36) 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각 경우에 하나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이 배치된다. 이런 배치는 각 쌍의 버스바 개구부 사이에 각각의 연속 직선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y 방향, 즉 제 1 및 제 3 개방면 (E1, E3) 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은 각각의 실린더형 내부 볼륨 또는 가스 공간 부분을 한정한다. 내부 볼륨은 공통 가스 공간의 일부이고 다른 부품 및 서로 유체 (유압) 연결된다. 하우징은 절연 가스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므로, "유체" 는 또한 이하 가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및 16, 26, 36) 가 있다. 이런 내부 볼륨의 각각의 실린더 축선은 y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실린더 축선은, 각각의 실린더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 튜브 기부 (12a, 12b, 22a, 22b 및 32a, 32b) 및 튜브형 종방향 부분 (12, 22, 32) 에 의해 특히 한정된다. 따라서 3 쌍의 버스바 개구부 (14, 16), (24, 26) 및 (34, 36) 각 쌍은 단부에서 가스 공간의 실린더형 가스 공간 부분을 한정하는데, 가스 공간 부분은 상기 쌍을 이룬 버스바 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실린더형 가스 공간 부분 (적어도 그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다) 은 각 경우에 각각의 실린더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미도시), 가스 공간 부분의 단면은 타원형 또는 불균일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및 그 가스 공간 부분은 실린더 축선 대신에 직선 종방향 축선을 가진다.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및 30) 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실린더 축선 사이의 거리가 실린더 직경보다 또는 버스바 하우징 단면 (10, 20, 30) 각각의 곡률 반경의 2 배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린더 직경 또는 곡률 반경은 하우징 외측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은, z 방향으로 제 1 직선 (4) 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일정한 거리에서 일렬로 배치된다.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는 개폐기 조립체의 3 개의 가스-절연 버스바 전도체 부분 각각을 따로따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는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각각을 따로따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버스바 개구부는 버스바 전도체 개구부로 언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따로따로 수용하는 것은, 버스바 전도체 각각은 각각의 개구부에서 단상 방식으로 배치되고, 특히 단상 절연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버스바 개구부 (14, 16, 24, 26, 34, 36) 각각은 각각의 분리된, 즉 특히 관련된 튜브 기부 (12a, 12b, 22a, 22b, 32a, 32b) 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 기부를 통하여 공통 가스 공간의 메인 챔버에 연결된다. 튜브 기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즉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및 16, 26, 36) 는 각각의 플랜지 (15, 25, 35 및 17, 27, 37) 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여 있다. 플랜지는 튜브 기부 (12a, 12b, 22a, 22b, 32a, 32b) 에 의해 메인 챔버의 벽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독립 플랜지로서 구성된다. 각각의 버스바 개구부는 전용 분리 플랜지, 즉 서로 이격된 플랜지를 가진다. 플랜지 (15, 25, 35) 는 공통 평면, 제 1 개방면 (E1) 에 있다. 마찬가지로, 플랜지 (17, 27, 37) 는 공통 평면, 제 3 개방면 (E3) 에 있다. 도 3a 내지 도 3c 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플랜지는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연속 나사 홀을 구비하고, 이러한 나사의 도움으로 장벽 절연체 또는 포스트 절연체가 각각의 플랜지에 체결될 수 있다. 필요 조건에 따라, 나사 홀은 관통 홀 또는 나사산 홀의 형태일 수 있다. 이 나사 홀은 단순함을 위해 나머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이러한 나사 홀은 모든 플랜지 (15, 25, 35, 17, 27, 37, 및 57, 67, 77 (하기 참고)) 에 구비된다. 장벽 절연체, 상기 장벽 절연체를 관통하는 전도체 및 추가 요소는 좁은 의미로 하우징에 속하지 않고 도 1 내지 도 4b 에 도시되지 않는다. 이런 요소는 도 6 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 도 6 을 참고로 더 자세히 추가 설명된다.
각각의 플랜지 (15, 25, 35) 는 각각의 튜브 기부 (12a, 22a, 32a) 의 단부에 끼워지고 각각의 튜브 기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플랜지 (15, 25, 35) 는 각각의 관련된 개구부 (14, 24, 34) 뒤쪽 영역, 하우징 외측에서 접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장벽 절연체용 체결 장치는 하우징 볼륨 외측에서 접근 가능하고, 하우징 (1) 의 간단한 끼워맞춤, 분해 및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각각의 튜브 기부 (12b, 22b 또는 32b) 의 단부에 끼워짐) 및 그 플랜지 (17, 27, 37) 에 대응하여 적용된다.
하기 본문에서,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및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70) 을 가지는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의 배치 및 일부 특성이 설명된다.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는, 각각의 경우에 3 개의 배출 전도체, 보다 정확하게는 개폐기 조립체의 배출 공칭 전도체 중 하나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는 제 2 개방면 (E2) 내부에 제 2 직선 (6) 을 따른 영역에 배치된다. 제 2 직선 (6) 은 직선 (4, 4') 에 수직으로 뻗어있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70) 각각에 배치된다.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각각은 x 방향으로, 즉 직선 (4, 6) 에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다. 다시 말해서,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법선은 x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는 배출 법평면 (E4) (x-y 평면) 을 한정하는데, 이 법평면은 제 2 직선 (6) 을 포함하고 제 2 개방면 (E2) 에 수직이다. 따라서, 배출 법평면 (E4) 은 제 2 직선 (6) 및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상호 평행을 이루는 법선에 의해 정해진 평면 (E4) 이다. 따라서,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를 중앙에 수직으로 두는 배출 공칭 전도체는 배출 법평면 (E4) 에 놓인다. 또한 배출 법평면 (E4) 은 다른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직선 (4) 과 직각을 이루고 제 2 직선 (6) 을 포함하는 평면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배출 법평면은 평면 (E4) 뿐만 아니라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상호 평행한 법선에 의해 정해진 임의의 평면, 즉 평면 (E4) 과 평행을 이루는 임의의 평면으로 이해된다.
배출 법평면 (E4) 은, 제 1 직선 (4) 방향 (z 방향) 으로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또는 실린더형 버스바 하우징 부분 (12, 22, 32) 의 각각의 중간-축선에 대해 오프셋 되는 교차선에서 위에서 추가 정의된 버스바 공칭 평면과 교차한다. 교차선은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중 둘 사이에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바깥쪽에 배치된다. 배출 법평면은 버스바 개구부들 (14, 24)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된다. 이런 배치의 장점은 도 6 을 참고로 아래에서 더 설명된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각각은 각각의 플랜지 (57, 67, 77) 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인다. 플랜지는 각각의 튜브 기부 (53a, 63a, 73a) 의 단부에 배치되고 공통 평면, 제 2 개방면 (E2) (y-z 평면) 에 놓인다. 이런 차이점 및 도 1 내지 도 4b 에 도시된 다른 차이점과는 별개로, 제 1 버스바 개구부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대로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튜브 기부 (53a, 63a, 73a) 및 플랜지 (57, 67, 77) 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미도시), 제 1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플랜지는, 실시형태에 따라, 하우징의 메인 챔버의 공통 벽 부분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플랜지 중 적어도 2 개가 플랜지 그룹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배출 개구부의 모든 플랜지는 각각의 제 1 버스바 플랜지 그룹 및/또는 제 2 버스바 플랜지 그룹 및/또는 배출 플랜지 그룹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은 소시지 형태이고 실린더 축선이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53) 을 포함한다. 또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은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의 상부 단부측에서 말단편으로써 끼워지는 라운딩처리된 상부 단부편 (52) 및 상기 상부 단부측에 대향한 단부측에서 튜브형 전이편 (54) 을 포함한다. 적어도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의 부분들 (즉 하우징 부분 (53) 의 부분) 은 실린더형 내부 볼륨을 가진다. 따라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은 도 3a 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것처럼 그 내부 볼륨을 서로 연결하도록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과 결합된다.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70) 은,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진다.
중앙에 배치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은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에 대응하여 거의 비슷하게 구성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전이편 대신에,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도 라운딩처리된 하부 단부 (65) 를 가진다. 따라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은, 도 3b 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듯이, 그 내부 볼륨을 직접 서로 연결하도록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과 결합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이 버스바 하우징 부분 (30) 으로부터 이격되어서 (구멍 (8) 에 의해 분리) 상기 버스바 하우징 부분과 직접 연결부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70) 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의 내부 볼륨을 직접 서로 연결하고,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은 2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의 내부 볼륨을 직접 서로 연결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미도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70) 은 또한 z 방향으로 다른 길이와 배치를 가질 수 있어서, 그 결과 이것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의 여러 조합체를 직접 서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70) 은 최상부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에만 직접 유체 연결되도록 하부 단부에서 짧아진다. 나머지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은 도 1 내지 도 4b 에 도시된 대로이고, 즉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모두에 직접 유체 연결되고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중 2 개, 즉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에만 직접 유체 연결된다.
다른 대안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에만 직접 유체 연결되고,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에 직접 유체 연결되며,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70) 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에만 직접 유체 연결된다.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70) 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 실린더 축선 사이의 거리는 그 실린더 벽 부분의 직경 또는 곡률 반경의 2 배보다 크다. 더욱 정확하게,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70) 의 실린더 축선은 제 2 직선 (6)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에서 서로 제거되도록 배치된다. 이 거리는,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의 실린더 축선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와 동일하다. 이런 이유로, 이 거리는 단위 거리로도 언급된다.
