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970B1 -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970B1
KR101350970B1 KR1020070023372A KR20070023372A KR101350970B1 KR 101350970 B1 KR101350970 B1 KR 101350970B1 KR 1020070023372 A KR1020070023372 A KR 1020070023372A KR 20070023372 A KR20070023372 A KR 20070023372A KR 101350970 B1 KR101350970 B1 KR 10135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roller
encapsulant
passagew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733A (ko
Inventor
김세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9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셀갭 형성을 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셀 내부에 충진된 액정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단위 액정셀의 일 가장자리에 액정통로구를 구성하여, 액정량이 기준치에 못 미치거나,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정통로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 또는 토출시켜, 균일한 셀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면얼룩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통로구를 통해 액정을 토출시키는 경우, 액정토출 공정 및 액정통로구 봉지 공정을 와이퍼가 감겨져 있는 제 1 롤러와, 봉지제가 코팅된 제 2 롤러로 구성된 더블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공정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진행할 수 있어, 공정의 편리함과 함께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액정, 단위 액정셀, 액정통로구, 봉지,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for LC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CD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액정패널의 제조공정을 공정순서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디스펜서 방식을 통한 액정적하 공정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의 제조공정을 공정순서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방식을 통한 액정적하 공정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토출 공정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통로구를 봉지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토출 공정 및 액정통로구 봉지 공정을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가능케 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
도 7a ~ 7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더블 롤러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1 : 단위 액정셀 119 : 액정통로구
200 : 가압탱크 301 : 제 1 롤러
303 : 와이퍼 305 : 제 2 롤러
307 : 봉지제 311 : 리니어
본 발명은 균일한 셀갭 형성을 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셀 내부에 충진된 액정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CRT(cathode ray tube)는 TV를 비롯해서 계측기기, 정보단말기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이용되어 오고 있으나, CRT 자체의 큰 무게나 부피로 인하여 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구에 적극 대응할 수 없었다.
이러한 CRT를 대체하기 위해 소형, 경량화의 장점을 갖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등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활발하게 개발되어 왔다.
이중,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투명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액정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갖추고 있다.
도 1은 액정패널의 제조공정을 공정순서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 1 단계(st1)는, 컬러필터기판인 제 1 기판과 어레이기판인 제 2 기판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들, 제 1 및 제 2 기판에는 각각 다수의 단위셀이 정의되어 있다.
제 2 단계(st2)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배향막 형성은 고분자 박막의 도포와 러빙(rubbing)공정을 포함하며, 박막 두께가 균일하게 도포되어야 하고 러빙 또한 균일해야 한다.
제 3 단계(st3)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에 정의되어 있는 다수의 단위셀 각각의 가장자리를 둘러 실(seal)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실패턴은 디스펜서(dispenser)나 스크린(screen) 인쇄방법으로 열경화성 또는 자외선경화성 수지의 실런트(sealant)를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형성한다.
제 4 단계(st4)는,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하는 단계로, 스페이서는 차후 진행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합착 후 이들의 셀갭(cell gap)을 균일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제 5 단계(st5)는, 상기 실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는 단계이다. 이때, 액정적하 방법은 기판 상에 디스펜서(dispenser) 방식을 통해 액정을 적 하한다.
제 6 단계(st6)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합착 공정을 통해 액정셀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 7 단계(st7)는, 상기 제작된 액정셀을 정의되어 있던 각각의 단위 액정셀로 절단하는 공정이다.
전술한 공정을 거쳐 액정패널이 완성되고, 완성된 액정패널은 품질검사 후, 액정패널에 구동회로를 연결한 다음, 편광판 및 다수의 모듈을 구성하면 액정표시장치가 완성된다.
