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889B1 - 가변 공간 구획 모듈 - Google Patents

가변 공간 구획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889B1
KR101348889B1 KR1020120077007A KR20120077007A KR101348889B1 KR 101348889 B1 KR101348889 B1 KR 101348889B1 KR 1020120077007 A KR1020120077007 A KR 1020120077007A KR 20120077007 A KR20120077007 A KR 20120077007A KR 101348889 B1 KR101348889 B1 KR 10134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hower
toilet
vanit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용석
Original Assignee
(주)소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나무 filed Critical (주)소나무
Priority to KR102012007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88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욕실 공간의 모듈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변기를 구비하는 변기 공간, 샤워기를 구비하는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를 구비하는 세면대 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오픈된 공간으로 사용되다가 하나 이상의 가변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힌 공간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공간 구획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공간,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 공간을 평소에는 오픈된 공간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가변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으므로, 약 13.2㎡(4평)~13.9㎡(4.2평) 정도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욕실에 의한 막힌 공간의 느낌을 최대한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공간 구획 모듈 {Module for variable space}
본 발명은 공간 구획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공간 구획 모듈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계획할 때 효율적인 공간 배치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제한된 공간을 가진 숙박시설, 예를 들면 중저가 비즈니스 호텔 건축 등의 경우, 16.5~23.1㎡(소위, 약 5~7평)의 공간에 하나의 객실을 배치한다.
도 1은 종래의 중저가 비즈니스 호텔의 객실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객실에 공간을 배치할 때에 욕실(10)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샤워부스(11)와 세면대(12)와 변기(13)가 함께 구비된다. 이러한 욕실(10)을 설계할 때, 욕실 출입문(14)과 샤워부스의 유리문(15) 등의 개폐 공간에 의해 공간의 낭비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앞으로는 도심지 중저가 호텔 등 공간이 제한된 숙박시설에서 더욱 효율적인 욕실 설계가 필요하다. 즉,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고 시공 비용의 절약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16.5~23.1㎡(소위, 약 5~7평)의 객실보다 더 작은 공간에 침실, 화장대, 옷장, 욕실 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공간을 가진 건축물에서 욕실로 사용 가능한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은 건축물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욕실 공간의 모듈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변기를 구비하는 변기 공간; 샤워기를 구비하는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를 구비하는 세면대 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오픈된 공간으로 사용되다가 하나 이상의 가변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힌 공간으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은 각각 정면이 개방되고, 서로 구획 수단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가변 도어는 미닫이 도어로서 상기 변기 공간의 정면, 상기 샤워기 공간의 정면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의 정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듈이 배치되는 건축물의 출입구로부터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이 순차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기 공간과 상기 샤워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전체 또는 일부가 오픈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오픈시 상기 샤워기 공간과 맞닿은 벽체 쪽으로 고정 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변기 공간과 상기 샤워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의 길이가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의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은 각각 정면이 개방되고, 상기 변기 공간 및 상기 샤워기 공간은 서로 구획 수단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가변 도어는 미닫이 도어로서 상기 변기 공간의 정면 및 상기 샤워기 공간의 정면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이 배치되는 건축물의 출입구로부터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이 순차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기 공간과 상기 샤워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전체 또는 일부가 오픈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변 도어는 여닫이 도어로서 상기 변기 공간의 정면 및 상기 샤워기 공간의 정면 중의 어느 하나를 힌지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변 도어는 오픈시 상기 변기 공간과 상기 샤워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 쪽으로 고정 가능하고,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오픈시 상기 샤워기 공간과 맞닿은 벽체 쪽으로 고정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변 도어 및 상기 구획 수단은, 각각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공간 구획 모듈에 의하면,
첫째, 변기 공간,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 공간을 평소에는 오픈된 공간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가변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으므로, 약 13.2㎡(4평)~13.9㎡(4.2평) 정도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욕실에 의해 막힌 공간의 느낌을 최대한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둘째, 제한된 공간에서 욕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침실, 화장대, 옷장 등 전체적인 객실의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고 시공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을 전체 또는 일부가 오픈 가능하도록 배치하여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샤워를 하고 난 후에 샤워기 공간에서 세면대 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몸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을 오픈시 샤워기 공간과 맞닿은 벽체 쪽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거나, 여닫이 도어 형태의 가변 도어가 오픈시 변기 공간과 샤워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 쪽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여 샤워부스에 의해 막힌 공간의 느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다섯째, 변기 공간과 샤워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의 길이가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의 길이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변기 공간,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 공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하면, 내측 공간의 개방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가변 도어 및 구획 수단이 각각 유리 재질을 포함할 경우, 모듈 공간 내부의 개방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저가 비즈니스 호텔의 객실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이 포함된 객실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의 변형된 실시예가 포함된 객실의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이 포함된 객실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의 변형된 실시예가 포함된 객실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이 포함된 객실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의 변형된 실시예가 포함된 객실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가변 공간 구획 모듈(M)은 건축물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욕실 공간의 모듈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변기 공간(110),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포함한다.