하기 본문은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의 배치 및 일부 특성을 설명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은 가스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스위칭 요소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축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거나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은 실린더형이고, 실린더 축선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과 평행하게 (즉,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린더 축선은 제 2 평면 (E2) 에 배치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70) 을 따라 여기에 대해 횡단하도록 연장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은 실린더 축선을 따라 연장된 작동축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볼륨을 제공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의 내부 볼륨은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70) 의 각각의 내부에 직접 연결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1, 21, 31) 의 실린더 축선에 대해 x 방향으로 오프셋 되도록 배치된다. 이 오프셋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1, 21, 31) 의 실린더 축선 사이의 거리 (각 경우에 중심에서 중심까지 거리) 의 1/2, 즉 단위 거리와 같다.
하기 본문은 사용된 기준 좌표계 및 하우징 (1) 일부 요소의 일반적인 배치를 설명한다. x, y 및 z 는, 전술한 대로, 직교하는 기준계 (좌표계) 의 방향을 언급한다. 이 경우에, z 방향은 제 1 직선 (4) 방향으로 정의된다. 그러면 z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y 방향은 제 2 직선 (6) 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x 방향은 또한 z 및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가 배치된 제 2 직선 (6) 은 x 방향으로 제 1 직선 (4) 에 대해 오프셋 되어서, 그 결과 제 1 직선 (4) 및 제 2 직선 (6) 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 3 직선 (4') 은 z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있다. 제 1 개방면 (E1) 은 x 및 z 방향 (x-z 평면) 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2 개방면 (E2) 은 y 및 z 방향 (y-z 평면) 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제 2 개방면 (E2) 은 제 1 개방면 (E1) 과 직각을 이룬다. 제 2 직선 (6) 은 제 1 개방면 (E1) 에 직각으로 뻗어있다. 제 1 직선 (4) 은 제 2 개방면 (E2) 에 평행하게 뻗어있다. 이 평면들 (E1 내지 E4) 은 도 4b 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평면 (E1 내지 E3) 은 도 4b 에서 도면의 평면과 수직으로 (z 방향으로) 뻗어있어서 단지 점선으로 볼 수 있다. 평면 (E4) 은 도 4b 에서 도면의 평면에 있다. 게다가, 작동 축선 (144) 도 도 4b 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다.
하우징 (1) 이 모듈식 개폐기 조립체 개념과 관련하여 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우징 (1) 은 모듈의 단위 거리에 대해 치수가 정해진다. 이 단위 거리는,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의 각각의 중심이 제 1 직선 (4) 을 따라 일렬로 서로에 대해 배치되는 단위 거리로 정의된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각 중심은 마찬가지로 제 2 직선 (6) 을 따라 서로로부터 단위 거리에서 일렬로 배치된다.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의 각 중심은 마찬가지로 제 3 직선 (4') 을 따라 서로로부터 단위 거리에서 일렬로 배치된다.
하기 본문은 하우징의 일반적인 특성을 더 설명한다. 하우징의 내부 볼륨은 연속 가스 공간을 형성한다.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및 16, 26, 36) 및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각각은 하우징 외부에서 가스 공간까지 분리된 입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스 공간은 3 개의 제 1 및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에 연결된다. 공통 가스 공간은 특히 절연 가스 및 3 개의 가스 절연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및 16, 26, 36) 및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는 단상 절연체 (즉, 단상 전도체만 수용하기 위한 절연체) 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 (1) 은 버스바 공칭 전도체의 3 상 캡슐을 위한 연속 가스 공간 (3) 을 형성하고 버스바 연결부를 위한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및 16, 26, 36) 를 가지는데, 이것은 하우징 내부 (하우징 내부에서 단상 방식으로 이동되는 커넥터) 로부터 단상 형태로 멀리 가이드 된다. 배출 개구부 (56, 66, 76) 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즉 하우징 형상에 필수적이지 않은 부품 (검사 창, 입구, 장벽 절연체 등) 이외에는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하우징은 전체로서 끼워질 수 있다. 하우징 (1) 은 주물, 즉 몰드에서 주조된 부품이다 (따라서 주형 성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하우징 (1) 은 알루미늄이나 그 밖의 금속 및/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주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접된 하우징 (1) 의 변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우징 (1) 은, 적어도 2 바의 내압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하우징 (1) 은 적어도 2 개의 플랜지, 특히 3 개의 플랜지에서 지지된다면, 특히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플랜지에서 지지된다면 자체 질량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런 상태는 벽 재료의 비틀림 저항 및 플랜지 연결부의 두께에 대해 일정한 요구 조건을 두지만, 스위치 베이에서 끼워맞춤 및 체결의 용이함에 대해 장점을 제공한다.
하우징 (1) 은 직선을 따라 배치된 전도체 부분 (직선 (4, 4') 을 따라 배치된 버스바 전도체 부분 및 직선 (6) 을 따라 배치된 배출 전도체 부분) 에 공통 가스 공간 (가스 볼륨)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선을 따라 배치하는 것은 고전압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상호 차폐 및 절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단상 캡슐형 개폐기 조립체 시스템의 시도되고 테스트된 개념 및 레이아웃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통 가스 볼륨은 가스의 유입 및 가스 압력의 점검이 간단해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하우징 (1) 은 하우징 (1) 의 외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축되게 구성되도록, 즉 오목한 함몰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 함몰부는, 예를 들어,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및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사이,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및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사이 및/또는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및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사이의 전이 영역에 구비된다. 이 경우에 외부면은 나사, 그립 (grip) 등과 같은 관련없는 국부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전체 외부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오목한 함몰부는 가스 볼륨을 감소시키고/또는 하우징 (1) 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도시된 실시형태에 관계없이, 가스 볼륨은 가상 포위 사각형 (9) 과 비교해 적어도 20%, 적어도 30%, 또는 심지어 적어도 50% 만큼 감소된다. 이 경우에, 가상 사각형은 하우징 (1) 의 가스 볼륨을 완전히 둘러싸는 최소 사각형으로서 정의된다. 도 2b 는 점선으로 나타낸 사각형 (9) 에 의한 대응하는 가상 사각형을 도시한다.
또한, 하우징은 하우징을 관통하는 일부 구멍을 포함한다. 버스바 하우징 부분 (20, 30) 사이 및 2 개의 외부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70) 사이의 영역에서 연장되는 구멍 (8) 은 특히 도 1b 에서 잘 볼 수 있다. 구멍 (8) 은 외부 엔벨로프와 하우징 (1) 의 내부 볼륨도 관통한다. 이 경우에, 구멍 (8) 은 가스 공간으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하우징 벽의 개구부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구멍은 가스 공간과 하우징 외부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구멍은, 가스 공간이 연속 볼륨을 형성할지라도, 이것이 단독으로 연속 볼륨을 형성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위상 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볼륨은 또한 y-z 평면에 있는 고리형 단면을 가지는 볼륨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리형" 은 고리 내부를 형성하는 구멍 이외에 추가 구멍이 제공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
또한 이런 구멍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사이, 첫째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60) 사이 및, 둘째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70) 사이의 영역에서 연장된다.
