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931A -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931A
KR20150076931A KR1020130165672A KR20130165672A KR20150076931A KR 20150076931 A KR20150076931 A KR 20150076931A KR 1020130165672 A KR1020130165672 A KR 1020130165672A KR 20130165672 A KR20130165672 A KR 20130165672A KR 20150076931 A KR20150076931 A KR 2015007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all
electrical conductor
coils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552B1 (ko
Inventor
김경남
최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552B1/ko
Priority to US15/108,481 priority patent/US10345405B2/en
Priority to PCT/KR2014/012939 priority patent/WO2015099509A1/ko
Publication of KR2015007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 G01R33/34046Volume type coils, e.g. bird-cage coils; Quadrature bird-cage coils; Circularly polarised c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 G01R33/34007Manufacture of RF coils, e.g. using printed circuit board technology; additional hardware for providing mechanical support to the RF coil assembly or to part thereof, e.g. a support for moving the coil assembly relative to the remainder of the MR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복수의 RF 코일을 사용하는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RF 코일과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도록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과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 어셈블리(RF Coil Assembly)에 있어서, 제1 RF 코일; 제2 RF 코일; 그리고, 제1 RF 코일 및 제2 RF 코일이 각각 전기적 컨덕터와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도록 상기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된 벽;을 포함하고, 인접한 제1 RF 코일과 제2 RF 코일 사이에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Radiofrequency Coil and Radiofrequency Coil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 및 RF 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인덕턴스 커플링(Mutual Inductance Coupling) 현상을 방지하는 RF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RF 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MRI 장치를 이용하여 패러렐 영상(Parallel Imaging)을 얻을 때, 해당 영상을 얻는 대상으로부터 나오는 자기공명신호는 다수의 RF 코일을 통해 수신된다. 이 때 다수의 RF 코일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RF 코일 간에는 상호인덕턴스 커플링 현상이 발생한다. 상호인덕턴스 커플링 현상으로 인해 MRI 영상의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는 저하된다.
따라서 인접한 RF 코일 간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방지하는 것은 MRI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상호인덕턴스 커플링 방지를 위해 다양한 디커플링 방법(Decoupling Methods)이 개발되고 있다.
디커플링 방법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25106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15081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68890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927575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879159호 등 다수의 특허가 있다.
도 1은 전치 증폭기를 이용한 디커플링 방법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에 기재된 일 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25106호에 기재된 것으로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RF 코일(100)과 전치 증폭기(120)가 인덕터(110)가 있는 회로로 연결되어 있다. RF 코일(100)은 커패시터(101)와 전기적 컨덕터(102)를 포함한다. 도 1에 기재된 디커플링 방법은 RF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인접한 RF 코일 간에 발생하는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의 크기가 비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즉 전치 증폭기(120)와 인덕터(110)를 사용하여 RF 코일(100)의 입력 임피던스를 높게 만들어 RF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인접한 RF 코일 간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인접한 RF 코일 사이에 디커플링 회로를 배치한 디커플링 방법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에 기재된 일 예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68890호에 기재된 것으로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3개의 RF 코일이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제1 RF 코일(210), 제2 RF 코일(220), 제3 RF 코일(230)이라고 한다. 제1 RF 코일(210)은 커패시터(211)와 전기적 컨덕터(212)를 포함한다. 제2 RF 코일 및 제3 RF 코일도 제1 RF 코일과 같이 커패시터와 전기적 컨덕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해 있는 제1 RF 코일(210)과 제2 RF 코일(220) 사이에 디커플링 회로(240)가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2 RF 코일(220)과 제3 RF 코일(230) 사이에 디커플링 회로(24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인접한 RF 코일과 RF 코일 사이에 디커플링 회로가 배치되어 인접한 RF 코일 간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디커플링 회로는 도 2와 같이 커패시터(241)를 사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인접한 RF 코일 간에 오버랩(Overlap)을 이용한 코일의 구조적 디커플링 방법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에 기재된 일 예는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879159호에 기재된 것으로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제1 RF 코일(300), 제2 RF 코일(310), 제3 RF 코일(320)이 있다. 