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274B1 -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 Google Patents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274B1
KR101352274B1 KR1020120068716A KR20120068716A KR101352274B1 KR 101352274 B1 KR101352274 B1 KR 101352274B1 KR 1020120068716 A KR1020120068716 A KR 1020120068716A KR 20120068716 A KR20120068716 A KR 20120068716A KR 101352274 B1 KR101352274 B1 KR 101352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disease
nonwoven
ach
spun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924A (ko
Inventor
양호명
윤태일
이도양
남성훈
장희순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2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5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Alumi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8Synthetic fibre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2Head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제스키병(Aujeszky's disease, AD)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표면의 적어도 일면을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 함유 혼합물로 처리하여 부직포 표면에 양(+)의 전하가 부여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오제스키병 원인 바이러스와 이온 결합할 수 있고,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에 대한 포획(capturing) 및 비-용출(non-leaching) 특성이 우수하여,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의 흡착 후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오제스키병 등의 방역 작업을 위한 일회용 보호복 등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NON-WOVEN WITH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SPREAD OF AUJESZKY DISEAS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오제스키병(Aujeszky's disease, AD)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와 이온결합(ionic interaction)할 수 있도록, 소수성 부직포 표면을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luminium chlorohydrate, ACH) 함유 혼합물로 처리하여 부직포 표면에 양(+)의 전하가 부여된,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몇몇 바이러스는 인간에게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동물들 사이에서는 급속히 확산되어 경제 전반에 큰 위협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은 사람을 포함한 일반적인 개나 고양이들은 감염되지 않으나, 발굽이 2개인 소·돼지 등의 입·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긴 뒤 치사율이 5 내지 55%에 달하는 가축의 제1종 바이러스성 법정전염병으로서, 아직 특별한 치료약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전염성도 매우 강해, 병의 확산을 막고자 일반적으로, 구제역이 걸린 동물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동물까지 모두 살처분된다.
실제, 국내에서는 2010년 11월경 한 돼지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후 전국에 빠르게 확산되어 불과 2-3개월 만에 전체 사육 돼지의 대략 12%인 약 175만 마리와 소 약 11만 마리가 살처분된 바 있다.
이러한 대규모의 살처분은 축산 농가에 피해를 주게 되고, 육류 생산량이 적어져 상대적인 육류 가격의 상승과 대규모 살처분에 소요되는 많은 인력과 자본 및 뒷처리 비용 등 많은 손실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가성광견병(Psudorabies)으로도 불리우는 오제스키병은 오제스키병 바이러스(Aujeszky's Disease Virus, ADV), 즉, 수이드 헤르페스 바이러스 1(Suid Herpes virus 1, SuHV-1)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서, 이 질병의 특징은 유사산, 자돈폐사, 호흡기질병 증가, 면역저하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감염된 개체가 회복하여도 평생 동안 병원체를 보유하여 전염원이 되는 잠복감염 상태로 되며 높은 폐사율 (10일령 이하: 80% 이상, 30~50일령: 15% 내외)을 보인다.
이러한 오제스키병은 국내에서는 1987년 경남 양산의 양돈장에서 처음 발생하였다. 농장의 사육규모는 1000두 정도로 60-120일령의 돼지들이 신경증상과 모돈에서의 유산과 같은 번식장애 등 오제스키병 임상증상을 나타내었으며, 면역조직학적 검사에서 편도와 비장에서 오제스키병 바이러스가 확인되었다. 이에, 농장에 대한 이동제한 조치가 실시되었고, 전체 사육돼지를 살처분·매몰하고, 전국적인 혈청검색에서 경기도 지역의 4개 농가에서 추가로 오제스키병이 발생하여 전두수 살처분 매몰한 바 있다. 또한, 매년 방역 당국의 전국적인 역학조사 및 방역 활동에도 불구하고 이후에도 오제스키병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확산될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전염병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3가지 경로를 통해, 즉, i) 질병에 걸린 동물의 수포액, 침, 유즙, 정액, 분변 등에 오염된 사료 또는 물을 먹거나 또는 직접 접촉해 전파되거나, ii) 발병 가축의 재채기나 호흡할 때 생기는 오염된 비말이 공기(바람)를 통해 전파되거나, 또는 iii) 농장의 사람 (농장 종사자, 사료 및 동물약품 판매원, 방역관 등 방문객), 차량 (사료ㆍ가축출하 등), 기구 등에 바이러스가 묻어서 전파된다.