수축된 하우징 형태 및 또한 구멍은, 가스 공간 (3) 이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될 수 있어서, 그 결과 가능한 한 적은 절연 가스 볼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SF6 와 같은 다수의 절연 가스는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적 특성을 가지고 또한 고가이므로, 이것은 절연 가스의 요구량이 감소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게다가, 구멍은 하우징 표면적 대 그 내부 볼륨 비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방열이 또한 증가된다. 또한, 구멍은 하우징을 위한 운반 손잡이를 제공하여서 하우징을 보다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b 에 도시된 하우징 (1) 의 다른 유리한 양태는 하우징의 대칭 특성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하부에 설명되는 대칭성은 모듈식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시 다용도성에서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개구부, 즉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및 배출 개구부 (56, 66, 76) 는 이미 대칭 특성을 가진다: 다수의 이런 개구부는 거울면 (E5) 에 대해 거울 대칭되게 배치되는데, 이것은 이 실시형태에서 도 2a 에서 Ⅲb 로 식별되는 평면에 대응한다. 이 거울면 (Ⅲb) 은 제 1 개방면 (E1) 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거울면 (Ⅲb) 은 또한 중앙 배출 전도체 개구부 (66) 를 관통하여 뻗어있다. 이 개구부뿐만 아니라 전체 하우징은 거울면 (Ⅲb) 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실질적으로 거울-대칭이라는 것은, 버스바 및 배출 개구부에 대한 전술한 대칭 이외에, 하우징의 주요 기하학적 배열에 대한 대칭도 의미한다 (그러나 임의의 보조 연결부 및 다른 불필수 세부에 대해서는 아니다). 양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거울-대칭" 이라는 것은 거울에 비추었을 때 겹치지 않는 가스 공간 (3) 의 볼륨이 가스 공간 (3) 의 전체 볼륨의 5%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70) 각각이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의 내부 볼륨을 어떻게 서로 연결하는지 도 2a 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은, 한편으로는,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의 내부 볼륨을 단지 서로 연결하고, 버스바 하우징 부분 (30) 의 내부 볼륨과 연결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은 구멍 (8) 에 의해 버스바 하우징 부분 (30) 과 분리된다. 이것은 마찬가지로 도 3a 내지 도 3c 에서 볼 수 있는데, 이 도면은 각각의 경우에 x-z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Ⅲa, Ⅲb, Ⅲc) 을 따라서 본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 (1) 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참고) : 마찬가지로 각각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50, 70) 이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의 내부 볼륨을 어떻게 서로 연결하는지 도 3a 내지 도 3c 에서 볼 수 있다. 어떻게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60) 이 단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의 내부 볼륨을 서로 연결하지만, 구멍 (8) 에 의해 버스바 하우징 부분 (30) 으로부터 분리되는지 도 3b 에서 알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4 에 도시된 하우징은 다양한 방식으로 보다 보편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제 1 버스바 개구부의 거울상이 되도록 구성되지 않고, 제 1 버스바 개구부에 대해 다르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또한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예를 들어 비스듬히 제 1 버스바 개구부 반대쪽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2 직선 (6) 은 직각 이외의 방식으로, 예를 들어 45° 의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 1 직선 (4) 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50) 의 상부 단부 (52) (도 1a 참고) 는 도 1a 내지 도 4b 와 비교해 변경된다. 도 5 에서, 하우징 표면에 대해 하우징의 내부 볼륨으로부터 방열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매끄러운 표면과 비교해) 냉각 장치는 단부 (52) 에 끼워진다. 도 5 에서, 냉각 장치는 별 모양으로 배치된 냉각 리브 (82) 를 포함한다. 남아있는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의 상부 단부편은 유사한 방식으로 변경되고 대응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미도시), 냉각 장치는 그 대신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냉각 리브 또는 동심원 형태로 배치된 냉각 리브 (86) 를 포함한다. 다른 변형으로서, 능동 냉각 장치 (예를 들어 팬처럼 냉각을 위해 공급되는 에너지를 가짐) 가 도 5 에 도시된 수동 냉각 장치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열 사이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냉각 장치는 매끄러운 표면과 비교해 시스템적으로 냉각이 개선된 능동 또는 수동 구조체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냉각 장치는, 하우징 내부로부터 더욱 효율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의 말단편, 즉 이 경우에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50, 60, 70) 의 상부 단부편 (52, 62, 72) 의 배치 (도 1a 참고) 는, 하우징 내 바로 상부에 위치 설정 때문에, 열이 특히 거기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어서 거기에서 특히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개폐기 조립체 모듈 하우징 (1) 은 기밀하게 폐쇄될 수 있는 다수의 개구부, 입구 및 검사 창을 포함한다 (미도시). 검사 창 및 입구는 기밀하게 폐쇄되지만, 하우징 내부를 모니터링 하고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입구는 또한 하우징 내부로 가스를 유입하고 가스 압력을 모니터하기 위한 가스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검사 창은 파열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은, 전술한 하우징 (1) 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8 각각은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의 사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 는, 즉 각각의 경우에 x-z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Ⅲa, Ⅲb, Ⅲc) 을 따라서 본, 도 3a 내지 도 3c 의 단면도에 대응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참고). 이 도면은 이하 함께 설명된다.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은 도 1a 내지 도 4b 에 도시된 대로 하우징 (1) 을 포함한다. 하우징 (1) 의 대응하는 부분은 이미 위에서 설명되었다. 또한,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은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을 가지는 버스바 전도체 장치 및 3 개의 배출 버스바 커넥터 (150, 160, 170) 를 가지는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을 포함한다. 배출 버스바 커넥터 (150, 160, 170) 각각은, 하우징 (1) 의 내부에서 각각의 배출 연결 개구부 (50, 60, 70) 로 연장되는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축 (140) 은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내부에 배치된다. 작동축 (140) 은 작동 축선 (144) 을 따라 (y 방향으로)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내부에서 연장되고, 이것은 동시에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의 실린더 축선을 형성한다.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버스바 공칭 전도체 또는 버스바 상 전도체로 언급될 수도 있고, 배출 전도체 부분은 배출 공칭 전도체 또는 배출 상 전도체로 언급될 수도 있다.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각각의 제 1 버스바 연결 개구부 (14, 24, 34) 및 각각의 제 2 버스바 연결 개구부 (16. 26. 36) 사이의 각각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내부에서 연장된다 (도 1b 참고) .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각각의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11, 21, 31) 의 각각의 실린더 축선을 따라 단부 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된다. 장벽 절연체 (115. 125. 135) 는 제 1 버스바 연결 개구부 (14, 24, 34) 에 끼워지고,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의 각각의 제 1 단부 (114, 124, 134) 는 상기 장벽 절연체의 중심에 배치된다 (또는 단부 (114, 124, 134) 는 상기 장벽 절연체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다). 장벽 절연체 (115, 125, 135) 는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의 각각의 단부 (114, 124, 134) 를 유지하고 상기 단부는 하우징 (1) 외측에 위치한 버스바 부분과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장벽 절연체를 통과한다.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장벽 절연체는 제 1 버스바 개구부에 대향하는 제 2 버스바 연결 개구부 (16, 26, 36) 에 끼워지고 (도 1b 참고),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의 각각의 제 2 단부는 하우징 (1) 바깥쪽에 위치한 버스바 부분과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장벽 절연체의 중심에 배치된다. 따라서,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각각은, 각 실린더 축선 (y 방향) 을 따라 각각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10, 20, 30) 내부에서 중심에 연장된다.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적어도 전술한 버스바 법평면에서 제 1 및 제 2 버스바 개구부 영역, 즉 제 1 직선 (4) 을 포함하고 제 1 개방면 (E1) 과 직각을 이루는 (y-z) 평면에서 연장된다.
각각의 배출 버스바 커넥터 (150, 160, 170) 는,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을 각각의 연결 개구부 (56, 66, 76) 의 내부에 연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으로부터 각각의 배출 연결 개구부 (56, 66, 76) 까지 각각의 배출 하우징 부분 (50, 60, 70) 내부에서 연장된다. 장벽 절연체 (157, 167, 177) 는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에 끼워지는데 (도 7a 내지 도 7c 참고),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은 상기 장벽 절연체의 중심에 배치된다. 장벽 절연체 (157, 167, 177) 는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을 유지하고 상기 배출 전도체 부분은 하우징 (1) 바깥쪽에 위치한 개폐기 조립체 또는 베이의 부품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장벽 절연체를 통과한다.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은 적어도 배출 법평면 (E4) 에서 배출 개구부 (56, 66, 76) 의 영역, 즉 제 2 직선 (6) 을 포함하고 제 2 개방면 (E2) 과 직각을 이루는 (x-y) 평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및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은 하우징을 단상 (즉, 각 상에 대해 분리된) 개구부 (14, 24, 34, 16, 26, 36 및 56, 66, 76) 로 둔다. 이런 전도체 부분은 하우징 개구부 영역에서 각각의 단상 절연체 (115, 125, 135 및 157, 167, 177) 를 통과한다. 하우징 개구부 (14, 24, 34, 16, 26, 36 및 56, 66, 76) 의 배치 및 배향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및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의 연결부의 배치 및 배향도 미리 정해지고, 상기 전도체 부분은 각각의 개구부를 중심에 그리고 법선 방향으로 (즉, 개구부의 각각의 중간-수선을 따라) 둔다. 결과적으로, 개구부의 배치 및 배향에 대해 본원에 기술된 장점은 개구부에 배치된 각각의 전도체 부분과 연결부에도 대응하여 적용된다. 이 연결부는 나사산 및 나사홀에 의해 나사 접촉부 또는 플러그-타입 접촉부일 수 있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는 배출 법평면 (E4) 을 정의한다. 보다 정확하게, 배출 법평면 (E4) 은 이것이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중간-수선과 평행을 이룬다는 사실에 의해 정의된다. 이런 정의는, 도 1a 에 도시된 배출 법평면 (E4) 및 배출 법평면 (E4) 과 평행을 이루는 임의의 평면에 의해 만족된다. 도 1 에 도시된 배출 법평면 (E4) 은,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중간-수선들이 배출 법평면 (E4) 내에 포함된다는 부가 조건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부가 조건에 의해서만 정해진 이런 배출 법평면 (E4) 은 배출 중간 법평면으로도 언급된다. 배출 법평면 (E4) 에 대해 이하 정해진 특징 및 배치가 기술된다면, 이것은 아주 특별히 배출 중앙 법평면에도 적용된다. 중간-수선들은 개구부, 즉 각각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0, 60, 70) 가 영역으로 배치된 개방면 (이 개방면 각각은 이 경우에 위에서 설명되고 도 1a 에 나타낸 제 2 개방면 (E2) 내에 위치한다) 에 법선이고, 이 개방면에서 개구부에 의해 한정된 영역의 중점을 통과한다. 이 중점은 각각의 개방면에 한정된 영역의 중력 중심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수선들은 도 1a 에 나타낸 배출 법평면 (E4) 에서 x 방향을 따라 뻗어있다.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은, 이런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각 중간-수선을 따라 그리고 배출 법평면 (E4) 을 따라, 적어도 각각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0, 60, 70) 영역에서 연장된다.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의 축선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에 의해 한정된 배출 법평면 (E4) 과 동일한 공통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
각각의 배출 버스바 커넥터 (150, 160, 170) 는, 각각의 스위치 분리점 (152, 162, 172) 을 가지는 각각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를 포함한다. 제 1 차단 스위치 (151) 는 선택적으로 제 1 분리점 (152) 을 통하여 제 1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을 제 1 배출 전도체 부분 (156) 에 연결한다. 대응하여, 또한 제 2 및 제 3 차단 스위치 (161, 171) 는 선택적으로 제 2 및 제 3 분리점 (162, 172) 각각을 통하여 제 2 및 제 3 버스바 전도체 부분 (120, 130) 각각을 제 2 및 제 3 배출 전도체 부분 (166, 176) 각각에 연결한다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축선 (144)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작동축 (140) 은 작동축 하우징 부분 (40) 내에 배치된다. 작동 축선 (144) 은 배출 법평면 (E4) 내에 놓여 있다. 작동축 (140) 은 각각의 3 개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너머로 연장된다.
