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23B1 -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23B1
KR101352023B1 KR1020120081425A KR20120081425A KR101352023B1 KR 101352023 B1 KR101352023 B1 KR 101352023B1 KR 1020120081425 A KR1020120081425 A KR 1020120081425A KR 20120081425 A KR20120081425 A KR 20120081425A KR 101352023 B1 KR101352023 B1 KR 101352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work
job
calculat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우식
Original Assignee
(주)퍼포먼스웨이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포먼스웨이컨설팅 filed Critical (주)퍼포먼스웨이컨설팅
Priority to KR102012008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 내부에서 체계적으로 분류된 직무별 업무량을 모니터링해서 최적화된 인력배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출력단말기와 통신하며 업무량을 모니터링하는 중앙처리부가 포함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직무별 업무 비중에 따라 담당직원들의 총업무시간을 연산해서 상기 직무별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1단계; 상기 직무별 업무시간 중 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에 상응하는 문서 관련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2단계; 직무별 문서 건 수를 확인 후 상기 문서 관련 업무 시간과 연산해서 문서 건당 업무시간을 산출하고, 직무별 문서 건 수와 문서 건당 업무시간을 표준 업무량으로 정하는 제3단계; 및 일정시간 후 상기 표준 업무량 대비 상기 직무별 문서 건 수의 증감 여부를 확인해서, 증감이 있을 경우 해당 직무의 변화된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Monitoring method for workload}
본 발명은 조직 내부에서 체계적으로 분류된 직무별 업무량을 모니터링해서 최적화된 인력배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목적 달성을 위해 조직된 집단의 구성 인력은 주어진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즉, 집단에 조직된 직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직무별 업무량을 확인해서 해당 직무별로 최적의 인력이 배치되도록 관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직무에 대한 업무량 판단은 관리자 또는 담당직원에 따라 다소 주관적일 수밖에 없고, 상기 직무에 투입되어야 하는 인력 수 또한 투입될 인력의 능력에 따라 다양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특정 집단에서 적정한 인력을 투입하기 위한 직무별 표준 업무량을 신뢰도 있게 산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집단 내 직무를 개략적으로 분류한 후,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담당직원에게 상기 직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순 산출하는 방법이 활용됐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리자에게 담당 직무에 대한 업무량을 질의 받은 담당직원은 해당 업무 한 건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발생시간을 상기 업무의 발생빈도(일, 주, 월, 분기, 반기 등 표시)로 곱해서 총 업무량을 산출했다. 그러나, 이러한 산출방식은 담당직원의 기억과 결정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직무별 업무량에 대한 신뢰도 있는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고, 상기 발생시간 및 발생빈도 역시 업무량 산정을 위해 충분히 수집될 수 없으므로, 전술한 종래 업무량 산출 방식은 담당직원 중심으로 해당 직무가 과대평가될 수 있었다. 결국, 종래 업무량 산출 및 모니터링 방식은 객관적인 업무량 산출에 한계가 있으므로 실용화가 곤란하고, 해당 직무에 대한 관리자의 적정인원 산출 또한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직무별 업무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이 단순히 오프라인상에서 문서로만 이루어졌다. 즉, 담당직원이 제출한 직무별 업무량을 수집해서 직무별 업무량에 대한 종합 표를 만들고, 이를 기준으로 관리자가 해당 집단의 직무별 업무량을 단순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전부였던 것이다. 결국 종래에는 직무별 업무량을 자동 산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방법은 전무(全無)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직무별 업무량 및 업무량 변화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출력단말기와 통신하며 업무량을 모니터링하는 중앙처리부가 포함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직무별 업무 비중에 따라 담당직원들의 총업무시간을 연산해서 상기 직무별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1단계;
상기 직무별 업무시간 중 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에 상응하는 문서 관련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2단계;
직무별 문서 건 수를 확인 후 상기 문서 관련 업무 시간과 연산해서 문서 건당 업무시간을 산출하고, 직무별 문서 건 수와 문서 건당 업무시간을 표준 업무량으로 정하는 제3단계; 및
일정시간 후 상기 표준 업무량 대비 상기 직무별 문서 건 수의 증감 여부를 확인해서, 증감이 있을 경우 해당 직무의 변화된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은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과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에 따라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과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직무별로 변화된 업무시간을 산정해서 증감한 총업무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담당직원들의 총업무시간과 상기 담당직원들의 수를 연산해서 담당직원의 평균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증감한 총업무시간과 담당직원의 평균 업무시간을 연산해서 인력 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직무별 문서 건수의 증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서는 직무별로 코드화되어 온라인 처리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온라인에서 코드를 확인해 문서를 집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본 발명은, 조직에 표준화된 직무 분류체계를 작성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인력변동을 직무와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 없었던 사람중심의 관리에서 직무의 변동과 인력의 변동을 자연스럽게 연계시킬 수 있는 직무중심의 관리로 조직운영에 대한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무의 생성과 소멸, 분리와 통합에 따른 직무변화와 직무별 업무량의 증가 및 감소 등, 변화된 업무량 측정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일정기간 동안 데이터를 DB화할 수 있고, 이러한 DB를 근거로 통계적이고 과학적인 직무별 업무량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무별 업무량(시간)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자료의 신뢰성을 기초로 부서별 적정인력문제와 인력재배치, 업무량 과부하를 측정할 수 있고, 인력의 변동 발생시 개인별 역량에 따른 업무수행시간의 편차를 보정하여 합리적인 인력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객관적인 업무의 성격 파악으로 업무량 측정시 혹은 업무개선시 자료활용이 가능하며 업무유형별 업무량 보정용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 제1데이터시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 제2데이터시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 제3데이터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자와 담당직원이 직무별 업무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업무량을 산정해서 입출력단말기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입출력시키는 중앙처리부(100)를 포함한다.
