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855B1 -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 - Google Patents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855B1
KR101351855B1 KR20120138666A KR20120138666A KR101351855B1 KR 101351855 B1 KR101351855 B1 KR 101351855B1 KR 20120138666 A KR20120138666 A KR 20120138666A KR 20120138666 A KR20120138666 A KR 20120138666A KR 101351855 B1 KR101351855 B1 KR 101351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supporting plate
plate
module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텍
Priority to KR2012013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855B1/ko
Priority to JP2013250252A priority patent/JP5777258B2/ja
Priority to US14/095,544 priority patent/US901326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0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e.g. vario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1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discontinuously variable, e.g. tapp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75Ladder networks, e.g. electric wave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H03H7/425Balance-balanc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를 개시한다.
2 포트 회로의 제1 입력 단자와 제1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와 제2 입력 단자와 제2 출력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인덕터는 서로 대칭되되,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인덕터가 둘러싸는 면적을 조절하여 인덕턴스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High Power Variable Inductor and Filter Employing Same}
본 실시예는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력이 인가되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와 같은 측정장비 등에 전력을 공급함에 있어서,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고전력이 인가되는 측정장비 또는 치료장비는 입력 전력에 임펄스 등 고주파 노이즈가 인가되는 경우 손상이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력 장비는 일반적으로 전력원과 장비 사이에 필터를 결합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한다.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는 인덕터를 핵심적인 구성요소로 한다. 또한 고전력이 인가되므로 인덕터는 통상 낮은 저항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덕터는 저항이 크고, 그 크기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가변 인덕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고정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2 포트 회로의 제1 입력 단자와 제1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와 제2 입력 단자와 제2 출력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인덕터는 서로 대칭되되,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인덕터가 둘러싸는 면적을 조절하여 인덕턴스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도성 재료로 요철(凹凸)모양을 선형으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 구조의 제1 모듈; 및 전도성 재료로 철요(凸凹)모양이 상기 횟수만큼 반복된 구조의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이 대향되어 대칭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인덕터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노이즈 제거를 할 수 있다.
도 1은 전류가 흐르는 코일의 주변 자기장의 모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1회 권선된 인덕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단이 네 개인 인덕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인덕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인덕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통과 필터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인덕터를 사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변 인덕터를 사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4개의 입출력단자를 가지는 한편, 인덕턴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1회 권선된 코일과 등가의 인덕터와 이를 이용한 필터를 제시한다. 따라서 두개의 단자를 지닌 통상적인 인덕터와 달리 4개의 단자를 가질 수 있는 이유와 이에 따라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인덕터의 개념에서 시작하여 본 실시예를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전류가 흐르는 코일의 주변 자기장의 모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전류는 자기장(120)을 유도한다. 전류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120)은 전류의 변화를 방해한다. 이렇게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는 정도를 인덕턴스라고 한다. 인덕턴스는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므로 인던턴스를 지닌 인덕터는 전류의 변화가 큰 신호, 즉 주파수가 높은 영역의 신호를 차폐하는 저역 통과 필터(= 고역 차폐 필터)로 이용되거나 저역 통과 필터의 구성 요소로 활용된다.
인덕턴스는 앙페르의 법칙과 자속 유도 공식에 의하여 도선의 권수의 제곱에 비례하고 권선 영역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이를 나타낸 인덕턴스의 일반적인 공식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2099829688-pat00001
여기서 L은 인덕턴스, λ는 쇄교자속, I는 전류, μ는 투자율, A는 권선영역의 단면적, N은 권선 횟수, l은 폐루프 길이를 의미한다.
[수학식 1]은 권선이 원통형이며 전선이 두께가 없는 선으로 된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되었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일의 일단으로 전류가 유입되고 타단으로 유출되면 자기장(120)이 생성되는 구조가 인덕터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인덕터의 개념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전류가 흐르기만 하면 될 뿐 입출력의 개수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2는 1회 권선된 인덕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단이 네 개인 인덕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a)는 1회 권선된 인덕터이다. 하나의 도선에도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120)이 유도되기 때문에 [수학식 1]은 1회 권선된 인덕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빗금으로 표시한 A는 권선 영역의 단면적이 되며 권선 횟수는 1회가 된다. 입출력 단자의 선이 충분히 근접해 있다면 입출력 선이 생성하는 단면적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므로 인덕턴스에 기여하지 않는다.