이런 스위치의 스위치 접촉은 각각의 스위칭 플런저 (더욱 일반적으로 스위칭 요소) (153, 163, 173) 에 의해 형성된다. 스위칭 플런저 (153, 163, 173) 는 스위칭을 위해 스위칭 방향 (z 방향) 을 따라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고 기어 기구,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 기어 기구에 의해 작동축 (140) 에 작동 연결되어서, 그 결과 스위칭 플런저 (153, 163, 173) 는 작동축 (140) 의 회전에 의해 z 방향으로 종방향으로 개방 위치 (도 6 내지 도 7c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와 폐쇄 위치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3 개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각각은 개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과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사이에 전기 접촉을 발생시킨다.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는 작동축 (140) 에 함께 연결되어서, 그 결과 차단 스위치는 작동축 (140) 에 의해 함께 작동된다. 대안적으로, 차단 스위치들 (151, 161,171) 은 또한 각 경우에 개별 작동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하기 본문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에 의해 한정된 배출 법평면 (E4) 및 특히 배출 법평면 (E4) 에 대해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의 다양한 부품의 배치 및 배향을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차단 스위치 (151, 161) 의 분리점 (152, 162) 은 배출 법평면 (E4) 의 제 1 측부, 즉 배출 법평면 (E4) 아래 측부에 배치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차단 스위치 (171) 의 분리점 (172) 은 제 1 측부와 대향한 제 2 측부, 즉 배출 법평면 (E4) 의 상측에 배치된다.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은 점, 즉 개방 스위치의 양쪽 측부에서 2 개의 연속 전도체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서 중점으로서 정의된다 (이 경우에, 본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경우에 구비되지 않는 분리 블레이드와 같은 세부는 고려되지 않는다). 첫째, 이런 배치는 분리점이 배출 법평면 (E4) 및 이 평면 가까이 배치된 다른 부분에 비교적 가까이 배치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리점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증가된 거리로 인해, 이격 거리는 조밀한 구조를 없애지 않으면서 서로에 대해 비교적 효율적으로 차폐된다. 전체적으로, 이런 배치는 조밀한 구조와 동시에 우수한 전기 차폐를 가능하게 한다.
하기 본문은 또한 배출 법평면 (E4) 에 대해 그리고 특히 배출 법평면 (E4) 을 향하여 추가 부분의 배치를 설명할 것이다. 작동 축선 (144) 은 배출 법평면 (E4) 에 뻗어있다.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배출 법평면 (E4) 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배출 법평면 (E4) 바깥쪽에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더욱 정확하게, 버스바 전도체 부분 (120, 130) 은 배출 법평면 (E4) 의 제 1 (하부) 측부에 배치되고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은 배출 법평면 (E4) 의 제 2 (상부) 측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법평면 (E4) 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 되도록 그리고 법평면 (E4) 과 평행하게 뻗어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분리점 (152, 162, 172) 은 관련된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과 동일한 배출 법평면 (E4) 의 제 1 또는 제 2 측부에 배치된다.
또한 다른 평면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런 평면은 모두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배출 법평면 (E4) 과 등가이지만, 이것은 반드시 실시형태의 변형 경우일 필요는 없다. 배출 법평면 (E4) 과 동일한 추가 차단 스위치 평면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분리점 (152) 및 작동 축선 (144) 사이에서 작동 축선 (144) 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연결 직선을 보았을 때, 차단 스위치 평면은 이것이 연결 직선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작동 축선 (144) 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의해 정의된다. 유사하게, 마찬가지로 배출 법평면 (E4) 에 등가인 추가 차단 스위치 평면은 분리점 (162 또는 172) 과 작동 축선 (144) 사이에서 작동 축선 (144) 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연결 직선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에 의해 한정된 배출 법평면 (E4) 에 대해 다양한 부분의 배치를 기술한다. 그러나, 대응하여, 차단 스위치 평면 및/또는 배출 법평면은 배출 법평면 (E4)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이 모든 평면은 배출 법평면 (E4), 즉 배출 법평면 (E4) 에 등가인 모든 법평면이므로 둘 사이의 차이는 없다.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이 서브스테이션 (개폐기 조립체로도 언급됨) 내부에 통합된다면, 이것은 버스바 모듈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개폐기 조립체의 버스바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버스바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바깥쪽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에서 단상 캡슐형일 수 있다. 버스바 전도체 각각은 y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 결과 버스바도 모듈 (2) 바깥쪽에서 버스바 평면 (y-z 평면) 내부에 놓여진다.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2 버스바 개구부가 제 1 버스바 개구부의 거울 상이 되도록 구성되지 않고, 제 1 버스바 개구부에 대해 다르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또한 제 1 버스바 개구부의 반대쪽에, 예를 들어 비스듬히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직선 (6) 은 직각보다는 제 1 직선 (4) 에 대해 다르게 기울어질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이것은 45° 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추가 변형예에서 포스트 절연체, 즉 보다 일반적으로 절연체는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배출 전도체 개구부에서 장벽 절연체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 변형예에서, 어떠한 절연체도 사용되지 않고 대응하는 전도체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포스트 절연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추가 변형예에서, 차단 스위치의 스위칭편은 공통 작동축에 의해 구동되지 않고 각 경우에 분리된 작동축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이런 분리된 작동축은 각각의 배출 하우징 부분의 일 단부 (도 1a 에서 단부 (52, 62, 72) 에 대응) 로부터 스위치를 향하여, 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전용 구동부는 각각의 분리된 작동축에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칭 플런저를 가지는 차단 스위치 대신에, 가능하다면 회전 가능한 분리 블레이드를 가지는 차단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기 본문은 본 발명의 몇 가지 일반적인 양태 및 가능한 변형예를 기술한다. 한 가지 양태는, 개폐기 조립체, 보다 정확하게는 서브스테이션의 스위치 베이의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하우징을 제안한다. 하우징은 개폐기 조립체 모듈의 3 개의 가스-절연 버스바 전도체 부분 및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공통 가스 공간을 형성하고 개폐기 조립체의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각각을 따로따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3 개의 제 1 버스바를 포함하고, 즉 버스바 개구부는 버스바 전도체 개구부로도 언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따로따로 수용한다는 것은 버스바 전도체 각각이 각각의 개구부에 단상 방식으로 배치되고, 특히 단상 절연체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에서 "단상" 절연체라는 용어는 단 하나의 단일 공칭 전도체가 통과되는 전기 절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는 제 1 개방면에서 그리고 제 1 직선을 따른 영역에 배치되고, 즉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의 림은 각각의 개구부 영역을 한정한다. 이 개구부 영역 각각은 제 1 개방면의 영역에 놓여 있다. 개방 영역의 각각의 중심은 제 1 직선에 놓여 있다. 하우징은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각각을 따로따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또는 버스바 전도체 개구부를 더 포함한다.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와 대향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상호 대향한 배치는 상호 비스듬히 대향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호 대향하는 것은 개구부가 다르게 배향되는 것, 특히 180° 로 다르게 배향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제 1 버스바 개구부 중 하나와 제 2 버스바 개구부 중 하나 사이의 연결선이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편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하우징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각각, 보다 정확하게는 개폐기 조립체의 배출 공칭 전도체를 따로따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포함한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는 제 2 개방면에서 제 2 직선을 따른 영역에 배치된다. 3 개의 제 1 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제 1 또는 제 2 버스바 연결 그룹을 형성하고,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는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을 형성한다.
다른 양태는 개폐기 조립체의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하우징을 제안하는데, 여기에서 개폐기 조립체는 3 개의 버스바 전도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개폐기 조립체 모듈을 위한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가스 공간을 형성하고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각각을 따로따로 수용하기 위한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를 가지는 제 1 버스바 연결 그룹을 포함하는데,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는 각각의 중간-수선이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각각에 대해 버스바 법평면에 함께 놓여있도록 제 1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각각을 따로따로 수용하기 위한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버스바 연결 그룹을 포함하는데,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에 대향한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개폐기 조립체의 3 개의 배출 공칭 전도체 각각을 따로따로 수용하기 위한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가지는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을 포함하는데,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는 각각의 중간-수선이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각각에 대해 공통 배출 법평면에 놓이도록 제 2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제 2 직선은 제 1 직선에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뻗어있다.
