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829B1 - 화물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화물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829B1
KR101354829B1 KR1020127006071A KR20127006071A KR101354829B1 KR 101354829 B1 KR101354829 B1 KR 101354829B1 KR 1020127006071 A KR1020127006071 A KR 1020127006071A KR 20127006071 A KR20127006071 A KR 20127006071A KR 101354829 B1 KR101354829 B1 KR 10135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width dimension
corner post
chamfer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064A (ko
Inventor
노부따까 시미즈
고오지 한야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26Corner fittings characterised by shape, configuration or number of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61D5/08Covers or access opening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이 화물용 컨테이너는, 코너 포스트를 평단면에서 본 경우에, 제1 접속부(41)와, 제2 접속부(42)와, 제1 돌출면부(43)와, 제2 돌출면부(44)와,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와, 선단 코너부(40)로 형성되는 대략 Ω 형상을 갖고, 제1 접속부(41)와 제1 돌출면부(43)가 연속하는 제1 코너부(40C)로부터 제2 측면부(46)까지의 폭 치수와, 제2 접속부(42)와 제2 돌출면부(44)가 연속하는 제2 코너부(40D)로부터 제1 측면부(45)까지의 폭 치수중, 최소의 폭 치수(b0)와,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0>740t/(√F)를 만족하고, 또한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와, 제2 측면부(46)와의 폭 치수중, 최대의 폭 치수(b)와,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740t/(√F)를 만족한다.

Description

화물용 컨테이너{CONTAINER FOR CARGO}
본 발명은 적재한 화물을 해상 수송 및 육상 수송하기 위한 화물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09월 1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10180호에 기초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화물을 수송하는 화물용 컨테이너는, 주로 강,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화물용 컨테이너는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고, 예를 들어 선박, 트럭, 철도 등의 수송 수단을 통해서 수송된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는, 일본내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간의 글로벌인 물류를 효율화하는 관점으로부터, 화물용 컨테이너의 내하 성능, 전체 치수, 수송 기기와의 연결 부분의 형상 등이 ISO 등의 국제 규격에 기초하여 전세계에서 거의 공통화되어 있다. 화물용 컨테이너를 일정한 룰하에서 규격화해 공통화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 수송시의 호환성이나 편리성이 확보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지구 환경 보호의 관점으로, 물류의 분야에 있어서도 온실 효과 가스의 배출량 삭감의 움직임이 높아지고 있고,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 트럭, 철도 등의 이동 수단에 대하여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화물용 컨테이너는 이들 이동 수단에 의해 수송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자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 이동 수단을 포함시킨 전체의 경량화에 연결되고, 지구 환경 보호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화물용 컨테이너에 있어서도 경량화의 요청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ISO에 규정된 특히 내하 성능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화물용 컨테이너의 형태로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에 세워 설치된 한쌍의 측면 패널 및 한쌍의 전후 패널과, 상기 바닥 팔레트의 구석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기 측면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와 상기 전후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 사이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코너 포스트와, 이들의 코너 포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된 코너 피팅과, 상기 측면 패널 및 상기 전후 패널 상부 테두리부에 접속해서 설치된 천장면 패널을 구비한 화물용 컨테이너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화물용 컨테이너에서는, 코너 포스트의 단면 형상을 최대한 코너 피팅의 단면 형상에 맞추는 동시에, 그 코너 포스트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화물용 컨테이너끼리를 단적재했을 때의 압축 하중에 대한 부재 내력을 확보하고, 단적재에 대한 요구 성능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본 출원 특표 공개 제2005-53641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코너 포스트의 단면적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만큼의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즉, 압축 하중에 대한 부재 내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코너 포스트의 단면적을 크게 하지 않을 수 없지만, 그만큼 중량이 증대하고, 경량화의 요구에 따를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너 포스트, 나아가서는 화물용 컨테이너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부재 내력을 확보해서 단적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물용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물용 컨테이너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에 세워 설치된 한쌍의 측면 패널 및 한쌍의 전후 패널과, 상기 바닥 팔레트의 구석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기 측면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와 상기 전후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 사이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코너 포스트와, 이들의 코너 포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된 코너 피팅과, 상기 측면 패널 및 상기 전후 패널 상부 테두리부에 접속해서 설치된 천장면 패널을 구비한 화물용 컨테이너로서, 상기 코너 포스트를 평단면으로 본 경우에, 상기 측면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전후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측면 패널의 면방향에 교차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면부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전후 패널의 면방향에 교차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면부와, 상기 제1 돌출면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면 패널의 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돌출면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후 패널의 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선단 코너부로 형성되는 대략 Ω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돌출면부가 연속하는 제1 코너부로부터 상기 제2 측면부까지의 상기 제2 측면부에 대한 연직 방향의 폭 치수와,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제2 돌출면부가 연속하는 제2 코너부로부터 제1 측면부까지의 상기 제1 측면부에 대한 연직 방향의 폭 치수중, 적어도 최소의 폭 치수(b0)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0>740t/(√F)를 만족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의 폭 치수중, 적어도 최대의 폭 치수(b)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740t/(√F)를 