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284B1 -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 Google Patents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284B1
KR101352284B1 KR1020120126850A KR20120126850A KR101352284B1 KR 101352284 B1 KR101352284 B1 KR 101352284B1 KR 1020120126850 A KR1020120126850 A KR 1020120126850A KR 20120126850 A KR20120126850 A KR 20120126850A KR 101352284 B1 KR101352284 B1 KR 10135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metal
plate
fixing uni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호
정연수
전유택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6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32B37/025Transfer lami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6Vias, i.e. connectors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8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금속 분리판과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금속 분리판과 간지를 교대로 흡착할 수 있는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는 매니폴더를 포함하는 금속 분리판과 상기 매니폴더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분리판부터 순차적으로 흡착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간지 고정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금속 분리판들 중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을 흡착하는 분리판 흡착 유닛; 및 상기 간지에 형성된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판 고정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간지들 중 최상부의 간지를 흡착하는 간지 흡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은 상기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 아래에 위치하는 간지를 고정하며,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은 상기 최상부의 간지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간지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 분리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TRANSFER APPARATUS OF METAL SEPERATOR FOR FUEL CELL STACK AND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분리판과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금속 분리판과 간지를 교대로 흡착할 수 있는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스택은 수소와 산소의 산화 및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은 음극(anode)에서 수소가 산화되어 수소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양극(cathode)으로 이동한다. 이때, 전자는 회로를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고, 양극에서 수소 이온, 전자 및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은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막-전극 집합체(MEA)와 반응가스를 막-전극 집합체로 고르게 분산시켜주는 다공성 매체인 가스확산층(GDL), 그리고 막-전극 집합체와 가스확산층을 지지해주며, 반응가스와 냉각수의 수송 및 생성된 전기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부품들을 포함하여 단위 셀을 이룬다.
여기서, 연료전지 발전시 막-전극 집합체와 가스 확산층, 그리고 금속 분리판의 각 면으로 반응가스인 수소와 산소 그리고 냉각수가 계속 공급되어 흐르게 되는데 각각의 반응가스와 냉각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은 연료전지 시스템 운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한편, 금속 분리판은 여러장을 적층하여 보관한다. 이때, 하나의 금속 분리판에 형성된 가스켓이 다른 금속 분리판의 가스켓과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분리판들 사이에 간지를 배치한다.
그러나, 금속 분리판과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분리판 흡착 유닛으로 금속 분리판을 이송할 때, 간지 역시 금속 분리판에 형성된 가스켓과 접착되어, 적층된 금속 분리판들 중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 이송 시 접착된 간지가 함께 따라 올라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8477호(2009.10.15.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분리판과 간지가 교대로 적층 된 상태에서, 최상부 금속 분리판 흡착시 그 아래의 간지가 함께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최상부 간지 흡착 시 그 아래의 금속 분리판이 함께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간지 및 금속 분리판을 교대로 흡착 할 수 있는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는 매니폴더를 포함하는 금속 분리판과 상기 매니폴더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분리판부터 순차적으로 흡착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간지 고정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금속 분리판들 중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을 흡착하는 분리판 흡착 유닛; 및 상기 간지에 형성된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판 고정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간지들 중 최상부의 간지를 흡착하는 간지 흡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은 