도 2는 앞서 전술한 디스펜서 방식을 통한 액정적하 공정(st5)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로 이때, 상기 액정(17)을 적하하는 기판(10)은 상기 제 3 단계(st3)에서 실패턴(13)이 형성된 기판(10)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에는 다수의 단위셀(11)이 정의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위셀(11)의 가장자리를 둘러 실패턴(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판(10)의 상부에는 상기 기판(10)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내부에 액정(17)이 채워진 디스펜서 방식의 액정적하장치(15)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액정적하장치(15)는 주사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즉, 상기 액정적하장치(15) 내부에 채워진 액정(17)을 상기 단위셀(11)이 정의된 기판(10) 상의 실패턴(13) 내부영역에 포인트 도팅(point dotting)방식으로 액정(17)을 적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정적하장치(15)를 사용한 액정적하 공정은 최근 액정패널 의 대형화로 인해 몇 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우선, 기판(10)의 대형화로 인해 상기 기판(10) 상의 정의되는 단위셀(11)의 크기도 커져, 상기 단위셀(11)의 실패턴(13) 내부에 적하되는 액정(17)의 포인트 도팅 수가 증가됨으로써, 공정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포 공정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액정(17)의 포인트 도팅의 양을 늘리게 되면, 상기 액정적하 공정 후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합착공정 시 합착 평탄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는 셀갭을 불균일하게 하여 화면얼룩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셀의 셀갭을 균일하게 하고, 화면얼룩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정의 효율성 향상 및 공정시간 단축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정패널 내부에 충진된 액정을 토출 및 봉지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로써, 상기 액정패널을 가압하며, 상기 액정패널의 액정통로구를 노출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 상부에 위치하며, 와이퍼(wiper)가 감긴 제 1 롤러와, 봉지제가 코팅된 제 2 롤러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를 연결하는 리니어(linear)로 구성되는 더블 롤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가압탱크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발생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리니어는 신장 및 수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정패널이 배치되는 가압탱크와, 둘 사이 거리 조절이 가능하며, 각각 와이퍼(wiper)가 감긴 제 1 롤러와, 봉지제가 코팅된 제 2 롤러로 구성되는 더블 롤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를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을 가압하여, 내부에 충진된 액정을 액정통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단계와; a) 상기 토출된 액정을 상기 제 1 롤러가 닦아 세척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제 1 롤러의 일부에 봉지제를 전사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롤러가 회전하여 전사된 상기 봉지제로 상기 액정통로구를 봉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의 제 1 롤러가 180°내에서 좌,우 왕복 회전운동하여, 반구면으로 토출된 액정을 닦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봉지제는 상기 제 1 롤러의 제 2 반구면에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상기 제 1 롤러는 전사된 상기 봉지제가 상기 액정통로구와 마주보도록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 1 롤러는 180°내에서 좌,우 왕복 회전운동하여, 상기 액정통로구에 상기 봉지제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d) 단계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봉지제를 경화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사이의 리니어(linear)를 신장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사이를 이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리니어를 수축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를 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리니어를 신장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사이를 이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패널의 제조공정을 공정순서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 1 단계(st11)는, 컬러필터기판인 제 1 기판과 어레이기판인 제 2 기판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2 기판에는 게이트전극, 반도체층, 소스 및 드레인전극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가 각각 정의된 단위셀 별로 구성되며, 전극역할을 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기판에는 제 2 기판의 화소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특정 파장대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어 있고, 컬러필터층의 컬러별 경계부에는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컬러필터층 및 블랙매트릭스의 상부에는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계(st12)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제 1 및 제 2 기판의 전극부 상에 각각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배향막의 도포 및 경화 그리고, 러빙(rubbing) 공정이 포함된다. 상기 배향막 은 유기배향막인 폴리이미드(polyimide)계열이 주로 쓰인다.
제 3 단계(st13)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하나에 실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실패턴은 정의되어 있는 다수의 단위셀 각각의 가장자리를 두르도록 형성한다.
상기 실패턴은 디스펜서(dispenser)나 스크린(screen) 인쇄방법으로 열경화성 또는 자외선경화성 수지의 실런트(sealant)를 사용하여 형성하며, 이때 실패턴의 일부 구간은 액정이 토출 및 주입 될 수 있는 액정통로구를 이루도록 개방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액정통로구는 차후 디스펜서 방식을 통한 액정적하 공정에서, 기판 상에 적하되는 액정의 액정량을 정확히 제어하지 못하여 액정량이 설정된 기준치에 못 미치거나 초과하는 경우, 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성하는 것이다.