만족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선단 코너부에,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양쪽에 교차해서 연속하는 경사 측면부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폭 치수중, 적어도 최대의 폭 치수(b)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740t/(√F)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2)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경사 측면부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코너 피팅의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1)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선단 코너부에, 외측을 향하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 또는 내측을 향하는 오목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 오목 형상 곡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4)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 또는 선단 오목 형상 곡면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코너 피팅의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제1 돌출면부와 제1 측면부가 연속하는 제3 코너부와, 상기 제2 돌출면부와 제2 측면부가 연속하는 제4 코너부중, 적어도 한쪽의 코너부에, 이 코너부를 경사면에서 모따기한 경사면 모따기부, 상기 코너부를 외측을 향하는 볼록 곡면에서 모따기한 볼록 형상 모따기부, 및 상기 코너부를 내측을 향하는 오목 곡면에서 모따기한 오목 형상 모따기부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상기 (6)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경사면 모따기부, 상기 볼록 형상 모따기부 또는 상기 오목 형상 모따기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코너 피팅의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상기 (1)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제1 돌출면부가, 상기 제1 접속부로부터 외측 또한 상기 선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하는 경사 제1 돌출면부로 되고, 상기 제2 돌출면부가, 상기 제2 접속부로부터 외측 또는 상기 선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하는 경사 제2 돌출면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9) 상기 (8)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경사 제1 돌출면부 및 경사 제2 돌출면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코너 피팅의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상기 (1)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에, 각각의 중간 위치에서 내측을 향하는 오목 곡면 또는 내측을 향하는 굴절면에서 형성되는 중간 굴곡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코너 포스트의 재료 강도를 강하게 하고, 코너 포스트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코너 포스트의 폭 치수(b0)가 740t/(√F)보다 크게 되고, 판 요소의 좌굴이 염려되는 코너 포스트에 있어서도, 각 면부의 폭 치수(b)를 740t/(√F) 이하로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판 요소의 좌굴을 억제하고, 압축 하중에 대한 부재 내력을 확보하면서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코너 포스트 자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e=740t/(√F)는 면내 압축력을 받는 판 요소의 유효 폭(be)을 나타내는 식이며, b≤be이면, 압축력에 대하여 판 요소에 국부 좌굴에 수반하는 무효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단면의 유효율을 저하시킬 일이 없고, 효율적으로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코너 포스트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코너 포스트 자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물용 컨테이너 전체의 경량화에도 연결되고, 온실 효과 가스의 배출량을 삭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지구 환경 보호의 관점으로도 적합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너 포스트의 단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재료 비용의 저감에도 기여하고, 또한 표면적도 작아지기 때문에 도장에 드는 비용의 저감에도 기여하게 된다.
그런데, 코너 포스트의 단면적을 작게 할 경우, 코너 포스트의 두께를 일정으로 해서 상기 폭 치수(b0)를 작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렇게 코너 포스트 자체의 폭 치수(b0)를 작게해 버리면, 코너 포스트와, 코너 피팅의 접합부나 각 측면, 전후 패널과의 끼워 맞춤이 바뀌어 버리거나, 국제 규격의 외형 사이즈로부터 벗어나서 수송시의 호환성이나 편리성이 손상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코너 포스트 자체의 외형을 그다지 변경하지 않고 단면적을 작게 하는 수단으로서, 코너 포스트의 두께를 작게 했을 경우에는, 코너 포스트의 각 면부의 폭 치수(b)에 대하여 두께(t)가 작게 되는데, 즉 폭 두께비(b/t)가 커진다. 이에 의해, 국부 좌굴의 문제가 발생하고, 단적재시의 압축 하중에 대한 성능을 만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코너 포스트에 있어서의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치수중, 적어도 최대의 폭 치수(b)와,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740t/(√F)(이하, 수학식 1이라 함)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두께(t) 및 면부의 폭 치수(b)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국부 좌굴을 방지할 수 있고, 단적재시의 압축 하중에 대한 요구 성능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2)에 기재된 화물 컨테이너에 따르면, 선단 코너부에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양쪽에 교차해서 연속하는 경사 측면부를 설치함으로써, 이 경사 측면부의 투영 치수분만큼 상기 (1)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비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치수(b)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두께비(b/t)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측면부에 있어서도, 상기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코너 포스트의 두께(t) 및 각 면부의 폭 치수(b)를 설정함으로써, 국부 좌굴을 방지할 수 있고, 코너 포스트 전체의 압축 하중에 대한 요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3)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코너 피팅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 포스트의 단면적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코너 피팅 자체도 경량화할 수 있고, 화물용 컨테이너 전체의 경량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4)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선단 코너부에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 또는 선단 오목 형상 곡면부를 설치함으로써,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치수(b)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두께비(b/t)의 증대를 억제하고, 국부 좌굴을 방지할 수 있고, 코너 포스트 전체의 압축 하중에 대한 요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5)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코너 피팅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 피팅의 단면적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코너 피팅 자체도 경량화할 수 있고, 화물용 컨테이너 전체의 경량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6)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선단 코너부 이외의 코너부인 제3 코너부나 제4 코너부에 있어서, 경사면 모타기부나 볼록 형상 모따기부, 오목 형상 모따기부를 설치함으로써,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치수(b)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두께비(b/t)를 