중앙처리부(100)는 입출력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전용 케이블을 매개로 1:1 통신이 가능하며, 자체 연산처리 기능을 갖는 통상적인 컴퓨터 또는 서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단말기는 임의의 집단을 구성하는 관리자 또는 담당직원이 업무량 산출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중앙처리부(100)에 입력하기 위해 활용하는 통상적인 입출력수단으로서, 중앙처리부(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컴퓨터일 수도 있고, 전용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는 키보드와 모니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집단에 속하는 관리자와 담당직원이 상기 집단의 업무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부(100)는 서버를 구성하고, 입출력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구성하되, 상기 입출력단말기는 관리자가 조작하는 제1입출력단말기(10)와, 담당직원이 조작하는 제2입출력단말기(20, 20')로 구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결재권자에 해당하는 관리자의 조작 단말기인 제1입출력단말기(10)는 하나만 제시하고, 피결재권자에 해당하는 담당직원의 조작 단말기인 제2입출력단말기(20, 20')는 둘을 제시해서, 실질적으로 피결재권자가 결재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수가 많음을 시사했다. 더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구성된 중앙처리부(100)가 전자결재부(200)와 연동하면서 직무별 업무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됨을 명시하였다. 중앙처리부(100)와 전자결재부(200)와의 연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계속해서, 중앙처리부(100)는 상기 집단의 직무정보를 저장하는 직무모듈(110)과, 직무별 발생 문서량을 관리하는 문서관리모듈(170)과, 업무량을 정산하는 업무량 정산모듈(150)과, 직무별 표준 업무량 정보를 저장하는 업무량모듈(160)을 포함한다.
직무모듈(110)에 저장된 상기 직무정보는 상기 집단의 기반이 되는 직무분류체계에 따라 분류 및 세분화된 직무 관련 정보와, 직무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직무정보는 직무의 분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3(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 제1데이터시트를 도시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집단의 직무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업무단위, 활동단위, 세부활동의 6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별 직무를 구체화했는데, 직무모듈(110)에는 이렇게 분류된 직무정보가 구체적으로 저장된다. 이렇게 분류된 직무는 그룹별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코드화해 관리된다.
문서관리모듈(170)은 업무 수행중 발생한 문서를 확인해서 직무별 업무량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해당 집단에서의 업무량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 제2데이터시트를 도시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관리자가 설정한 직무별 업무량에 대한 업무 비중(%)은 '연간 업무계획 수립' 0.7%, '연두 업무보고 계획 수립' 0.7%, '업무계획 추진 실적 점검' 2.0%, '업무현황 및 참고자료 작성' 4.2%, '업무통계자료 작성 및 관리' 1.8% 등(이하 생략)이다. 여기서, 상기 업무 비중은 제1데이터시트(도 3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각 단계별 해당 직무에 할당된 비중을 연산해 도출한 것이다. 일 예를 들어 '연간 업무계획 수립'은 소분류의 직무인 '기획관리' 20%, 업무단위의 직무인 '기획관리' 100%, 활동단위의 직무인 '업무계획 수립 및 점검' 20%에 속하면서 20%의 비중을 갖는다. 상기 비중들을 단순 연산할 경우 0.8%가 산출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조정을 통해 상기 제2데이터시트(도 4 참조)와 같이 해당 직무의 비중이 0.7%(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 버림)로 산출되었다.