제1 RF 코일(300)은 커패시터(301)와 전기적 컨덕터(302)를 포함하고 있다. 제2 RF 코일(310) 및 제3 RF 코일(320)도 커패시터와 전기적 컨덕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RF 코일 간에는 오버랩 되는 부분(330, 331)이 있도록 배치된다. 오버랩되는 부분을 통해 인접한 RF 코일 간에 발생하는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버랩되는 구간(330, 331)의 면적은 각각의 인접한 RF 코일 면적에 대하여 RF 코일의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 14%, 원형인 경우 22%정도 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커플링 방법 중 도 2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법의 경우에는 인접한 RF 코일 사이에 부가적인 디커플링 회로를 구성해야 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도 3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법의 경우에는 오버랩되는 구간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컨트롤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RF 코일은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튜닝이 필요한데 상기 디커플링 회로나 오버랩을 통한 디커플링 방법의 경우 RF 코일의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쳐 튜닝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복수의 RF 코일을 사용하는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RF 코일과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도록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 어셈블리(RF Coil Assembly)에 있어서, 제1 RF 코일; 제2 RF 코일; 그리고, 제1 RF 코일 및 제2 RF 코일이 각각 전기적 컨덕터와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도록 상기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된 벽;을 포함하고, 인접한 제1 RF 코일과 제2 RF 코일 사이에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전치 증폭기를 사용한 디커플링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인접한 RF 코일 사이에 디커플링 회로를 사용한 디커플링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인접한 RF 코일 간에 오버랩을 이용한 디커플링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디커플링 방법없이 인접하게 배열된 RF 코일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RF 코일이 사용된 RF 코일 어셈블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RF 코일을 제작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RF 코일을 제작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RF 코일이 사용된 RF 코일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RF 코일이 사용된 RF 코일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RF 코일의 다양한 형상의 벽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디커플링 방법이 없이 인접하게 배열된 RF 코일 어셈블리의 일 예를 보여준다. RF 코일은 도 1의 경우와 같이 커패시터(101)와 전기적 컨덕터(102)를 포함하고 있다. 이중 도 1의 경우 전기적 컨덕터(102)가 선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재 사용되고 있는 것은 도 2에 있는 전기적 컨덕터(212)와 같이 면을 갖고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RF 코일을 구성하는 커패시터를 도시하지 않고 사각형의 네 변에 위치한 전기적 컨덕터(401, 402, 403, 404, 411, 412, 413, 414)만을 표시하여 제1 RF 코일(400)과 제2 RF 코일(410)을 도시하였다. 디커플링 방법이 없기 때문에 2개의 인접한 제1 RF 코일(400)과 제2 RF 코일(410) 간에는 상호인덕턴스 커플링(M)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RF 코일이 사용된 RF 코일 어셈블리의 일 예를 보여준다. 본 예에서 RF 코일 어셈블리는 도 4와 유사하게 사각형의 제1 RF 코일(500)과 제2 RF 코일(510)이 인접하게 배열된 RF 코일 어셈블리이다. 다만 도 4와 달리 디커플링 방법으로 제1 RF 코일(500) 및 제2 RF 코일(510)은 전기적 컨덕터(502, 514) 및 이와 일체로 연결된 벽(505, 515)을 포함하고 있다. 벽(505, 515)이 전기적 컨덕터(502, 514)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벽은 RF 코일의 일부가 된다. 벽은 RF 코일의 일부이면서 별도의 디커플링 회로나 오버랩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기 때문에 종래의 디커플링 방법이 갖고 있는 문제점 중 디커플링 방법이 RF 코일의 공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1 RF 코일(500)의 전기적 컨덕터(502)와 제2 RF 코일(510)의 전기적 컨덕터(514)가 인접해 있다. 이때 인접해 있는 각각의 전기적 컨덕터(502, 514)에 전기적 컨덕터와(502, 514)와 일체로 연결된 벽(505, 515)이 세워진다. 도 5에는 각각의 RF 코일에 벽(505, 515)이 세워졌지만 제1 RF 코일과 제2 RF 코일 중 하나의 RF 코일에만 벽이 세워 질 수도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두 개의 벽(505, 515)이 서로 마주보며 세워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벽 사이의 간격과 벽의 높이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즉 두 벽 사이의 간격이 큰 경우 인접한 RF 코일 사이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이 작고 두 벽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경우 인접한 RF 코일 사이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이 크기 때문에 벽의 높이는 인접한 RF 코일 사이의 벽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낮아지고 근접할수록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적 컨덕터(502, 514)와 일체로 연결된 벽(505, 515)으로 인하여 인접한 제1 RF 코일(500)과 제2 RF 코일(510)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인덕턴스 커플링(M)이 감소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인접한 RF 코일 사이의 디커플링 방법인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연결된 벽이 세워지는 일 예를 보여 준다.
