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146B1 -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 Google Patents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146B1
KR101354146B1 KR1020120021589A KR20120021589A KR101354146B1 KR 101354146 B1 KR101354146 B1 KR 101354146B1 KR 1020120021589 A KR1020120021589 A KR 1020120021589A KR 20120021589 A KR20120021589 A KR 20120021589A KR 101354146 B1 KR101354146 B1 KR 10135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ow
pair
wire
mai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421A (ko
Inventor
부해룡
강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2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14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2Bucket gr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2Grabs actuated by two or more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4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E02F3/47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with grab bu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중심선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작업시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파쇄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는, 골격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0) 및 후면프레임(102)과;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어, 다수의 롤러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10)과; 상하로 유동하는 유동프레임(120)과; 한 쌍의 버켓(130)과; 상기 한 쌍의 버켓(130)과 유동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연결가이드(140)와;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주와이어(150)와; 상기 주와이어(150)의 유동을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112,114,116,122,124,126)와; 주와이어(150)와 보조와이어(170)의 센터링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수단(160)과; 상기 조절수단(160)에 일단이 연결되는 보조와이어(17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센터링 기능과 파쇄기능이 부가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Grab device for soil excavation having auto-centering function}
본 발명은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중심선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작업시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파쇄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토목용 지질장비 중 굴착 후 지반 내에 존재하는 토사 및 슬러지를 퍼 담는 기능을 가진 그라브(Grab)는 크레인 와이어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주와이어와 보조와이어의 각각의 상하 운동으로 그라브의 버켓(Bucket)이 열리고 닫히는 기능을 하여 토사를 지상으로 꺼내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그라브 장치에 의하면, 그라브의 무게중심과 와이어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주로, 주와이어와 보조와이어가 중심선의 좌우에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됨) 기울어진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작업시 좌우 유동이 발생하여 상하 운동시 내벽에 부딪힘이 잦아 충격으로 인한 고장이 빈번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그라브장치는 땅속의 토사 등을 담는 기능만 가지므로, 땅속으로 들어갈 때 연암(부드러운 바위)나 딱딱한 흙더미 등과 부딪히는 경우에는 작업이 불가한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구조에서는 버켓(Bucket)이 열리면서 몸체(프레임)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러한 충격 때문에 버켓과 몸체부분의 파손이 발생하여 내구연한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와이어와 보조와이어가 번갈아가면서 장치의 무게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좌우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암이나 굳어진 토사를 파쇄하는 기능이 부가되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켓(Bucket)의 열림시 몸체(프레임)와의 충돌에 의해 파손이 방지되도록 별도의 보강판이 더 부가되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는,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면프레임의 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반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어, 다수의 롤러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하로 유동하는 유동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버켓과; 상기 한 쌍의 버켓과 유동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유동프레임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버켓이 버켓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연결가이드와; 상기 유동프레임의 상하 유동을 강제하여, 상기 한 쌍의 버켓이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주와이어와; 상기 하부프레임과 유동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의 유동을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유동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주와이어와 하기의 보조와이어의 센터링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조절수단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유동프레임의 상하 유동 중심을 조절하는 보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전후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판의 회전 중심이 되는 조절축과; 상기 유동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고정롤러와; 상기 조절판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와 선택적으로 간섭을 일으키는 조절롤러와; 상기 보조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조절판에 연결되도록 하는 조절연결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주와이어의 끝단이 고정 장착되는 와이어고정단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고정단에 고정된 주와이어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유동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에 걸어지고,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해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버켓이 좌우로 열려지는 경우에 서로 접촉하는 상기 하부프레임 또는 버켓에는 보강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버켓이 열리고 닫히는 것을 조절하는 주와이어와 보조와이어가 선택적으로 장치의 상하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자동으로 무게중심선(상하 중심선)과 주와이어 또는 보조와이어의 위치가 맞춰지게 되므로 자동으로 센터링(centering) 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장치가 토사를 퍼내기 위해 땅속으로 진입하거나 작업 도중에도 좌우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장비의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버켓 중심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해머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그라브장치가 땅속으로 진입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경우에 연암이나 굳어진 토사를 파쇄하는 기능이 부가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흙과 같은 슬러지를 퍼내는 기능 외에 연암이나 굳어진 토사를 파쇄하는 기능까지도 함께 가지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버켓과 