실시형태에서 (즉, "특히" 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는 본 발명의 유리하지만 필수적이지 않은 양태에 따라), 제 2 직선은 제 1 직선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즉, 평행하지 않다; 직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서로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 2 직선은 제 1 직선에 수직으로 뻗어있다. 이것의 대안으로서, 제 2 직선이 제 1 직선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제 2 개방면은 제 1 개방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제 1 직선 또는 개방면에 대해 제 2 직선 또는 개방면을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은 특히 GIS 에서 버스바 하우징의 사용시 다용도성에 대해 유리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직선, 제 2 직선,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은 다음 배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배치되고: (a) 제 2 개방면은 제 1 개방면을 가로지르게, 실시형태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b) 제 2 직선 (6) 은 제 1 및 제 2 직선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제 1 직선에 대해 오프셋되고; (c) 제 2 직선은 제 1 개방면에 경사지게, 실시형태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뻗어 있으며; 및/또는 (d) 제 1 직선은 제 2 개방면에 평행하게 뻗어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 볼륨은 연속 가스 공간을 형성하는데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각각은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가스 공간으로 분리된 입구를 제공하거나 형성한다. 따라서, 가스 공간은 3 개의 제 1 및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에 연결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제 3 개방면에서 그리고 제 3 직선을 따른 영역에 배치되고, 제 3 개방면은 제 1 개방면에 평행하고 제 3 직선은 제 1 직선에 평행하다. 특히,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각각은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각각에 대해 쌍을 이뤄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에 각각의 연속 직선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수용하도록 각각의 버스바 개구부 쌍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직선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특히 제 1 및 제 3 개방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추가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각각을 가지는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각각은 단부에서 가스 공간의 실린더형 가스 공간 부분을 제한하는데, 가스 공간 부분은 상기 버스바 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추가 양태에 따르면, 실린더형 가스 공간 부분은 각각의 경우에 직선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가스 공간 부분의 횡단면은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불균일한 형태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외면은 볼록한 엔벨로프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축되도록 구성된다. 엔벨로프는 이 형태와 무관한 나사, 손잡이 등과 같은 국부 요소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구형인 하우징 외면을 나타낸다. 엔벨로프는, 인장 필름이 하우징 둘레에 감겨질 때 얻어지는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엔벨로프를 한정하는 필름은 각각의 경우에 돌출부, 예를 들어 플랜지형 어댑터 부분 등의 외형에 단지 놓여질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 외면은 엔벨로프에 대해 오목한 함몰부를 가진다. 이런 함몰부는 제 1 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 배출 전도체 개구부 사이의 전이 영역 및/또는 제 1 버스바 개구부 및 제 2 버스바 개구부 사이의 전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의 각 중심은 서로에 대해 일정한 단위 거리에서 제 1 직선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각 중심은 서로로부터 단위 거리에서 제 2 직선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또는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의 각 중심은 서로로부터 단위 거리에서 제 3 직선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2 개방면과 직각을 이루고 제 2 직선을 포함하는 배출 법평면이 외부 및 중심에 있는 제 1 버스바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고 이 버스바 개구부 사이에서 특히 중심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주조, 특히 주조 성형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직교하는 x-y-z 기준계는 제 1 직선이 z 방향을 정의한다는 사실에 의해 정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2 직선은 z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y 방향과 또한 z 및 y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x 방향을 정의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2 직선이 x 방향의 제 1 직선에 대해 오프셋 되어서 그 결과 제 1 및 제 2 직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3 직선은 z 방향과 평행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개방면은 z 및 y 방향에 평행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2 개방면은 x 및 y 방향에 평행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실린더 부분 형태인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데, 3 개의 제 1 및 선택적으로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버스바 하우징 부분 각각의 말단면에 배치되고,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은 특히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즉 실린더 축선 사이의 거리는 버스바 하우징 부분의 실린더 직경보다 크고, 실린더 직경은 하우징 외측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은 서로에 대해 일정한 거리에서 z 방향으로 제 1 직선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실린더 부분 형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은 실린더형 버스바 내부 볼륨을 한정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실린더 축선은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버스바 연결 그룹은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각각에 대해, 각 경우에 하나의 돌출한 튜브 기부를 포함하고, 이 튜브 기부는 각각의 제 1 버스바 개구부에서 노출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2 버스바 연결 그룹은,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각각에 대해, 각 경우에 하나의 돌출한 튜브 기부를 포함하고, 이 튜브 기부는 각각의 제 2 버스바 개구부로 노출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배출 개구부는 각각의 튜브 기부의 말단면에 배치된다. 필요 조건 및 실시형태에 따라, 튜브 기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즉 서로 결합되지 않거나,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버스바 연결 그룹은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각각에 대해, 각 경우에 각 개구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이 플랜지는 개구부 뒤쪽과 하우징 바깥쪽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제 1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배출 개구부의 플랜지는, 실시형태에 따라, 하우징의 메인 챔버의 공통 벽 부분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되거나, 튜브 기부에 의해 메인 챔버의 벽 부분으로부터 이격되고 독립 플랜지로서 구성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배출 개구부의 모든 플랜지는 따로따로 구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거나, 적어도 2 개의 플랜지가 플랜지 그룹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또는 배출 개구부의 모든 플랜지는, 각각의 제 1 버스바 플랜지 그룹 및/또는 제 2 버스바 플랜지 그룹 및/또는 배출 플랜지 그룹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각각은 y 방향으로 배향되는데, 즉 상기 버스바 개구부의 법선은 y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개구부의 상호 평행한 법선은 버스바 평면 (y-z 평면) 에 걸쳐 있어서, 그 결과 공칭 전도체는 개구부를 y-z 평면에서 중심에 수직으로 놓이도록 한다. 버스바 개구부는 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플랜지는 공통 평면, x-z 평면에 놓여 있다. 3 개의 버스바 개구부 각각은 전용 분리된 플랜지를 가진다. 플랜지는 특히 장벽 절연체를 위한 체결 장치를 구비한다. 체결 장치는 특히 체결 나사를 위해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데,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각각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각 경우에 가스 공간의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의 적어도 2 개의 내부 볼륨을 서로 유체 연결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각각은 각 경우에 적어도 2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의 내부 볼륨을 서로 연결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의 내부 볼륨을 서로 연결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각각이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의 내부 볼륨을 서로 연결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중 제 1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을 서로 직접 유체 연결하고, 제 2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중 단지 두 개만 서로 직접 유체 연결하며, 제 3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중 단 하나에 단지 직접 유체 연결되고, 그렇지 않으면 제 3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도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을 서로 직접 유체 연결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제 1 버스바 개구부 바로 옆에 배치되고, 제 2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중심에 배치되고, 제 3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제 2 버스바 개구부 바로 옆에 배치된다. 추가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중 하나, 즉 제 1 버스바 개구부 바로 옆에 있는 하나는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을 서로 유체 연결하고/또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중 중앙에 배치된 하나는 단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중 단지 2 개를 서로 유체 연결하고/또는 제 2 버스바 개구부 바로 옆에 있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중 하나가 3 개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중 단 하나에만 직접 유체 연결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실린더 부분 형태이고 실린더형 내부 볼륨을 가진다.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 실린더 축선 또는 중심 사이의 거리는 벽 부분의 곡률 반경의 두 배 또는 실린더 외경보다 크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은 제 2 직선을 따라 서로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의 실린더 축선은 x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폐쇄된 말단편은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의 각 단부측에 끼워진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각각에 대해, 각각의 경우에 각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이 플랜지는 배출 전도체 개구부 뒤쪽 및 하우징 바깥쪽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접근 가능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개구부 각각은 제 1 및 제 2 직선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여 배향되거나 제 2 개방면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여 배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법선은 x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배출 전도체 개구부는 배출 법평면 (제 2 직선 및 개구부의 상호 평행한 법선에 의해 걸쳐진 평면으로부터) 에 걸쳐 있어서, 그 결과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중심 및 수직으로 두는 공칭 전도체가 배출 법평면 내에 놓인다. 배출 법평면은 x-y 평면일 수도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법평면은 z 방향으로 버스바 개구부의 각각의 중간-축선에 대해 오프셋 되는 교차선에서 버스바 개구부에 의해 대응하게 형성된 버스바 법평면을 교차한다. 특히, 교차선은 버스바 개구부 바깥쪽에, 특히 2 개의 버스바 개구부 사이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전도체 개구부는 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플랜지는 공통 평면, 예를 들어, y-z 평면에 놓여 있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각각은 전용 분리된 플랜지를 가진다. 이 플랜지는 특히 장벽 절연체용 체결 장치를 구비한다. 체결 장치는 특히 체결 나사를 위해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연속 내부 볼륨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진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이 구멍은 또한 하우징의 외부 엔벨로프를 관통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이 구멍은 2 개, 특히 외부 및 중앙의 버스바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이 구멍은 2 개, 특히 2 개의 외부에 있는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특히 다수의 구멍, 예를 들어 2 개 또는 3 개의 구멍을 가진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 볼륨으로부터 방열을 증가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냉각 장치는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의 말단편, 특히 상부 말단편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작동축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특히 실린더형인 작동축 하우징 부분을 포함한다. 작동축은 하우징의 내부 볼륨 내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스위칭 요소를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작동축 하우징 부분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을 따라 연장되고 일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작동축을 위해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의 내부에 직접 연결되는 내부 볼륨을 제공한다. 작동축 하우징 부분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직선 작동축을 위해 배출 전도체 하우징 부분의 내부에 직접 연결되는 내부 볼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작동축 하우징 부분의 실린더 축선은 y 방향으로 또는 제 2 직선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작동축 하우징 부분은 버스바 하우징 부분의 실린더 축선에 대해 x 방향으로 오프셋 되도록 배치된다. 이 오프셋은 특히 버스바 하우징 부분의 실린더 축선 사이 거리의 1/2 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대칭 특성을 가진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 1 버스바 개구부,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 배출 개구부로 이루어진 많은 개구부가 거울면에 대해 거울-대칭되게 배치되고, 특정 양태에 따르면 거울면은 제 1 개방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 가지 추가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거울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대칭되도록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거울-대칭은 버스바 및 배출 개구부에 대해 그리고 하우징의 주요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대칭을 의미하지만, 임의의 보조 연결부 및 그 밖의 필수적이지 않은 세부에 대한 것은 아니다. 정량적으로 나타내면, 거울에 비추었을 때 겹치지 않는 가스 공간의 볼륨은 가스 공간의 전체 볼륨의 5% 미만이어서는 안된다. 하우징의 일 실시형태에서, 거울면은 2 개의 나머지 배출 전도체 개구부 사이에 배치된 중앙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통하여 뻗어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스위칭 모듈을 위해, 즉 적어도 480 kV의 전압을 위해 구성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버스바 개구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적어도 80cm 이다.
