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735B1 -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 Google Patents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735B1
KR101464735B1 KR1020130053957A KR20130053957A KR101464735B1 KR 101464735 B1 KR101464735 B1 KR 101464735B1 KR 1020130053957 A KR1020130053957 A KR 1020130053957A KR 20130053957 A KR20130053957 A KR 20130053957A KR 101464735 B1 KR101464735 B1 KR 10146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attracting
case
flie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162A (ko
Inventor
강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그린
Priority to KR102013005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7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6Fly papers or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기나 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기와 파리를 동시에 포획할 수 있는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기 및 파리 유인제는 모기 또는 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성분으로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함유한다.

Description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mosquito and fly attractant, apparatus for capturing mosquito and fly}
본 발명은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기나 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기와 파리를 동시에 포획할 수 있는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가축에게 해로운 모든 곤충이나 농작물, 가축, 과수, 잔디 등 각종의 식물 생육에 장해를 주는 해충으로 인하여 특히, 하절기에 사람이나 가축의 활동, 그리고 각종의 식물생장에 장해를 받게 됨에 따라 이들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서 각종 살충수단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살충수단으로 연무, 액무 형태로 살포되는 약제와, 해충이 선호하는 광을 점등 조사하여 일정 장소로 군집되는 해충을 흡입하여 가두는 포집기 등이 실용화되어 있다.
약제 살포방식은 살충범위가 넓고 그 효과가 신속한 특징이 있으나 약제에 의한 주변 공기나 물 또는 음식물, 농수산물 등이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빛으로 해충을 유인시켜 포집시키는 방식은 모기와 같은 해충을 빛을 이용하여 유인한 후, 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흡입 팬에 의해 해충을 포획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약제 방식에 비해 주위 공기나 물 또는 농작물을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빛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기 때문에 낮에는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8-0057391호에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도하는 유도램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램프에 의해 유도된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유입덕트의 내부인 상기 흡입팬의 후측에 구비되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는 커터망과, 상기 유입덕트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터망을 통과한 해충이 포획되는 포집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는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수단이 유도램프에 의해 발산되는 빛으로만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 낮에는 그다지 큰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팬을 이용한 흡입식 해충 포집기는 모기의 포집은 가능하나 파리의 포집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파리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케이스의 유입구 주위로 접근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모기나 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유인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기 및 파리를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제를 이용하여 모기와 파리를 동시에 포획할 수 있는 포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기 및 파리 유인제는 모기 또는 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성분으로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인제는 젖산과 이산화티타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며,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로 진입한 모기 및 파리가 포획되는 포획부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포획부에 설치되어 모기 및 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인수단은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모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을 상기 흡입팬이 설치된 모기진입통로부와 파리진입통로부로 구획하며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파리진입통로부에서는 차단시키는 차단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인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으로 모기를 유인하는 제 1유인부와, 상기 포획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인제가 도포된 점착시트를 포함하는 제 2유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인제는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기나 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집기는 빛과 유인제를 이용하여 모기와 파리를 유인하므로 포집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차단격벽을 설치하여 모기가 흡입되는 공간과 파리가 진입하는 공간으로 구획하므로 모기뿐만 아니라 파리의 유인까지 가능하여 모기 및 파리를 동시에 포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집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절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모기 및 파리 유인제는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함유한다.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은 모기 또는 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하기 위한 성분으로 사용된다.
혈분은 가축의 혈액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수분 함량이 12중량% 이하인 파우더 형태로 이용한다. 가축의 혈액으로 소, 돼지, 닭, 오리 등의 혈액을 이용할 수 있다. 혈분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시중에서 시판 중인 제품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혈분의 제조방법의 예로, 교반기가 장착된 교반탱크에 혈액을 투입한 다음 200 내지 300℃의 증기를 가하면서 6 내지 8시간 동안 교반하여 혈액을 응고시킨 다음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12중량% 이하로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 내지 300메쉬 입도 크기의 파우더로 만든다. 이와 달리 혈분은 동결건조나 분무 건조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혈분은 아미노산을 함유하므로 모기나 파리의 유인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혈분은 모기를 유인하는데 효과적이다.