하부프레임의 접촉부위에 별도의 보강판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버켓이나 기타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수명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부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켓이 닫혀진 상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켓이 닫혀진 상태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켓이 열려진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켓이 닫혀진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의 일 실시예가 상부사시도와 하부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그라브장치의 정면도와 우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켓이 닫혀진 상태의 그라브장치의 정면도와 우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켓이 열려진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및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켓이 닫혀진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및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는,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 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반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102)과,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어 다수의 롤러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유동프레임(12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버켓(130)과,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버켓힌지(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연결가이드(140)와,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하 유동을 강제하여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주와이어(150)와,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유동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150)의 유동을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112,114,116,122,124,126)와, 주와이어(150)와 보조와이어(170)의 센터링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수단(160)과, 상기 조절수단(160)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하 유동 중심을 조절하는 보조와이어(1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Figure 112012017191714-pat00001
Figure 112012017191714-pat00002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102)은, 상기 전면프레임(100)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프레임(100)의 후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의 상단에는, 다수의 연결봉(104)이 구비되어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이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의 좌우 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측면판(106)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의 하단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하부프레임(110)은, 상측으로는 다수의 하롤러(112,114,11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하측으로는 상기 버켓(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에는 상기 주와이어(150)가 걸어지는 다수의 하롤러(112,114,116)와, 상기 주와이어(150)의 끝단이 고정 장착되는 와이어고정단(118)이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면 우측 전반부에는 상기 주와이어(150)의 끝단이 고정 연결되는 와이어고정단(11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1롤러(112)와 하2롤러(114) 및 하3롤러(116)가 각각 장착되며, 이러한 하롤러(112,114,116)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와이어(150)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전반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2롤러(114)가 설치되고, 후반부 우측에는 하1롤러(112), 그리고 후반부 좌측에는 하3롤러(116)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 사이에는 상기 유동프레임(120)이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150)를 상방으로 당기거나 놓는 동작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유동프레임(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전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유동하며, 상단에는 상기 조절수단(160)이 결합되고, 다수의 상롤러(122,124,126)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상1롤러(122)와 상2롤러(124)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상3롤러(126)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롤러(122,124,126)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와이어(150)가 감겨져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버켓(130)은, 내부의 공간에 흙이나 연암 등과 같은 내용물을 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하측에 회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켓(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버켓(130)에는, 다수의 힌지가 구비된다. 즉, 상기 버켓(1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버켓힌지(132)와, 상기 연결가이드(14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하힌지(134) 등이 구비된다.
상기 버켓(13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하측으로는 상기 한 쌍의 버켓(130)에 구비되는 버켓힌지(132)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판(136)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136)이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편(138)이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판(136)의 좌우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편(138)은, 상기 연결판(136)의 하부를 감싸도록 '∪'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편(138)의 하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해머(200)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가이드(140)는, 좌우에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버켓(130)과 유동프레임(120)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가이드(140)는,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버켓힌지(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가이드(140)의 상단은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하단 좌우에 연결된다. 