벽이 세워지기 전 RF 코일(600)의 전기적 컨덕터(610, 620, 630, 640) 중 하나를 선택하여 벽이 세워지는 방법을 보여준다. 나머지 전기적 컨덕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벽이 세워질 수 있다. 먼저 전기적 컨덕터(620)를 선(623)을 중심으로 제1 부분(621)과 제2 부분(622)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선(623)을 중심으로 제2 부분(622)이 접혀서 세워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벽이 세워지기 전 RF 코일(600)의 제2 부분(622)이 벽이 세워진 RF 코일(650)에서는 전기적 컨덕터(621)와 일체로 연결된 벽(622)이 된다. 이 경우 벽(622)과 전기적 컨덕터(621)는 동일한 재질로 된다. 벽(622)과 전기적 컨덕터(62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구리를 사용하나 전도성의 향상을 위해 은이나 금을 구리에 도금한 형태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벽의 높이(625)는 전기적 컨덕터의 폭(624)과 비교하여 큰 것이 상호인덕턴스 커플링 방지에 좋다.
또한 벽(622)과 전기적 컨덕터(621)가 이루는 이면각(626)의 크기는 90도가 되는 것이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벽(622)과 전기적 컨덕터(621)가 이루는 횡단면(AA'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모양이 L자(6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인접한 RF 코일 사이의 디커플링 방법인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연결된 벽이 세워지는 다른 예를 보여 준다.
벽이 세워지기 전 RF 코일(700)의 전기적 컨덕터(710, 720, 730, 740) 중 하나를 선택하여 벽이 세워지는 방법을 보여준다. 나머지 전기적 컨덕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벽이 세워질 수 있다. 먼저 벽(750)을 준비한다. 그리고 벽(750)이 전기적 컨덕터(720)와 일체가 되게 연결하여 벽이 세워진 RF 코일(760)을 만들 수 있다. 벽(750)을 전기적 컨덕터(720)에 일체로 연결할 때 전기 전도성이 있는 접착제, 솔더링(soldering), 구리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RF 코일(770)의 전기적 컨덕터(780)에 슬릿(781)을 만들어 벽(750)을 전기적 컨덕터(780)와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설명한 전기적 컨덕터를 접는 방식으로 벽이 세워지는 것과 달리 벽(750)은 전기적 컨덕터(720)와 다른 재질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벽이 세워지는 방식으로 도 6과 도 7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을 동시에 사용하여 RF 코일을 만들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하나의 전기적 컨덕터(740)에서는 도 6에서의 방식으로 벽이 만들어지고 또 다른 전기적 컨덕터(720)에서는 도 7에서의 방식으로 벽이 동시에 만들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RF 코일이 사용된 RF 코일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여 준다.