일 양태는 본원에 설명한 임의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을 제안한다. 또한,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3 개의 버스바 상 전도체로 이루어진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버스바 상 전도체는 각각의 제 1 버스바 연결 개구부로부터 각각의 제 2 버스바 연결 개구부까지 연장되고; 3 개의 배출 상 전도체로 이루어진 배출 전도체 부분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배출 상 전도체는 각각의 제 2 배출 연결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3 개의 차단 스위치를 가지는 차단 스위치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데, 3 개의 차단 스위치 각각은 각각의 버스바 상 전도체 및 각각의 배출 상 전도체 사이에서 전기 접촉을 전환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차단 스위치 시스템은 3 개의 차단 스위치를 함께 작동하기 위한 작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작동 시스템은 작동축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작동축은 작동축 하우징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버스바 상 전도체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버스바 개구부의 범위에서, 버스바 평면 (y-z 평면 또는 제 1 직선을 포함하고 제 1 개방면에 직각을 이루는 평면) 에서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상 전도체는, 적어도 배출 전도체 개구부 범위에서 배출 법평면 (x-y 평면 또는 제 2 직선을 포함하고 제 2 개방면에 직각을 이루는 평면) 에서 연장된다.
일 양태는 본원에 기술한 임의의 개폐기 조립체 모듈을 포함하는 스위치 베이를 제안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스위치 베이는 3 개의 버스바 상 전도체로 이루어진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더 포함하는데, 각각의 버스바 상 전도체는 각각의 제 1 버스바 연결 개구부로부터 각각의 제 2 버스바 연결 개구부까지 연장되고; 3 개의 배출 상 전도체로 이루어진 배출 전도체 부분을 더 포함하는데, 각각의 배출 상 전도체는 각각의 제 2 배출 연결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스위치 베이는 개방될 수 있는 3 개의 차단 스위치를 가지는 차단 스위치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데, 3 개의 차단 스위치 각각은 각각의 버스바 상 전도체 및 각각의 배출 상 전도체 사이에 전기 접촉을 발생시킨다.
일 양태는 본원에 기술한 임의의 개폐기 조립체 모듈로 이루어진 개폐기 조립체 (서브스테이션) 를 제안한다. 개폐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더 포함하는데,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버스바의 종단면을 형성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버스바의 부분은 단상 캡슐형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배출 공칭 전도체의 부분은 단상 캡슐형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버스바 전도체 각각은 y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 결과 버스바는 y-z 평면에 걸쳐 놓인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공칭 전도체는 y 및 z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x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 결과 배출 전도체는 x-y 평면에 걸쳐 놓인다. 일 양태는 본원에 기술한 임의의 실시형태 및 양태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가스-절연, 캡슐형) 버스바를 포함하는 개폐기 조립체를 제안하는데, 버스바는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포함하거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관련된 버스바 하우징 부분과 함께 버스바의 종단면을 형성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버스바는 본원에 기술한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어도 2 개의 개폐기 조립체 모듈 (실시형태에 따라 인접해 있는) 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하우징이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포함한다는 사실과 관련된 설명은 하우징이 추가 배출 전도체 개구부,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4 개 또는 6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것이 명확히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정해진 수는 최소의 수를 의미한다. 그러나, 특정 보조 양태에 의하면, 이 수는 정확하게 지시된다. 이 보조 양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는 "정확하게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를 의미한다. 배출 전도체, 제 1 및 제 2 버스바 개구부 및 전도체 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기 본문은 본 발명의 몇 가지 추가 일반 양태 및 실시형태의 가능한 변형예를 기술한다. 일 양태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공통 가스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용 개폐기 조립체 모듈을 제안한다.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공통 가스 공간에 수용되고 특히 y 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으로 이루어진 버스바 전도체 장치; 특히 각각의 경우에 3 개의 배출 전도체 중 하나, 보다 정확하게는 개폐기 조립체의 배출 전도체 부분을 개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가지고, 특히 공통 가스 공간에 수용되고 y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부 및/또는 버스바 전도체 장치로부터) 각각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부분을 가지는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 및 3 개의 차단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차단 스위치는 분리점을 통하여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에 연결한다.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는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중간-수선에 평행한 배출 법평면을 한정한다. 배출 중심 법평면으로도 언급되는 특정 배출 법평면은,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중간-수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서 정의된다. 중간-수선은 개구부 즉 개방면에 법선인데, 이 개방면을 따라 각각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가 영역으로 배치되고 이 개방면에서 개구부에 의해 한정된 영역의 중심점을 통하여 뻗어있다. 개구부가 중심점을 가지지 않는다면, 중간-수선은 개방면에 한정된 영역의 중력 중심을 통과하는 법선으로서 정의된다. 이 분리점은, 적어도 제 1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이 배출 법평면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2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이 배출 법평면의 제 1 측부에 대향한 제 2 측부에 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치되고, 즉 이런 조건을 만족시키는 (임의의) 배출 법평면이 제공된다. 배출 법평면에 대해 본원에서 언급한 모든 것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특히 배출 중심 법평면에 적용된다.
일 양태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가스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용 개폐기 조립체 모듈을 제안한다.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특히 y 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포함하는 버스바 전도체 장치; 특히 y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부분을 포함하는 배출 전도체 장치; 각각이 분리점을 통하여 버스바 전도체 부분 중 하나를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에 연결하는 3 개의 차단 스위치; 및 차단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축을 포함하는데 이 작동축은 특히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축선을 가진다. 분리점과 작동 축선은, 적어도 제 1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이 차단 스위치 평면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2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은 차단 스위치 평면의 제 1 측부에 대향한 제 2 측부에 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차단 스위치 평면은, 분리점과 작동 축선 사이의 작동 축선에 수직으로 뻗어있거나 분리점과 작동 축선을 연결하는, 작동 축선 및 연결 직선에 의해 다음과 같이 고정되는데; 차단 스위치 평면은 연결 직선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작동 축선을 포함한다. 또한 차단 스위치 평면은 작동 축선 및, 분리점과 작동 축선 사이의 작동 축선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연결 직선에 의해, 즉 차단 스위치 평면이 연결 직선에 직각을 이루도록 정렬되고 작동 축선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2 개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은 배출 법평면의 제 1 측부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 법평면은 적어도 2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중간-수선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즉,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부가 장점과 관련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선택적 양태에 따라), 배출 법평면은 각각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중간-수선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차단 스위치는 제 1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제 1 배출 전도체 부분에 연결하고, 제 2 차단 스위치는 제 2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제 2 배출 전도체 부분에 연결하며, 제 3 차단 스위치는 제 3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제 3 배출 전도체 부분에 연결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바깥쪽에 배치되고, 제 2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중심에 배치되며, 제 3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바깥쪽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배출 전도체 부분은 바깥쪽에 배치되고, 제 2 배출 전도체 부분은 중심에 배치되고, 제 3 배출 전도체 부분은 바깥쪽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차단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축을 포함하는데, 이 작동축은 특히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작동 축선을 가지거나 상기 작동 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특히 상기 작동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연결 직선은 분리점 중 하나와 작동 축선 사이의 최단 연결부로서 정의된다.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은 일 점, 즉 개방 스위치의 양측에서 2 개의 연속 전도체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의 중심점으로서 정의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다음은 각각의 차단 스위치 평면에 적용되는데, 이 평면은 각 경우에 연결 직선 및 작동 축선에 의해 고정되고 각 경우에 연결 직선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작동 축선을 포함하며: 적어도 제 1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은 차단 스위치 평면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2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은 차단 스위치 평면의 제 1 측부와 대향한 제 2 측부에 배치된다. 작동 축선 평면으로도 언급되는 추가 특정 배출 법평면은 작동 축선을 포함하는 배출 법평면이다. 일 양태에 따라, 배출 전도체 개구부에 의해 한정된 배출 법평면에 관한 각각의 정의 및 설명도 예를 들어 차단 스위치 평면 및/또는 배출 법평면 및/또는 배출 법평면 및/또는 작동 축선 평면에 적용한다. 일 양태에 따라, 작동 축선은 배출 법평면, 특히 배출 법평면에 뻗어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배출 법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배출 법평면, 특히 배출 법평면 바깥쪽에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적어도 제 1 버스바 전도체 부분이 배출 법평면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제 2 버스바 전도체 부분이 배출 법평면의 제 1 측부에 대향한 제 2 측부에 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2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거기에 연결된 각각의 분리점과 쌍을 형성한다. 각각의 분리점은, 각 쌍과 관련된 버스바 전도체 부분과 배출 법평면의 동일 측부, 즉 제 1 또는 제 2 측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거기에 연결된 각각의 분리점과 배출 법평면의 동일 측부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라,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은 적어도 배출 전도체 개구부의 영역에서 배출 법평면 또는 배출 법평면을 따라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 스위치는 스위칭을 위해 스위칭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스위칭 요소를 가진다. 실시형태에서, 스위칭 방향은 배출 법평면에 횡단하여, 즉 평행하지 않게 뻗어있거나 심지어 배출 법평면에 수직으로 뻗어있거나 z 방향으로 또는 연결 직선을 따라 뻗어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스위칭 방향은 제 1 또는 제 2 개방면과 평행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스위칭 요소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축을 포함하는데, 작동축은 기어 기구, 특히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 기구,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 기어를 통하여 스위칭 요소에 연결된다. 작동축은 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축선을 가진다.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차단 스위치는 적어도 각각의 수형 (male) 스위칭부에 대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3 개의 차단 스위치 각각은 동일하게 구성된 스위칭 플런저 및/또는 대부분 동일한 스위칭 플런저 하우징을 가진다. 이런 동일한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중 그리고 유지보수 및 수리 작업 중에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키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각각의 차단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공동 작동축을 포함하는데, 이 작동축은 특히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축선을 가진다. 각각의 분리점과 작동 축선 사이의 최단 연결부를 따라 연결 직선은 각각의 차단 스위치를 위해 한정된다. 연결 직선은 실질적으로 배출 법평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뻗어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이격 거리는 각각의 차단 스위치에 대해 배출 법평면을 가로지르게, 특히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가스 공간은 연속 공통 가스 공간이고,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및 3 개의 배출 전도체 부분이 공통 가스 공간 내에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또한 작동축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편 또는 부분은 공통 가스 공간 내에 배치되는데, 이 연속편 또는 부분은 3 개의 차단 스위치 너머로 연장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이격 거리는 각각의 차단 스위치에 대해 제 1 및/또는 제 3 개방면과 평행하게 뻗어있다. 이격 거리는, 각각의 개방 스위치의 양측에서 2 개의 인접한 전도체 단부 사이에 뻗어있도록 한정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배출 버스바 커넥터는 각각의 분리점과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사이에서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평면을 따라 연장되고, 버스바 전도체 부분 평면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실시형태에서 제 1 개방면과 제 3 개방면에 평행을 이루고 그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버스바 전도체 부분 평면 (Ⅲa, Ⅲb, Ⅲc) 은 예를 들어 제 1 평면 (E1) 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2a 에 나타낸 대로). 배출 버스바 커넥터가 각각의 평면을 따라 연장된다는 사실은, 중심선 또는 배출 버스바 커넥터의 뉴트럴 파이버 (neutral fiber) 가 이 평면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배치에 따르면, 평평하지 않은 뉴트럴 파이버와 완전히 3 차원으로 뻗어있는 시판되는 전도체 대신에, 전류 상을 서로 통과시키도록 한 평면 내에 배치된 전도체 형태가 사용된다. 완전히 3 차원으로 뻗어있는 이러한 전도체 형태는 제조 (주조 성형) 및 끼워맞춤의 관점에서 복잡하여서, 이것은 하우징이 평평한 전도체 모양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선된다.