더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 모따기부로서는, 그 두께 및 면부의 폭 치수와 재료 항복 강도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7)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코너 피팅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 피팅의 단면적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코너 피팅 자체도 경량화할 수 있고, 화물용 컨테이너 전체의 경량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8)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제1 돌출면부 및 제2 돌출면부를 각각 경사 제1 돌출면부 및 경사 제2 돌출면부로 함으로써, 이들의 경사분만큼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치수(b)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도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두께비(b/t)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경사 제1 돌출면부 및 경사 제2 돌출면부의 두께(t) 및 폭 치수(b)와 재료 항복 강도(F)와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상기 (9)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코너 피팅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너 피팅의 단면적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코너 피팅 자체도 경량화할 수 있고, 화물용 컨테이너 전체의 경량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10)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따르면, 중간 굴곡부에 의해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좌우로 분할함으로써, 분할된 각 측면부의 폭 치수(b)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도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폭 두께비(b/t)가 작아지므로, 국부 좌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화물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화물용 컨테이너의 코너 포스트 및 코너 피팅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코너 포스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코너 포스트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코너 포스트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코너 포스트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코너 포스트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코너 포스트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코너 피팅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코너 포스트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FEM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관한 FEM 해석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해석 결과의 하중-변형 관계의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화물용 컨테이너(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체로 구성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물용 컨테이너(1)는 강,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로 구성된다. 화물용 컨테이너(1)는, 예를 들어 선박, 트럭, 철도 등의 수송 수단을 통해서 수송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수송시의 호환성이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ISO 등의 규격에 기초한 사양으로 되어 있다.
화물용 컨테이너(1)는, 도시하지 않은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에 세워 설치된 한쌍의 측면 패널(2) 및 한쌍의 전후 패널(3)과, 바닥 팔레트의 구석부에 세워 설치되어, 측면 패널(2)의 측부 테두리부와 전후 패널(3)의 측부 테두리부 사이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코너 포스트(4)와, 이들의 코너 포스트(4)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된 코너 피팅(5)과, 측면 패널(2) 및 전후 패널(3)의 상부 테두리부에 접속해서 설치된 천장면 패널(6)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측면 패널(2) 및 전후 패널(3)은, 각각이 바닥 팔레트 상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패널(2, 3)끼리가 코너 포스트(4)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다. 인접하는 측면 패널(2)과 전후 패널(3)은 서로 대략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측면 패널(2), 전후 패널(3) 및 천장면 패널(6)은, 예를 들어 두께가 1㎜ 내지 2㎜ 정도의 비교적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파형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물용 컨테이너(1)의 측면, 전후면, 천장면의 어느 하나의 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 도어가 설치되고, 여기에서 컨테이너내에 화물이 적재된다. 예를 들어, 전후면의 어느 하나에 개폐 도어가 설치된 경우에는, 도어에 인접하는 코너 포스트가, 본 일 실시형태의 코너 포스트(4)와는 다른 형상의 홈형강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후면의 어느 하나만 후술하는 코너 포스트(4)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후술하는 코너 포스트(4)는 컨테이너의 네 구석 모두가 아니라, 네 구석 중 임의의 부분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일 실시형태를 적용한 화물용 컨테이너(1)에 적용되는 코너 포스트(4)의 구성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대표 형태의 코너 포스트(4)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코너 포스트(4)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도, 코너 포스트(4)는, 내후성강으로 이뤄지고, 예를 들어 두께(t)가 3㎜ 내지 5㎜ 정도의 강판을 절곡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강판에는, 재료 항복 강도(F)가 550㎫ 내지 700㎫ 정도인 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 포스트(4)를 평단면으로 본 경우에, 측면 패널(2)의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41)와, 전후 패널(3)의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42)와, 제1 접속부(41)에 연속하고, 또한 측면 패널(2)의 면방향에 교차하는 외방향(도면중, X방향 좌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면부(43)와, 제2 접속부(42)에 연속하고, 또한 전후 패널(3)의 면방향에 교차하는 외방향(도면중, Y방향 하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면부(44)와, 제1 돌출면부(43)에 직접적으로 설치되고, 측면 패널(2)의 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45)와, 제2 돌출면부(44)에 직접적으로 설치되고, 전후 패널(3)의 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부(46)와, 제1 측면부(45) 및 제2 측면부(46)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선단 코너부(40)로 형성되는 대략 Ω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부(41)는 측면 패널(2)의 면방향[도면중, Y방향: 화물용 컨테이너(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측면 패널(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접속부(42)는 전후 패널(3)의 면방향[도면중, X방향: 화물용 컨테이너(1)의 폭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어서 전후 패널(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코너부(40)에,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의 양쪽에 교차해서 연속하는 경사 측면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측면부(47)는 선단 코너부(40)가 모따기되어서 형성되어 있다(도 2의 하측 또한 좌측).