변기 공간(110)은 일측에 변기(111)를 구비하여 용변을 볼 수 있는 공간이고, 샤워기 공간(120)은 일측에 샤워기(121)를 구비하여 샤워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세면대 공간(130)은 세면대(131)를 구비하여 세면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변기 공간(110),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은 각각 정면이 개방되고, 서로 구획 수단(300)에 의해 구획된다.
변기 공간(110),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오픈된 공간으로 사용되다가, 하나 이상의 가변 도어(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힌 공간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6에서의 가변 도어(200)는 미닫이 도어(210)로서 변기 공간(110)의 정면, 샤워기 공간(120)의 정면 및 세면대 공간(130)의 정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다. 가변 도어(200)는 미닫이 도어(210)와 후술하는 여닫이 도어(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미닫이 도어(210)의 레일은 바닥과 천정 중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모듈(M)이 배치되는 건축물의 출입구(E)로부터 변기 공간(110),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이 순차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필요할 경우 세 공간의 배치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변기 공간(110)과 샤워기 공간(12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10)은 바닥에 고정되고,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전체 또는 일부가 오픈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접이식 도어(folding door)의 형태일 수도 있다.
가변 도어(200) 및 구획 수단(300)은 각각 투명 또는 불투명한 유리 재질을 포함하여 모듈(M) 공간 내부의 개방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는 변기(111)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가변 도어(200)인 미닫이 도어(210)가 변기 공간(110)을 닫은 경우이다. 이때,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미닫이 도어(210)와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샤워기(121)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가변 도어(200)인 미닫이 도어(210)가 샤워기 공간(120)을 닫은 경우이다.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미닫이 도어(210)와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샤워기를 사용해도 실내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샤워기(121)를 사용하고 난 직후의 경우로서 가변 도어(200)인 미닫이 도어(210)가 샤워기 공간(120)을 닫은 경우이다.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전체가 오픈 가능할 수도 있으나, 도 4에서는 일부(320a)가 오픈 가능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이 오픈 가능하면, 샤워를 하고 난 후에 샤워기 공간(120)에서 세면대 공간(130)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몸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변기 공간(110),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진다. 이를 위해, 변기 공간(110)과 샤워기 공간(12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10)의 길이가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의 길이보다 더 크게 배치된다. 이렇게, 변기 공간,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 공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게 하면, 내측 공간의 개방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오픈시 샤워기 공간(120)과 맞닿은 벽체(W) 쪽으로 회전 고정하여 샤워부스에 의해 막힌 공간의 느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세면대 공간(130)에 인접한 가구의 도어(D)도 필요에 따라 가변 도어(200)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변기 공간(110),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은 각각 정면이 개방되고, 변기 공간(110) 및 샤워기 공간(120)은 서로 구획 수단(310)에 의해 구획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는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합쳐진 경우이다.