도 5에는 2개의 RF 코일이 인접하게 배열된 것을 보여주었다. 도 8은 2개 이상의 RF 코일이 인접하게 배열된 RF 코일 어셈블리(800)이다. RF 코일 어셈블리(800)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RF 코일에는 본 개시에 따른 디커플링 방법인 벽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RF 코일 어셈블리(800)를 구성하고 있는 RF 코일(810)은 인접한 RF 코일(820, 830, 840, 850)과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방지하기 위해 벽(811, 812, 813, 814)을 포함하고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RF 코일이 사용된 RF 코일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는 RF 코일의 형상이 사각 형상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개시는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연결된 벽을 포함하고 있는 RF 코일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RF 코일로 이루어진 RF 코일 어셈블리(900, 910)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RF 코일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벽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제1 형상의 벽(1100)이 포함된 RF 코일(1300), 제2 형상의 벽(1200)이 포함된 RF 코일(1400), 제3 형상의 벽(1300)이 포함된 RF 코일(1500)을 보여주고 있다. 제1 형상의 벽(1100)은 불연속적 벽이고, 제2 형상의 벽(1200)은 물결형상의 벽이고, 제3 형상의 벽(1300)은 톱니바퀴 형상의 벽이다. 이외 다양한 형상의 벽을 고려할 수 있다. 인접한 RF 코일의 형상이 동일한 것은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의 발생원인 중 하나이다. 벽은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구성되어 RF 코일의 일부가 된다. 따라서 인접한 RF 코일의 마주보고 있는 벽의 형상이 다른 경우 RF 코일의 형상이 다르게 되어 상호인덕턴스 커플링 감소 효과는 커진다. 예를 들어 제1 형상의 벽(1100)을 갖고 있는 RF 코일(1300)과 제2 형상의 벽(1200)을 갖고 있는 RF 코일(1400)을 인접하게 배치하고 두 벽(1100, 1200)을 서로 마주보게 하는 경우 인접한 두 코일(1300, 1400)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은 두 벽의 형상이 동일한 경우보다 더 줄일 수 있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벽의 높이가 다른 경우도 두 벽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포함된다. 또한 제1 형상의 벽(1100)의 경우 도 7에서 설명한 벽을 조립할 수 있는 슬릿을 갖고 있는 RF 코일과 함께 사용할 때, 슬릿에 밀어 넣는 제1 형상의 벽(1100)의 개수를 조정하여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이 인접한 RF 코일 사이에 작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 형상의 벽(1100)을 3개 정도 넣지만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6개 정도 넣어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복수의 RF 코일을 사용하는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RF 코일과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도록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2) 전기적 컨덕터와 벽이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3) 전기적 컨덕터와 벽이 동일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4) 전기적 컨덕터와 벽의 재질이 구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5) 벽의 높이가 전기적 컨덕터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6) 벽과 전기적 컨덕터가 이루는 이면각이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7) 벽과 전기적 컨덕터가 이루는 횡단면의 모양이 L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8) 전기적 컨덕터가 벽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릿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9)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 어셈블리(RF Coil Assembly)에 있어서, 제1 RF 코일; 제2 RF 코일; 그리고, 제1 RF 코일 및 제2 RF 코일이 각각 전기적 컨덕터와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도록 상기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된 벽;을 포함하고, 인접한 제1 RF 코일과 제2 RF 코일 사이에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0) 제1 RF 코일의 벽과 제2 RF 코일의 벽이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1)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 사이의 간격과 벽의 높이가 반비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2)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3)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의 높이가 상기 벽과 일체로 연결된 전기적 컨덕터의 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4)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 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벽과 일체로 연결된 전기적 컨덕터가 이루는 이면각의 크기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5)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벽과 일체로 연결된 전기적 컨덕터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6) 전기적 컨덕터와 벽이 구리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7)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 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벽과 일체로 연결된 전기적 컨덕터가 서로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8)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 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과 일체로 연결되기 위해 전기적 컨덕터가 슬릿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본 개시를 통해 간단한 방법으로 인접한 RF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감소시킬 수 있다.
100,210,220,230,300,310,320,400,410,500,510,600,650,700,760 : RF 코일,
102,212,302,401,402,403,404,501,502,503,504,610,620,630: 전기적 컨덕터,
505,515,622,750,811,812,813,814: 벽

Claims (18)

  1. 복수의 RF 코일을 사용하는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RF 코일과의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도록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와 벽이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와 벽이 동일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와 벽의 재질이 구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벽의 높이가 전기적 컨덕터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벽과 전기적 컨덕터가 이루는 이면각이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벽과 전기적 컨덕터가 이루는 횡단면의 모양이 L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가 벽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릿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9.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사용하는 RF 코일 어셈블리(RF Coil Assembly)에 있어서,
    제1 RF 코일;
    제2 RF 코일; 그리고,
    제1 RF 코일 및 제2 RF 코일이 각각 전기적 컨덕터와 상호인덕턴스 커플링을 줄이도록 상기 전기적 컨덕터와 일체로 된 벽;을 포함하고,
    인접한 제1 RF 코일과 제2 RF 코일 사이에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RF 코일의 벽과 제2 RF 코일의 벽이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 사이의 간격과 벽의 높이가 반비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 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의 높이가 상기 벽과 일체로 연결된 전기적 컨덕터의 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벽과 일체로 연결된 전기적 컨덕터가 이루는 이면각의 크기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벽과 일체로 연결된 전기적 컨덕터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전기적 컨덕터와 벽이 구리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 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벽과 일체로 연결된 전기적 컨덕터가 서로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RF 코일의 벽 그리고 제 2 RF 코일의 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과 결합하기 위해 전기적 컨덕터가 슬릿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어셈블리.