1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하우징
2 개폐기 조립체 모듈
3 가스 공간/챔버
4 제 1 직선 (제 1 버스바 개구부용 z 방향 직선)
4' 제 3 직선 (제 2 버스바 개구부용 z 방향 직선)
6 제 2 직선 (전도체 배출 개구부용 y 방향 직선)
8 홀/구멍
9 포위 사각형
10 상부 버스바 하우징 부분
12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12a, 12b 튜브 기부
14 상부 버스바 개구부
14a 법선
15 플랜지
16 상부 버스바 개구부
17 플랜지
20 중앙 버스바 하우징 부분
22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22a, 22b 튜브 기부
24 중앙 버스바 개구부
24a 법선
25 플랜지
26 중앙 버스바 개구부
27 플랜지
30 하부 버스바 하우징 부분
32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32a, 32b 튜브 기부
34 하부 버스바 개구부
34a 법선
35 플랜지
36 하부 버스바 개구부
37 플랜지
40 작동축 하우징 부분
42 작동축 개구부
50 횡방향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52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의 상부 단부편
53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53a 튜브 기부
54 하부 전이편
56 횡방향 전도체 배출 개구부
57 플랜지
60 중앙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62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의 상부 단부편
63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63a 튜브 기부
65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의 하부 단부편
66 중앙 전도체 배출 개구부
67 플랜지
70 횡방향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
72 전도체 배출 하우징 부분의 상부 단부편
73 실린더형 하우징 부분
73a 튜브 기부
74 하부 전이편
76 횡방향 전도체 배출 개구부
77 플랜지
82 냉각 리브
91, 92a, 92b 입구, 검사 창
110, 120, 130 버스바 공칭 전도체
114, 124, 134 버스바 전도체 부분의 단부
115, 125, 135 절연체
140 작동축
144 작동 축선
150, 160, 170 배출 버스바 커넥터
151, 161, 171 차단 스위치
152, 162, 172 이격 거리
153, 163, 173 스위칭 플런저
156, 166, 176 배출 공칭 전도체 부분
E1 제 1 개방면
E2 제 2 개방면
E3 제 3 개방면
E4 배출 법평면

Claims (28)

  1.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공통 가스 공간 (3) 을 형성하는, 하우징 (1) 을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용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로서, 상기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 공통 가스 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을 구비하는 버스바 전도체 장치;
    -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및 하우징 내부에서부터 각각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를 향하여 연장되는 3 개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을 가지는 배출 전도체 연결 그룹; 및
    - 각각이 분리점 (152, 162, 172) 을 통하여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을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에 연결하는 3 개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를 포함하고,
    배출 법평면 (E4) 은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에 의해 한정되고,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중간-수선과 평행하며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중간-수선들이 배출 법평면 (E4) 에 포함되며,
    분리점 (152, 162, 172) 은, 적어도 제 1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 (151, 161) 의 분리점 (152, 162) 이 배출 법평면 (E4) 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2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 (171) 의 분리점 (172) 이 배출 법평면 (E4) 의 제 1 측부에 대향한 제 2 측부에 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 삭제
  3. 개폐기 조립체 모듈용 절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가스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용 개폐기 조립체 모듈로서, 상기 개폐기 조립체 모듈은,
    -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을 구비하는 버스바 전도체 장치;
    - 3 개의 배출 전도체 부분을 구비하는 배출 전도체 장치;
    - 각각이 분리점에 의하여 버스바 전도체 부분 중 하나를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에 연결하는 3 개의 차단 스위치; 및
    - 작동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차단 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축을 포함하고,
    작동 축선과 직각을 이루고 또한 분리점 중 하나를 작동 축선에 연결하는 연결 직선과, 작동 축선에 의해 차단 스위치 평면이 결정되고, 차단 스위치 평면은 연결 직선과 직각을 이루고 작동 축선을 포함하며, 분리점과 작동 축선은, 적어도 제 1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이 차단 스위치 평면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2 의 하나의 차단 스위치의 분리점이 차단 스위치 평면의 제 1 측부와 대향한 제 2 측면에 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배출 법평면 (E4) 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배출 법평면 (E4) 바깥쪽에 공간적으로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적어도 제 1 의 하나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20, 130) 이 배출 법평면 (E4) 의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제 2 의 하나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이 배출 법평면 (E4) 의 제 1 측부에 대향한 제 2 측부에 배치되도록 공간적으로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은 각각의 분리점 (152, 162, 172) 과 배출 법평면 (E4) 의 동일한 측부에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은, 적어도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의 영역에서, 배출 법평면 (E4) 을 따라 연장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중 적어도 하나는 스위칭을 위해 스위칭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스위칭 요소 (153, 163, 173) 를 가지고, 스위칭 방향이 배출 법평면 (E4) 에 횡단하여 뻗어있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 개의 차단 스위치는, 적어도 각각의 수형 (male) 스위칭부에 대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를 작동하기 위한 공통 작동축 (140) 을 더 포함하고, 작동축은 작동 축선 (144) 을 가지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작동 축선 (144) 은 배출 법평면 (E4) 에 뻗어있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스위칭 요소 (153, 163, 173) 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축 (140) 을 포함하고, 이 작동축은 작동 축선 (144) 을 가지고 기어 기구를 통하여 스위칭 요소에 연결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5. 제 12 항에 있어서,
    이격 거리 (152, 162, 172) 는 각각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를 위한 배출 법평면 (E4) 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간은 연속 공통 가스 공간 (3) 이고,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및 3 개의 배출 전도체 부분 (156, 166, 176) 은 공통 가스 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3 개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너머로 연장해 있는 작동축 (140) 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부분이 공통 가스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조립체 모듈의 하우징은,
    -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를 포함하고,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의 제 1 버스바 개구부는 따로따로 수용되고,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의 중심은 제 1 직선 (4) 상에 위치하며, 그리고 제 1 개방면 (E1) 의 영역에서 배치되고;
    -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를 포함하고,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의 제 2 버스바 개구부는 따로따로 수용되고,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는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와 대향한 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되고;
    -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는 제 1 개방면 (E1) 에 직각으로 뻗어 있는 제 2 직선 (6) 을 따라 그리고 제 2 개방면 (E2) 의 영역에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선은 제 1 직선 (4) 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19.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직선 (4), 제 2 직선 (6),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은 다음 배치 (a) 내지 (d)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a) 제 2 개방면은 제 1 개방면을 횡단하여 배치됨;
    (b) 제 2 직선 (6) 은, 제 1 및 제 2 직선 (6) 이 서로 교차하지 않는 방식으로 오프셋 되어 있고, 제 2 개방면 (E2) 은, 제 1 직선 (4) 주위로 90 도 회전을 통하여 제 1 개방면 (E1) 으로부터 발생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됨;
    (c) 제 2 직선 (6) 은 제 1 개방면에 기울어지게 뻗어있음;
    (d) 제 1 직선 (4) 은 제 2 개방면에 평행하게 뻗어있음.