제1 접속부(41)가 측면 패널(2)의 테두리부와 용접 접합되고, 제2 접속부(42)가 전후 패널(3)의 연부와 용접 접합된다. 제1 돌출면부(43), 제2 돌출면부(44), 제1 측면부(45), 제2 측면부(46) 및 경사 측면부(47)의 상하 단부 테두리가 각각 상하의 코너 피팅(5)과 용접 접합된다. 이러한 코너 포스트(4)에는, 화물용 컨테이너(1)를 상하에 단적재했을 때, 상하의 화물용 컨테이너(1)의 코너 피팅(5)이 서로 접촉되게 된다. 그 결과, 위에 적재된 화물용 컨테이너(1)의 하중이 각각의 코너 피팅(5)을 거쳐서, 하측의 화물용 컨테이너(1)의 코너 포스트(4)에 전달되게 된다. 코너 피팅(5)에는, 주물제의 박스 형상의 기체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가로 구멍이 설치되고, 또한 상면으로부터는 상부 구멍(또는 하면으로부터는 하부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로 구멍이나 상부 구멍(또는 하부 구멍)에는, 각각 크레인 등에 의한 매달아 올림이나 운반시의 설치 기기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위에 적재된 화물용 컨테이너(1)에 있어서, 코너 피팅(5)의 서로의 접촉면끼리가 접촉된다.
다음에, 코너 포스트(4)의 폭 치수(b0)로서, 우선 코너 포스트(4)의 X방향의 폭 치수(bx0)는, 제2 접속부(42)와 제2 돌출면부(44)가 연속하는 제2 코너부(40D)로부터 제1 측면부(45)까지의 제1 측면부(45)에 대한 연직 방향의 폭 치수이다. 환언하면, 제2 접속부(42)를 제외한 치수, 즉 제2 접속부(42)와 제2 돌출면부(44)가 연속하는 제2 코너부(40D)와 제1 측면부(45)의 거리로 설정된다.
또한, Y방향의 폭 치수(by0)는 제1 접속부(41)와 제1 돌출면부(43)가 연속하는 제1 코너부(40C)로부터 제2 측면부(46)까지의 제2 측면부(46)에 대한 연직 방향의 폭 치수이다. 환언하면, 제1 접속부(41)를 제외한 치수, 즉 제1 접속부(41)와 제1 돌출면부(43)가 연속하는 제1 코너부(40C)와 제2 측면부(46)의 거리로 설정된다. 즉, 폭 치수(bx0, by0)는 각각 코너 피팅(5)에 접합되는 부분의 치수이다. 이하, 폭 치수를 피팅부 폭 치수라고 칭한다. 이러한 피팅부 폭 치수(bx0, by0)로서는, 국제 규격에 기초하는 코너 피팅(5)의 치수로 규정되고, 예를 들어 판 두께 중심 치수로 나타내고, 코너 포스트의 두께(판 두께)가 6㎜로, 피팅부 폭 치수(bx0)가 약 149㎜, 피팅부 폭 치수(by0)가 약 168㎜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는 피팅부 폭 치수(by0)로부터 경사 측면부(47)의 투영분의 폭 치수(by2)를 뺀 치수이다. 한편,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는 피팅부 폭 치수(bx0)로부터 경사 측면부(47)의 투영분의 폭 치수(bx2)를 뺀 치수이다.
여기서, 각 폭 치수(bx0, by0)의 설정의 일 예로서, 재료 항복 강도(F)가 700㎫이며, 코너 포스트(4)의 두께(t)가 3.6㎜일 경우, X방향의 피팅부 폭 치수(bx0)가 약 149㎜이며, Y방향의 피팅부 폭 치수(by0)가 약 168㎜이며, 이들의 피팅부 폭 치수(b0)(bx0, by0)는 이하의 수학식 0의 관계를 만족한다.
Figure 112012018610845-pct00001
또한,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가 100㎜로, 경사 측면부(47)의 투영분의 폭 치수(by2)가 68㎜로 설정되고,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가 100㎜로, 경사 측면부(47)의 투영분의 폭 치수(bx2)가 49㎜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 측면부(47)의 폭 치수(bxy)는 약 83.8㎜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면부의 폭 치수(b)(bx1, by1, bxy)중 최대의 폭 치수(b)와, 코너 포스트(4)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4)의 재료 항복 강도(F)와의 관계는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Figure 112012018610845-pct00002
따라서, 재료 항복 강도(F)가 700㎫이며, 두께(t)가 3.6㎜일 경우, 폭 치수(b)(bx1, by1, bxy)로서는 수학식 1의 우변의 계산값인 100.7㎜ 이하이면 된다. 여기서, 상기 일 예의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 및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 경사 측면부(47)의 폭 치수(bxy)는 모두 100.7㎜ 이하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다음에, 도 3에 있어서, 코너 포스트(4A)는, 전술한 코너 포스트(4)와 거의 같은 제1 접속부(41)와, 제2 접속부(42)와, 제1 돌출면부(43)와, 제2 돌출면부(44)와,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와, 경사 측면부(47)를 갖고 있다. 코너 포스트(4A)의 평단면 형상은, 대략 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돌출면부(43)와 제1 측면부(45)가 연속하는 제3 코너부(40A)에는, 제1 돌출면부(43) 및 제1 측면부(45)에 대하여 경사져 모따기된 경사면 모따기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측면부(45)는 제1 돌출면부(43)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돌출면부(44)와 제2 측면부(46)가 연속하는 제4 코너부(40B)에는, 제2 돌출면부(44) 및 제2 측면부(46)에 대하여 경사져 모따기된 경사면 모따기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측면부(46)는 제2 돌출면부(44)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코너 포스트(4A)에서는, 경사 측면부(47)의 폭 치수(bxyA)가 도 2에 도시한 코너 포스트(4)보다도 작아진다. 또한, 경사면 모따기부(48)를 형성한 것에 의해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A)는 도 2에 도시한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보다 작다. 또한, 경사면 모따기부(49)를 형성한 것에 의해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A)는 도 2에 도시한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보다 작다. 