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340B1 -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모바일 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모바일 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340B1
KR101354340B1 KR1020130067627A KR20130067627A KR101354340B1 KR 101354340 B1 KR101354340 B1 KR 101354340B1 KR 1020130067627 A KR1020130067627 A KR 1020130067627A KR 20130067627 A KR20130067627 A KR 20130067627A KR 101354340 B1 KR101354340 B1 KR 101354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sheet
magnetic field
silicon
boron
magnetic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대
Original Assignee
장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대 filed Critical 장성대
Priority to KR1020130067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2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inhibiting the corrosion of the circuit, e.g. for preserving the solder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Fe)-붕소(B)-규소(Si) 합금을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 {Sheet for Shielding Magnetic Field for Flip-Type Pouch of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자기장의 간섭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오작동 및 기능저하를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및 모바일 노트 등에 적용되고 있는 플립형 파우치는 모바일 단말기 후면부의 배터리 부위를 커버하는 리어커버(rear cover) 부분과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부 윈도우 부분을 커버하는 덮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를 on-off 할 때 윈도우상의 on-off스위치를 텃치하거나 단말기 측면의 on-off key를 눌러서 윈도우를 켜고 끄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현재는 플립형 파우치를 적용하여 파우치의 덮개를 열거나 닫게 되면 자동으로 윈도우가 on-off 되는 시스템으로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플립형 파우치의 덮개로 on-off 되는 시스템은 윈도우 패널 아래에 셋팅된 on-off 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데 이를테면 윈도우 패널 아래에 셋팅된 on-off 감지센서가 파우치 덮개부내부에 실장된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on-off 스위치를 터치하지 않고도 파우치의 덮개를 열면 윈도우가 켜지고 반대로 파우치의 덮개를 닫으면 자동으로 윈도우가 꺼지도록 되어 있는 원리인데 만일 파우치 덮개를 연 다음 360도로 접어서 단말기 파우치의 리어커버와 접촉했을 때 파우치 덮개내부에 실장된 영구자석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에 의해 단말기 기능의 오작동 및 기능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의 대책으로 자기장 차폐시트를 파우치 리어커버 안쪽에 파우치 리어커버의 구조 및 기구물에 맞도록 소정의 형태로 가공 후 부착하여 자기장 차폐를 함으로서 자기장의 간섭에 의한 오작동 및 기능저하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철(Fe)-붕소(B)-규소(Si) 합금을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철-붕소-규소 합금은 철 72~94중량%, 붕소1~8중량% 및 규소 5~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자기장 차폐시트는 그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된 부식방지용 커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부식방지용 커버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테프론, 실리콘, 폴리실라잔 및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된 코팅층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자기장 차폐시트는 그 하면에 부식방지 및 커버고정용 양면점착 테이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자기장 차폐시트는 2~6장의 자기장 차폐시트가 적층된 다층 시트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2~6장의 자기장 차폐시트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접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자기장 차폐시트는 한 장의 두께가 20~4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한 제2 구현예로서, (S1) 철(Fe), 붕소(B) 및 규소(Si)를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단계; 및 (S3) 상기 (S2) 단계에서 얻은 용융물을 프레싱(pressing)하여 시트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철은 평균 입경 5~100의 철 분말이고, 상기 붕소는 평균 입경 1~20인 붕소 분말이고, 상기 규소는 평균 입경 1~30의 규소 분말인 것일 수 있다.상기 구현예에 의한 (S1) 단계에서 철 72~94중량%, 붕소 1~8중량% 및 규소 5~20중량%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S2) 단계는 전기로에서 1700~1950로 용융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S3) 단계는 용융물을 롤프레스에 통과시켜 두께 20~40의 시트 형태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은 (S3) 단계 후에 급속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한 제3 구현예로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장 차폐시트를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 특히 모바일 기기용 플립형 파우치에 적용할 경우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어, 자기장에 의해 야기되는 모바일 기기의 오작동 및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형태의 자기장 차폐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기장 차폐시트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로서, 플립형 파우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철(Fe)-붕소(B)-규소(Si) 합금을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에 관한 것이다.
