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889B1 -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889B1
KR101351889B1 KR1020130112795A KR20130112795A KR101351889B1 KR 101351889 B1 KR101351889 B1 KR 101351889B1 KR 1020130112795 A KR1020130112795 A KR 1020130112795A KR 20130112795 A KR20130112795 A KR 20130112795A KR 101351889 B1 KR101351889 B1 KR 101351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bus
mirror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13011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울과 상기 거울을 포함하고 사이드필러에 연결되는 미러하우징을 포함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에 대한 인식용 안전장치로서, 상기 거울의 설치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미러하우징의 배면에 결합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위에 결합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발광부;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 연결되어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태양열발전부;
상기 베이스부 위에 결합하여 상기 태양열발전부를 수용하되, 버스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할수록 상기 집광판이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충전부에 연결되어 발전량 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어 검출된 발전량 또는 전압이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를 제공하여, 탑승자가 사이드미러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recognizing side mirror of bus}
본 발명은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등이미지를 통해 버스의 사이드미러를 탑승자에게 인식시켜 버스의 사이드미러와 탑승객과의 충돌을 방지 시키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미러는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확보해주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48175호(2005.05.24.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버스의 외부에 부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본 문헌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버스에 설치되는 사이드미러는 통상적으로 버스의 사이드필러에 부착되며 버스 차체보다 앞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사이드미러는 사이드필러에 브라켓이 연결되고 브라켓에는 암(arm)이 결합되며, 암에는 미러가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브라켓은 커버에 의해 덮인다.
도 1은 버스의 사이드미러와 탑승자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이드미러는 소정의 높이(H)에 설치되는데, 통상적인 버스를 기준할 때, 이 높이(H)가 탑승자의 평균적인 키와 비슷하여 승차 시, 탑승자가 사이드미러에 부딪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저상버스의 경우, 일반 버스보다 지상고가 낮고 운전석 또한 낮게 설계되기 때문에 사이드미러가 일반 버스보다 낮게 설계된다. 때문에 탑승자가 사이드미러에 부딪칠 위험이 더 크다. 특히, 탑승자의 시인성이 크게 떨어지는 야간에는 매우 위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간과 같이 사이드미러에 대한 시인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탑승자가 사이드미러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거울과 상기 거울을 포함하고 사이드필러에 연결되는 미러하우징을 포함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에 대한 인식용 안전장치로서, 상기 거울의 설치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미러하우징의 배면에 결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위에 결합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발광부와,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 연결되어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태양열발전부와, 상기 베이스부 위에 결합하여 상기 태양열발전부를 수용하되, 버스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할수록 상기 집광판이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충전부에 연결되어 발전량 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어 검출된 발전량 또는 전압이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부와 연결되는 예비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광판이 회동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힌지축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하우징 영역에 결합하는 푸쉬-풀 로드와 상기 푸쉬-풀 로드에 연결되며 직선 구동하는 리니어액츄에이터와, 상기 리니어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프팅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스의 현재위치에 기초하여 태양의 위치를 검출하는 태양 위치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제어부는 상기 태양위치판단부와 연결되고 검출된 태양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집광판이 회동하도록 상기 리니어액츄에이터의 직선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버스의 사이드미러의 인식용 안전장치에 따르면, 버스의 사이드미러에 부착되어, 야간과 같이 사이드미러에 대한 시인성이 떨어지는 환경에서, 점등이미지를 통해 사이드미러의 위치를 탑승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탑승자가 사이드미러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버스의 사이드미러의 높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한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의 블록도,
도 6은 각도 조절되는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한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 내지 도 5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100)는 베이스부(110)와, 제1 하우징(150)과, 발광부(130)와, 태양열발전부(140)와, 제2 하우징(120)과, 검출부(160)와,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미러하우징(12)의 배면(12a)에 부착되어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100)를 사이드미러(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미러하우징(12)의 앞에는 거울(11)이 설치되며, 거울(11)의 설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미러하우징(12)의 배면(12a)에 베이스부(110)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미러(100)는 암(arm)(20)을 통해 버스에 고정된다.