즉, 코너 포스트(4A)에 있어서도,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A) 및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A), 경사 측면부(47)의 폭 치수(bxyA)는 모두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다음에, 도 4에 있어서, 코너 포스트(4B)는 전술한 코너 포스트(4)와 거의 같은 제1 접속부(41)와, 제2 접속부(42)와, 제1 돌출면부(43)와, 제2 돌출면부(44)와,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를 갖고 평단면이 거의 Ω 형상이다. 상기 경사 측면부(47) 대신에 선단 코너부(40)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50)가 형성되고, 제3 코너부(40A)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에서 모따기한 볼록 형상 모따기부(51)가 형성되고, 제4 코너부(40B)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에서 모따기한 볼록 형상 모따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측면부(45)는 제1 돌출면부(43)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면부(46)는 제2 돌출면부(44)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코너 포스트(4B)에서는,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50) 및 볼록 형상 모따기부(51, 52)를 형성한 것에 의해,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B)는, 도 2에 도시한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보다 작고,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B)는 도 2에 도시한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보다 작다. 즉, 코너 포스트(4B)에 있어서도,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B) 및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B)는 모두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다음에, 도 5에 있어서, 코너 포스트(4C)는 전술한 코너 포스트(4)와 거의 같은 제1 접속부(41)와, 제2 접속부(42)와, 제1 돌출면부(43)와, 제2 돌출면부(44)와,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를 갖고 있고, 평단면이 거의 Ω 형상이다. 상기 경사 측면부(47)나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50) 대신에 선단 코너부(40)에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 오목 형상 곡면부(53)가 형성되고, 제3 코너부(40A)에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모따기된 오목 형상 모따기부(54)가 형성되고, 제4 코너부(40B)에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모따기된 오목 형상 모따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측면부(45)는 제1 돌출면부(43)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면부(46)는 제2 돌출면부(44)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코너 포스트(4C)에서는, 선단 오목 형상 곡면부(53) 및 오목 형상 모따기부(54, 55)를 형성한 것에 의해,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C)는 도 2에 도시한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보다 작고,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C)는 도 2에 도시한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보다 작다. 즉, 코너 포스트(4C)에 있어서도,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C) 및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C)는 모두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다음에, 도 6에 있어서, 코너 포스트(4D)는 전술한 코너 포스트(4)와 거의 같은 제1 접속부(41)와, 제2 접속부(42)와, 제1 돌출면부(43)와, 제2 돌출면부(44)와,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와, 경사 측면부(47)를 갖고 있고, 평단면이 거의 Ω 형상이다. 제3 코너부(40A)에 볼록 형상 모따기부(51)가 형성되고, 제4 코너부(40B)에 볼록 형상 모따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측면부(45)는 제1 돌출면부(43)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면부(46)는 제2 돌출면부(44)에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코너 포스트(4D)에 있어서도,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D),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D) 및 경사 측면부(47)의 폭 치수(bxyD)는 모두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다음에, 도 7에 있어서, 코너 포스트(4E)는, 전술한 코너 포스트(4)와 거의 같은 제1 접속부(41)와, 제2 접속부(42)와, 제1 돌출면부(43)와, 제2 돌출면부(44)와,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와, 경사 측면부(47)를 갖고 있고, 평단면이 거의 Ω 형상이다. 제1 돌출면부(43)는 제1 접속부(41)로부터 외측 또한 선단 코너부(40)를 향해서 경사져서 돌출하는 경사 제1 돌출면부(43A)로 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코너 포스트(4)에서는, 제1 돌출면부(43)와 제1 측면부(45)의 이루는 각도는 거의 90도이지만, 도 7에 도시하는 코너 포스트(4E)에서는, 제1 돌출면부(43A)와 제1 측면부(45)의 이루는 각(α1)은 90도를 초과하고 있다. 