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281B1 -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281B1
KR101353281B1 KR1020077012861A KR20077012861A KR101353281B1 KR 101353281 B1 KR101353281 B1 KR 101353281B1 KR 1020077012861 A KR1020077012861 A KR 1020077012861A KR 20077012861 A KR20077012861 A KR 20077012861A KR 101353281 B1 KR101353281 B1 KR 10135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ridge
building
torsional
aerodyn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5873A (ko
Inventor
우웨 슈타로쎄크
Original Assignee
프레이씨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이씨네 filed Critical 프레이씨네
Publication of KR2007008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회전 및/또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역학적 조절부, 스프링을 구비하고 교량 또는 건물에 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진동 또는 비틀림진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진동흡수장치, 상기 공기역학적 조절부와 진동흡수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구속운동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정해진 방향으로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진동, 비틀림진동, 댐퍼, 커플링

Description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DAMPING VIBRATIONS IN A BRIDGE OR A BUILDING}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 건축에 있어 경간(span)을 더욱 크게 하려는 요구가 있다. 즉, 예컨대 90 년대 말 일본에 건축된 Akashi Kaikyo 교량은 거의 2000 m 의 경간을 갖는다. 이탈리아 메시나(Messina)의 해협을 횡단하기 위해 계획된 교량은 3 km 이상의 경간을 가져야만 한다. 이런 극단적인 길이를 갖는 교량의 경우, 이러한 교량의 진동 민감성의 문제가 부각된다. 멀리 팽팽해진 브리지 거더(bridge girder)를 디자인할 때, 특히 중요한 효과는 교량의 소위 흔들림에 대한 안정성이다. 이는 공탄성(aeroelastic)의 현상에 관한 것으로서, 브리지 거더의 자기 유도된(self-induced), 연결된 굽힘 진동 및 비틀림 진동 또는 분리된 비틀림 진동이 발생한다. 자기 유도된 진동은, 예컨대 돌풍에 의해 또는 주기적인 소용돌이에 의해 야기되는 소위 외부에서 유도된 진동과는 달리, 교량의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영향력이다. 교량 또는 건물에 작용하는 공기의 힘은 전체적인 공탄성 시스템의 동적인 특징, 즉 특히 강도 및 댐핑 파라미터에 영향을 끼친다. 이 변화들은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는 바람 속도에서도 나타난다. 바람 속도가 특정한 임계 수치에 도달하면, 브리지 거더의 댐핑은 중지된다. 바람 속도가 계속되는 증가되는 경우, 시스템에는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댐핑이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댐핑에서 작은 초기 이동은 거의 제한되지 않은 진폭과 함께 증가하는 진동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브리지 지지물의 고장을 일으킨다. 임계 바람 속도(Ucr)는 교량의 흔들림에 대한 안정성을 위한 특정 수치이다. 임계 바람 속도는 교량의 감소하는 강도 및 댐핑과 함께 감소한다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큰 경간을 가진 직선 교량은 적은 강도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교량에 대해 흔들림의 문제가 나타난다.
흔들림으로 위험하게 된 브리지 거더를 안정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방법과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능동적인 방법과 수동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조적인 안정화는 구조적인 조치, 예컨대 지지체의 비틀림 강도를 상승시키거나 비스듬한 로프를 추가하는 것에 해당한다. 수동적인 진동 댐퍼로는 질량 댐퍼로 명칭되는, 수동적으로 진동하는 추가 질량체를 고려할 수 있다.
능동적인 진동 댐퍼는, 능동적인 기계적 진동 댐퍼와 능동적인 공탄성 진동 댐퍼로 구분할 수 있다. 후자는, 안정화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브리지 거더 둘레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장을 적합하게 수정하는 접근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예컨대, 브리지 거더에는 측면으로 통풍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통풍기는 지나가는 공기를 통해 안정화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바람의 흐름에 놓여진다(예컨대 EP 0 627 031 B1 참조). 능동적인 기계적 흔들림 조절에서, 예컨대 브리지 거더의 진동의 조절은 추가로 제공된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행해진다.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댐퍼 질량에 의해 브리지 거더 내에서 추가의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된다. 교량 횡단면의 중심에서 회전하는 질량을 통해 브리지 거더를 위해 안정화하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상기 장치들의 단점은 특히 비교적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작동 안정성이 감소되는 것이다.