KR1020130165672A 2013-12-27 2013-12-27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KR102125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672A KR102125552B1 (ko) 2013-12-27 2013-12-27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US15/108,481 US10345405B2 (en) 2013-12-27 2014-12-26 Radiofrequency coil and radiofrequency coil assembly having the same
PCT/KR2014/012939 WO2015099509A1 (ko) 2013-12-27 2014-12-26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672A KR102125552B1 (ko) 2013-12-27 2013-12-27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931A true KR20150076931A (ko) 2015-07-07
KR102125552B1 KR102125552B1 (ko) 2020-07-07

Family

ID=5378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672A KR102125552B1 (ko) 2013-12-27 2013-12-27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217A1 (ko) * 2015-12-24 2017-06-29 (의료)길의료재단 분할 코일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7906A2 (en) * 1998-09-22 2000-03-30 Applied Materials, Inc. Rf plasma etch reactor with internal inductive coil antenna and electrically conductive chamber walls
JP2002508649A (ja) * 1998-03-24 2002-03-19 ウイスコンシン アラムニ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二重固定子巻線誘導機械の駆動
JP2008119214A (ja) * 2006-11-10 2008-05-29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およびrf照射コイル
WO2010018479A1 (en) * 2008-08-13 2010-0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gnetic resonance rf co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649A (ja) * 1998-03-24 2002-03-19 ウイスコンシン アラムニ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二重固定子巻線誘導機械の駆動
WO2000017906A2 (en) * 1998-09-22 2000-03-30 Applied Materials, Inc. Rf plasma etch reactor with internal inductive coil antenna and electrically conductive chamber walls
JP2008119214A (ja) * 2006-11-10 2008-05-29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およびrf照射コイル
WO2010018479A1 (en) * 2008-08-13 2010-0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gnetic resonance rf co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217A1 (ko) * 2015-12-24 2017-06-29 (의료)길의료재단 분할 코일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552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6273A (ja) 伝送ライン端部リングを備えたラジオ周波数コイル
TWI571047B (zh) Lc複合零件
US10848120B2 (en) Multilayer LC filter
JP6959537B2 (ja) 周波数選択板
TWI524586B (zh) 具備平面電磁能隙共振結構的電路
JP2007201666A (ja) バラン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10345405B2 (en) Radiofrequency coil and radiofrequency coil assembly having the same
JP2020136422A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部品
CN206301921U (zh) 一种用于射频线缆组件的陷波器
CN105322268A (zh) 定向耦合器
KR20150076931A (ko) 알에프 코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알에프 코일 어셈블리
KR101823232B1 (ko) 공통 모드 필터
US7782157B2 (en) Resonant circuit, filter circuit, and multilayered substrate
US10135418B2 (en) Common mode filter
US20180144860A1 (en) Inductor component
CN207134191U (zh) 连接器模块
US10079415B2 (en) Structure and wiring substrate
CN107077952A (zh) 线圈部件
US9729123B2 (en) Common-mode filter
KR20150112891A (ko) 슬롯 라인 공진기를 구비한 필터링 회로
JP2006332979A (ja) ハイパスフィルタ
US10230143B2 (en) Structure and wiring substrate
KR101666303B1 (ko) Srr 루프형 rf 공진기
JP2012257084A (ja) Ebg構造及びプリント基板
JP4520214B2 (ja) フィルタ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