제2 돌출면부(44)는 제2 접속부(42)로부터 외측 또한 선단 코너부(40)를 향해 경사져서 돌출하는 경사 제2 돌출면부(44A)로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코너 포스트(4)에서는, 제2 돌출면부(44)와 제2 측면부(46)의 이루는 각은 거의 90도이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코너 포스트(4E)에서는, 제2 돌출면부(44A)와 제2 측면부(46)의 이루는 각(α2)은 90도를 초과하고 있다. 이 코너 포스트(4E)에서는, 경사 측면부(47), 경사 제1 돌출면부(43A) 및 경사 제2 돌출면부(44A)를 형성한 것에 의해,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E)는 도 2에 도시한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보다 작고,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E)는 도 2에 도시한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보다 작다. 즉, 코너 포스트(4E)에 있어서도,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E),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E) 및 경사 측면부(47)의 폭 치수(bxyE)는 모두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또한, 경사 제1 돌출면부(43A)의 폭 치수(bx3) 및 경사 제2 돌출면부(44A)의 폭 치수(by3)도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다음에, 도 8에 있어서, 코너 포스트(4F)는, 전술한 코너 포스트(4)와 거의 같은 제1 접속부(41)와, 제2 접속부(42)와, 제1 돌출면부(43)와, 제2 돌출면부(44)와, 제1 측면부(45)와, 제2 측면부(46)를 갖고 있고, 평단면이 거의 Ω 형상이다. 상기 경사 측면부(47)가 생략되고, 제1 측면부(45)의 중간 위치에, 내측으로 굴곡된 중간 굴곡부(56)가 형성되고, 제2 측면부(46)의 중간 위치에, 내측으로 굴곡한 중간 굴곡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코너 포스트(4F)에서는, 중간 굴곡부(56, 57)를 형성한 것에 의해, 제1 측면부(45)를 2개로 분할한 분할 제1 측면부(45A)의 폭 치수(by4F) 및 폭 치수(by5F)는 도 2에 도시한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보다 작고, 제2 측면부(46)를 2개로 분할한 분할 제2 측면부(46A)의 폭 치수(bx4F) 및 폭 치수(bx5F)는 도 2에 도시한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보다 작다. 즉, 코너 포스트(4F)에 있어서도, 분할 제1 측면부(45A)의 폭 치수(by4F, by5F), 분할 제2 측면부(46A)의 폭 치수(bx4F, bx5F)는 모두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화물용 컨테이너(1)에 있어서의 코너 피팅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9에는, 상기 코너 포스트(4A)를 채용했을 경우의 변형예에 관한 코너 피팅(5A)이 도시되어 있다.
코너 피팅(5A)의 외측의 3개의 코너부에는, 코너 포스트(4A)에 있어서의 선단 코너부(40)에 형성된 경사 측면부(47)의 형상을 따라 모따기부(5B)가 형성되고, 제3 코너부(40A)에 형성된 경사면 모따기부(48)의 형상을 따라 모따기부(5C)가 형성되고, 제4 코너부(40B)에 형성한 경사면 모따기부(49)의 형상을 따라서 모따기부(5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너 피팅(5A)에, 코너 포스트(4A)의 형상에 대응한 모따기부(5B, 5C, 5D)를 형성함으로써, 코너 피팅(5A) 자체도 경량화할 수 있고, 화물용 컨테이너(1) 전체의 경량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코너 포스트(4A)를 사용하여, 코너 피팅(5A)에 모따기부가 형성된 구성을 도시했지만, 도 2, 도 4로부터 도 8의 코너 피팅(5)에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화물용 컨테이너(1)에 대해서, 코너 포스트의 부재 내력을 검토한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적용한 화물용 컨테이너(1)를 실시예로 하고, 종래 형태의 코너 포스트를 갖는 화물용 컨테이너를 비교예로 하여, 각 컨테이너의 FEM 해석을 실시해서 코너 포스트의 부재 내력을 산출했다. 또한, FEM 해석 모델은 각 컨테이너를 평면적으로 4분할해서 경계 부분에 대칭 조건을 설정하는 동시에, 코너 포스트를 포함하는 각 부재의 요소에 대해서는, 국부 좌굴을 고려할 수 있는 모델을 사용했다. 또한, 해석 조건은 ISO1496-1의 Test No.1(Stacking)의 시험 하중 조건을 참고로, 바닥 팔레트 상에 분포 하중을 부여한 후에, 단적재한 상단 컨테이너로부터의 연직 하중을 코너 피팅에 부여하고, 이 연직 하중을 서서히 증가시켰다. 이때의 국부 좌굴이 발생할 때까지의 각 부 응력과 하중점의 연직 변위를 조사했다.
[실시예]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코너 포스트(4)를 사용했다. 이 코너 포스트(4)의 재료 항복 강도(F)는 700㎫이며, 코너 포스트(4)의 두께(t)는 3.6㎜이다. 그리고, 코너 포스트(4)의 X방향의 피팅부의 폭 치수(bx0)는 149㎜이며, Y방향의 피팅부의 폭 치수(by0)는 168㎜이며,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는 100㎜[폭 치수(by2)가 68㎜]이며,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는 100㎜[폭 치수(bx2)가 49㎜]이다.
[비교예]
비교예는 도 10에 도시한 코너 포스트(400)를 사용한 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를 사용했다. 비교예의 코너 포스트(400)의 재료 항복 강도(F)는 700㎫이며, 코너 포스트(400)의 두께(t)는 3.6㎜이다. 그리고, 코너 포스트(400)는 제1 접속부(410), 제2 접속부(420), 제1 돌출면부(430), 제2 돌출면부(440)와, 제1 측면부(450), 및 제2 측면부(460)를 구비하고 있고, 평단면이 거의 Ω 형상이다. 경사 측면부(4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코너 포스트(400)는 실시예의 코너 포스트(4)와 상이하다. 코너 포스트(400)의 X방향 및 Y방향의 피팅부의 폭 치수(bx0, by0)는 각각 149㎜, 168㎜이다. 각 방향에서 피팅부의 폭 치수와 면부의 폭 치수가 동등해지기 때문에, 제1 측면부(450)의 면부의 폭 치수가 168㎜이며, 제2 측면부(460)의 폭 치수가 149㎜이다.