  2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 볼륨은 연속 가스 공간을 형성하고,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및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각각은 하우징 바깥쪽에서 가스 공간으로 각각의 공칭 전도체를 위한 분리된 입구를 제공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는 제 3 직선 (4') 을 따라 그리고 제 3 개방면 (E3) 의 영역에 배치되고, 제 3 개방면 (E3) 은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가 배치되는 제 1 개방면 (E1) 과 평행을 이루고 제 3 직선 (4') 은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의 중심이 위치하는 제 1 직선 (4) 과 평행을 이루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2.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격 거리는, 각각의 차단 스위치 (151, 161, 171) 에 대해 제 1 및 제 3 개방면 중 하나 이상의 개방면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3.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출 버스바 커넥터 (150, 160, 170) 는, 각각의 분리점 (152, 162, 172) 및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110, 120, 130) 사이에서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평면 (Ⅲa, Ⅲb, Ⅲc) 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버스바 전도체 부분 평면 (Ⅲa, Ⅲb, Ⅲc) 은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도록 배치되고, 3 개의 제 1 버스바 (14, 24, 34) 의 중심이 위치하는 제 1 개방면 (E1) 및 제 1 개방면 (E1) 과 평행을 이루는 제 3 개방면 (E3) 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평면 사이에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4. 제 17 항에 있어서,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및 3 개의 배출 전도체 개구부 (56, 66, 76) 각각은 하우징 바깥쪽에서 가스 공간으로 분리된 입구를 형성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3 개의 제 2 버스바 개구부 (16, 26, 36) 각각은 3 개의 제 1 버스바 개구부 (14, 24, 34) 각각에 대해 쌍을 이뤄 배치되고 이 개구부와 함께 각각의 버스바 개구부 쌍을 형성하고,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그 사이의 직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3 개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 각각은 3 개의 제 1 버스바 연결 개구부 각각으로부터 3 개의 제 2 버스바 연결 개구부 각각으로 연장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3 개의 차단 스위치 각각은 각각의 버스바 전도체 부분과 각각의 배출 전도체 부분 사이에서 전기 접촉을 전환하고, 3 개의 차단 스위치는 공통 작동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기 조립체 모듈.
  2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 모듈 및 버스바를 포함하는 서브스테이션으로서, 버스바 전도체 부분은 서브스테이션의 버스바의 종단면을 형성하는 서브스테이션.
KR1020117031659A 2010-01-18 2010-01-18 가스-절연 개폐기용 차단 스위치를 가지는 캡슐형 모듈 KR101356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50514 WO2011085820A1 (de) 2010-01-18 2010-01-18 Kapselungsbaustein mit trennschaltern für eine gasisolierte schalt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086A KR20120017086A (ko) 2012-02-27
KR101356283B1 true KR101356283B1 (ko) 2014-01-28

Family

ID=4341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659A KR101356283B1 (ko) 2010-01-18 2010-01-18 가스-절연 개폐기용 차단 스위치를 가지는 캡슐형 모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848345B2 (ko)
EP (1) EP2526597B1 (ko)
JP (1) JP5296262B2 (ko)
KR (1) KR101356283B1 (ko)
CN (1) CN102474083B (ko)
BR (1) BRPI1011772A2 (ko)
DE (1) DE212010000202U1 (ko)
HU (1) HUE030140T2 (ko)
MX (1) MX2011013456A (ko)
RU (1) RU2518516C2 (ko)
WO (1) WO2011085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3174C2 (ru) * 2010-01-18 2014-11-20 Абб Текнолоджи Аг Корпус моду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сборе, модуль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сборе 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сборе
FR3006497B1 (fr) * 2013-05-31 2016-12-30 Alstom Technology Ltd Dispositif de sectionnement ameliore et poste electrique a isolation gazeus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US9700311B2 (en) 2013-11-08 2017-07-11 Ethicon Llc Tissue ingrowth materia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R3016745B1 (fr) * 2014-01-21 2017-09-29 Alstom Technology Ltd Element de cuve d'un appareillage de coupure ou d'isolement d'un circuit, cuve d'un tel appareill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cuve
JP5921783B1 (ja) * 2015-04-02 2016-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DE102017207973B4 (de) * 2017-05-11 2021-11-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anlagenanordnung
CN113140423A (zh) * 2020-01-19 2021-07-20 河南平芝高压开关有限公司 一种三相共箱开关壳体和隔离接地组合开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9717A (en) * 1985-05-20 1987-08-25 Bbc Brown, Boveri & Company, Limited Cast housing for medium-voltage switchgear
US5003427A (en) * 1987-05-06 1991-03-26 Sachsenwerk Aktiengesellschaft Metal encapsulated multi-phase high voltage switching system filled with compressed ga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5417C (ko) * 1970-02-27
NL160973C (nl) * 1976-07-23 1979-12-17 Coq Bv Meerfasen scheidingsschakelaar.
US4747522A (en) * 1987-04-03 1988-05-31 Mcintyre Phillip Fluid dispensing device
DE3936759A1 (de) * 1989-11-02 1991-05-08 Siemens Ag Dreipolige, metallgekapselte, druck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JPH0576110A (ja) * 1991-09-11 1993-03-26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2887857B2 (ja) * 1992-08-07 1999-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DE4438787C1 (de) * 1994-10-19 1996-05-23 Siemens Ag Metallgekapselte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einer dreipolig gekapselten Sammelschiene
DE19511168A1 (de) * 1995-03-28 1996-10-02 Abb Management Ag Schaltvorrichtung
RU2141710C1 (ru) * 1995-12-26 1999-11-20 Предприятие "Таврида-Электрик"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рии tel
DE19716024B4 (de) * 1997-04-17 2007-01-18 Abb Schweiz Ag Metall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RU2173014C2 (ru) * 1998-03-16 2001-08-27 ООО "Таврида Электрик"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3667150B2 (ja) * 1999-05-21 2005-07-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封入開閉装置
JP4048045B2 (ja) * 2001-11-13 2008-0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3相一括型ガス絶縁母線
DE10325682A1 (de) * 2003-06-02 2004-12-30 Siemens Ag Gasisoliertes Sammelschienenbauteil mit Freiluftdurchführung
EP1589625B1 (en) * 2004-04-19 2019-10-23 ABB Schweiz AG Gas-insulated switchgear device
DE102004061358B4 (de) * 2004-12-21 2012-07-05 Abb Technology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DE102005009207A1 (de) * 2005-02-25 2006-08-31 Abb Technology Ag Schaltanlage
DE102006040036A1 (de) 2006-08-23 2008-03-06 Siemens Ag Anordnung mit einem elektrischen Schaltgerät
ES2630405T3 (es) * 2006-11-30 2017-08-21 Abb Schweiz Ag Interruptor seccionador de media tensión aislado con gas
DE102006062540A1 (de) * 2006-12-29 2008-07-03 Abb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EP3048682B1 (en) * 2007-05-11 2018-08-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 insulated switchgear
JP5116589B2 (ja) * 2008-07-15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用開閉装置
WO2010133692A1 (de) * 2009-05-20 2010-11-25 Abb Technology Ag Gasisolierter schaltanlagenmodu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9717A (en) * 1985-05-20 1987-08-25 Bbc Brown, Boveri & Company, Limited Cast housing for medium-voltage switchgear
US5003427A (en) * 1987-05-06 1991-03-26 Sachsenwerk Aktiengesellschaft Metal encapsulated multi-phase high voltage switching system filled with compressed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086A (ko) 2012-02-27
WO2011085820A1 (de) 2011-07-21
CN102474083B (zh) 2015-04-15
MX2011013456A (es) 2012-02-21
CN102474083A (zh) 2012-05-23
DE212010000202U1 (de) 2012-09-05
JP5296262B2 (ja) 2013-09-25
JP2013504989A (ja) 2013-02-07
RU2012103594A (ru) 2013-08-10
US20120113568A1 (en) 2012-05-10
RU2518516C2 (ru) 2014-06-10
BRPI1011772A2 (pt) 2018-03-13
HUE030140T2 (hu) 2017-04-28
EP2526597B1 (de) 2016-04-20
EP2526597A1 (de) 2012-11-28
US8848345B2 (en)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283B1 (ko) 가스-절연 개폐기용 차단 스위치를 가지는 캡슐형 모듈
FI96070B (fi) Metallikoteloinen, painekaasulla täytetty, monivaiheinen korkeajännitekytkentälaite
JP3707862B2 (ja) 金属カプセルで包まれてガス絶縁された高電圧開閉装置用の断路器
US6865072B2 (en) Metal-enclosed switchgear
JP4505010B2 (ja) 密閉型ガス絶縁開閉装置
US9030809B2 (en) Housing for a switchgear assembly module, switchgear assembly module and switchgear assembly
JP4440946B2 (ja) 固体絶縁断路器を利用した固体絶縁スイッチギア
JP5174150B2 (ja) 高電圧スイッチギア
EP2261941B1 (en) Vacuum circuit breaker and gas insulated switchgear using the same
CN107636785B (zh) 气体绝缘开关装置的断续器和气体绝缘开闭装置
JP4334852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CN102684101B (zh) 用于开关设备的横向拆卸模块
KR20010101384A (ko) 스위치기어
KR100301378B1 (ko) 고전압스위치패널
WO2024098876A1 (zh) 集成开关设备
CN104011822A (zh) 真空断路器
CA2142632A1 (en) Isolator for a metal-encapsulated, gas-insulated, high-voltage switching installation
KR101157188B1 (ko) 고체절연 개폐장치
JPWO2016125328A1 (ja) スイッチギヤ
JP3317009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309911A (ja) 複合型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531220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11122734A (ja) 密閉形ガス絶縁機器
JPH0725040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