(b)는 1회 권선된 인덕터의 일단을 길게 늘여 4개의 입출력 단자를 생성한 인덕터이다. 제2 입력단(220)과 제2 출력단(230) 사이의 점선 구간은 생략된 회로를 나타낸다.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출력 선이 인덕턴스에 기여하는 바가 없다면 생성된 인덕턴스는 온전히 환형으로 생성된 면적에만 의존하게 된다. (b)의 인덕터는 (a)와 동일한 자속을 생성하며 인덕턴스 역시 동일하다. 제1 입력단(210)에서 제2 입력단(220)까지의 루프가 제2 출력단(230)에서 제1 출력단(240)까지의 루프와 대칭을 이룬다면 제1 입력단(210)에서 제2 입력단(220)까지의 루프와 제2 출력단(230)에서 제1 출력단(240)까지의 루프가 생성하는 인덕턴스는 각각 (a)에서 생성된 인덕턴스의 절반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인덕터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묘사한 인덕터는 도 2의 (b)에서 제시한 인덕터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제1 입력단(210)에 제1 지지선(310)을 연결하고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제2 지지선(320)을 제1 입력단(320)에 연결하되 제1 지지선(310)과 제2 지지선(320)은 평행으로 연결한다. 제2 출력단(230)에 제4 지지선(340)을 연결하고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제3 지지선(320)을 제1 출력단(240)에 연결하되 제3 지지선(320)과 제4 지지선(340)은 평행으로 연결한다. 제1 지지선(310), 제2 지지선(320), 제3 지지선(330) 및 제4 지지선(340)의 타단은 연결하지 않는다. 제1 지지선(310)과 제2 지지선(320) 사이에 제1 연결선(330)이 연결되고 제3 지지선(340)과 제4 지지선(350)사이에 제2 연결선(335)을 연결하며 제1 연결선(330)과 제2 연결선(335)의 연결 위치에 따라 단면적의 크기와 모양이 결정된다. 이때 전기적으로는 제1 입력단(210)에서 제1 모듈(340)을 거쳐 생략된 회로(점선으로 표시한 부분)를 지나고 제2 모듈(350)을 거쳐서 제1 출력단(240)으로 출력되는 폐루프를 형성한다. 이때 제1 모듈(340)과 제2 모듈(350)은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동작한다. 그러나 제1 모듈과 제2 모듈은 회로적으로 생략된 회로(점선으로 표시한 부분)를 간격으로 둔 두 개의 인덕터의 직렬 연결로 나타난다. 이때 제1 모듈(340)과 제2 모듈(350)이 대칭적 형상이라면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인덕터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설명한 가변 인덕터는 선으로 묘사하였으나 반드시 선형일 필요는 없다. 특히 고전력에 사용되는 필터에서는 전선의 굵기가 굵을수록 저항이 낮으므로 유리하다. 본 실시예로서 다양한 형상이 있을 수 있으나 판형을 이용한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작의 용이성, 전류의 흐름을 고려하여 입출력 단자 역시 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입력단자(450)와 연결된 제1 지지판(410)과 제2 입력단자(470)에 연결된 제2 지지판(420)을 평행으로 배치하고, 제1 지지판(410)과 제2 지지판(420) 사이에 제1 연결판(430)을 연결한다. 제2 출력단자(460)에 제3 지지판(480)을 연결하되 제2 지지판(420)의 연장면상에 배치하고 제1 출력단자(440)와 제4 지지판(490)을 연결하되 제1 지지판(410)의 연장면상에 제3 지지판(480)과 평행으로 배치한다. 제1 연결판(430)으로 제1 지지판(410)과 제2 지지판(420)의 대응되는 지점을 연결하고 제2 연결판(495)으로 제1 연결판(430)과 평행하게 제1 연결판(430)이 제1 지지판(410)과 제2 지지판(420)의 대응되는 지점에 연결된 지점과 대응되는 제3 지지판(480)과 제4 지지판(490)의 대응되는 지점을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하면 제1 입력단자(450)에서 제2 입력단자(470)까지 연결된 모듈과 제2 출력단자(460)에서 제1 출력단자(440)까지 연결된 모듈이 대칭이 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칭되도록 제1 연결판(430)과 제2 연결판(495)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인덕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모듈이 대칭이라면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진다. 이때 각각의 입출력 단자는 반드시 지지판의 말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도 [수학식 1]의 인덕턴스 계산 공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수학식 1]에서의 인덕턴스 계산은 원형으로 권선된 선형 코일을 전제로 계산된 것이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인덕턴스는 실험적으로 계측하거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역 통과 필터의 회로도이다.