상기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 아래에 위치하는 간지를 고정하며,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은 상기 최상부의 간지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간지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 분리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은 매니폴더를 포함하는 금속 분리판과 상기 매니폴더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분리판부터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간지 고정 유닛이 형성되어,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은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간지를 고정하고, 상기 적층된 금속 분리판들 중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을 흡착하는 단계; 및 (b) 상기 간지에 형성된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판 고정 유닛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은 최상부의 간지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간지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금속 분리판을 고정하고, 상기 적층된 금속 분리판들 중 최상부의 간지를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는 금속 분리판과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분리판 흡착 유닛으로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을 이송할 때, 간지가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는 금속 분리판과 간지가 교대로 적층 된 상태에서, 간지 흡착 유닛으로 최상부의 간지를 이송할 때, 금속 분리판이 함께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은 금속 분리판에 형성된 가스켓과 간지가 접착되어, 분리판 이송 유닛으로 금속 분리판을 이송할 경우, 간지가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금속 분리판 중 1장의 금속 분리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 이송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간지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100)는 분리판 흡착 유닛(110) 및 간지 고정 유닛(12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판 흡착 유닛(110)은 금속 분리판(130)을 흡착한다. 이때, 분리판 흡착 유닛(110)은 금속 분리판(130)과 간지(140)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금속 분리판(130)을 흡착한다. 분리판 흡착 유닛(110)은 금속 분리판(130)에 형성된 복수의 매니폴더(138)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판 흡착 유닛(110)의 승강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제어부(미도시)는 일 예로 로봇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간지 고정 유닛(120)은 분리판 흡착 유닛(110)에 형성된 홀 및 금속 분리판(130)의 복수의 매니폴더(138)를 관통하여, 해당 금속 분리판(130) 아래에 위치하는 간지(140)를 고정할 수 있다. 간지 고정 유닛(120)은 분리판 이송 유닛(110)과 별도의 결합은 요구되지 않으나, 나사 결합 등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분리판 흡착 유닛(110)은 간지 고정 유닛(1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 할 수 있다. 간지 고정 유닛(120)은 상하방향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별도로 독립 구동을 하지 않을 수 있고, 이와 다르게 분리판 흡착 유닛(11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간지 고정 유닛(120)은 승강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제어부(미도시)는 일 예로 로봇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간지 고정 유닛(120)은 복수의 매니폴더(138)와 대응되는 위치에 2~6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간지 고정 유닛(120)은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짝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간지 고정 유닛(120)은 단면이 “T”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간지 고정 유닛(120)은 수평부(122) 및 수직부(124)를 포함한다.
수평부(122)는 분리판 흡착 유닛(110)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이때, 수평부(122)는 분리판 흡착 유닛(110)과 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리판 흡착 유닛(110)에 형성된 홀보다 크게 형성된다.
수직부(124)는 수평부(122)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수직부(124)는 분리판 흡착 유닛(11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부(124)는 금속 분리판(130) 및 간지(140)와 접촉된다. 수직부(124)의 끝단은 간지(140)를 고정한 상태에서 분리판 흡착 유닛(11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분리판 흡착 유닛(110)의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금속 분리판 중 1장의 금속 분리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 분리판(130)은 통상의 금속 분리판 본체(132)를 포함하며, 금속 분리판 본체(132)는 채널부(CA)와 매니폴더부(MA)를 구비한다. 채널부(CA)는 제1면으로부터 제2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반응가스 채널, 상기 제2면에 돌출된 상기 반응가스 채널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수 채널을 구비한다. 매니폴더부(MA)는 채널부(CA) 양측에 형성되어 반응가스 혹은 냉각수가 유출입하는 복수의 매니폴더(138)를 구비한다.
도면으로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금속 분리판(130)은 적어도 2장 이상이 스택된다.