교량에서 상기 상술된 흔들림의 임계 현상 외에, 건물에서도 비슷한 진동 현상이 나타나며, 건물에서 상기 진동 현상은 갤러핑(galloping)으로 명칭된다. 견고성을 위험하게 하는 이러한 진동 현상 외에, 건물 및 지지물에서는 바람, 교통, 지진 및 그 밖의 외부 영향에 의해 외부에서 유도된 진동이 발생하며, 이 진동은 유용성뿐만 아니라 견고성을 침해할 수 있고, 상기 진동은 마찬가지로 댐핑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유도된(externally-induced) 진동을 간단한 수단 및 가능한 한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높은 작동 안정성으로 억제하고, 자기 유도된(self-induced) 진동(예컨대, 흔들림)을 위한 임계 바람 속도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키도록, 교량 또는 건물 및 지지물에서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비틀림진동뿐만 아니라 특정 방향으로의 진동도 억제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형태는 종속항들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댐핑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공기역학적 조절부(날개 요소 또는 보드)를 구비하며, 이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회전가능하게 및/또는 이동가능하게 교량 또는 건물에 설치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진동흡수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진동흡수장치는 상기 공기역학적 조절부와 운동학적으로 연결된다. 공탄성 댐퍼로도 칭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댐핑하는데에 사용된다. 상기 장치는, 바람 흐름에 놓이며 회전 및/또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역학적 조절부를 구비하며, 이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조절 보드, 움직일 수 있는 에지 또는 날개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진동흡수장치와 구속운동 방식으로 연결된다. 구속운동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움직일 수 있는 기계적 요소들, 예컨대 변속 레버 또는 변속 기어로 이루어진다. 진동흡수장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이 스프링는 사전 결정된 위치로 진동흡수장치에 회복력을 가한다. 진동흡수장치는 진동 능력이 있는 제2차 시스템이며, 상기 제2차 시스템은 교량 또는 건물(주요 시스템)의 진동 특성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진동흡수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질량체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외부의 에너지 공급을 필요로 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개선 형태에서, 진동흡수장치는 날개 요소에 추가적으로 댐퍼를 구비한다. 진동흡수장치는 상기 진동흡수장치의 비교적 적은 질량과 함께 스프링을 통해 및 경우에 따라 댐퍼를 통해 교량 또는 건물, 특히 그 지지물과 연결된다. 그 운동 자유도는 교량 또는 건물과 관련하여 고정적인 극(pole, 즉 중심점) 둘레의 회전 또는 교량 또는 건물에 대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다. 댐핑 효과는 질량의 관성력 및 경우에 따라 추가된 댐퍼 내의 댐핑력에 의해 발생된다. 진동흡수장치 자체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다.
공탄성 댐퍼에서, 진동흡수장치에서 작용하는 관성력 및 댐핑력에 추가적으로, 공기의 유동이 미치는 힘이 공기역학적 조절부 및 교량 또는 건물에서 작용한다. 구속운동 연결을 통해서, 댐퍼의 진동은 공기역학적 조절부에 전달되며, 이로써 공기역학적 조절부의 경사각 및/또는 위치는 마찬가지로 진동하는 방식으로 시간적으로 변화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기역학적 조절부와 교량 또는 건물에 작용하는 공기의 유동(바람)이 미치는 힘은 댐퍼의 진동과 함께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고, 정확한 조정과 충분한 바람 속도에서 교량 또는 건물에 추가의 댐퍼 효과를 부가한다. 공탄성 댐퍼의 댐핑 효과는 진동흡수장치의 관성력 및 댐핑력을 현저히 능가한다. 진동을 부추기는 힘들은 공탄성 댐퍼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지되며, 외부에서 유도된 진동은 억제되고, 자기 유도된 진동(예컨대, 흔들림)을 위한 임계 바람 속도는 상승된다.