참고로, 직무에 할당된 상기 비중에 대한 정보는 직무모듈(110)에 저장돼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담당직원은 제2입출력단말기(20, 20')를 활용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업무 비중이 적용된 직무에 문서정보를 입력하고, 문서관리모듈(170)은 상기 문서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문서정보는 해당 직무에 대한 본문서 건 수와, 보조문서 건 수,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 비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을 포함한다. 참고로, 문서는 본문서와 보조문서가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고, 따라서 문서와 비문서에 대한 문서정보만이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본문서와 보조문서는 결재 대상 여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결재 대상인 경우 본문서로 관리되고, 담당직원이 단순 작업용으로 활용하는 문서는 보조문서로 관리되는 것이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직무 중 '경영메시지 전파 및 지시사항 통보, 관리'는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이 50%,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이 40%, 비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이 10%인데, 담당직원이 경영메시지 전파 및 지시사항 통보 등을 위해 작성한 스케줄 문서는 담당직원 전용 보조문서이고, 상기 보조문서를 기초로 결재를 받기 위한 보고서는 본문서이다. 또한 담당직원이 현장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 등이 비문서 관련 업무시간이다.
계속해서, 문서관리모듈(170)은 집단을 구성하는 담당직원들의 총업무시간(총근무시간)을 DB(30)로부터 확인한다. 여기서 DB(30)는 상기 집단에 기 구성된 직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단에서 직원 정보를 관리하는 인사과 등의 저장수단일 수 있다. 즉, DB(30)는 출퇴근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중앙시스템의 일 구성일 수 있는 것이다.
문서관리모듈(170)은 직무별 업무시간을 상기 총업무시간으로부터 해당 직무의 비중으로 연산한다. 결국, 직무 중 '업무계획 추진실적 점검'의 경우 해당 비중인 2.0%를 활용해서 총업무시간으로부터 해당 직무의 업무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직무의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 60%,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 30% 및 비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 10%를 이용해서 해당 업무시간인 201, 101, 34를 각각 산출한다.
계속해서, 문서관리모듈(170)은 이러한 방법으로 각 직무의 업무시간을 산출한 후 문서건수를 확인해서 문서 건당 업무시간을 산출한다.
결국, '업무계획 추진실적 점검'의 경우 본문서에 대한 전체 업무시간은 201, 보조문서에 대한 전체 업무시간은 101로 확인됐지만, 해당 직무의 본문서 건 수는 12이고 보조문서 건 수도 12이므로, 문서 건당 업무시간을 산출하면 본문서 건당 시간은 17, 보조문서 건당 시간은 8.4이다.
문서관리모듈(170)은 전술한 과정으로 직무별 문서량과 문서별 건당 업무시간을 각각 확인해서 표준 업무량으로 정하고 이를 업무량모듈(160)에 저장한다. 더불어 도 5(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 제3데이터시트를 도시한 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정 주기별로 직무별 문서량의 변화를 확인해서 업무량을 파악한다.
직무별 문서량에 대한 문서관리모듈(170)의 정보 수집은 담당직원이 중앙처리부(100)에 직접 상기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코드화된 문서의 자동 집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담당직원의 직접 입력 방식은, 담당직원은 일정주기로 제2입출력단말기(20, 20')를 활용해서 중앙처리부(100)에 접속하고, 자신이 수행한 업무의 본문서 건 수와 보조문서 건 수를 입력하는 것이다. 문서관리모듈(170)은 해당 문서의 건 수 증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증감에 따른 업무시간의 증감업무량을 제3데이터시트에 게시한 바와 같이 삽입 및 저장한다.
코드화된 문서의 자동 집계 방식은, 문서관리모듈(170)은 코드화된 문서를 추적해서 문서를 직무별로 자동 집계하고 이를 카운트해서 일정 주기별로 해당 문서의 건 수 증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증감에 따른 업무시간의 증감업무량을 제3데이터시트에 게시한 바와 같이 삽입 및 저장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전자결재부(200)를 설명하면서 함께한다.
업무량 정산모듈(150)은 상기 제3데이터시트(도 5 참조)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직무별로 증감한 본문서 건 수와 보조문서 건 수에 의한 업무시간(업무량)으로부터 총증감업무량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해당 직무의 증감한 총업무시간 또는 모든 직무의 증감한 총업무시간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문서량의 증가로 인해 업무시간이 증가할 경우 해당 업무시간의 증가 대비 필요인력을 산출해서 이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데이터시트(도 4 참조)에서 보인 본문서 관련 총 업무시간 10953, 보조문서 관련 총 업무시간 8983, 비문서 관련 총 업무시간 9466은 상기 집단을 구성하는 직원 13인이 분담하므로, 직원 1인이 평균적으로 2261의 업무시간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집단의 조건에서는 제3데이터시트(도 5 참조)에서 보인 총증감업무량 4502는 2.03의 필요인력을 추가로 요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총증감업무량은 직무별 업무시간을 단순히 모두 합한 수치이므로, 2인의 추가 필요인력을 무조건 고용해야 하는 것은 아닐 것이나, 문서량의 변화를 통해 인력의 보강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필요한 보강 인력 수 또한 가늠할 수도 있으므로, 관리자는 인력관리에 유용한 참고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집단에 구축된 전자결재시스템과 연동하고, 이를 위해 중앙처리부(100)는 전자결재부(200)와 통신하면서 직무별 문서를 집계한다.