홍어 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이 가능하다. 가령, 홍어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10 내지 150℃에서 1 내지 20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 또는 온침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리세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홍어 추출물의 일 예로 홍어에 대하여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100~120℃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는 열수추출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홍어는 살과 뼈를 포함하는 전체를 통째로 이용하거나 홍어의 가공시 발생하는 껍질이나 내장 등의 가공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다.
홍어(Skate, Raja kenojei Muller et Henle)는 가오리과에 속하는 연골, 저서성 어류로써 우리나라의 남서해 및 일본의 중부이남해역과 동중국해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홍어는 바다 깊은 곳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삼투압 조절을 위하여 내부에 요소 및 요소 전구체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홍어 및 그 발효물에서는 유리 아미노산인 안세린(Anserine), 타우린(Taurine), 알라닌(Alanine), 리신(Lysin) 등이 다량 검출되는데, 이러한 아미노산은 모기나 파리를 좋아하는 성분들이다. 특히, 홍어는 상온에서 삭히게 되면 홍어에 함유된 요소 및 요소 전구체에 의하여 암모니아가 생성된다. 이러한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암모니아에 의하여 코를 자극하는 발효된 홍어 특유의 향이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홍어를 일정 기간 동안 상온에서 보관하여 삭힌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힌 홍어는 유인효과가 더 우수하다. 홍어를 삭히는 방법은 전통적인 방법이나 개량된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짚을 깐 항아리에 홍어를 넣고 상온(15 내지 30℃)에서 10 내지 30일 동안 보관하여 삭힐 수 있다. 삭힌 홍어는 상술한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하여 홍어 추출물을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삭히거나 삭히지 않은 홍어를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은 홍어 분말을 홍어 추출물 대신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인제는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함유하여 모기 및 파리의 유인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유인제는 가축의 혈분 및 홍어 추출물의 2가지 성분으로만 조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은 동일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제형화시키기 위한 제재로 젤라틴이나 글루텐 또는 점착제가 더 함유될 수 있다. 가령, 유인제는 점착제 80 내지 90중량%, 가축의 혈분 2 내지 10중량%, 홍어 2 내지 10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점착제로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인제의 다른 예로 가축의 혈분, 홍어 추출물, 젖산,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할 수 있다.
젖산(lactic acid)은 사람을 비롯한 동물의 대사분해 산물의 주성분으로, 모기를 유인하는데 효과적이다. 젖산은 유리산 형태의 젖산, 젖산의 염, 및 이의 조합물이 이용가능하다.
그리고 이산화티타늄(TiO2)은 광촉매 물질의 한 종류로 광, 특히 자외선광에 의해 광활성화되어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이산화탄소는 모기의 유인에 효과적이다.
젖산과 이산화티타늄이 더 추가되는 경우 젖산은 가축의 혈분 또는 홍어 추출물에 대하여 1/200~1/100의 중량비, 이산화티타늄은 가축의 혈분 또는 홍어 추출물에 대하여 3/5~1/1의 중량비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형화시키기 위한 제재로 젤라틴이나 글루텐, 점착제 등의 성분이 더 함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유인제는 점착제 80 내지 90중량%, 가축의 혈분 2 내지 10중량%, 홍어 2 내지 10중량%, 젖산 0.05 내지 0.1중량%, 이산화티타늄 2 내지 6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유인제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집기(5)는 크게 커버(10)와, 케이스(20)와, 포획부(80)와, 유인수단을 구비한다. 도시된 본 발명의 포집기(10)는 벽에 걸 수 있도록 벽걸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벽면 또는 천정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10)는 포집기(5)의 전면을 구성한다. 커버(10)의 중앙에는 원형의 홀(11)이 형성되고, 원형홀(11)에는 원형의 도광판(15)이 설치된다. 도광판(15)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도광판(15)은 원형홀(11)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광판(15)을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지지바(17)가 설치된다. 지지바(17)의 전단은 도광판(15)의 후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커버(10)에 결합된다. 자외선 램프(23)에서 생성된 빛이 도광판(15)과 원형홀(11)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므로 야간에 은은한 조명효과를 갖는다.
