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441B1 - 음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음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441B1
KR101353441B1 KR1020120085295A KR20120085295A KR101353441B1 KR 101353441 B1 KR101353441 B1 KR 101353441B1 KR 1020120085295 A KR1020120085295 A KR 1020120085295A KR 20120085295 A KR20120085295 A KR 20120085295A KR 101353441 B1 KR101353441 B1 KR 10135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spension
protector
acoustic transducer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호
김지훈
권중학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2008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441B1/ko
Priority to PCT/KR2013/006832 priority patent/WO20140216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Abstract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측면에 통풍구를 형성한 음향변환장치에서, 측면의 통풍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자기 회로,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및 보이스 코일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부, 프레임의 일부가 삭제되어 형성되며, 프레임을 측방으로 관통하여 공기가 드나들도록 형성되는 통풍홀 및 프레임과 결합되어 프레임 상부를 덮어주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통풍홀을 가려주는 가림부를 구비하는 탑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향변환장치{SOUND TRANSDUCER}
본 발명은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풍홀을 프레임에서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의 상부에 측방으로 공기가 드나들도록 형성하여 통풍홀의 형성에 의해 자기 회로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통풍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텍터에서 연장된 부분이 통풍홀을 가려줄 수 있는 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음형변환장치(스피커)는, 프레임(1)과, 프레임(1)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요크(2)와, 요크(2)로 자속을 전달하거나 요크(2)로부터 자속을 전달받는 내륜 마그네트(3) 및 외륜 마그네트(4)와, 내륜 마그네트(3) 또는 외륜 마그네트(4)로부터 자속을 전달받아 보이스코일(7)에 직각으로 자속이 전달되도록 하는 내륜 탑플레이트(5) 및 외륜 탑플레이트(6)와, 내륜 마그네트(3) 및 내륜 탑플레이트(5)와, 외륜 마그네트(4) 및 외륜 탑플레이트(6) 간의 공극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이스 코일(7), 보이스 코일(7)이 내측에 부착되어 보이스 코일(7)의 상하 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판(8)과, 음방출공(11)이 형성되되 진동판(8)을 보호하는 프로텍터(1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이스코일(7)의 인출선은 진동판(8)의 저면에 선갈이 본드를 사용하여 부착고정되며, 프레임(1)의 측면을 관통하여 또는 프레임(1)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프레임(1)의 외부 측면을 따라 터미널(14)에 각각 납땜된다.
음향변환장치에 있어 통풍구는 진동판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세트 내 또는 모듈내부의 공기를 진동판 후면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진동판이 장치 밖으로 움직일 때 장치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진동판의 움직임에 저항하려 할 때 인클로져 모듈 또는 세트의 내부에서 공기가 통풍홀을 통해 유입되어 진동판에 저항력을 낮추어 준다. 반대로 진동판이 장치 내부로 움질일 때 장치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진동판움직임에 저항하려 할 때 장치 내부의 공기를 통풍홀을 통해 모듈 또는 세트로 유출시켜 진동판의 저항력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풍구는 그 크기가 작아 질수록 공기의 유입이 어려워 비교적 진폭이 큰 공진주파수 부근에서의 진동특성을 떨어트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풍구는 음향변환 장치에 있어 일반적으로 후면에 위치하며 자기회로의 외각에 존재한다. 따라서 자기회로의 크기가 음향특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소형 마이크로스피커에 있어서 통풍구의 크기는 자기회로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자기회로의 사이즈가 커지려면 통풍구의 사이즈가 작아져야 하고 통풍구의 사이즈가 커지려면 자기회로의 사이즈가 작아져야 한다.