직무별로 발생 및 처리되는 문서는 해당 직무에 상응하는 코드가 적용돼 온라인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 문서가 전자결재부(200)에 접속될 때에도 상기 코드가 읽혀져 확인되고, 이를 통해 해당 문서가 어느 직무에 관한 것인지 확인돼 결재된다.
전자결재부(200)에서 직무가 확인된 문서 정보를 문서관리모듈(170)이 확인함으로써 상기 직무의 문서가 집계된다.
한편, 업무량 정산모듈(150)은 해당 기간에 확인된 문서 건 수 정보를 업무량모듈(160)에 기록하고 이후 대조군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1; 표준 업무량 산정단계
문서관리모듈(170)은 직무모듈(110)에서 직무별 업무 비중을 검색해 확인하고, 제2입출력단말기(20, 20')를 통해 담당직원으로부터 문서관련 업무시간 비율 및 비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을 수신해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문서관련 업무시간 비율을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과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으로 구분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문서과 보조문서를 구분함 없이 하나의 문서로 통일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문서관리모듈(170)은 담당직원들이 입력한 총업무시간으로부터 직무별 비중을 연산해서 직무별 업무시간을 구하고, 상기 직무별 업무시간이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과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 및 비문서 관련 업무시간으로 구분될 경우 해당 비율에 따라 업무시간을 연산해 세분화한다.
또한, 문서관리모듈(170)은 본문서 건 수와 보조문서 건 수를 확인해서 본문서 건당 시간과 보조문서 건당 시간을 연산한다.
이렇게 확인된 문서 건 수, 문서 건 당 시간, 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 비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 등은 표준 업무량으로서 업무량모듈(160)에 저장된다.
S2; 문서량 확인단계
문서관리모듈(170)은 지정된 시간 동안 발생한 직무별 문서량을 확인한다. 여기서, 문서관리모듈(170)은 확인대상 문서를 본문서와 보조문서로 구분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서량 확인은 담당직원이 직접 처리 문서 정보를 입력하는 제1방법, 온라인으로 처리되는 문서의 코드를 문서관리모듈(170)이 확인해서 직무별로 해당 문서를 집계하는 제2방법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방법의 경우, 담당직원은 해당 직무의 문서를 생성해 처리함과 동시에 제2입출력단말기(20, 20')를 활용해서 문서관리모듈(170)에 문서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문서관리모듈(170)은 입력된 상기 문서정보를 확인해서 직무별 문서를 카운트한다.
상기 제2방법의 경우, 피결재권자인 담당직원이 해당 직무를 수행하고 결재를 받기 위해 제2입출력단말기(20, 20')를 이용해 전자결재부(200)에 접속한다. 전자결재부(200)는 결재권자인 관리자의 제1입출력단말기(10)를 제2입출력단말기(20, 20')와 연결하고, 상기 문서에 대한 전자결재를 수행한다. 이때 문서관리모듈(170)은 상기 문서의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직무를 확인해 카운트한다.