케이스(20)와 포획부(80)는 커버(10)의 후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케이스(20)는 상부에 위치하고, 포획부(80)는 하부에 위치한다. 케이스(20)와 포획부(80)의 내부공간은 연통된다.
케이스(20)는 측면에 모기와 파리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유입구는 모기진입구(21)와 파리진입구(23)로 나뉜다. 즉 파리진입구(23)는 모기진입구(21)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모기진입구(21)는 케이스(20)의 좌측에 위치하고, 파리 진입구(23)는 케이스(20)의 우측에 위치한다.
케이스(20)의 좌우 측면에는 커버(1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편(30)과 걸림턱(33)이 마련된다.
탄성편(30)은 일단이 케이스(20)의 후면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탄성편(30)은 바깥에서 안쪽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케이스(20) 안쪽으로 굽어지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다. 탄성편(30)에는 원형의 걸림턱(3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33)은 커버(10)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9)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케이스(20)의 후면에는 벽걸이용 브라켓트(29)가 설치된다.
케이스(20) 내부에는 차단격벽(40)이 설치된다. 차단격벽(4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케이스(20) 내부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한다. 이러한 차단격벽(40)에 의해 케이스 내부공간은 2개의 공간, 즉 모기진입통로부(47)와 파리진입통로부(49)로 구획된다.
차단격벽(40)은 흡입팬(70)에 의해 파리진입통로부(49)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모기진입통로부(47)에는 흡입팬(7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만, 파리진입통로부(49)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차단격벽(40)은 고정패널(45)과 이동패널(41)로 이루어진다. 이동패널(41)은 케이스(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는 후술할 자외선 램프(60)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케이스(20)의 측면과 고정패널(45)의 일측에는 이동패널(4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마련된다. 이동패널(41)의 상하 가장자리는 케이스(20) 측면의 삽입홈과 고정패널(45)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케이스(20)에 결합된다.
모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70)은 모기진입통로부(47)의 하부측에 설치된다.
흡입팬(70)은 팬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팬지지수단은 내측에 흡입팬(70)이 설치된 하우징(71)과, 하우징(71)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바 형상의 서포터(77)로 이루어진다. 흡입팬(60)은 모터(75)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면서 모기진입구(21)로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공기의 흡입과 함께 모기진입구(21) 주변으로 유인된 모기도 함께 흡입된다.
포획부(80)는 모기진입통로부(47)와 파리진입통로부(49)를 통해 들어온 모기나 파리가 포획되는 곳이다. 포획부(80)는 커버(10)의 후면에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된다. 포획부(80)의 내부공간은 구획격벽(83)에 의해 좌우의 2개의 공간으로 나뉜다. 구획격벽(83)은 케이스(2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차단격벽(40)과 연결된다. 포획부(80)의 측면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통기홀(85)이 형성된다. 흡입팬(7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통기홀(85)은 포획부(80)의 좌측면에 형성된다.
모기와 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수단은 케이스(20) 또는 포획부(80) 내부에 설치된다.
유인수단의 일 예로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으로 모기를 유인하는 제 1유인부와, 포획부(80)에 설치되어 향으로 모기와 파리를 유인하는 제 2유인부를 구비한다.
제 1유인부로 자외선 램프(60)를 이용한다. 자외선 램프(60)로 가시광선에 근접한 352nm의 청색광을 이용한다.