특히, 살처분 및 방역 작업 동안에 주된 문제는 오염된 물체 등의 이동으로 인해 감염과 재감염을 일으키는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 또는 교차-감염(cross-infection)으로서, 방역 작업시 방역관들이 착용하는 일회용 보호복, 장갑, 모자 등과 같은 의복도 바이러스의 잠복처가 되어 바이러스를 운반함으로써 오제스키병 등의 전염병을 확산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차-오염 또는 교차-감염 등에 의한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일회용 보호복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제스키병 원인 바이러스가 옷감 표면에 흡착한 후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도 바이러스가 탈리되지 않아 의복으로 인한 교차-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역 보호복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 전하를 갖는 수성의 금속 성질을 갖는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를 부직포 표면에 처리하면, 소수성을 갖는 부직포 표면이 (+) 전하를 갖게 되어 오제스키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이온 결합을 할 수 있어 바이러스가 부직포 표면에 흡착한 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부직포 표면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제스키병을 일으키는 오제스키병 바이러스가 부직포 표면에 흡착한 후 외부에서 물리적 힘이 가해져도 부직포 표면에서 흡착된 바이러스가 용출되지 않는,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로부터 제조된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와 이온결합할 수 있도록, 소수성 부직포 표면을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 함유 혼합물로 처리하여 부직포 표면에 양(+)의 전하가 부여된,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 소수성 부직포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 함유 혼합물을 분사하고, 2) ACH 함유 혼합물이 분사된 부직포를 압착 롤(squeeze roll)에 통과시킨 다음 건조시켜 부직포 표면에 양(+)의 전하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로부터 제조된 물품을 제공한다.
소수성 부직포 표면을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 함유 혼합물로 처리하여 표면에 양(+)의 전하가 부여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음(-)의 전하를 띠는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와 이온 결합할 수 있어, 바이러스가 부직포 표면에 흡착된 후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져도 바이러스가 부직포 표면으로부터 탈리되지 않아, 교차 오염에 의한 오제스키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일회용 보호복 등과 같은 방역 물품은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의 포획(capturing) 능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보호복 표면과 바이러스 간의 이온결합으로 인해 의복 표면으로부터의 바이러스의 용출(leaching) 억제 효과가 뛰어나 오제스키병의 방역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일례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의 바이러스 용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일례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의 바이러스 포획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일례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와 이온결합할 수 있도록, 소수성 부직포 표면의 적어도 일면을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 함유 혼합물로 처리하여 부직포 표면에 양(+)의 전하가 부여된,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보호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는,
1) 소수성 부직포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 함유 혼합물을 분사하고,
2) ACH 함유 혼합물이 분사된 부직포를 압착 롤에 통과시킨 다음 건조시켜 부직포 표면에 양(+)의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부직포는 일회용 보호복(protective apparel), 와이퍼(wiper), 슈 커버(shoe cover), 장갑, 모자 등의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스펀본드 (Spun Bond, SB), 멜드블로운, 써멀-본디드 카디드 웹(thermally bonded carded web, TBCW), 쓰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hru-air bonded carded web, TABCW), 스펀레이스(spunlace),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CH 함유 혼합물은 염화알루미늄 (AlCl3·6H2O) 1.0 내지 11.0 중량%, 물 71.4 내지 97.4 중량% 및 알코올 1.6 내지 17.6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로는 지방족 탄화수소의 유도체 중에서 -OH(히드록시기)가 알킬기 (CnH2n +1,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임)에 결합한 형태의 유도체를 말하며, 메탄올, 에탄올, 헥산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언급한 소수성 부직포를, 상기 ACH 함유 혼합물로 처리하면, 하기 화학식 1의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가 부직포 표면에 도입되어 부직포 표면이 (+) 전하를 갖게 됨에 따라 음의 전하를 갖는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와 이온 결합할 수 있어,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화학식 1>
-[Al2(OH5)Cl]n-
(상기 식에서, n은 양의 정수임)