즉,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하단 좌우에는 상힌지(128)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가이드(140)의 상단은 이러한 상힌지(12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주와이어(150)는,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하 유동을 강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회전하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고정단(118)에 끝단이 고정된 주와이어(150)는,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유동프레임(12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112,114,116,122,124,126)에 걸어지고, 아래에서 설명할 한 쌍의 고정롤러(164)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와이어고정단(118)에서 시작된 주와이어(150)는, 먼저 상기 상3롤러(126)에 걸어지게 되고, 이어 하측의 하3롤러(116)에 걸어진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상2롤러(124)에 걸어지고 연이어 상기 하2롤러(114)에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1롤러(122)에 걸어진 다음 다시 하측의 하1롤러(112)에 걸어진 다음 상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수단(160)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수단(160)의 상측으로 연결된 주와이어(150)가 크레인 등의 외력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주와이어(150)의 하단(끝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동프레임(12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유동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10)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수단(160)은, 상기 주와이어(150)가 통과하면서 간섭되는 부분으로,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조절수단(160)은, 상기 주와이어(150)와 보조와이어(170)의 센터링(centering)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와이어(170)는, 상기 조절수단(160)에 일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수단(160)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하여 조절수단(160)에 의해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유동 중심이 상하로 일정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절수단(160)은, 전후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판(162)과, 상기 조절판(162)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판(162)의 회전 중심이 되는 조절축(163)와,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150)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고정롤러(164)와, 상기 조절판(16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150)와 선택적으로 간섭을 일으키는 조절롤러(166)와, 상기 보조와이어(170)의 일단이 상기 조절판(162)에 연결되도록 하는 조절연결단(16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판(1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절축(163)은,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판(162)이 회전가능하도록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롤러(1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단에 쌍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한 쌍의 고정롤러(164) 사이를 상기 주와이어(150)가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164)는 회전 가능한 롤러(rolle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롤러(1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162)의 상단에 형성되고, 우측에는 상기 주와이어(150)가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즉, 상기 주와이어(150)가 상방으로 당겨지는 경우에는 상기 주와이어(150)에 의해 상기 조절롤러(166)가 좌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상기 조절판(162)이 조절축(16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조절연결단(168)은, 상기 조절판(162)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보조와이어(170)의 하단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하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해머(20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버켓(130) 사이의 중앙부에는 파쇄형 비트 기능을 가지는 해머(20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편(138)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해머(200)가 형성된다.
상기 해머(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형성되며,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해머(200)는, 연암이나 토사의 파쇄 및 토굴이 쉽게 가능하도록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반부보다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해머(200)는, 상기 버켓(130)으로 땅속의 흙 등을 긁어내려 할 경우에, 상방으로 돌출한 흙더미나 연암(부드러운 암석) 등이 있으면 이를 파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해머(200)가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연암이나 흙더미가 충돌에 의해 파쇄되어 상기 버켓(130)에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좌우로 열려지는 경우에 서로 접촉하는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버켓(130)에는 보강판(21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부딪히게 되므로, 하부프레임(110)의 좌우면이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버켓(130)이 충돌 부위에는 사용빈도가 잦아짐에 따라 뭉개짐 또는 파손이나 손실이 일어나게 되므로, 이 부분에 보강판(210)을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하단 좌우와, 상기 버켓(130)의 좌우 상단부(도 4에서)에는 각각 보강판(2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판(210)은, 상기 버켓(130)과 하부프레임(110)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마모성이 강한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강판(210)은, 탄성재질이나 충격흡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버켓(130)이 완전히 벌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버켓(130)과 하부프레임(110)의 충돌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충돌로 인한 파손과 내구성 향상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보강판(210)을 더 구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a 내지 도 3과 도 6 및 도 7과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버켓(130)이 열려진 상태이다.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와이어(170)가 상방으로 당겨지며, 상기 주와이어(150)를 당기는 힘(크레인 등에 의한 외력)은 제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주와이어(150) 또는 보조와이어(170)를 당기거나 느슨하게 하는 것은 사용자가 크레인이나 활차 등 외부의 힘을 이용하여 제어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특징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와이어(170)에 연결된 조절판(162)이 도 7에서와 같이 바로 세워지게 되고, 상기 주와이어(15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164)를 통과한 상태로 느슨하게 되어 상기 조절롤러(166)의 우측을 지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보조와이어(170)가 본 발명에 의한 그라브장치의 상하 중심선을 지나게 된다. 따라서, 좌우 균형이 자동적으로 유지되므로 좌우로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때는 상기 조절수단(160)이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동프레임(12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프레임(12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간격은 최대로 멀어지게 된다.
상기 유동프레임(12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유동프레임(120)의 하단과 버켓(130)의 하힌지(134)가 연결가이드(1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켓(130)이 버켓힌지(13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즉, 우측의 버켓힌지(13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의 버켓힌지(1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버켓(130)이 서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열려진 상태에서 땅속의 흙이나 자갈 등의 파쇄물을 긁어 모으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닫혀져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주와이어(150)가 상방으로 당기고, 상기 보조와이어(170)를 당기는 힘은 제거한다.