댐퍼의 운동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미치는 힘을 조정함과 동시에, 공기역학적 조절부에 작용하는 공기의 유동이 미치는 힘은 존재하는 구속적인 연결을 통해 진동흡수장치의 진동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다. 하지만 이 영향은 장치의 효과를 위해 필요한 것은 아니며,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공기역학적 조절부를 적합하게 설치함으로써 또는 다른 방식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진동흡수장치와 공기역학적 조절부 사이의 연결은, 진동흡수장치의 진동 운동과 공기역학적 조절부의 진동 운동 사이에 진폭 비율, 위상 비율 및/또는 주파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조정은 변화하는 작동 조건들, 예컨대 변할 수 있는 바람 속도에 맞춰질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진폭 비율, 위상 비율 및/또는 주파수 비율을 조정하는 조정부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움직일 수 있는 에지 또는 날개 요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 요소는 교량 또는 건물에 직접 이어지고 교량 또는 건물에 대하여 회동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대안적으로,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교량 또는 건물에서 떨어져 배치된 보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보드는 철탑 구조물(pylon)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및/또는 이동가능하게 교량 또는 건물에 연결될 수 있다. 적합한 연결 부재에 의해, 보드는 교량 또는 건물에 대하여 고정되지 않은 포인트 둘레를 회전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공탄성 댐퍼의 한 형태에서,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날개 요소로 형성되며, 이 날개 요소는 일 부분이 교량 또는 건물 밖으로 자유로이 돌출될 수 있다.
가능한 한 형태에서, 날개 요소는 회동점의 양쪽에 배치된 상기 날개 요소의 질량과 함께 날개 요소와 교량 또는 건물 사이의 스프링과 협력하여 진동흡수장치를 형성한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날개 요소는 아암(arm)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교량 또는 건물 내로 돌출되고, 그곳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교량 또는 건물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 요소, 아암 및 스프링은 함께 진동흡수장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 형태에서, 날개 요소의 아암은 그 단부에 질량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적어도 2개의 공탄성 댐퍼가 한 쌍씩 축에 대하여 마주한 단부에 배치되며, 축 둘레의 비틀림진동뿐만 아니라 특정 방향의 진동들도 완화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제공된 스프링 상수에 따라,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 상수에 따라, 각각 다수의 스프링 또는 다수의 댐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들 또는 댐퍼들의 고정점들은 교량 또는 건물 또는 지지물에서 바람직하게는 공간적으로 분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2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현수교의 일 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완화 장치를 양 단부에 구비한 보강 거더의 횡단면의 개략도,
도 3은 공기역학적 조절부가 교량 또는 건물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핑 장치를 구비한 교량 또는 건물의 개략도이다.
도 1은 현수교의 브리지 거더(bridge girder)(10)의 일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보강 거더(12)는 현수부재(suspender)(14)에 의해 교량의 기둥들 사이에 팽팽하게 연결된 로프(16)에 매달려있다. 보강 거더(12)의 양단에는 회전가능하게 날개 요소들(20,22)이 설치된다.
도 2는 보강 거더(12)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보강 거더의 종축은 도면 부호 18로 표시되어 있다. 보강 거더의 양 단부에는 2개의 날개 요소(20,22)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날개 요소들은 각각 회동점(24,26)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역학적 조절부(aerodynamic control surface)를 형성한다. 보강 거더(12) 내부에는, 상기 날개 요소 안쪽으로 아암(arm)(28,30)이 구비되며, 이 아암들의 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질량체(mass body)(32,34)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아암(28,30)은 스프링(36,40) 및 댐퍼(38,42)를 통해 보강 거더(12)와 연결된다. 날개 요소(20,22), 질량체(32,34) 및 스프링(36,40)은, 각각 외부력의 영향 없이 날개 요소(20,22)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날개 요소의 정지 위치를 벗어난 이동은 보강 거더(12)의 운동을 완화하는 진동을 야기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진동흡수장치는, 다수의 질량(질량체(32,34), 아암(28,30), 날개 요소(20,22)), 스프링(36,40) 및 댐퍼(38,42)로 구성된다. 