도 11에 실시예의 해석 결과의 미제스 응력 윤곽도 및 변형도를 도시하고, 도 12에 비교예의 해석 결과의 미제스 응력 윤곽도 및 변형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3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하중-변형 관계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실시예의 코너 포스트(4)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면부(45)나 경사 측면부(47)에 국부 좌굴은 보이지 않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요구 내력(ISO에 규정되는 내력)을 초과해도 안정되어 내력이 상승하고 있다.
한편, 비교예의 코너 포스트(400)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면부(450) 및 제2 측면부(460)에 국부 좌굴이 발생한다. 그 결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요구 내력에 도달하기 전에 하중-변형 관계의 기울기로 나타내는 강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그 직후에 내력이 급격하게 하강하여, 내력 상승이 예상할 수 없음을 알았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하는 코너 포스트(4)의 경사 측면부의 형상 변화에 수반하는 각 면부의 폭 치수의 변화 정도, 또한 각 면부의 단면의 유효율[ρ(유효 폭(be)(=740t/(√F))에 대한 폭 치수(b)의 비]을 표 1에 도시한다. 경사 측면부(47)의 투영분의 폭 치수(bx2 및 by2)를 크게 함으로써, 제2 측면부(46)의 폭 치수(bx1) 및 제1 측면부(45)의 폭 치수(by1)를 유효 폭(be)보다 작게 억제할 수 있지만, bx2 및 by2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경사 측면부(47)의 폭 치수(bxy)가 be를 초과하고, 이 유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각 면부의 폭 치수에 배려하면서, 적어도 폭 치수가 최대의 면부에 있어서,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면부의 폭 치수(b)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와의 관계가 b≤740t/(√F)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면부의 폭 치수(b)와 두께(t)와 재료 항복 강도(F)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압축 하중에 대한 부재 내력을 확보하면서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코너 포스트 자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또한 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 1]
Figure 112012018610845-pct00003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등을 포함하고, 이하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너 포스트에 사용하는 강재의 재료 항복 강도(F)로서 700㎫를 예로 설명했지만, 재료 항복 강도(F)로서는 70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재료 항복 강도(F)는 규격 강도에 한정되지 않고, 실상의 강도에 따라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0의 코너 포스트의 단면도에서는, 코너 포스트의 성형 가공에 수반하는 절곡(R)(통상은 판 두께 중심 반경에서 R=1.5t 내지 2.5t 정도)을 생략해서 도시하고 있지만, 절곡(R)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R의 마지막 시점을 기점으로 해서 면부의 폭 치수 등의 치수를 정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방법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특별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의 범위로부터 일탈할 일이 없고, 이상 서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형상, 재질, 수량,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형상, 재질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들의 형상,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제외한 부재의 명칭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 : 화물용 컨테이너
2 : 측면 패널
3 : 전후 패널
4, 4A, 4B, 4C, 4D, 4E, 4F : 코너 포스트
5 : 코너 피팅
6 : 천장면 패널
40 : 선단 코너부
40A : 제3 코너부
40B : 제4 코너부
40C : 제1 코너부
40D : 제2 코너부
41 : 제1 접속부
42 : 제2 접속부
43 : 제1 돌출면부
43A : 경사 제1 돌출면부
44 : 제2 돌출면부
44A : 경사 제2 돌출면부
45 : 제1 측면부
46 : 제2 측면부
47 : 경사 측면부
48, 49 : 경사면 모따기부
50 :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
51, 52 : 볼록 형상 모따기부
53 : 선단 오목 형상 곡면부
54, 55 : 오목 형상 모따기부
56 : 중간 굴곡부
57 : 중간 굴곡부

Claims (10)

  1.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에 세워 설치된 한쌍의 측면 패널 및 한쌍의 전후 패널과,
    상기 바닥 팔레트의 구석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기 측면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와 상기 전후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 사이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코너 포스트와,
    이들의 코너 포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된 코너 피팅과,
    상기 측면 패널 및 상기 전후 패널 상부 테두리부에 접속해서 설치된 천장면 패널을 구비한 화물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코너 포스트를 평단면으로 본 경우에,
    상기 측면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전후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측면 패널의 면방향에 교차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면부와,
    상기 제2 접속부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전후 패널의 면방향에 교차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면부와,
    상기 제1 돌출면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면 패널의 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돌출면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후 패널의 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선단 코너부로 형성되는 Ω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돌출면부가 연속하는 제1 코너부로부터 상기 제2 측면부까지의 상기 제2 측면부에 대한 연직 방향의 폭 치수와,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제2 돌출면부가 연속하는 제2 코너부로부터 제1 측면부까지의 상기 제1 측면부에 대한 연직 방향의 폭 치수중, 최소의 폭 치수(b0)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0>740t/(√F)를 만족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의 폭 치수중, 최대의 폭 치수(b)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740t/(√F)를 만족하고,