상기 주와이어(150)가 상방으로 당겨지고 상기 보조와이어(170)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이때에는 상기 주와이어(150)가 상기 고정롤러(164) 사이를 상하로 수직으로 관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라브장치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도 4 및 도 5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 및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와이어(150)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주와이어(150)가 상하로 팽팽하게 긴장되므로, 상기 조절판(162)의 조절롤러(166)를 좌측으로 밀게 되고(도 9 참조), 이러한 주와이어(150)의 장력은 하1롤러(112)와 상1롤러(122) 그리고, 하2롤러(114)와 상2롤러(124) 및 하3롤러(116)와 상3롤러(126)를 차례로 전달된 다음 최종적으로 상기 주와이어(150)의 끝단이 고정된 하부프레임(110)의 와이어고정단(118)에 전달된다.
이처럼 상기 주와이어(150)의 끝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프레임(110)의 상기 전면프레임(100) 및 후면프레임(10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주와이어(150)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상롤러(122,124,126)가 고정된 유동프레임(120)이 하측으로 슬라이딩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유동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유동프레임(120)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됨에 따라 상기 연결가이드(140)도 점차 하측으로 함께 이동한다.
상기 연결가이드(140)의 하측 이동에 따라 연결가이드(140)의 하단에 연결된 버켓(130)의 하힌지(134)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므로,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은 서로 닫혀지게 된다. 즉, 우측의 버켓(1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의 버켓(1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양측 버켓(130)이 서로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측의 버켓(130)이 닫혀지게 되면, 땅속 하부의 흙이나 파쇄물이 한 쌍의 버켓(130) 사이에 들어가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흙이나 이물질이 담겨져 지상으로 배출되고 나면, 다시 상기 주와이어(150)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고, 보조와이어(170)를 상방으로 당겨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서로 열리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롤러(112,114,116,122,124,126)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롤러(112,114,116,122,124,126)의 설치위치나 설치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축(163)이 조절판(162)의 하단 우측부분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조절수단(160)이 자동적으로 주와이어(150) 또는 보조와이어(170)가 상하 중심선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 상기 조절축(163)을 조절판의 좌측부분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조절판(162)의 형상 변경도 다양하게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해머(200)가 상기 지지편(138)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지지편(138)과 연결판(136)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연결판(136)에 형성되도록 하는 등의 변경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해머(200)가 본 발명에 의한 그라브장치가 땅속의 흙이나 파쇄물을 제거하기 위해 하측으로 내려오다가 연암이나 흙더미를 파쇄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한, 다양하게 설치위치나 형상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실시에에서는 상기 보강판(210)이 하부프레임(110)가 버켓(130)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보강판(210)이 하부프레임(110)이나 버켓(130)의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보강판(210)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재질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전면프레임 102. 후면프레임
110. 하부프레임 120. 유동프레임
130. 버켓 140. 연결가이드
150. 주와이어 160. 조절수단
170. 보조와이어 200. 해머
210. 보강판

Claims (5)

  1.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면프레임(100)의 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반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102)과;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어, 다수의 롤러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102) 사이에 구비되며, 상하로 유동하는 유동프레임(12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버켓(130)과;
    상기 한 쌍의 버켓(130)과 유동프레임(120)을 연결하여,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버켓힌지(13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연결가이드(140)와;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하 유동을 강제하여,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주와이어(150)와;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유동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150)의 유동을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112,114,116,122,124,126)와;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주와이어(150)와 하기의 보조와이어(170)의 센터링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수단(160)과;