본 발명에서 소수성 부직포 표면에 (+) 전하를 부여하는 공정은,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트 함유 혼합액을 분무기(spray) 노즐을 이용하여 부직포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분사하여 부직포 원단 전체를 습윤시킨 후, ACH 함유 혼합물이 분사된 부직포를 압착 롤을 통과시킨 다음 건조기(dryer)로 건조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ACH 처리 공정의 일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와인딩 롤러(unwinding roller)에 감겨있는 부직포를 풀면서, ACH 함유 혼합물을 분무기 노즐을 이용하여 부직포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분사시켜 원단 전체를 젖게한 후 압착 롤을 통과시킨 다음,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양의 전하를 갖는 오제스키병 전염 방지용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오제스키병 전염 방지용 부직포는,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함량이 부직포 평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약품을 사용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 미만이면 오제스키병 바이러스 전염 방지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ACH)로 처리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ACH로 처리하지 않은 부직포에 비해 오제스키병의 원인 바이러스와의 결합력이 현저히 높아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이 가해져도 바이러스가 용출되지 않아, 이를 이용하여 돼지용 와이퍼(wiper), 일회용 방역복, 일회용 슈커버(shoe cover), 마스크, 모자, 장갑 등과 같은 일회용 물품을 제조하는 경우, 이러한 물품에 의한 교차 감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방역 작업을 할 때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CH 처리된 부직포의 제조
실시예 1:
66 gsm (제곱미터당 그램)의 평량을 갖는 PP 재질의 SMS 부직포 (유한킴벌리(주), 크린가드* A20 원단)를 도 1에 나타낸 공정을 통해 ACH 함유 혼합액으로 표면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물 92.87 g, 헥산올 3.17 g 및 50% 농도를 갖는 AlCl3·6H2O 수용액 3.96 g을 함유하는 ACH 함유 혼합액을 제조한 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된 분무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 표면에 분사한 후, 압착 롤을 통과시킨 후 6개의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부직포 평량 대비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2.0 중량%가 도입된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물 90.50 g, 헥산올 4.22 g, 및 50% 농도를 갖는 AlCl3·6H2O 수용액 5.28 g 을 사용하여 ACH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부직포 평량 대비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2.5 중량%가 도입된 부직포를 얻었다.
시험예: ACH 처리된 부직포의 성능 측정
<실험 재료>
1. 바이러스: 재조합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1(Recombinant Herpes Simplex Virus 1, rHSV1-GFP, 한국 원자력의학원)
2. 회수액 : 1×인산염 완충 염수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Cat No. SH30256.01, Hyclone)
3. 부직포 샘플:
a) 대조군: ACH 처리되지 않은 PP 재질의 SMS (유한킴벌리(주), 크린가드* A20 원단) (ACH 0%)
b) ACH 2.0%가 도입된 실시예 1에서 얻은 부직포 (ACH 2.0%)
c) ACH 2.5%가 도입된 실시예 2에서 얻은 부직포 (ACH 2.5%)
각 샘플은 다음과 같은 멸균 처리 과정을 거쳤다: 2.5×2.5 cm2 크기의 샘플을 클린 벤치(clean bench)에서 UV 조사 조건 (254 nm의 파장)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멸균된 샘플을 얻었다.
4. 실시간(real time)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조건
95 ℃에서 5분간 초기 변성(initial denatuation)시킨 후, 변성(denaturation) 94℃에서 30초 및 어닐링(annealing)/연장(extension) 70℃에서 40초씩 총 40 사이클(cycle)로 수행하였다.
시험예 1: 부직포의 바이러스 비-용출(non-leaching) 특성 분석
각 부직포 샘플의 개략적인 바이러스 비-용출 특성 분석 공정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클린 벤치에서 5 × 107 vg/200 ㎕ 농도의 rHSV1-GFP 바이러스를 2.5×2.5 cm2 크기의 멸균 처리된 샘플 표면 상에 5 ㎕씩 40 방울을 점적한 후 15 내지 30 ℃의 온도 및 30 내지 60%의 습도 조건에서 5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샘플을 50 ml 크기의 멸균 튜브에 넣은 후, 1×PBS 2 ml를 넣고 3,200 rpm으로 20초 동안 교반시킴으로써 물리적인 힘을 가한 다음, 샘플에 결합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회수하고, 회수된 바이러스를 실시간 PCR 방법 (문헌 [Nucleic Acids Research, 2002; Vol 30(6); 1292-1305] 참조)으로 정량하여, 샘플에서 떨어져 나간 바이러스의 수 및 샘플에 결합되어 있는 바이러스의 수를 측정하여, 각 샘플의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에 대한 비-용출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ACH 0%) 실시예 1 (ACH 2.0%) 실시예 2 (ACH 2.5%)
초기 바이러스 수 (vp) 5.00 × 107 5.00 × 107 5.00 × 107
외부 힘을 가한 후 용출된 바이러스의 수 (vp) 1.98×107 8.98×105 6.64×105
용출 (%) 39.65 1.78 1.33
외부 힘을 가한 후 비-용출된바이러스 수 (vp) 3.02 × 107 4.91 × 107 4.93 × 107
비-용출 (%) 60.35 98.22 98.67
각 부직포 샘플의 rHSV-1-GFP 바이러스에 대한 비-용출 효율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은 39.65%, 실시예 1의 부직포는 1.78% 및 실시예 2의 부직포는 1.33%의 바이러스가 초기 바이러스를 접종한 샘플로부터 용출(leaching)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로부터, ACH가 처리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가 ACH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에 대한 용출 억제 효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용출 억제 효율이 대조군에 비해 ACH 2.0%군의 경우 22.28배, ACH 2.5% 군의 경우 29.81배 높은 우수한 바이러스 용출 억제 성능을 가졌다.