베이스부(110)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50)이 놓일 수 있도록 적절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나사 또는 접착제와 같은 고정용 부재를 통해 미러하우징(12)의 배면(12a)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10)는 미러하우징(12)의 배면(12a)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베이스부(110)의 저면에는 슬라이더가 형성되고 미러하우징(12)의 배면(12a)에는 이 슬라이더가 끼워져 고정되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은 베이스부(110)에 형성되어 발광부(13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하우징(120)은 베이스부(110)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버스의 높이 방향(도면의 x축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부(11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20)은 투명소재로 구성되어 발광부(130)의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30)는 제1 하우징(120)에 수용된다. 발광부(130)에서 조사된 빛이 차량의 전방을 향한다. 이때, 발광부(130)의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다이오드는 전기로부터 빛의 변환 효율이 우수하고, 방열량이 적으며, 소형 및 경량이 가능하여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100)의 광원으로서 적합하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발광부(130)에는 태양열발전부(140)에서 들어오는 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태양열발전부(140)는 광전효과를 활용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한다. 태양열발전부(140)는 소정의 집광면적을 갖는 집광판(141)과 집광판(141)에서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집광판(141)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요소일 수 있다. 태양열발전부(140)에는 건전지와 같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예비 전원부(143)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50)은 태양열발전부(140)를 수용한다. 집광판(141)를 통해 태양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집광판(141)이 위치하는 제2 하우징(150) 영역은 개방되거나 투명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50)은 버스의 높이 방향(도면의 x축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할 수록 집광판(141)이 베이스부(110)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집광판(141)의 표면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선(C)이 높이 방향(도면의 x축방향)에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집광 효율을 높이도록 태양빛에 대한 각도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제2 하우징(150)이 상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10)에 결합되도록 지지부재(12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하우징(150)은 버스의 높이 방향(도면의 x축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하우징(150)이 제1 하우징(120) 위쪽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열발전부(140)는 발광부(130)위에 배치된다. 또한, 제2 하우징(150)은 제1 하우징(120)보다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150)은 베이스부(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사이드미러(10)의 위치, 베이스부(110)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집광 효율을 고려하여 집광판(141)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집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태양을 추적하도록 제2 하우징(150)이 회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10)에는 푸쉬-풀 로드(111)와, 리니어액츄에이터(112)와, 리프팅제어부(113)와, 태양위치판단부(114)가 포함될 수 있다.
푸쉬-풀 로드(111)는 한쪽 단부가 힌지축(121)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하우징(150)의 하단 영역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쪽 단부는 리니어액츄에이터(112)에 연결된다. 리니어액츄에이터(112)가 구동함에 따라 푸쉬-풀 로드(111)는 직선 왕복 운동하여 제2 하우징(150)이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한다.
리프팅제어부(113)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2 하우징(150)이 목표하는 각도로 회동하도록 리니어액츄에이터(112)를 제어한다. 한편, 리프팅제어부(113)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로서, 태양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리프팅제어부(113)는 태양위치판단부(114)와 연결되어 현재 버스의 위치와 태양의 위치에 기반하여 집광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각도로 제2 하우징(150)을 움직이는 제어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태양위치판단부(114)에는 위성항법장치(GPS)가 포함될 수 있다.