철-붕소-규소등의 혼합물질을 용융한 후, 급속냉각하면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기 전에 고체화되어 불규칙한 배열상태를 가진 비정질의 합금박판 상태의 강자성체가 만들어 지는데, 이러한 강자성체는 자석에서 나오는 강한 자기장을 끌어당겨서 감쇄시킴으로서 자기장이 주변의 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원리로, 철-붕소-규소 합금을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철-붕소-규소 합금에 있어서, 철의 함량은 72~94중량%이고, 붕소의 함량은 1~8중량%이며, 규소의 함량은 5~2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철, 붕소 및 규소의 함량이 규정된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강자성체 자체가 가져야 할 고유의 자성특성이 저하되어, 자기장 차폐시트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기장 차폐시트는 그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된 부식방지용 커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그 하면에 부식방지용 양면점착 테이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 상기 부식방지용 양면점착 테이프는 부식방지 기능과 리어커버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차폐시트는 수분이나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 쉽게 부식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제품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기장 차폐시트에 외부 공기나 수분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완전 밀봉형태로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식방지용 커버층으로 자기장 차폐시트의 측면을, 상면에서 하면에 형성된 양면 테이프 층까지 오버래핑(Over wrapping)하는 구조로 형성하여, 자기장 차폐시트가 완벽하게 부식방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식방지용 커버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테프론, 실리콘, 폴리실라잔 및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된 코팅층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용 양면점착 테이프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타입의 양면 점착테이프 일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차폐시트는 2~6장의 자기장 차폐시트가 적층된 다층 시트 형태인 것일 수 있으며, 이때, 2~6장의 자기장 차폐시트의 사이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접착된 것일 수 있다 (도 2).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양면 접착 테이프는 두께가 3.5~5.0인 초박막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하여 양면에 각각 2.0~4.0 두께의 아크릴 점착층을 형성하여 만든 초박막형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차폐시트는 그 두께가 20~40일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두께가 20 미만이면 브리틀하고 너무 얇아 후가공이나 핸들링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0 초과이면 역시 타발 등의후가공이나 핸들링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S1) 철(Fe), 붕소(B) 및 규소(Si)를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단계; 및 (S3) 상기 (S2) 단계에서 얻은 용융물을 프레싱(pressing)하여 시트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트형태로 제작 후 곧바로 급냉시켜서 고유의 자성 특성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은 평균 입경 5~100의 철 분말이고, 상기 붕소는 평균 입경 1~20의 붕소 분말이며, 상기 규소는 평균 입경 1~30의 규소 분말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이루는 분말의 평균 입경범위를 벗어나면 용융조건의 변화 및 성형상의 문제점 뿐만 아니라 강자성체 합금 고유의 자성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 철 72~94중량%, 붕소 1~8중량% 및 규소 5~20중량%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철, 붕소 및 규소의 함량이 규정된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강자성체 자체가 가져야 할 고유의 자성특성이 저하되어, 자기장 차폐시트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S2) 단계는 전기로에서 1700~1950로 용융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용융 온도가 1700 미만이면 온도가 낮아 용융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950 초과이면 온도가 높아 과소결됨으로 인하여 자기적 특성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S3) 단계는 용융물을 롤프레스에 통과시켜 두께 20~40의 시트 형태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두께가 20 미만이면 브리틀한 특성으로 인해 후가공이나 핸들링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0 초과이면 역시 타발 등의 후가공이나 핸들링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은 (S3) 단계 후에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15~50온도에서 급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급냉이라는 것은, 상기의 합금조성(철-붕소-규소)의 용융물을 롤프레스에 통과시켜 박막의 시트 형태로 제조된 직후에 500이상의 고온상태가 지속되는 있는 합금박막 시트를 물이나 차가운 공기속에 넣어 1~5초 내에 20~50정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모바일 기기란 휴대폰, 스마트폰, 모바일 노트 등일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 케이스란 모바일 기기용 플립형 파우치일 수 있다 (도 3).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평균 입경 50인 철 분말 80중량%, 평균 입경 10인 붕소 분말 6중량% 및 평균 입경 20인 규소 분말 14중량%를 혼합하였다.
철 분말, 붕소 분말 및 규소 분말의 혼합물을 전기로에 투입하여 1800의 온도에서 용융시킨 용융물을 얻었다.
상기 용융물을 롤프레스에 통과시킨 후 30까지 급냉하여 두께 20의 자기장 차폐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평균 입경 50인 철 분말 80중량%, 및 평균 입경 20인 규소 분말 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기장 차폐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평균 입경 50인 철 분말 94중량%, 및 평균 입경 10인 붕소 분말 6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기장 차폐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평균 입경 10인 붕소 분말 40중량% 및 평균 입경 20인 규소 분말 6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기장 차폐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자기장 차폐시트에 대하여 오작동 실험을 100회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이때, 오작동 실험은 자기장 차폐시트를 스마트폰에 씌어져 있는 플립형 파우치의 리어 커버에 삽입한 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100회씩 시도하여, 통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오작동 실험을 하였다.
오작동 횟수
실시예1 0
비교예1 15
비교예2 21
비교예3 23
오작동 횟수 실험 측정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 붕소 및 규소가 적정 함량으로 모두 포함되어 제조된 자기장 차폐시트의 경우 오작동이 없는 반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자기장 차폐시트의 오작동 횟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자기장 차폐시트와 시판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다이도스틸사 제품)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자기장 차폐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자기장 차폐율 측정은, 스마트폰의 플립형 파우치의 전면 덮개를 연 다음, 360도로 접어서 파우치의 리어 커버와 접촉했을 때, 파우치의 전면 덮개 내부에 실장된 영구자석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의 세기와 스마트폰의 플립형 파우치의 리어 커버의 안쪽에 자기장 차폐시트를 부착하여 자기장 차폐를 한 후의 자기장 세기를 측정하며, 자기장 차폐율 측정기기인 테슬러 미터로 파우치 덮개 내부에 실장된 영구자석 부위에 비접촉식으로 KANETEC사의 TESLA METER TM-701 모델로 측정하였다.