제 4 단계(st14)는,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스페이서는 차후 진행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합착 후 이들 사이의 셀갭(cell gap)을 정밀하고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의 스페이서가 사용된다.
제 5 단계(st15)는, 상기 실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는 단계이다. 이때, 액정은 상기 실패턴이 둘러 형성된 단위 액정셀 각각에 디스펜서(dispenser) 방식을 통해 적하한다.
제 6 단계(st16)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합착 공정을 통해 액정셀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 7 단계(st17)는, 상기 제작된 액정셀을 단위 액정셀로 절단하는 공정이다.
제 8 단계(st18)는, 상기 단위 액정셀의 액정통로구를 봉지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공정을 거쳐 액정패널이 완성되고, 완성된 액정패널은 품질검사 후, 액정패널에 구동회로를 연결한 다음, 편광판 및 다수의 모듈을 구성하면 액정표시장치가 완성된다.
도 4는 앞서 전술한 디스펜서 방식을 통한 액정적하 공정(st5)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로 이때, 상기 액정(117)을 적하하는 기판(100)은 상기 제 3 단계(st3)에서 액정통로구(119)를 포함하는 실패턴(113)이 형성된 기판(100)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0)에는 가장자리를 둘러 실패턴(113)이 형성된 다수의 단위셀(111)이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는 상기 기판(100)과 소정 간격을 두고, 내부에 액정(117)이 채워진 디스펜서 방식의 액정적하장치(115)가 위치한다.
상기 액정적하장치(115)는 상기 액정(117)이 채워지는 저장탱크(123)와, 상기 저장탱크(123) 내부의 액정(117)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노즐(미도시)이 구성된 토출헤드(121)로 구성한다.
이때, 액정적하장치(115)는 주사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즉, 상기 저장탱크(123) 내에 채워진 액정(117)은 소정의 압력에 의해 상기 토출헤드(121)로 압송되고, 상기 토출헤드(121)에 구성된 노즐(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23) 내부에 채워진 액정(117)을 상기 기판(100) 상에 정의된 단위셀(111)의 실패턴(113) 내부영역에 포인트 도팅(point dotting)방식으로 적하 하는 것이다.
상기 저장탱크(123)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은 별도의 펌프(미도시) 등의 가압장비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액정(117)이 일정 점도를 가지므로, 높은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액정적하 공정은 배기구를 포함하는 진공챔버(미도시) 내부에서 진행되어, 상기 액정적하 공정 중 상기 액정(117)에 기포가 삽입되어 발생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러한 디스펜서 방식을 통한 액정적하 공정은 다수의 단위셀(111)이 정의된 기판(100) 상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단위셀(111) 상에 액정(117)을 적하하게 된다.
그러나, 동일 기판(100) 상에 정의된 다수의 단위셀(111)의 셀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해서 액정패널을 완성해야 하는 경우, 정의된 각각의 단위셀(111) 마다 적하하는 액정량을 정확히 제어해줘야 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단위셀(111)에 적하되는 액정량이 설정된 기준치에 못 미치거나 초과한 상태로 액정패널이 완성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패턴(113)의 일부 구간을 개방하여 구성된 액정통로구(119)를 통해 액정을 주입 또는 토출시켜야 한다.
상기 액정패널 내부의 액정량이 설정된 기준치에 못 미치는 경우, 상기 액정패널 내부로 상기 액정통로구(119)를 통해 액정(미도시)을 주입시키는데, 이때 액정(미도시)은 액정통로구(119)에 액정적하장치(115)를 이용하여 주입하면 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 내부의 액정량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정패널 내부의 액정(117)을 외부로 토출시켜 설정된 액정량의 기준치에 도달하도록 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 1 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토출 공정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이며, 도 5b는 액정토출 공정 후, 액정통로구를 봉지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정(미도시)이 충진된 다수개의 액정패널(211)을 액정통로구(119)가 상측을 향하도록 가압탱크(200)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세워 고정한다.