상기 제2방법의 경우 전자결재부(200)를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온라인으로 처리되는 문서 방식이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S3; 업무량 모니터링 단계
업무량 정산모듈(150)은 직무별 문서량(건 수)의 증감 여부를 업무량모듈(160)에 저장된 표준 업무량과 비교해 확인한다. 문서량이 증감한 경우 증감한 업무시간을 직무별로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증감한 총업무시간도 확인할 수도 있다. 참고로, 해당 집단의 담당직원수와 담당직원들의 총업무시간을 활용해서 담당직원의 평균 업무시간을 산정하고, 이렇게 산정한 상기 평균 업무시간과 상기 증감한 총업무시간을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원 또는 감축이 필요한 직원수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업무량 정산모듈(150)은 해당 기간에 확인된 문서 건 수 정보를 업무량모듈(160)에 기록하고 이후 대조군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입출력단말기 20, 20'; 제2입출력단말기 30; DB
100; 중앙처리부 110; 직무모듈
150; 업무량 정산모듈 160; 업무량모듈
170; 문서관리모듈

Claims (4)

  1. 입출력단말기와 통신하며 업무량을 모니터링하는 중앙처리부가 포함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직무별 업무 비중에 따라 담당직원들의 총업무시간을 연산해서 상기 직무별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1단계;
    상기 직무별 업무시간 중 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에 상응하는 문서 관련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2단계;
    직무별 문서 건 수를 확인 후 상기 문서 관련 업무 시간과 연산해서 문서 건당 업무시간을 산출하고, 직무별 문서 건 수와 문서 건당 업무시간을 표준 업무량으로 정하는 제3단계; 및
    일정시간 후 상기 표준 업무량 대비 상기 직무별 문서 건 수의 증감 여부를 확인해서, 증감이 있을 경우 해당 직무의 변화된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은 결재 대상 여부에 따라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과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문서 관련 업무시간 비율에 따라 본문서 관련 업무시간과 보조문서 관련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직무별로 변화된 업무시간을 산정해서 증감한 총업무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담당직원들의 총업무시간과 상기 담당직원들의 수를 연산해서 담당직원의 평균 업무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증감한 총업무시간과 담당직원의 평균 업무시간을 연산해서 인력 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직무별 문서 건수의 증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서는 직무별로 코드화되어 온라인 처리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온라인에서 코드를 확인해 문서를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KR1020120081425A 2012-07-25 2012-07-25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KR101352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25A KR101352023B1 (ko) 2012-07-25 2012-07-25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25A KR101352023B1 (ko) 2012-07-25 2012-07-25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023B1 true KR101352023B1 (ko) 2014-01-15

Family

ID=5014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25A KR101352023B1 (ko) 2012-07-25 2012-07-25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6111A (zh) * 2021-11-16 2022-02-11 武汉飞骢科技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的工时统计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918A (ja) 2000-08-28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員配置支援システム
JP2004302796A (ja) 2003-03-31 2004-10-28 Seiko Epson Corp 業務時間管理システム、業務時間管理サーバ、業務時間管理装置、業務時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41385A (ja) 2003-11-05 2005-06-02 Nec System Technologies Ltd 作業時間算出方式及びその方法
JP2010128654A (ja) 2008-11-26 2010-06-10 Hitachi Ltd 標準作業時間計算装置、標準作業時間管理システム、標準作業時間計算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918A (ja) 2000-08-28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員配置支援システム
JP2004302796A (ja) 2003-03-31 2004-10-28 Seiko Epson Corp 業務時間管理システム、業務時間管理サーバ、業務時間管理装置、業務時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41385A (ja) 2003-11-05 2005-06-02 Nec System Technologies Ltd 作業時間算出方式及びその方法
JP2010128654A (ja) 2008-11-26 2010-06-10 Hitachi Ltd 標準作業時間計算装置、標準作業時間管理システム、標準作業時間計算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6111A (zh) * 2021-11-16 2022-02-11 武汉飞骢科技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的工时统计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nan et al. A multiple attribute decision model to compare the firm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perspectives
US8370193B2 (en) Method, computer-readable media,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isk scores and generating a risk scorecard
CN110766528A (zh) 一种客户信用自评估工厂实时智能分析管理系统
CN110135724A (zh) 基于coso内部控制框架的企业全面风险管理系统与方法
Garrido et al. Risk identification techniques knowledge and application in the Brazilian construction
CA2637050A1 (en) Compliance program assessment tool
CN111027944A (zh) 一种人力资源管理系统
Ham et al. Optimal BIM staffing in construction projects using a queueing model
CN105096047A (zh) 一种全过程工作任务管控及评估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794554A (zh) 一种基于软件平台支持的电力营销稽查监控系统
CN111178843A (zh) 一种工人工资发放的监管预警方法及装置
Zainuddin et al. IT governance evaluation at the population and civil registry office in Kolaka district using COBIT 5 framework
JP2010198194A (ja) セキュリティ管理支援システム
Landström et al. Present state analysis of business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 large manufacturing companies
CN106056295A (zh) 工程管理系统
KR101352023B1 (ko) 업무량 모니터링 방법
CN116993221A (zh) 数字员工监督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7742179A (zh) Erp系统中的用户提醒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JP2003036346A (ja) オペレーショナル・リスク評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3036343A (ja) オペレーショナル・リスク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WO20221592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t integrity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safety critical elements
US107962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client process health
Tarigan et al. Operational risk analysis of network Operation Center Division pt. IO
US8645246B2 (en) Processing health assessment
Maruszewska et al. Financial challenges in production engineering us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a case of different production process ty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