    상기 선단 코너부에,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양쪽에 교차해서 연속하는 경사 측면부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폭 치수중, 최대의 폭 치수(b)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두께(t)와, 코너 포스트의 재료 항복 강도(F)의 관계가 b≤740t/(√F)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측면부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코너 피팅의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코너부에, 외측을 향하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 또는 내측을 향하는 오목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 오목 형상 곡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볼록 형상 곡면부 또는 선단 오목 형상 곡면부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코너 피팅의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면부와 제1 측면부가 연속하는 제3 코너부와, 상기 제2 돌출면부와 제2 측면부가 연속하는 제4 코너부 중, 적어도 한쪽의 코너부에,
    이 코너부를 경사면에서 모따기한 경사면 모따기부, 상기 코너부를 외측을 향하는 볼록 곡면에서 모따기한 볼록 형상 모따기부, 및 상기 코너부를 내측을 향하는 오목 곡면에서 모따기한 오목 형상 모따기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모따기부, 상기 볼록 형상 모따기부 또는 상기 오목 형상 모따기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코너 피팅의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면부가, 상기 제1 접속부로부터 외측 또한 상기 선단 코너부를 향해 경사져서 돌출하는 경사 제1 돌출면부로 되고,
    상기 제2 돌출면부가, 상기 제2 접속부로부터 외측 또는 상기 선단 코너부를 향해서 경사져서 돌출하는 경사 제2 돌출면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제1 돌출면부 및 경사 제2 돌출면부의 형상을 따라 상기 코너 피팅의 코너부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10. 삭제
KR1020127006071A 2009-09-11 2010-09-10 화물용 컨테이너 KR101354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10180 2009-09-11
JPJP-P-2009-210180 2009-09-11
PCT/JP2010/065616 WO2011030852A1 (ja) 2009-09-11 2010-09-10 貨物用コ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064A KR20120039064A (ko) 2012-04-24
KR101354829B1 true KR101354829B1 (ko) 2014-01-22

Family

ID=4373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071A KR101354829B1 (ko) 2009-09-11 2010-09-10 화물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1030852A1 (ko)
KR (1) KR101354829B1 (ko)
CN (1) CN102482033B (ko)
TW (1) TWI417232B (ko)
WO (1) WO2011030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45999A1 (en) * 2018-05-09 2021-08-12 Blok Container Systems Limited Shipping Containers
CN110893953A (zh) * 2019-11-14 2020-03-20 扬州通利冷藏集装箱有限公司 一种角柱和具有其的集装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682Y1 (ko) * 2004-10-18 2005-03-23 박종근 사선형 코너포스트
JP2006328942A (ja) * 2005-04-28 2006-12-07 Nippon Steel Corp 箱形断面型薄板部材の座屈補剛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86829A1 (de) * 1967-01-20 1970-12-10 Graaff J Niedersaechs Waggon Behaelter
JPS5972293U (ja) * 1982-11-08 1984-05-16 日本トレ−ルモ−ビル株式会社 コンテナにおける側壁接続構造
JP2008266992A (ja) * 2007-04-20 2008-11-06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土木構造用の波付け鋼板、及び立坑
US20090001075A1 (en) * 2007-06-29 2009-01-01 China International Marine Containers (Group) Ltd.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682Y1 (ko) * 2004-10-18 2005-03-23 박종근 사선형 코너포스트
JP2006328942A (ja) * 2005-04-28 2006-12-07 Nippon Steel Corp 箱形断面型薄板部材の座屈補剛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0852A1 (ja) 2011-03-17
TWI417232B (zh) 2013-12-01
JPWO2011030852A1 (ja) 2013-02-07
TW201114665A (en) 2011-05-01
KR20120039064A (ko) 2012-04-24
CN102482033B (zh) 2014-04-02
CN102482033A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9902A1 (en) Top side beam of container and container
EP070873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eight containers
CN107226291B (zh) 罐式集装箱
US6279767B1 (en) Container with an increased door opening height
KR101354829B1 (ko) 화물용 컨테이너
WO2014132444A1 (ja) 船舶用隔壁
JP4017097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S604487A (ja) ポンツ−ンおよびその浮き本体
KR20130028754A (ko) 화물용 컨테이너
JP3938451B2 (ja) エネルギー吸収部材
EP2535297A1 (en) Composite shipping container having a lashing eye
US20050220559A1 (en) Container used to ship semi-trailer chassis
WO2019214712A1 (zh) 罐式集装箱及其端框结构
WO2015106713A1 (zh) 用于装运液态货物的集装箱
JP2008110739A (ja) 耐衝突船体構造、船舶及び船体の耐衝突性能向上方法
CN201148261Y (zh) 集装箱及其中间底角件与中角柱的连接结构
KR200367557Y1 (ko) 종이파렛트
CN221678837U (zh) 一种轻量化防砸抗变形自卸渣土车货箱侧箱和渣土车
RU2782938C1 (ru) Противоудар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защиты транспортируемого объекта
CN114655555B (zh) 一种离散的外置式钢骨架复合材料储运箱
CN217125758U (zh) 一种防撞结构及具有其的集装箱
CN208119906U (zh) 一种角柱以及集装箱
CN214689758U (zh) 中部横梁及具有其的运输车
US20240246642A1 (en) Supporting arrangement for a carried load, more particularly a load carried on a ship
JP7118908B2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