이때, 액정통로구(119)는 상기 가압탱크(20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탱크(200)는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외부의 공기발생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공기발생수단(미도시)에 의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통해 가압탱크(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가압탱크(200) 상부에는 와이퍼(wiper : 203)가 감겨져 있는 롤(201)을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탱크(200) 내부에 압축공기를 서서히 주입하여 일정한 압력 을 형성하고, 이렇게 압축공기에 의해 형성된 공기압이 가압챔버(200) 내에서 액정패널(211) 표면에 작용하여 상기 액정패널(211) 전표면을 고르게 가압하게 된다.
이에 액정패널(211) 내에 과(過)충진된 여분의 액정(미도시)은 액정통로구(119)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이때, 와이퍼(203)가 감긴 롤(201)이 상기 액정통로구(119) 상부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된 액정(미도시)을 닦아 세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액정패널(211) 내에 충진된 액정(미도시)의 양이 기준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액정패널(211)에 가하던 압력을 제거하여 더 이상 액정통로구(119)를 통해 액정(미도시)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 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203)가 감긴 롤(201)을 다른곳으로 위치하고, 상기 가압탱크(200) 상부에 핀블럭(pin block : 205)을 위치시킨다.
상기 핀블럭(205)은 고분자물질인 봉지제(미도시)가 저장되는 봉지제저장탱크(207)와, 상기 봉지제저장탱크(207) 내부의 봉지제(미도시)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핀(209)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핀(209)은 다수개가 구성되어, 상기 가압탱크(200) 내부에 고정된 다수의 액정패널(211)의 액정통로구(119)를 동시에 봉지한다.
따라서, 상기 핀블럭(205)을 통해 상기 다수의 액정패널(211)의 액정통로구(119)에 봉지제(미도시)를 충진하여, 상기 액정통로구(119)를 봉지한다.
이때, 상기 액정통로구(119)를 봉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물질인 봉지제(미도시)는 자외선(ultra violet :UV)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UV 경화물질 로, 상기 액정통로구(119)에 충진된 봉지제(미도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액정패널(211)의 액정토출 공정 및 액정통로구(119) 봉지 공정이 모두 완료된다.
그러나, 이 같은 액정토출 공정 및 액정통로구(119) 봉지 공정은 각각 개별 공정으로 이루어져 공정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액정(미도시)의 양이 기준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액정패널(211)에 가하던 압력을 제거함에도 불구하고 남아있는 압력에 의해 소정의 액정(미도시)이 외부로 토출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액정토출 공정 후 바로 액정통로구(119)를 봉지해야 하나, 핀블럭(205)을 상기 가압탱크(200) 상부로 위치하는 시간 등의 지연으로 인하여 이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이렇게 토출된 소정의 액정(미도시)은 봉지제(미도시)와 반응하여 액정불량(side effect risk)과 같은 부작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토출 공정 및 액정통로구 봉지 공정이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가능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 사시도이며, 도 7a ~ 7c는 더블 롤러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정(미도시)이 충진된 다수개의 액정패널(211)을 액정통로구(119)가 상측을 향하도록 가압탱크(200)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세워 고정한다.
이때, 액정통로구(119)는 상기 가압탱크(20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탱크(200)는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외부의 공기발생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공기발생수단(미도시)에 의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통해 가압탱크(2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가압탱크(200) 상부에 제 1 및 제 2 롤러(301, 305)로 이루어진 더블(double)롤러를 위치한다.
상기 제 1 롤러(301)에는 와이퍼(wiper : 303)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 2 롤러(305)에는 봉지제(307)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301, 305)는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리니어(linear : 311)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탱크(200) 내부에 압축공기를 서서히 주입하여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고, 이렇게 압축공기에 의해 형성된 공기압이 가압챔버(200) 내에서 액정패널(211) 표면에 작용하여 상기 액정패널(211) 전표면을 고르게 가압하게 된다.