진동흡수장치의 운동 자유도는 회동점(24,26)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이다. 상기 진동흡수장치는 브리지 거더의 수직 진동 및 비틀림진동에 의해 진동하도록 자극을 받는다. 댐퍼의 진동 자극 및 그 효과는, 일반적으로 질량 분배의 불균형 및 정적인 정지 위치에서 스프링(36,40)의 프리텐션을 요구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날개 요소의 질량은 진동흡수장치로부터 큰 효과를 얻기 위하여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진동흡수장치와 공기역학적 조절부 사이의 구속운동 연결(constraint kinematic coupling) 구조는 간단히 아암(28,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흡수장치의 진동 완화 효과는 참여한 질량들의 관성력 및 댐퍼의 댐핑력에 의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공탄성 댐퍼에서, (교량에 대한) 진동흡수장치의 비틀림은, 바람 흐름에 놓이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진동흡수장치에 배정된 공기역학적 조절부, 즉 날개 요소(20, 22)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공기의 유동장(flow field)은 역학적으로 변화되고, 추가로 시간에 따라 변하는 공기가 가하는 힘이 유도된다. 댐퍼의 조정에 의해 상기 공기가 가하는 힘은 진동을 부추기는 힘들을 저지하며, 이로 인해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교량의 진동은 진정되고, 흔들림에 대한 바람의 임계 속도는 상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장치는 소정의 직선 방향으로도 진동할 수 있으며, 공기역학적 조절부와 고정 연결된 레버 대신에 다른 구속적 연결구조, 예컨대 변속 레버와 변속 기어도 구비할 수 있다. 공탄성 댐퍼의 조정은, 기계적 특성값으로서 질량(m), 스프링 상수(k) 및 댐핑 상수(c)을 선택하거나, 교량축으로부터 진동흡수장치까지의 간격을 선택하거나, 그 운동 자유도, 구속운동 연결구조의 운동학, 및 공기역학적 조절부의 윤곽 및 질량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공탄성 댐퍼의 주요 효과는, 공기역학적 조절부의 진동 운동을 통해 교량 또는 건물에서의 공기 유동이 누적(build-up)되지 않고 교량 또는 건물을 안정시키는 방식으로 유도하는데 있다. 댐퍼의 운동에 의한 유동력의 조정과 동시에, 공기역학적 조절부에 작용하는 유동력들은, 구속적인 연결을 통해서 진동흡수장치의 진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교량 또는 건물 및 공탄성 댐퍼의 디자인에 따라,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아니면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공기역학적 조절부를 적합하게 설치하거나 아니면 다른 조치를 통해서, 진동흡수장치에 대한 이러한 반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작용이 공기역학적 조절부의 설치에 의해 억제되는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교량 또는 건물에서 떨어져 배치되고 지지 기구(holding device)(46)에 의해 교량 또는 건물과 연결된 보드(board)(44)로 구성된다. 상기 보드는 중간부분에 있는 회동점(4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브리지 거더의 내부에 위치된 진동흡수장치(60)와 구속운동식으로 연결되는 것은, 움직일 수 있는 제2 연결 부재(50)를 통해 행해지며, 상기 제2 연결 부재(50)는 선택적으로 제1 연결 부재인 후방 연결 부재(52) 또는 전방 연결 부재(56)를 통해 보드(44)와 연결된다.
공탄성 댐퍼는 (교량의 종축에 대해) 한쪽에 또는 양쪽에 제공될 수 있다. 양쪽에 배치되는 경우, 양 댐퍼들은 서로 연결되어 가동되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서로 독립적으로 가동되는 경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양 댐퍼들이 서로 연결되어 가동되는 경우(도시되지 않음)에는, 양 댐퍼들 사이에 상응하는 구속운동 연결부재가 있어야 한다. 이와 반대로 양 댐퍼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가동된다면, 상기 양 댐퍼들을 한쪽, 예컨대 풍하측(leeward side)에 고정할 수 있다.
진동흡수장치의 진동과 공기역학적 조절부의 진동 사이의 주파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진동흡수장치와 공기역학적 조절부 사이의 구속운동 연결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진폭 비율은 변속 연결의 경우에 예컨대 연결 부재들의 연결점들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될 수 있다. 회전 조인트(58)는 제 1 연결 부재인 후방 연결 부재(52)와 단단히 연결되며, 제 2 연결 부재(50) 내에서 장방형 구멍(54)의 내부에 고정(locking)된다. 그러므로, 조정은 무단으로 장방형 구멍(54)에서 회전 조인트(58)의 위치 이동에 의해 행해진다.
후방 연결 부재(52) 또는 전방 연결 부재(56)를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0° 또는 180°의 위상 비율이 조정될 수 있으며, 전방 연결 부재(56)를 연결시키는 것은 상술한 것처럼 후방 연결 부재(52)를 연결시키는 것과 똑같이 실행될 수 있다.
변속 기어의 경우에 진폭 비율은, 스텝식으로 또는 무단으로, 상응하는 기어 또는 무단 기어를 통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교량과 관련하여 기술하였으나, 그 이용에 있어 교량에 제한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컨대 탑(tower)에서 발생하는 수평적인 진동에 대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축(18)은 수직 방향에서 뻗어 있다.