검출부(160)는 태양열발전부(140)의 충전부(142)에 연결되어 충전부(142)의 발전량 또는 전압이 기준값을 넘는지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기준값이란, 현재 사이드미러(10)의 시인성 확보 환경이 양호한 지 불량한 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야간에는 태양열발전부(140)에 입사되는 태양빛이 거의 없어 발전량이나 전압이 떨어진다. 이에, 검출된 발전량이나 전압이 기준값 이하 이면, 현재 시간적으로 야간이거나. 공간적으로 어두운 환경임을 알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발광부(130)및 검출부(160)와 연결된다. 제어부(170)는 검출된 발전량 또는 전압이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발광부(130)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는 소등상태이던 발광부(130)를 점등시켜 탑승자가 사이드미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확보한다. 즉, 제어부(170)는 빛 에너지가 충분한 낮 시간이나 밝은 장소에서 태양열발전부(140)를 통해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사이드미러(10)의 위치를 알리는 점등이미지를 구현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베이스부
111: 푸쉬-풀 로드
112: 리니어액츄에이터
113: 리프팅제어부
114: 태양위치판단부
120: 제1 하우징
130: 발광부
140: 태양열발전부
141: 집광판
142: 충전부
143: 예비 전원부
150: 제2 하우징
160: 검출부
170: 제어부

Claims (7)

  1. 거울과 상기 거울을 포함하고 사이드필러에 연결되는 미러하우징을 포함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로서,
    상기 거울의 설치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미러하우징의 배면에 결합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위에 결합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발광부;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 연결되어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태양열발전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 위에 결합하여 상기 태양열발전부를 수용하되, 버스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할수록 상기 집광판이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충전부에 연결되어 발전량 또는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어 검출된 발전량 또는 전압이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와 연결되는 예비 전원부를 포함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판이 회동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중 상기 힌지축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하우징 영역에 결합하는 푸쉬-풀 로드와, 상기 푸쉬-풀 로드에 연결되며 직선 구동하는 리니어액츄에이터와, 상기 리니어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리프팅제어부를 포함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버스의 현재위치에 기초하여 태양의 위치를 검출하는 태양위치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제어부는 상기 태양위치판단부와 연결되고 검출된 태양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집광판이 회동하도록 상기 리니어액츄에이터의 직선 구동을 제어하는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KR1020130112795A 2013-09-23 2013-09-23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KR10135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95A KR101351889B1 (ko) 2013-09-23 2013-09-23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95A KR101351889B1 (ko) 2013-09-23 2013-09-23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889B1 true KR101351889B1 (ko) 2014-01-23

Family

ID=5014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95A KR101351889B1 (ko) 2013-09-23 2013-09-23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8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7938U (ko) * 1986-05-21 1987-11-30
JPH0563987U (ja) * 1992-02-03 1993-08-24 サンデン株式会社 サイドミラ−用位置指示器及びサイドミラ−
JPH1059077A (ja) * 1996-08-26 1998-03-03 Isoji Fukushima 車両の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4231149A (ja) 2003-02-03 2004-08-19 Akihiro Ogata 大型自動車の警告灯付きサイドミラ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7938U (ko) * 1986-05-21 1987-11-30
JPH0563987U (ja) * 1992-02-03 1993-08-24 サンデン株式会社 サイドミラ−用位置指示器及びサイドミラ−
JPH1059077A (ja) * 1996-08-26 1998-03-03 Isoji Fukushima 車両の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4231149A (ja) 2003-02-03 2004-08-19 Akihiro Ogata 大型自動車の警告灯付きサイドミラ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963B2 (en) Portable solar light tower
US11105477B2 (en) Stage light free from damage of sunlight
JP5058616B2 (ja) 自動車用プロジェクタ
KR20180114731A (ko) 차량용 레이저 헤드 램프 및 차량
GB2458933A (en) Highway warning lamp with solar rechargeable battery source
KR101351889B1 (ko) 버스의 사이드미러 인식용 안전장치
CN104235736B (zh) 可自动跟踪太阳方位角实心玻璃球折射太阳能发电路灯
KR200448402Y1 (ko)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KR102177286B1 (ko) 태양열 발전 기능을 구비한 과속 방지턱
JP2010093991A (ja) 太陽光発電装置及び車両感知装置
JP4569895B1 (ja) 交通信号機と交通信号機の電源供給方法と交通信号機システムと交通信号機システムの電源供給方法
KR20190006418A (ko) 차량 후미 안전표시등
KR102454252B1 (ko) 조향제어 및 조도제어를 이용하여 안전성과 시인성을 향상시킨 경광등
KR200399041Y1 (ko) 표시장치 일체형 도로경계석
JPH0738338Y2 (ja) 自発光鋲
JP200113929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電源装置
JP3184946U (ja) コーン型道路標識
KR20160012595A (ko) 도로용 표지판
JPH11131430A (ja) 自発光式道路鋲
CN213513653U (zh) 一种道路照明用低能耗led路灯
KR200180635Y1 (ko) 쏠라 도로 표지병
CN216269662U (zh) 一种加装式摩托车安全照明装置
CN214874489U (zh) 一种随动转弯车灯结构
KR102396876B1 (ko) 시인성을 향상시킨 경광등
JPH09195232A (ja) 警告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