또한 후면에 통풍구가 형성된 제품의 경우 세트나 모듈 조립시 조립을 위한 가이드 리브에 의해 통풍구가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 음향특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해서 음향제품의 통풍구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클로져 모듈에 적용되거나 세세트 조립되었을 때 통풍구의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 음특성이 저하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자기회로 사이즈에 독립적인 통풍홀 구조를 제안하고 인클로져 또는 세트에 조립되었을 때 공기의 유로를 억제하지 않고, 자기회로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도록 제품의 측면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자기회로 사이즈를 크게 하더라도 통풍구의 사이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측면에 통풍구를 형성한 음향변환장치에서, 측면의 통풍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부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자기 회로,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및 보이스 코일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부, 프레임의 일부가 삭제되어 형성되며, 프레임을 측방으로 관통하여 공기가 드나들도록 형성되는 통풍홀 및 프레임과 결합되어 프레임 상부를 덮어주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통풍홀을 가려주는 가림부를 구비하는 탑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통풍홀은 프레임 측벽의 외측 일부 및 상면 일부가 삭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프레임 측벽은 탑 프로텍터의 가림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는 제품의 측면에 통풍홀을 형성하여 세트 또는 모듈에 적용시 유로의 흐름을 원할 하게 하여 공진주파수 부근에서 충분한 진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음향변환장치는 프로텍터가 통풍홀을 가려주는 가림부를 구비하여 통풍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로텍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진동부와 프레임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프레임(100), 프레임(100) 내에 설치되며, 요크(210), 내륜 마그네트(220), 내륜 탑플레이트(230), 외륜 마그네트(240), 외륜 탑플레이트(250)로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200), 보이스 코일(310), 서스펜션(320), 센터 진동판(330) 및 사이드 진동판(340)으로 이루어지는 진동부(300), 프레임(100)에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프로텍터(4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00) 내에는 요크(210), 내륜 마그네트(220), 내륜 탑플레이트(230), 외륜 마그네트(240), 외륜 탑플레이트(250)로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200)가 설치된다. 프레임(100)에는 탑플레이트(230, 250)보다 상부에 형성되며, 프레임(100)을 측방으로 관통하여 공기가 드나들도록 형성되는 통풍홀(120)이 형성된다. 통풍홀(120)이 외륜 탑 플레이트(250)보다 상부에 측방으로 관통하여 공기가 드나들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통풍홀이 프레임(100)에서 외륜 마그네트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종래 기술에 비해 외륜 마그네트(250)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100)은 측벽을 구비하여 프레임(100)의 하부에 요크(210)가 결합되고, 프레임(100)의 상부에 프로텍터(400)가 결합되어 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110)을 정의한다. 내부 공간(110) 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륜 마그네트(220), 내륜 탑플레이트(230), 외륜 마그네트(240), 외륜 탑플레이트(250)로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200), 보이스 코일(310), 서스펜션(320), 센터 진동판(330) 및 사이드 진동판(340)으로 이루어지는 진동부(300)가 설치된다. 외륜 마트네트(240)와 외륜 탑플레이트(250)는 프레임(100)의 사출 성형 시에 인서트 사출성형 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자기회로와 진동부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400)가 결합된다. 프로텍터(4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본체(410)와, 본체(4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통풍홀(120)을 가려주는 가림부(420)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100)은 측벽(121)과 측벽(12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내부 공간(110)을 포함한다. 측벽(121)의 하부는 자기 회로의 인서트 사출 시에 자기 회로를 감싸는 본체이며, 측벽(121)의 상부는 본체로부터 돌출된 부분이며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과 같은 진동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단(111)이다. 즉, 안착단(111)은 자기 회로(200)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과 자기 회로(20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안착단(111)의 모서리 부분에는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의 고정을 돕도록 소정 높이 돌출된 보스(112)가 형성된다. 보스(112)는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의 각 모서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의 각 모서리와 보스(112)가 맞물려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의 위치를 고정하기 용이하다. 한편 보스(112)가 돌출되는 높이는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가 안착단(111) 상에 위치된 때에 그 적층된 높이와 서로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텍터(400)는 보스(112)의 상부와 사이드 진동판(340)의 상부에 위치되는데, 보스(112)와 사이드 진동판(340)의 테두리의 높이가 서로 같아야 프로텍터(400)가 안정적으로 모든 테두리가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다. 또한 프로텍터(400)가 사이드 진동판(340)과 서스펜션(320)을 눌러주어 지지하는 역할도 해줄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110)에 설치된 자기 회로(200)와 진동부(300)를 서로 이격시키며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을 안착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안착단(111)의 형태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이때, 각 돌출부(110)의 단면의 형상이나 넓이는 서로 달라질 수 있으나, 진동부(300)의 설치를 위해 각 돌출부(110)의 돌출 높이는 모두 서로 같게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프레임(100)은 외륜 마그네트(240)와 외륜 탑플레이트(250)가 인서트 사출될 경우, 외륜 마그네트(240)와 외륜 탑플레이트(2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외륜 탑플레이트(250)의 상부를 덮는 이탈방지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안착단(111)의 모서리 중에서 선택된 일부 모서리에는 내부 터미널(114)이 마련되어, 보이스 코일(310)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 터미널(114)에는 보이스 코일(310)의 인출선이 직접 납땜될 수도 있고, 서스펜션(320)에 보이스 코일(310)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도전성 박막이 구비된 경우, 도전성 박막이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측벽(121)은 외측 일부가 삭제되어 통풍홀(120)이 형성된다. 측벽(121)은 자기 회로(200)의 둘레에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 및 자기 회로(200)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어 진동부(300)의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이 안착되는 안착단(111)으로 이루어진다. 안착단(111) 상에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이 안착됨으로써, 서스펜션(320) 및 사이드 진동판(340)과 자기 회로(200) 사이의 간격이 확보되어 서스펜션(320) 및 사이드 진동판(340)이 진동할 수 있는 진동 공간이 마련된다.