간지(140)는 복수개의 금속 분리판(130) 사이에 적층된다. 여기서, 금속 분리판(130)과 간지(140)는 서로 교대로 적층된다. 간지(140)는 상하로 인접한 가스켓(미도시)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분리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매니폴더부(MA)를 활용하여, 간지 고정 유닛(120)이 금속 분리판 아래의 간지를 금속 분리판과 독립적으로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100)는 금속 분리판(130)과 간지(140)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분리판 흡착 유닛(110)에 금속 분리판(130)이 흡착되어 이송할 때, 금속 분리판(130)에 형성된 가스켓(미도시)에 간지(140)가 접착되어, 분리판 흡착 유닛(110) 이송시 간지(140)가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연료전지용 분리판 이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 이송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 고정 유닛(120)이 금속 분리판(130)의 복수의 매니폴더(138)를 관통하여 간지(140)를 고정한다. 여기서, 간지 고정 유닛(120)의 수평부(122)는 분리판 흡착 유닛(110)의 상부면과 접하고, 간지 고정 유닛(120)의 수직부(124)는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130)의 매니폴더를 관통한 후, 간지(140)와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 고정 유닛(120)이 간지(140)를 고정한 상태에서, 분리판 흡착 유닛(110)이 하강하여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130)을 흡착한다. 최상부 금속 분리판의 흡착을 위하여 분리판 흡착유닛(110)이 독립적으로 하강하면서, 간지 고정 유닛(120)의 수평부(122)와 분리판 흡착 유닛(110)은 서로 이격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 흡착 유닛(110)과 간지 고정 유닛(120)이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판 흡착 유닛(110) 및 간지 고정 유닛(120)이 승강한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지 고정 유닛(120)의 수직부(122)로부터 적층된 상부의 간지(140)를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간지(140)는 이송 레일을 통하여 제거하거나, 사람이 직접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분리판 이송 방법은 분리판 흡착 유닛(110)으로 금속 분리판(130)을 이송할 경우, 간지(140)가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간지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통하여 금속 분리판(130)을 제거 한 후에는 최상부에는 간지(14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간지(140)에는 매니폴더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홀(1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지 흡착 유닛(210)은 간지(140)를 흡착한다. 이때, 간지 흡착 유닛(210)은 간지(140)와 금속 분리판(130)이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간지(140)를 흡착한다. 간지 흡착 유닛(210)은 간지(140)에 형성된 홀(142)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판 고정 유닛(220)은 홀(142)을 관통하여 금속 분리판(130)을 고정할 수 있다. 분리판 고정 유닛(220)은 단면이 “T”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간지 고정 유닛(220)은 수평부(222) 및 수직부(224)를 포함한다.
수평부(222)는 간지 흡착 유닛(210)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이때, 수평부(222)는 간지 흡착 유닛(210)과 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지 흡착 유닛(210)에 형성된 홀보다 크게 형성된다.
수직부(224)는 수평부(22)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수직부(224)는 분리판 흡착 유닛(21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부(224)는 금속 분리판(130) 및 간지(140)와 접촉된다. 수직부(224)의 끝단은 금속 분리판(130)를 고정한 상태에서 간지 흡착 유닛(21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간지 흡착 유닛(210)의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리판 고정 유닛(220)이 금속 분리판(130)을 고정한 상태에서, 간지 흡착 유닛(210)이 하강하여 최상부의 간지(140)를 흡착한다. 최상부 간지(140)의 흡착을 위하여, 간지 흡착 유닛(210)이 독립적으로 하강하면서, 분리판 고정 유닛(220)의 수평부(222)와 간지 흡착 유닛(210)은 서로 이격된다. 다음으로, 간지 흡착 유닛(210)과 분리판 고정 유닛(220)이 접촉된 상태에서, 간지 흡착 유닛(210) 및 분리판 고정 유닛(220)이 승강한다. 마지막으로, 분리판 고정 유닛(220)의 수직부(222)로부터 적층된 상부의 분리판(130)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은 금속 분리판과 간지가 교대로 적층 된 상태에서, 금속 분리판과 간지를 교대로 흡착 할 수 있는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분리판 흡착 유닛 120: 간지 고정 유닛
122: 수평부 124: 수직부
130: 금속 분리판 140: 간지
210: 간지 흡착 유닛 220: 분리판 고정 유닛

Claims (10)

  1. 매니폴더를 포함하는 금속 분리판과 상기 매니폴더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분리판부터 순차적으로 흡착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간지 고정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금속 분리판들 중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을 흡착하는 분리판 흡착 유닛; 및
    상기 간지에 형성된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판 고정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간지들 중 최상부의 간지를 흡착하는 간지 흡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은 상기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 아래에 위치하는 간지를 고정하며,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은 상기 최상부의 간지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간지 아래에 위치하는 금속 분리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고정 유닛 및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은
    단면이 T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고정 유닛 및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의 끝단은
    상기 분리판 흡착 유닛 및 상기 간지 흡착 유닛의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은
    2~6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5. 매니폴더를 포함하는 금속 분리판과 상기 매니폴더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 간지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분리판부터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간지 고정 유닛이 형성되어,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은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간지를 고정하고, 상기 적층된 금속 분리판들 중 최상부의 금속 분리판을 흡착하는 단계; 및