단위:Gauss
측정횟수 실시예 1 시판되는 자기장 차폐시트
(다이도스틸사 제품)
1 23 29
2 22 31
3 22 28
4 21 29
5 22 29
비고 자기장 차폐시트를 적용하기 전의 자기장 세기는 900Gauss임
자기장 차폐율 측정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자기장 차폐시트를 적용하였을 때 자기장의 세기가 시판되는 자기장 차폐시트(다이도스틸사 제품)를 적용하였을 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0: 자기장 차폐시트(단층) 11: 자기장 차폐시트(다층)
20: 부식방지용 커버층
30: 부식방지용 양면점착 테이프
40: 마이크로 양면 테이프

Claims (16)

  1. 철(Fe)-붕소(B)-규소(Si) 합금을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2~6장의 자기장 차폐시트가 적층된 다층 시트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붕소-규소 합금은 철 72~94중량%, 붕소 1~8중량% 및 규소 5~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그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된 부식방지용 커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방지용 커버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테프론, 실리콘, 폴리실라잔 및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된 코팅 층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그 하면에 부식방지 및 커버고정용 양면점착 테이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6장의 자기장 차폐시트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접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단층 한 장의 두께가 20~4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9. (S1) 철(Fe), 붕소(B) 및 규소(Si)를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용융시키는 단계; 및
    (S3) 상기 (S2) 단계에서 얻은 용융물을 프레싱(pressing)하여 시트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철은 평균 입경 5~100의 철 분말이고, 상기 붕소는 평균 입경 1~20인 붕소 분말이고, 상기 규소는 평균 입경 1~30의 규소 분말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철 75~94중량%, 붕소 1~5중량% 및 규소 5~20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전기로에서 1700~1950로 용융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용융물을 롤프레스에 통과시켜 두께 20~40의 시트 형태로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 후에 급속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자기장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1020130067627A 2013-06-13 2013-06-13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모바일 기기 케이스 KR10135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627A KR101354340B1 (ko) 2013-06-13 2013-06-13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모바일 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627A KR101354340B1 (ko) 2013-06-13 2013-06-13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모바일 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340B1 true KR101354340B1 (ko) 2014-01-23

Family

ID=5014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627A KR101354340B1 (ko) 2013-06-13 2013-06-13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모바일 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3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291A (ja) * 1993-10-18 1995-05-02 Hiraoka &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性積層シート
KR20050104942A (ko) * 2004-04-30 2005-11-03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벽지
KR20060124480A (ko) * 2005-05-31 2006-1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정질분말 플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860780B1 (ko) * 2008-05-19 2008-09-29 주식회사 나노맥 전자기파 차폐 및 흡수용 시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291A (ja) * 1993-10-18 1995-05-02 Hiraoka &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性積層シート
KR20050104942A (ko) * 2004-04-30 2005-11-03 삼성물산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벽지
KR20060124480A (ko) * 2005-05-31 2006-1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정질분말 플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860780B1 (ko) * 2008-05-19 2008-09-29 주식회사 나노맥 전자기파 차폐 및 흡수용 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85587B (zh) 电磁波吸收板及其制造方法和包含其的电子设备
KR101443292B1 (ko)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04871657B (zh) 磁场屏蔽板及利用其的便携终端机
US9507390B2 (en)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digitiz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same
US9392735B2 (en)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digit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Hou et al. An excellent soft magnetic Fe/Fe3O4-FeSiAl composite with high permeability and low core loss
CN105624588B (zh) 一种电磁屏蔽用软磁合金及其制备方法
KR20130090385A (ko)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기
JP2017045743A (ja) 小型電子機器用の電磁波シールド材
TW201526779A (zh) 阻隔與遮蔽磁場之多層紡織結構
Zhu et al. Highly efficient inorganic-coated FeSiAl/biotite soft magnetic composites
KR101354340B1 (ko) 모바일 기기의 플립형 파우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모바일 기기 케이스
JP2970297B2 (ja) 高抵抗磁気シールド材
WO2009142415A3 (ko) Tv, 컴퓨터, 휴대전화기, 무선전화기, 안경, 보안면 및 화면보안기의 전자파 차폐
CN102690468A (zh) 薄型射频噪声抑制材料及其制备方法
JPH0244606A (ja) 磁気及び電子遮蔽用並びに永久磁石用複合材料
JP2013017108A (ja) 携帯電話のアンテナ構造
JP5453036B2 (ja) 複合磁性体
CN113542969B (zh) 一种磁屏蔽结构及电子设备
WO2021212305A1 (zh) 一种磁屏蔽结构及电子设备
KR20140139783A (ko)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3183887U (ja) 電磁波シールドの貼り付けシート
KR101576155B1 (ko)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5332919A (ja) デジタル機器の筐体とその製造方法
JP2696771B2 (ja) 磁気シールド格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