통풍홀(120)은 본체의 외측 일부가 삭제되어 형성된 홈부(122)와, 안착단(111)의 일부가 전체 두께만큼 삭제된 관통부(125)에 의해 형성된다. 즉, 통풍홀(120)은 외륜 마그네트(240) 및 외륜 탑플레이트(250)가 사출 성형된 부분인 프레임(100)의 본체는 측벽(121)의 외측 일부 두께만이 삭제된 형태이고, 외륜 마그네트(240) 및 외륜 탑플레이트(250)보다 상부에 형성된 안착단(111) 부분은 안착단(1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까지 두께 전부가 삭제된 형태이다. 한편 측벽(121)에는 홈부(122)의 좌우로 프로텍터(400)의 가림부(420)를 안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홈(124)이 형성된다. 수용홈(124)의 깊이는 프로텍터(400)의 가림부(420)의 두께와 같도록 하여, 가림부(420)가 수용홈(124)에 수용된 이후 가림부(420)와 프레임(100)의 측벽(121)이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회로(200)와 보이스 코일(310)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부(300)가 진동될 때, 진동부(300)의 진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통풍홀(120)을 통해 공기가 드나들게 된다. 공기는 안착단(111)이 삭제된 부분과 측벽(121)의 외측 일부를 삭제한 홈부(122)를 통해 드나들게 된다. 안착단(111)이 삭제된 부분은 가림부(42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이물질이 내부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통풍홀(120)이 네 군데의 측벽(121)에 모두 마련되어 있으나, 음향변환장치의 설치 위치나, 음향변환장치와 인클로져의 구조에 따라서 한 군데의 측벽(121)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통풍홀(120)은 1 방향 내지 4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프레임(100)에서 자기 회로(200)보다 상부에 프레임(100)의 측방을 관통하도록 통풍홀(120)이 형성되기 때문에, 진동부(300)의 크기와 무관하게 자기 회로(200)의 크기, 즉, 외부 마그네트(240)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기 회로(200)의 크기를 키움으로써, 전자기력을 증대시켜 음향변환장치의 음향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측방을 관통하도록 통풍홀(120)을 형성하면서, 통풍홀(120)의 일부는 안착단(111)의 일부가 두께가 전부 삭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안착단(111)이 삭제된 부분을 통해 이물질이 내부 공간(1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프로텍터(400)의 일부가 연장되어 하부로 절곡되어 통풍홀(120)을 가려주는 가림부(420)를 형성함으로써, 통풍홀(120)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 번호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100)은 측벽(121)의 하단부는 외측이 일부 두께만큼 삭제되어 상부와 단차를 이루는 단차부(130)를 형성한다. 음향변환장치가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장치에 설치되었을 때, 단차부(130)는 통풍홀(120)을 통해 유출입한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사이드 진동판(320)은 돔의 돌출 방향이 하방이며, 따라서 서스펜션(340)의 하부에 부착된다는 차이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로텍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프로텍터(400)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음향변환장치의 프로텍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110)에 설치된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본체(410)와, 본체(41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통풍홀(120)을 가려주는 가림부(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프로텍터(400)는 가림부(420)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가림부(420)와 본체(410)의 접합부(430)에서 본체(410)의 일부가 삭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로텍터(400)는 서스펜션(320)의 연결부(328)가 프레임(100)의 내부 터미널(114)과 납땜될 때, 연결부(328)와 프로텍터(400)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의 일부가 삭제된 삭제부(440)를 구비한다. 