이에, 액정패널(211) 내에 과(過)충진된 여분의 액정(미도시)은 액정통로구(119)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이렇게 토출된 액정(미도시)은 와이퍼(303)가 감겨져 있는 제 1 롤러(301)가 상기 액정통로구(119) 상부로 회전하면서 상기 토출된 액정(미도시)을 닦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301, 305)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301, 305) 사이에 구성된 리니어(311)의 신장에 의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이며, 상기 제 1 롤러(301)는 좌, 우로 왕복 회전하는데 이의 회 전각이 180ㅀ를 넘지 않아, 상기 제 1 롤러(301) 중심부의 수평의 가상라인(virtual line : VL)을 중심으로 와이퍼(303)의 하부측인 제 1 반구(303b)면에만 토출된 액정(미도시)을 묻혀 닦아내게 된다.
상기 가압탱크(200)에 의해 가압되는 액정패널(211)은 상기 액정패널(211) 내부에 충진된 액정량이 기준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액정(미도시)을 토출하며, 상기 제 1 롤러(301)에 감겨있는 와이퍼(303)는 상기 토출된 액정(미도시)을 계속 닦아낸다.
상기 액정패널(211) 내에 충진된 액정(미도시)의 양이 기준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액정패널(211)에 가하던 압력을 제거하여 더 이상 액정통로구(119)를 통해 액정(미도시)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 후, 도 7b 및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통로구(119)에 봉지제(307)를 충진한다.
우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니어(311)를 수축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롤러(301, 305)를 서로 밀착시킨다. 이어, 제 1 롤러(301)를 회전하여, 상기 제 2 롤러(305)에 코팅되어 있는 봉지제(307)를 상기 제 1 롤러(301)의 와이퍼(303) 상측부(제 1 롤러(301)의 중심부의 수평 가상라인(VL)을 중심으로)의 제 2 반구(303a)면에 전사한다.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반구면(303a)에 봉지제(307)가 전사된 제 1 롤러(301)는 전사된 봉지제(307)가 제 1 롤러(301)의 와이퍼(303) 하측부에 위치하도록 회전한 다음, 상기 가압탱크(200) 내부에 고정된 다수의 액정패널(211)의 액정통로구(119) 상에 좌,우로 왕복 회전한다. 이때, 상기 좌,우 왕복 회전 역시 회전각이 180°를 넘지 않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봉지제(307)가 상기 액정통로구(119)에 충진되어, 상기 액정통로구(119)를 봉지한다.
이때, 상기 액정통로구(119)를 봉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분자물질인 봉지제(307)는 자외선(ultra violet :UV)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을 갖는 UV 경화물질로, 상기 액정통로구(119)에 충진된 봉지제(307)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액정패널(211)의 액정토출 공정 및 액정통로구(119) 봉지 공정이 모두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211)의 일 가장자리에 액정통로구(119)를 구성하여, 액정량이 기준치에 못 미치거나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정통로구(119)를 통해 액정(미도시)을 주입 또는 토출시킴으로써, 액정패널(211)의 셀갭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화면얼룩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토출 공정 및 액정통로구(119) 봉지 공정을 와이퍼(303)가 감겨져 있는 제 1 롤러(301)와, 봉지제(307)가 코팅된 제 2 롤러(305)로 구성된 더블 롤러를 사용하여, 각각의 공정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진행할 수 있어, 공정의 편리함과 함께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토출 공정 후 바로 액정통로구(119)를 봉지함으로써, 소정의 액정(미도시)이 외부로 토출되어 액정(미도시)과 봉지제(미도시)의 반응으로 인한 액정불량(side effect risk)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액정패널의 일 가장자리에 액정통로구를 구성하여, 액정량이 기준치에 못 미치거나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액정통로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 또는 토출시킴으로써, 균일한 셀갭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면얼룩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생산성 및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정통로구를 통해 액정을 토출시키는 경우, 액정토출 공정 및 액정통로구 봉지 공정을 와이퍼가 감겨져 있는 제 1 롤러와, 봉지제가 코팅된 제 2 롤러로 구성된 더블 롤러를 사용하여, 각각의 공정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진행할 수 있어, 공정의 편리함과 함께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액정토출 공정 후 바로 액정통로구를 봉지함으로써, 소정의 액정이 외부로 토출되어 액정과 봉지제의 반응으로 인한 액정불량(side effect risk)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액정패널 내부에 충진된 액정을 토출 및 봉지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로써,
    상기 액정패널을 가압하며, 상기 액정패널의 액정통로구를 노출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 상부에 위치하며, 와이퍼(wiper)가 감긴 제 1 롤러와, 봉지제가 코팅된 제 2 롤러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를 연결하는 리니어(linear)로 구성되는 더블 롤러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탱크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공기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는 신장 및 수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4. 내부에 액정패널이 배치되는 가압탱크와, 둘 사이 거리 조절이 가능하며, 각각 와이퍼(wiper)가 감긴 제 1 롤러와, 봉지제가 코팅된 제 2 롤러로 구성되는 더블 롤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를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을 가압하여, 내부에 충진된 액정을 액정통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단계와;