시험예 2: 부직포의 바이러스 포획(capturing) 특성 분석
각 부직포 샘플의 개략적인 바이러스 비-용출 특성 분석 공정을 도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클린 벤치에서 1 × 108 vg/50 ㎕ 농도의 rHSV1-GFP 바이러스를 유리판 상에 점적한 후, 2.5×2.5 cm2 크기의 샘플을 10분 동안 접촉시킨 다음 15 내지 30 ℃의 온도 및 30 내지 60%의 습도 조건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건조된 샘플을 멸균 튜브에 넣었다. 유리판 위에 남아 있는 바이러스는 1×PBS 200 ㎕를 점적 부위에 놓고 피펫팅 업 앤드 다운(pipetting up & down)을 10회 이상 실시하여 회수하였다. 이 과정을 총 5회 실시하여 총 회수 부피를 1 ml로 하고, 회수된 바이러스는 문헌 [Nucleic Acids Research, 2002; Vol 30(6); 1292-130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실시간 PCR 방법으로 정량하여 샘플의 바이러스 포획 특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ACH 0%) 실시예 1 (ACH 2.0%) 실시예 2 (ACH 2.5%)
초기 바이러스 수 (vp) 1.00 × 108 1.00 × 108 1.00 × 108
비-포획된 바이러스의 수 (vp) 3.21× 107 1.77 × 107 1.03 × 107
비-포획 (%) 32.14 17.66 10.27
포획된 바이러스의 수 (vp) 6.79 × 107 8.23 × 107 8.97 × 107
포획 (%) 67.86 82.34 89.73
각 부직포 샘플의 rHSV-1-GFP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 포획력을 분석한 결과, 총 바이러스 수 대비 대조군은 67.86%, 실시예 1의 부직포는 82.34% 및 실시예 2의 부직포는 89.73%의 바이러스가 각각의 샘플에 결합되었다. 이로부터, ACH가 처리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ACH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에 대한 포획 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 및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오제스키병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는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에 대한 비-용출 및 포획 능력이 뛰어나 일회용 보호복, 장갑, 모자, 와이퍼, 슈커버 등과 같은 물품으로 제조시, 의복에 의한 교차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일회용 보호복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등전점(Isoelectric point, PI) 분석 결과, 구제역의 원인으로 알려진 구제역 바이러스(Foot-and-mouth disease virus), 즉, 피코르나비리다에 아프토바이러스(Picornaviridae Aphthovirus)가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인 SuHV-1과 가장 유사한 PI 특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 전하를 갖는 부직포는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유사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어, 구제역 등의 방역 작업시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5)

  1. 오제스키병 바이러스와 이온결합할 수 있도록, 소수성 부직포 표면을, 염화알루미늄 (AlCl6H2O) 1.0 내지 11.0 중량%, 물 71.4 내지 97.4 중량% 및 알코올 1.6 내지 17.6 중량%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 함유 혼합물로 처리하여 부직포 표면에 양(+)의 전하가 부여된,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부직포가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것인,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소수성 부직포가 스펀본드 (Spun Bond, SB), 멜드블로운, 써멀-본디드 카디드 웹(thermally bonded carded web, TBCW), 쓰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hru-air bonded carded web, TABCW), 스펀레이스(spunlace),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및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 부직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및 헥산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6. 제1항에 있어서, ACH가 부직포 평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0 중량% 도입된,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7. 1) 소수성 부직포 표면의 적어도 일면에, 염화알루미늄 (AlCl6H2O) 1.0 내지 11.0 중량%, 물 71.4 내지 97.4 중량% 및 알코올 1.6 내지 17.6 중량%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ACH) 함유 혼합물을 분사하고,
    2) ACH 함유 혼합물이 분사된 부직포를 압착 롤(squeeze roll)에 통과시킨 다음 건조시켜 부직포 표면에 양(+)의 전하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소수성 부직포가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소수성 부직포가 스펀본드 (Spun Bond, SB), 멜드블로운, 써멀-본디드 카디드 웹(thermally bonded carded web, TBCW), 쓰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hru-air bonded carded web, TABCW), 스펀레이스(spunlace),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및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 부직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및 헥산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ACH 함유 혼합물이 분사된 부직포를 압착 롤에 통과시킨 다음 건조시켜 부직포 표면에 ACH를 부직포 평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0 중량% 도입하는 방법.