전력용 필터는 일측에 입력 전력의 입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타측에 전송 전력의 입출력 단자가 연결된다. 이는 도 4에서 언급한 제1 입력단자(450) 및 제1 출력단자(440)가 입력 전력의 입출력 단자와 대응되고 제2 입력단자(470) 및 제2 출력단자(460)가 전송 전력의 입출력 단자에 대응된다.
이렇게 2포트 방식으로 전력을 입력하여 전송하는 경우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입력 전력의 입력단자와 전송 전력의 입력단자까지의 회로와 전송 전력의 출력단자에서 입력 전력의 출력단자까지의 회로를 대칭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역 통과 필터를 설계하였다. 일반적인 저역 통과 필터의 제작 기법인 인덕터를 반복하여 구현하고 각각의 인덕터의 말단에 타단이 접지된 커패시터의 일단을 연결하여 7차 저역 통과 필터를 설계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인덕터는 기존의 인덕터를 대신하는 소자를 제안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구현한 회로 구조에 한정지어 권리범위를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통상적으로 저역 통과 필터는 9차 이내로 구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론적으로 그 차수에 제한은 없다. 따라서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들과 그 사이에 접지된 캐패시터를 반복하여 구성하기만 한다면 반복한 횟수는 차수에만 영향을 줄 뿐 저역 통과 필터의 실질적인 구동은 동일하게 일어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와 달리 5차나 9차 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한 실시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4에서 설명한 인덕터중 대칭된 면적을 지닌 인덕터를 도 5의 대칭적인 인덕터로 사용한 경우 구조적 특징상 동일한 인덕턴스를 지닌 인덕터가 배치된다. 도면에 표시된 L1(510)과 L4(520), L2(530)와 L5(540)는 대칭적인 구조로 인덕터를 구성하기 때문에 동일한 인덕턴스를 지닌다. 다차 저역 통과 필터의 구체적인 고주파 제거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인덕터를 사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회로도에서 캐패시터를 제외하고 인덕터와 접지선만을 실제로 구현한 구조의 평면도이다.
제1 지지판(410)과 제2 지지판(420)은 제1 연결판(430)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620)을 지니며 체결부재(610)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체결공(620)이 다수인 경우 제1 연결판(4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판(480)과 제4 지지판(490)은 제2 연결판(495)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620)을 지니며 체결공(620)이 다수인 경우 제2 연결판(49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판(430)과 제2 연결판(495)의 각 지지판과의 상대적 위치는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체결이 완료된 제1 입력단자(450)에서 제2 입력단자(470)까지 전류가 흐르는 제1 모듈은 인덕터 간 연결 부분을 포함하여 요철(凹凸) 모양이며 제2 출력단에서 제1 출력단까지 전류가 흐르는 제2 모듈은 이에 대칭되는 철요(凸凹) 모양이 된다. 이때 대칭선을 중심으로 돌출된 연결판의 위치를 대칭되게 조정함으로써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본 평면도 상에서는 중간의 인덕터가 둘러싼 면적이 가장 넓고 양단의 인덕터가 둘러싼 면적이 이보다 작으면서 동일하므로 인덕턴스는 중간의 인덕터가 가장 크고 양단의 인덕터는 중심보다 작고 서로 동일한 크기임을 알 수 있다.