    a) 상기 토출된 액정을 상기 제 1 롤러가 닦아 세척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제 1 롤러의 일부에 봉지제를 전사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롤러가 회전하여 전사된 상기 봉지제로 상기 액정통로구를 봉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제 1 롤러가 180°내에서 좌,우 왕복 회전운동하여, 반구면으로 토출된 액정을 닦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제는 상기 제 1 롤러의 제 2 반구면에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상기 제 1 롤러는 전사된 상기 봉지제가 상기 액정통로구와 마주보도록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 1 롤러는 180°내에서 좌,우 왕복 회전운동하여, 상기 액정통로구에 상기 봉지제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봉지제를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사이의 리니어(linear)를 신장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사이를 이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리니어를 수축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를 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리니어를 신장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롤러 사이를 이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070023372A 2007-03-09 2007-03-09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135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372A KR101350970B1 (ko) 2007-03-09 2007-03-09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372A KR101350970B1 (ko) 2007-03-09 2007-03-09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733A KR20080082733A (ko) 2008-09-12
KR101350970B1 true KR101350970B1 (ko) 2014-01-14

Family

ID=4002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372A KR101350970B1 (ko) 2007-03-09 2007-03-09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984B1 (ko) * 2010-07-06 2012-04-09 주식회사 네패스 디스플레이 패널의 초박형화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방법
CN105093696B (zh) * 2015-08-18 2017-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卷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9132A (ja) * 1995-12-27 1997-07-11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における液晶注入孔の封止方法
KR20000061638A (ko) * 1999-03-29 2000-10-25 윤종용 액정의 주입 및 봉입 일체화 장치 및 방법
JP2004053645A (ja) * 2002-07-16 2004-02-19 Sharp Corp 液晶パネ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注入孔封止装置
KR20050104213A (ko) * 2004-04-28 2005-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이송유닛 및 이를 채용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9132A (ja) * 1995-12-27 1997-07-11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における液晶注入孔の封止方法
KR20000061638A (ko) * 1999-03-29 2000-10-25 윤종용 액정의 주입 및 봉입 일체화 장치 및 방법
JP2004053645A (ja) * 2002-07-16 2004-02-19 Sharp Corp 液晶パネ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注入孔封止装置
KR20050104213A (ko) * 2004-04-28 2005-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이송유닛 및 이를 채용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733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4483B2 (en) Display device having seal member being directly connected to junction portions
US7595857B2 (en)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854127B2 (ja) 液晶表示装置用インラインシステム及びそれを構成する製造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679708B2 (en) Ring-shaped seal for LCD and method formed of first and second different material sealing members with respectiv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each having respective first and second abutting parts that are continuous with the sealing members
JP4221270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50970B1 (ko) 액정표시장치용 제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US7292306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sealant,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same
JP2002040443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0478765C (zh) 液晶显示器的制造方法
KR20030079429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5723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6884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55464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224925A (ja) 液晶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276748B1 (ko) 액정표시장치용 액정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층형성방법
KR100731041B1 (ko) 액정탈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포 방법
KR2005007365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5184B1 (ko) 액정확산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00462818C (zh) 液晶显示器的制造方法
KR20070093480A (ko) 액정표시장치용 액정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주입방법
KR101309860B1 (ko) 필름형 시일 테이프의 제조 방법 및 필름형 시일 테이프를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04259B1 (ko) 액정표시장치의 공정라인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H07113721B2 (ja) 液晶表示パネル
KR101244690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72630B1 (ko) 액정패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