  13. 제1항에 따른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로부터 제조된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일회용 보호복, 와이퍼(wiper), 슈 커버(shoe cover), 모자 및 장갑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일회용 보호복인 물품.
KR1020120068716A 2012-06-26 2012-06-26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KR101352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716A KR101352274B1 (ko) 2012-06-26 2012-06-26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716A KR101352274B1 (ko) 2012-06-26 2012-06-26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24A KR20140000924A (ko) 2014-01-06
KR101352274B1 true KR101352274B1 (ko) 2014-01-16

Family

ID=5013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716A KR101352274B1 (ko) 2012-06-26 2012-06-26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2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873A (ko) * 1999-10-19 2002-05-30 제이콥스 코르넬리스 라세르 티슈 종이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030089504A (ko) * 2002-05-17 2003-11-21 젠테크 파머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발한억제제 및 항균성 조성물의 조합
KR20090057947A (ko) * 2009-04-08 2009-06-08 주식회사 휴메디온 항균 실크 의류
WO2011116962A1 (en) 2010-03-24 2011-09-29 Lipotec S.A. Process of treatment of fibers and/or textile materi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873A (ko) * 1999-10-19 2002-05-30 제이콥스 코르넬리스 라세르 티슈 종이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030089504A (ko) * 2002-05-17 2003-11-21 젠테크 파머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발한억제제 및 항균성 조성물의 조합
KR20090057947A (ko) * 2009-04-08 2009-06-08 주식회사 휴메디온 항균 실크 의류
WO2011116962A1 (en) 2010-03-24 2011-09-29 Lipotec S.A. Process of treatment of fibers and/or textil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24A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2120B2 (ja) 抗アレルゲン組成物及びアレルゲン不活性化方法
US20050220911A1 (en) Anti-allerg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naturing allergen
CN111165938A (zh) 一种长效防流感的医用口罩
KR101352274B1 (ko) 오제스키병의 전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
KR101739129B1 (ko) 알레르겐 불활성화제
JP4559089B2 (ja) ウイルス捕捉用スプレー剤及びウイルス捕捉フィルター
KR101510807B1 (ko)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배양방법 및 검출방법
JP4266093B2 (ja) アレルゲン低減化剤
JP2003079756A (ja) マスク及びマスク用アレルゲン低減化シート
KR101464735B1 (ko)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Sarrazin et al. Transmission of cattle diseases and biosecurity in cattle farms.
Jiménez et al. Serological survey of small mammals in a vesicular stomatitis virus enzootic area
Mykytowycz Contact transmission of infectious myxomatosis of the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L.)
US8025905B2 (en) Method for reducing allergencity in indoor spaces
KR20120058658A (ko)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예방 마스크 및 필터
DE202020003865U1 (de) Einfangen und Vernichten von Viren und andere Mikroorganismen in Raumluft und Raumluftfiltern
Sleeman Wildlife zoonoses for the veterinary practitioner
JP2010180130A (ja) ダニ防除剤
KR101193099B1 (ko)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
JP2001139479A (ja) 抗アレルゲン組成物及びアレルゲン不活化方法
Snider et al. Increased incidence of bovine papular stomatitis in neonatal calves
Nyandoro In ovo antiviral activity of the constituents of Artabotrys monteiroae and Artabotrys modestus against Infectious Bursal Disease and Newcastle Disease Viruses
KR102568335B1 (ko) 식물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흰줄숲모기 및 작은소피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Dutkiewicz 19 Biological Agents
Llorente et al. Evaluation of new methods in integrated control of brown spot of pear (Stemphylium vesicarium, teleomorph Pleospora all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