삭제부(440)에 의해 프로텍터(400)가 내부 터미널(114)과 FPCB로 이루어진 서스펜션(320)의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납땜이 되는 연결부(328)를 덮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100)의 안착단(111)에 진동부(300)를 설치한 다음, 프로텍터(400)로 진동부(300)를 고정시킨 이후에 연결부(328)와 내부 터미널(114)의 납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프로텍터(400)로 진동부(300)를 덮은 이후 납땜 작업을 할 경우 땜납이 진동부(300)로 튀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110)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측벽(12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가 구비하는 프레임(100)은 외륜 탑플레이트(250)의 상부를 덮는 이탈방지부(113')의 형상, 서스펜션(320)과 사이드 진동판(340)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보스(112', 112")의 형상, 상기에서 설명한 측벽(121)의 하단부는 외측이 일부 두께만큼 삭제되어 상부와 단차를 이루는 단차부(130)의 존재 및 후술할 가이드 핀 홀(160)의 존재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프레임(100)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은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프로텍터(400)는 보스(112')의 상부에 설치되지 않으며, 서스펜션(320) 및 사이드 진동판(340)과 마찬가지로 보스(112', 112")에 의해 설치 위치만 가이드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스(112', 112")는 내부 터미널(114)이 형성된 측의 보스(112')와, 형성되지 않은 측의 보스(112")의 형상이 다소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내부 터미널(114)이 형성된 모서리에서 내부 터미널(114)보다 내측에 가이드 핀 홀(160)이 형성된다. 가이드 핀 홀(160)은 내부 터미널(114)과 서스펜션(320)의 연결부(328)의 납땜 시에 과다한 땜납을 자연스럽게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이다. 그에 따라서 납땜 시에 납볼이 서스펜션(320)의 연결부(328)가 아닌 다른 부분에 닿아 통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진동부와 프레임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프로텍터(400)의 모서리가 서스펜션(320)과 내부 터미널(114)의 연결부와 통전되지 않도록 삭제되어 있기 때문에, 서스펜션(320)의 외주부가 종래의 음향변환장치와 마찬가지로 안착단(111) 상에만 안착되도록 형성될 경우, 서스펜션(320)의 외주부와 프로텍터(400)의 삭제부(440; 도 8 참조)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변환장치는, 서스펜션(320)의 모서리 중 연결부(328)가 형성된 모서리는 프로텍터(400)의 삭제부(440)보다 프로텍터(400)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329)를 구비한다. 따라서 연장부(329)의 가장자리와 프로텍터(400)의 가장자리가 서로 겹쳐지면서, 이물질이 내부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측벽을 구비하는 프레임;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자기 회로;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및 보이스 코일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부;
    프레임의 일부가 삭제되어 형성되며, 프레임을 측방으로 관통하여 공기가 드나들도록 형성되는 통풍홀; 및
    프레임과 결합되어 프레임 상부를 덮어주는 본체 및 본체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통풍홀을 가려주는 가림부를 구비하는 탑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측벽은 자기 회로의 둘레에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진동판과 자기 회로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자기회로보다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진동판이 안착되는 안착단을 포함하며,
    통풍홀은, 본체의 외측이 일부 두께만큼 삭제된 홈부와 안착단이 두께 전체가 삭제된 관통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측벽은 탑 프로텍터의 가림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측벽의 하단부는 외측이 일부 두께만큼 삭제되어 상부와 단차를 이루는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프로텍터는, 가림부와 본체의 접합부는, 가림부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의 일부가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진동부는 FPCB로 이루어져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진동판의 진동을 안내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며,
    프레임은, 모서리에 내부 터미널을 구비하며,
    서스펜션은 내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프로텍터가 내부 터미널과 서스펜션의 연결부와 통전되지 않도록 모서리가 삭제된 삭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모서리 부분이 프로텍터 모서리와 겹쳐지도록 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진동부는 FPCB로 이루어져 보이스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진동판의 진동을 안내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며,
    프레임은, 모서리에 내부 터미널을 구비하며,
    서스펜션은 내부 터미널과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프레임은 내부 터미널이 구비된 모서리에, 내부 터미널과 서스펜션의 납땜 시 과다한 땝남을 수용하는 가이드 핀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변환장치.