공탄성 댐퍼가 갖는 특별한 장점은 외부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성 및 작동 안정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Claims (26)

  1.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로서,
    - 회전 또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 요소 또는 보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공기역학적 조절부;
    - 스프링(36,40)을 구비하고, 교량 또는 건물에 대하여 소정의 직선 방향으로 진동 또는 비틀림진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진동흡수장치(60);
    - 상기 공기역학적 조절부와 진동흡수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구속운동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장치는 하나 이상의 질량체(32,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진동흡수장치는 댐퍼(38,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장치와 공기역학적 조절부 사이의 구속운동 연결부재는, 움직일 수 있는 기계적 요소로서 변속 레버, 변속 연결 부재, 또는 변속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장치와 공기역학적 조절부 사이의 구속운동 연결부재는, 상기 진동흡수장치의 진동과 공기역학적 공기역학적 조절부의 진동 사이의 진폭 비율, 위상 비율 또는 주파수 비율의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장치와 공기역학적 조절부 사이의 구속운동 연결부재는, 상기 진동흡수장치에 연결된 제 2 연결 부재(50)와, 상기 제 2 연결 부재와 상기 공기역학적 조절부를 연결시키는 제 1 연결 부재로서 후방 연결 부재(52) 및 전방 연결 부재(56)를 포함하며, 진폭 비율은 상기 제 1 연결 부재와 제 2 연결 부재 사이의 연결점인 회전 조인트(58)의 위치에 의해 조정 가능하고, 위상 비율은 공기역학적 조절부인 보드(44)와 제 1 연결 부재의 연결점의 위치에 의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진폭 비율, 위상 비율 또는 주파수 비율을 조정하는 조정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역학적 조절부로서 움직일 수 있는 날개 요소(20,22)는 일 부분이 교량 또는 건물 밖으로 자유로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요소(20,22)는 회동점(24,2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회동점(24,26) 측면의 날개 요소의 질량(mass)은 상기 스프링과 협력하여 상기 진동흡수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요소(20,22)는 아암(28,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요소(20,22), 상기 아암 및 스프링은 진동흡수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28,30)은 그 자유 단부에 질량체(32,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공기역학적 조절부로서 교량 또는 건물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보드(44)가 제공되며, 상기 보드는 지지 기구(46)를 통해 교량 또는 건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교량 또는 건물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보드(44)는 회전 또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드(44)의 운동은 교량 또는 건물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중심 또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공기역학적 조절부로서 교량 또는 건물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보드가 제공되며, 상기 보드는 보드의 중앙 영역에 있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장치는 2개의 구속운동 연결부재를 통해 2개의 공기역학적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교량 또는 건물의 축(18)에 대해 서로 마주하여 놓인 단부에 배치되어, 축(18) 둘레의 비틀림진동뿐만 아니라 양 공기역학적 조절부의 연결선에 대해 수직 방향의 진동도 완화되거나 또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공기역학적 조절부를 포함하고, 진동흡수장치는 각각 구속운동 연결부재를 통해 공기역학적 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역학적 조절부는 한 쌍씩 구속운동 연결부재와 함께 교량 또는 건물의 축(18)에 대해 서로 마주하여 놓인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축(18) 둘레의 비틀림진동뿐만 아니라 마주하여 놓인 공기역학적 조절부들의 연결선에 대해 수직 방향의 진동도 완화되거나 또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진동흡수장치가 구속운동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진동흡수장치들의 구속운동 연결부재는, 진폭 비율, 위상 비율 또는 주파수 비율의 조정이 가능한 변속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진동흡수장치는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23.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진동흡수장치는 복수의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서로 다른 지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서로 다른 지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또는 건물의 진동과 비틀림진동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장치.