그리고 제 2유인부(70)는 향으로 모기 및 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획부(80) 내부에 설치된다. 제 2유인부는 유인제를 이용하여 모기와 파리를 유인한다. 제 2유인부의 일 예는 유인제가 도포된 점착시트이다. 유인제는 점착제에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혼합하여 조성된다. 또한, 유인제는 점착제에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 젖산, 이산화티타늄을 혼합하여 조성될 수 있다. 유인제는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점착시트는 포획부의 내측에 설치된다. 포획부로 유입된 모기나 파리는 점착시트에 달라붙어 포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집기는 빛과 유인제를 이용하여 모기와 파리를 유인하므로 포집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차단격벽을 설치하여 모기가 흡입되는 공간과 파리가 진입하는 공간으로 구획하므로 모기뿐만 아니라 파리의 유인까지 가능하여 모기 및 파리를 동시에 포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 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파라핀 25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 40중량%, 글리세린 35중량%로 이루어진 점착제에 홍어 추출물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가축의 혈분을 더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인제를 제조하였다. 유인제의 조성은 점착제 84중량%, 가축의 혈분 8중량%, 홍어 8중량%로 조정하였다. 제조한 유인제는 종이 시트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홍어 추출물은 상온에서 20일 동안 항아리에 보관하여 삭힌 홍어에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10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실시예2)
파라핀 25중량%, EVA(Ethylene Vinyl Acetat) 40중량%, 글리세린 35중량%로 이루어진 점착제에 젖산, 홍어 추출물, 이산화티타늄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가축의 혈분을 더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인제를 제조하였다. 유인제의 조성은 점착제 84중량%, 가축의 혈분 6중량%, 홍어 6중량%, 젖산 0.1중량%, 이산화티타늄 3.9중량%로 조정하였다. 제조한 유인제는 종이 시트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홍어 추출물은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관능검사>
유인제의 냄새 지속기간을 조사하기 위해 9주 동안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1주일에 1회씩 실시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기간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5주차 6주차 7주차 8주차 9주차
실시예1 4.5 4.0 4.0 3.0 2.5 2.5 2.0 1.5 1.5
실시예2 4.5 4.5 4.0 4.0 3.5 3.0 2.5 2.5 2.0
(5.0: 강함, 4.0: 보통, 3.0: 약함, 2.0: 매우 약함, 1.0: 느끼지 못함)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 예1과 2 모두 지속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 및 파리 포획실험>
포집기의 모기 및 파리의 포획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1 및 2의 유인제가 도포된 점착시트를 포집기에 각각 장착한 후 야간 10시간 동안 모기 포획효과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점착시트가 부착되지 않은 포집기를 이용하였다.
포집기로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포집기를 이용하였고, 광원으로 파장 352nm, 9W의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였고, 팬은 829rpm으로 회전시켜 실험하였다. 포획실험을 위해 실험용 모기장(1.8m x 3.7m x 1.8m) 내에 50마리의 빨간집모기와 파리 50마리를 방사한 후 포획된 마리수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포획마리수
모기 파리
제 1시험군(실시예1) 37 44
제 2시험군(실시예2) 45 42
대조군 12 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제 1시험군 및 제 2시험군 모두 포획율이 80%를 넘어 포획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조군은 소수의 모기만이 포집되어 제 1 및 제 2시험군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커버 20: 케이스
40: 차단격벽 60: 자외선램프
70: 흡입팬 80: 포획부

Claims (5)

  1. 모기와 파리를 동시에 유인하기 위한 성분으로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함유하며,
    상기 홍어 추출물은 삭힌 홍어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및 파리 유인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는 젖산과 이산화티타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및 파리 유인제.