KR1020120085295A 2012-08-03 2012-08-03 음향변환장치 KR10135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95A KR101353441B1 (ko) 2012-08-03 2012-08-03 음향변환장치
PCT/KR2013/006832 WO2014021608A1 (ko) 2012-08-03 2013-07-30 음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95A KR101353441B1 (ko) 2012-08-03 2012-08-03 음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441B1 true KR101353441B1 (ko) 2014-01-22

Family

ID=5002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295A KR101353441B1 (ko) 2012-08-03 2012-08-03 음향변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3441B1 (ko)
WO (1) WO201402160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35B1 (ko) * 2014-04-04 2015-07-23 주식회사 이엠텍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614707B1 (ko) * 2014-11-27 2016-04-25 주식회사 이엠텍 통풍 구조를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1635525B1 (ko) * 2014-12-31 2016-07-05 주식회사 이엠텍 스프링 터미널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9079B2 (en) 2016-03-28 2019-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panel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CN206820997U (zh) * 2017-04-27 2017-12-29 歌尔股份有限公司 用于扬声器模组的壳体、扬声器模组以及电子设备
WO2019148452A1 (zh) * 2018-02-02 2019-08-08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扬声器组件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676A (ja) * 2001-10-30 2003-05-16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19915B1 (ko) * 2002-08-30 2004-02-25 주식회사 진영음향 듀얼 서스펜션을 갖는 다이나믹 마이크로 스피커
KR20110062698A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의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변환 장치
KR101222282B1 (ko) * 2011-07-08 2013-01-15 부전전자 주식회사 고출력 마이크로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1236B2 (ja) * 2006-05-29 2011-04-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
KR100930537B1 (ko) * 2009-09-03 2009-12-09 주식회사 블루콤 고출력 진동판 결합 구조를 갖춘 마이크로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676A (ja) * 2001-10-30 2003-05-16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19915B1 (ko) * 2002-08-30 2004-02-25 주식회사 진영음향 듀얼 서스펜션을 갖는 다이나믹 마이크로 스피커
KR20110062698A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의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변환 장치
KR101222282B1 (ko) * 2011-07-08 2013-01-15 부전전자 주식회사 고출력 마이크로 스피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35B1 (ko) * 2014-04-04 2015-07-23 주식회사 이엠텍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614707B1 (ko) * 2014-11-27 2016-04-25 주식회사 이엠텍 통풍 구조를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1635525B1 (ko) * 2014-12-31 2016-07-05 주식회사 이엠텍 스프링 터미널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1608A1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441B1 (ko) 음향변환장치
KR101395050B1 (ko) 통풍 구조를 지닌 음향 변환 장치
US9185494B2 (en)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KR101401281B1 (ko) 측면 방사형 인클로져 스피커
WO2016086756A1 (zh) 微型扬声器
US9716951B2 (en) Acoustic diaphragm and speaker box
CN107396267B (zh) 微型发声器
KR102167436B1 (ko) 코일 구조가 개선된 고압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439915B1 (ko) 좁은 폭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1622156B1 (ko)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리시버
KR101330111B1 (ko) 일체형 스피커
KR101552224B1 (ko) 측면 방사형 마이크로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인클로져스피커
KR101538635B1 (ko)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556525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의 통풍 구조
KR101481649B1 (ko) 마이크로스피커
US10791399B2 (en) Electroacoustic converter, assembly having electroacoustic converter, and electroacoustic converter apparatus having assembly
KR101166727B1 (ko) 음향변환장치
KR101883449B1 (ko) 댐퍼 진동판을 구비한 방수 마이크로 스피커
KR101526198B1 (ko) 통풍홀 구조를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KR101901409B1 (ko) 음향변환장치
KR102576983B1 (ko)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KR102562106B1 (ko) 슬림 스피커
KR101670589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KR20140101921A (ko) 측면 방사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1481650B1 (ko) 진동 모듈을 개선한 마이크로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