    (b) 상기 간지에 형성된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판 고정 유닛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은 최상부의 간지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최상부의 간지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금속 분리판을 고정하고, 상기 적층된 금속 분리판들 중 최상부의 간지를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리판 및 상기 간지의 적층 수에 따라 상기 (a)단계 ~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은
    2~6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적층된 최상부 금속 분리판의 매니폴더 영역을 관통하여 간지 고정 유닛이 간지를 고정하는 단계;
    (a2) 상기 간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판 흡착 유닛이 하강하여, 최상부 금속 분리판을 흡착하는 단계;
    (a3) 상기 분리판 흡착 유닛과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판 흡착 유닛 및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간지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적층된 최상부의 간지의 홀을 관통하여 분리판 고정 유닛이 금속 분리판을 고정하는 단계;
    (b2) 상기 금속 분리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간지 흡착 유닛이 하강하여, 최상부 간지를 흡착하는 단계; 및
    (b3) 상기 간지 흡착 유닛과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간지 흡착 유닛 및 상기 분리판 고정 유닛이 상승 하여, 상기 금속 분리판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간지 고정 유닛은
    2~6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KR1020120126850A 2012-11-09 2012-11-09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KR10135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850A KR101352284B1 (ko) 2012-11-09 2012-11-09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850A KR101352284B1 (ko) 2012-11-09 2012-11-09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284B1 true KR101352284B1 (ko) 2014-01-17

Family

ID=5014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850A KR101352284B1 (ko) 2012-11-09 2012-11-09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5417A (ja) * 2018-02-22 2019-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搬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7436A (ja) 2006-04-14 2007-11-01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の積層方法及び燃料電池製造用スタック装置
KR20090059819A (ko) *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분리판용 진공 흡착식 운반 장치
KR20090081713A (ko) * 2008-01-25 2009-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7436A (ja) 2006-04-14 2007-11-01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スタックの積層方法及び燃料電池製造用スタック装置
KR20090059819A (ko) *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분리판용 진공 흡착식 운반 장치
KR20090081713A (ko) * 2008-01-25 2009-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5417A (ja) * 2018-02-22 2019-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搬送装置
CN110182603A (zh) * 2018-02-22 2019-08-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隔板的搬运装置
JP7020168B2 (ja) 2018-02-22 2022-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パレータの搬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368B1 (ko) 연료전지용 mea 소재 자동 타발 및 접합 설비
KR100925957B1 (ko) 연료전지 분리판용 진공 흡착식 운반 장치
KR20090062963A (ko) 연료전지 스택 조립장치용 이송기
JP2006120589A (ja) 平板積層型燃料電池
KR100986484B1 (ko)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및 방법
KR20150048407A (ko) 더미 셀을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KR100925958B1 (ko) 연료전지 분리판용 자동 적층 장치
KR101352284B1 (ko) 간지 분리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분리판 이송 방법
KR102064834B1 (ko) 수소연료전지용 셀의 자동 레이아웃 장치
ATE550803T1 (de) Reaktor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KR101148674B1 (ko) 막 전극 접합체 및 가스확산층 상호 간의 적층 정밀도 향상을 통해 개선된 품질을 갖는 연료전지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121806B (zh) 燃料电池的制备方法及燃料电池
WO2009119108A1 (ja) 燃料電池スタ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平板型の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2007042441A (ja) 燃料電池および運転方法
KR20140058000A (ko) 연료전지 금속 분리판의 멀티 기밀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27853A (ko) 막 전극 접합체의 적층 안정성 개선을 위한 핫프레싱 장치
JP5348273B2 (ja) 燃料電池シーリングプレートの取り出し方法および燃料電池シーリングプレート
JP2006134651A (ja) 電池用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130644B2 (ja) 燃料電池シーリングプレートの取り出し方法、および燃料電池シーリングプレートの取り出し装置
EP2933864A1 (en) Stack structure for fuel cell
US202302993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fuel cell stack
KR102599067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이송장치
KR101394756B1 (ko) 정밀도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의 자동 검수 장치 및 그 자동 검수 방법
JP5211621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10040338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燃料電池スタ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