  26. 삭제
KR1020077012861A 2004-11-09 2005-10-21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KR101353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3898.0 2004-11-09
DE102004053898A DE102004053898A1 (de) 2004-11-09 2004-11-09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Schwingungsbewegungen bei einem Bauwerk
PCT/EP2005/011327 WO2006050802A1 (de) 2004-11-09 2005-10-21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schwingungsbewegungen bei einem bauwe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873A KR20070085873A (ko) 2007-08-27
KR101353281B1 true KR101353281B1 (ko) 2014-01-22

Family

ID=3567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861A KR101353281B1 (ko) 2004-11-09 2005-10-21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15068B1 (ko)
KR (1) KR101353281B1 (ko)
DE (1) DE102004053898A1 (ko)
DK (1) DK1815068T3 (ko)
WO (1) WO20060508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192A (zh) * 2017-04-13 2017-07-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抑制桥梁颤振的控制结构及方法
CN111305042A (zh) * 2020-02-29 2020-06-19 东北林业大学 一种自适应摆动襟翼的大跨桥梁风振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3066B (zh) 2015-04-08 2021-08-10 汉堡-哈尔堡工业大学 用于阻尼桥梁的振动的装置
CN106436948B (zh) * 2016-09-13 2018-11-06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圆筒式行波扰流器减阻减振装置
CN108035237A (zh) * 2017-12-31 2018-05-15 西南交通大学 一种抑制桥梁颤振及涡振的翼板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517760B (zh) * 2018-04-17 2019-05-17 同济大学 一种提高分体式箱梁颤振稳定性的中央稳定机构
CN108842599B (zh) * 2018-07-16 2019-10-01 同济大学 一种基于仿生学的气动减阻装置及桥梁
CN112458882A (zh) * 2020-11-30 2021-03-09 大连理工大学 一类控制桥梁涡振的柔性装置
CN112814457B (zh) * 2021-01-04 2021-12-24 中国矿业大学 一种螺纹套筒式拉压摩擦耗能器及使用方法
CN113235398A (zh) * 2021-06-02 2021-08-10 哈尔滨工业大学 大跨度桥梁主梁单箱梁风致振动的主动吸吹气智能控制装置
CN114922049A (zh) * 2022-03-22 2022-08-19 中国计量大学 一种抑制桥梁风振的控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4910A (en) * 1996-05-29 2000-12-05 Gec-Marconi Limited Bridge stabi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0537A (en) * 1939-02-08 1942-01-20 Ludington Charles Townsend Building
JPH05171837A (ja) * 1991-12-25 1993-07-09 Nkk Corp 橋桁のフラッタ振動抑制装置
DK169444B1 (da) * 1992-02-18 1994-10-31 Cowi Radgivende Ingeniorer As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modvirkning af vindinducerede svingninger i en brodrager
GB9218794D0 (en) * 1992-09-04 1992-10-21 Piesold David D A Bridge deck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4910A (en) * 1996-05-29 2000-12-05 Gec-Marconi Limited Bridge stabiliz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192A (zh) * 2017-04-13 2017-07-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抑制桥梁颤振的控制结构及方法
CN106958192B (zh) * 2017-04-13 2018-12-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抑制桥梁颤振的控制结构及方法
CN111305042A (zh) * 2020-02-29 2020-06-19 东北林业大学 一种自适应摆动襟翼的大跨桥梁风振控制方法
CN111305042B (zh) * 2020-02-29 2021-08-03 东北林业大学 一种自适应摆动襟翼的大跨桥梁风振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815068T3 (en) 2018-08-13
DE102004053898A1 (de) 2006-05-11
WO2006050802A1 (de) 2006-05-18
KR20070085873A (ko) 2007-08-27
EP1815068A1 (de) 2007-08-08
EP1815068B1 (de)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281B1 (ko) 교량 또는 건물에서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US9169894B2 (en) Device for vibration control of a structure
US5070663A (en) Damping device for tower-like structure
CN107250595B (zh) 具有垂直弹簧装置的自适配摆式缓冲器
WO2003072977A1 (fr) Dispositif d'amortissement et procede de reglage de la frequence propre d'un corps d'amortissement dans ce dispositif d'amortissement
KR101166258B1 (ko) 건설구조물의 진동제어장치
JP2001349094A (ja) 同調振り子式制振装置
JP2007298067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及びその調整方法
JP2005207521A (ja) 制振装置
WO2006029851A1 (de)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schwingungsbewegungen bei einem bauwerk
WO2004003306A1 (en) Simple pendulum with variable restoring force
JP2003227540A (ja) 制振装置
JPH0310817B2 (ko)
WO2005116340A1 (de) Vorrichtung zur dämpfung einer flatterbewegung bei einem tragwerk
JP2003336683A6 (ja) 制振装置における制振体の固有振動数設定方法
JP2002048191A (ja) 建造物の上下振動制振装置
WO1992002743A1 (en) Vibration-damping apparatus
JPS62251543A (ja) 天秤式吸振装置
JP3082408B2 (ja) 制振装置
JP3605176B2 (ja) 上下方向アクティブ制振装置
JP3045059B2 (ja) 斜張橋斜材ケーブル制振装置
JP7423431B2 (ja) 動吸振装置
JP2926107B2 (ja) 制振橋梁
JPH0337057B2 (ko)
JPS62209244A (ja) 水平振子式動吸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