제1 모듈과 제2 모듈은 서로 절연되어야 하며 중심에 제1 모듈 및 제2 모듈과 절연된 접지판(630)을 삽입할 수 있다. 접지판(630)은 접지된 전도성 판이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체결하고 제1 모듈과 제2 모듈의 서로 근접한 면에 일단이 연결된 캐패시터(미도시)의 타단이 연결되는 구조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변 인덕터를 사용한 저역 통과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의 그림은 도 6에 설명한 평면도를 대각선 방향에서 바라본 입체 사시도이다.
제1 모듈과 제2 모듈은 각각 요철(凹凸)모양과 철요(凸凹)모양이 대칭되게 배치되며, 지지대(730)에 의해 접지판(630)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된다. 제1 모듈의 일단은 제1 입력단자(4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입력단자(470)와 연결된다. 제2 모듈의 일단은 제2 출력단자(460)와 연결되고 제2 모듈의 타단은 제1 출력단자(440)와 연결된다. 지지판들은 연결판과의 접촉선에 체결될 수 있는 1 이상의 체결공(620)을 가지고 다수의 접촉 선상에 체결공(620)을 가질 수 있다. 연결판은 지지판과의 접촉면에 체결공(620)에 대응되는 구멍을 가지고 있어서 지지판과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는 접촉선을 조절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는 외부와 전자기적으로 차폐되고 접지된 전도성 물질의 케이스(710)로 둘러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접지판(630)은 케이스(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지판(630)은 종이와 같은 절연판(720)으로 절연되어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0: 자기장 310: 제1 지지선
320: 제2 지지선 330: 제1 연결선
340: 제1 모듈 350: 제2 모듈
380: 제3 지지선 390: 제4 지지선
395: 제2 연결선 410: 제1 지지판
420: 제 지지판 430: 제1 연결판
440: 제1 출력단자 450: 제1 입력단자
460: 제2 출력단자 470: 제2 입력단자
480: 제3 지지판 490: 제4 지지판
495: 제2 연결판 510: L1
520: L4 530: L2
540: L5 610: 체결부재
620: 체결공 630: 접지판
710: 케이스 720: 절연판
730: 지지대

Claims (14)

  1. 2 포트 회로의 제1 입력 단자와 제1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와 제2 입력 단자와 제2 출력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인덕터는 서로 대칭되되,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인덕터가 둘러싸는 면적을 조절하여 인덕턴스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덕터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과 각각 수직한 판 형상의 제1 연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덕터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지지판 및 제4 지지판; 및 상기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4 지지판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4 지지판과 각각 수직한 판 형상의 제2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판과 상기 제2 연결판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3 지지판은 같은 평면상에 놓이고, 상기 제2 지지판과 상기 제4 지지판은 같은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에서 상기 제1 연결판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연결판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 각각과, 상기 제3 지지판 및 상기 제4 지지판에서 상기 제2 연결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연결판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 각각에 외부 연결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에 입력되는 전류가 동일 위상이며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3 지지판에 입력되는 상기 전류의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덕터와 상기 제2 인덕터 사이에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와 절연된 접지판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1 연결판과 접촉선 상에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판은 제1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과의 접촉면에 상기 체결공에 상응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상기 제3 지지판과 상기 제4 지지판은 상기 제2 연결판과 접촉선 상에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판은 제3 지지판과 상기 제4 지지판과의 접촉면에 상기 체결공에 상응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지지판은 상기 체결공을 1 이상의 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터.