  3. 커버와;
    상기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며,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로 진입한 모기 및 파리가 포획되는 포획부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포획부에 설치되어 모기 및 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인수단은 모기와 파리를 동시에 유인하기 위한 성분으로 가축의 혈분과 홍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인제를 포함하며,
    상기 홍어 추출물은 삭힌 홍어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모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을 상기 흡입팬이 설치된 모기진입통로부와 파리진입통로부로 구획하며 상기 흡입팬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파리진입통로부에서는 차단시키는 차단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으로 모기를 유인하는 제 1유인부와, 상기 포획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인제가 도포된 점착시트를 포함하는 제 2유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KR1020130053957A 2013-05-13 2013-05-13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KR10146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57A KR101464735B1 (ko) 2013-05-13 2013-05-13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57A KR101464735B1 (ko) 2013-05-13 2013-05-13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162A KR20140134162A (ko) 2014-11-21
KR101464735B1 true KR101464735B1 (ko) 2014-11-27

Family

ID=5229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957A KR101464735B1 (ko) 2013-05-13 2013-05-13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47A1 (ko) * 2017-06-21 2018-12-2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441B1 (ko) * 2019-06-20 2021-02-04 주식회사 이레그린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포충기
KR102383937B1 (ko) 2020-02-19 2022-04-08 (주)케이엔티21 파리유인 포획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513A (ko) * 2002-06-12 2003-12-24 주식회사 한국아이템개발 모기 퇴치기
KR20080010869A (ko) * 2006-07-28 2008-01-31 김재석 모기캡쳐
JP2009112198A (ja) * 2007-11-01 2009-05-28 Hideki Murakami ヤマビルトラップ容器
JP2010158186A (ja) * 2009-01-07 2010-07-22 Lion Chemical Kk 飛翔昆虫捕獲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513A (ko) * 2002-06-12 2003-12-24 주식회사 한국아이템개발 모기 퇴치기
KR20080010869A (ko) * 2006-07-28 2008-01-31 김재석 모기캡쳐
JP2009112198A (ja) * 2007-11-01 2009-05-28 Hideki Murakami ヤマビルトラップ容器
JP2010158186A (ja) * 2009-01-07 2010-07-22 Lion Chemical Kk 飛翔昆虫捕獲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47A1 (ko) * 2017-06-21 2018-12-2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162A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74222A1 (en) Method for rearing soldier flies
KR101854414B1 (ko) 해충 유인형 포충기
CN110214778B (zh) 一种蚊虫引诱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4094928B (zh) 一种芒果切叶象甲引诱剂及其制备方法
WO2016119274A1 (zh) 一种捕蚊方法及用于该方法中的引诱剂装置
KR101464735B1 (ko) 모기 및 파리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및 파리 유인 포집기
KR20120132132A (ko) 모기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유인 포집기
JP2002125563A (ja) 飛翔性害虫駆除用複合トラップ
CN103155919A (zh) 一种库蚊引诱剂
CN107751198A (zh) 一种防水型果蝇引诱缓释剂、制备方法及应用
KR20180069279A (ko) 모기 유인 트랩
JP2011103787A (ja) ナガマドキノコバエの捕虫方法およびその捕虫器
Snow et al. Swormlure: development and use in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s for adult screwworm (Diptera: Calliphoridae)
CA2966262A1 (en) Mosquito attract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Majid et al. Laboratory bioassay on efficacy of dual mode of action insecticides (beta-cyfluthrin and imidacloprid) towards tropical bed bugs, Cimex hemipterus (Hemiptera: Cimicidae)
CN107347921B (zh) 一种驱蝇产品及其制备方法和在驱蝇中的应用
CN104427866A (zh) 杀蚊装置
MX2012013307A (es) Trampa de contacto.
CN202799945U (zh) 昆虫抓捕灭杀装置
CN110192547A (zh) 一种仿生灭蚊系统及灭蚊方法
CN111726987A (zh) 产生用于害虫诱捕器的引诱剂的系统和方法
KR101958443B1 (ko) 모기 유인제
Staunton et 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of mushroom pests and diseases.
CN209983383U (zh) 一种新型蟑螂诱捕器
CN205030385U (zh) 飞蛾捕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