    상기 조절수단(160)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주와이어(150)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그라브장치의 상하 중심선을 지나게 되어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서로 열리도록 하는 보조와이어(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160)은,
    전후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절판(162)과;
    상기 조절판(162)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판(162)의 회전 중심이 되는 조절축(163)와;
    상기 유동프레임(1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150)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고정롤러(164)와;
    상기 조절판(16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와이어(150)와 선택적으로 간섭을 일으키는 조절롤러(166)와;
    상기 보조와이어(170)의 일단이 상기 조절판(162)에 연결되도록 하는 조절연결단(1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10)에는, 상기 주와이어(150)의 끝단이 고정 장착되는 와이어고정단(118)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고정단(118)에 고정된 주와이어(150)는,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유동프레임(120)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112,114,116,122,124,126)에 걸어지고, 상기 한 쌍의 고정롤러(164)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하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해머(20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버켓(130)이 좌우로 열려지는 경우에 서로 접촉하는 상기 하부프레임(110) 또는 버켓(130)에는 보강판(21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KR1020120021589A 2012-03-02 2012-03-02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KR10135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589A KR101354146B1 (ko) 2012-03-02 2012-03-02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589A KR101354146B1 (ko) 2012-03-02 2012-03-02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421A KR20130100421A (ko) 2013-09-11
KR101354146B1 true KR101354146B1 (ko) 2014-01-27

Family

ID=4945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589A KR101354146B1 (ko) 2012-03-02 2012-03-02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9449B (zh) * 2013-12-16 2016-02-10 北京市三一重机有限公司 连续墙抓斗
KR102192275B1 (ko) * 2019-07-09 2020-12-17 손재방 치수 가변 굴착용 월그래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2477A1 (de) 1989-08-05 1991-02-13 Bauer Spezialtiefbau GmbH Zwangsgeführter Schlitzwandgreifer
JPH05311971A (ja) * 1992-05-13 1993-11-22 Tomio Ota 掘屑処理手段への運動伝達機構
JPH09316917A (ja) * 1996-05-24 1997-12-09 Minami Tekkosho:Kk 開閉式作業具
JPH10195914A (ja) * 1997-01-13 1998-07-28 Minami Tekkosho:Kk 開閉式作業具を有する作業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2477A1 (de) 1989-08-05 1991-02-13 Bauer Spezialtiefbau GmbH Zwangsgeführter Schlitzwandgreifer
JPH05311971A (ja) * 1992-05-13 1993-11-22 Tomio Ota 掘屑処理手段への運動伝達機構
JPH09316917A (ja) * 1996-05-24 1997-12-09 Minami Tekkosho:Kk 開閉式作業具
JPH10195914A (ja) * 1997-01-13 1998-07-28 Minami Tekkosho:Kk 開閉式作業具を有する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421A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741B1 (ko) 오거 스크류용 토사 제거장치
CN113174961B (zh) 一种基坑边坡支护方法
CN102383421A (zh) 一种同步取土浇注桩体振动沉拔管底端排土成桩装置及方法
KR101354146B1 (ko) 오토센터링기능을 가지는 토사굴착용 그라브장치
JP5773523B2 (ja) 現場造成杭の構築装置および現場造成杭の構築方法
KR102299439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JP2007291632A (ja) 杭頭部のコンクリート処理方法
JP2002121727A (ja) 鋼製スリットダム構造
JP4949756B2 (ja) 拡径掘削用バケット
ES2794871T3 (es) Métodos y aparatos para la compactación de suelo y materiales granulares
JP5041960B2 (ja) 余盛りコンクリートの処理方法と余盛りコンクリート処理具
JP6684314B2 (ja) 橋脚撤去工法
KR102215187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KR101234753B1 (ko) 토류패널
US2304845A (en) Road breaker
JP4112921B2 (ja) 線路間の作業に用いる仮設構台
KR101756778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지반보강용 교반혼합장치
KR200398533Y1 (ko) 건설시공용 파일
KR100920108B1 (ko) 토사 공급 장치
KR20170001821A (ko) 스크류파일의 시공장치
KR100402438B1 (ko) 교량의 교각 기초의 터파기 굴착 장치
JP6050172B2 (ja) 斜め土留め壁形成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515302B1 (ko) 버켓 조절장치가 설치된 굴삭기용 버켓
JP7129959B2 (ja) 立坑工事用の作業床
JP7179678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