  10. 전도성 재료로 요철(凹凸)모양을 선형으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 구조의 제1 모듈; 및
    전도성 재료로 철요(凸凹)모양이 상기 횟수만큼 반복된 구조의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이 대향되어 대칭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통과 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이 서로 근접한 부분의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에 캐패시터의 일단을 각각 대칭되게 연결하되 상기 캐패시터의 타단을 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저역 통과 필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외부와 전자기적 차폐를 위한 도체 케이스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통과 필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에 접지판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통과 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는 외부와 전자기적 차폐를 위한 도체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판은 상기 도체 케이스를 통해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역 통과 필터.



KR20120138666A 2012-12-03 2012-12-03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 KR101351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8666A KR101351855B1 (ko) 2012-12-03 2012-12-03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
JP2013250252A JP5777258B2 (ja) 2012-12-03 2013-12-03 高電力用可変インダクタと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
US14/095,544 US9013261B2 (en) 2012-12-03 2013-12-03 High-power variable inductor and filter employ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8666A KR101351855B1 (ko) 2012-12-03 2012-12-03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855B1 true KR101351855B1 (ko) 2014-01-22

Family

ID=5014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8666A KR101351855B1 (ko) 2012-12-03 2012-12-03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13261B2 (ko)
JP (1) JP5777258B2 (ko)
KR (1) KR1013518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136B1 (ko) 2004-12-16 2006-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트랜스포머
JP2007235457A (ja) 2006-02-28 2007-09-13 Ntt Docomo Inc 可変フィルタ
WO2008090656A1 (ja) 2007-01-24 2008-07-31 Sumida Corporation インダクタ
JP2009506562A (ja) 2005-08-29 2009-02-1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可変集積インダ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7651B (de) * 1964-08-06 1967-03-30 Telefunken Patent Hochfrequenzspule fuer grosse Leistung mit stufenweise veraenderbarer Induktivitaet
JP2000114907A (ja) * 1998-10-02 2000-04-21 Mitsubishi Materials Corp フィルタ
JP3159196B2 (ja) * 1999-02-04 2001-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5095680B2 (ja) * 2009-06-25 2012-12-12 富士電機サーモシステムズ株式会社 可変リアクトル
CN103299480B (zh) * 2010-12-23 2015-08-19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平衡不平衡变换器和平衡不平衡变换器的操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136B1 (ko) 2004-12-16 2006-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트랜스포머
JP2009506562A (ja) 2005-08-29 2009-02-1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可変集積インダクタ
JP2007235457A (ja) 2006-02-28 2007-09-13 Ntt Docomo Inc 可変フィルタ
WO2008090656A1 (ja) 2007-01-24 2008-07-31 Sumida Corporation インダ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77258B2 (ja) 2015-09-09
JP2014110434A (ja) 2014-06-12
US20140152412A1 (en) 2014-06-05
US9013261B2 (en)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591B2 (en) Self-canceling magnetic structures for transferring power and communication signals
CN108292552B (zh) 具有自闭合磁路的磁结构
KR101248499B1 (ko) 평면 코일
US9291649B2 (en) On the enhancements of planar based RF sensor technology
US7915992B2 (en) Planar, high voltage embedded transformer for analog and digital data transmission
CN107490715B (zh) 电流传感器和制造电流传感器的方法
US20140043130A1 (en) Planar electronic device
US10944376B2 (en) LC resonator and LC filter
US20190260343A1 (en) Lc filter
CN103645452A (zh) 多通道射频线圈装置和使用该装置的磁共振成像系统
CN201311811Y (zh) 一种共模滤波器
JPS62154607A (ja) 高周波コイル
KR101351855B1 (ko) 고전력용 가변 인덕터와 이를 사용한 필터
US5014026A (en) Filter device
CN207134191U (zh) 连接器模块
EP3807666B1 (en) Sheath wave barrier for magnetic resonance (mr) applications
JP2006186620A (ja) ラインフィルタ
CN217157915U (zh) 滤波电感和滤波器
EP3617730A1 (en) Sheath wave barrier for magnetic resonance (mr) applications
KR20150076931A (ko)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KR20230085750A (ko) 커넥터 장치
KR20150076938A (ko) 알에프 코일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