여기서, 가변 도어(210)는 미닫이 도어로서 변기 공간(110)의 정면 및 샤워기 공간(120)의 정면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다. 이때에는 세면대 공간(130)의 정면에 별도의 고정 도어(F)가 구비될 수도 있고, 세면대 공간(130)에 인접한 가구의 도어(D)에 의해 가변 도어(200)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기 공간(110),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평소에는 오픈된 공간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가변 도어(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으므로, 약 13.2㎡(4평)~13.9㎡(4.2평) 정도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욕실에 의해 막힌 공간의 느낌을 최대한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한된 공간에서 욕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침실(C), 옷장(C), 화장대 등 전체적인 객실의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고 시공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이 포함된 객실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의 가변 공간 구획 모듈의 변형된 실시예가 포함된 객실의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모듈(M)이 배치되는 건축물의 출입구(E)로부터 변기 공간(110),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이 순차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변기 공간(110)과 샤워기 공간(12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10)은 바닥에 고정되고,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전체 또는 일부가 오픈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접이식 도어의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가변 도어(200)는 여닫이 도어(220)로서 변기 공간(110)의 정면 및 샤워기 공간(120)의 정면 중의 어느 하나를 힌지(H)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도, 가변 도어(200) 및 구획 수단(300)은 각각 유리 재질을 포함하여 모듈(M) 공간 내부의 개방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은 샤워기(121)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가변 도어(200)인 여닫이 도어(220)가 샤워기 공간(120)을 닫은 경우이다.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여닫이 도어(220)와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샤워기를 사용해도 실내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전체가 세면대 공간(130) 쪽으로 오픈 가능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도 11에서처럼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일부(320a)가 오픈 가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이 오픈 가능하면, 샤워를 하고 난 후에 샤워기 공간(120)에서 세면대 공간(130)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몸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변기 공간(110)과 샤워기 공간(12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보여준다. 즉, 가변 도어(220)는 변기 공간(110)과 샤워기 공간(12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10) 쪽으로 고정되고,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샤워기 공간(120)과 맞닿은 벽체(W) 쪽으로 고정된다.
도 10은 변기(111)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가변 도어(200)인 여닫이 도어(220)가 변기 공간(110)을 닫은 경우이다. 이때, 샤워기 공간(120) 및 세면대 공간(130)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320)은 여닫이 도어(220)와 수평인 방향, 즉 샤워기 공간(120)과 맞닿은 벽체(W) 쪽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객실 내 샤워부스에 의해 막한 공간의 느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변기 공간 120...샤워기 공간
130...세면대 공간 200...가변 도어
210...미닫이 도어 220...여닫이 도어
300...구획 수단

Claims (9)

  1. 건축물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욕실 공간의 모듈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변기를 구비하는 변기 공간;
    샤워기를 구비하는 샤워기 공간; 및
    세면대를 구비하는 세면대 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오픈된 공간으로 사용되다가 하나 이상의 가변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힌 공간으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은 각각 정면이 개방되고, 서로 구획 수단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가변 도어는 미닫이 도어로서 상기 변기 공간의 정면, 상기 샤워기 공간의 정면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의 정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을 수 있고,
    상기 모듈이 배치되는 건축물의 출입구로부터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이 순차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기 공간과 상기 샤워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전체 또는 일부가 오픈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은 오픈시 상기 샤워기 공간과 맞닿은 벽체 쪽으로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공간 구획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공간,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변기 공간과 상기 샤워기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의 길이가 상기 샤워기 공간 및 상기 세면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의 길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공간 구획 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변 도어 및 상기 구획 수단은, 각각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공간 구획 모듈.
KR1020120077007A 2012-07-16 2012-07-16 가변 공간 구획 모듈 KR101348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07A KR101348889B1 (ko) 2012-07-16 2012-07-16 가변 공간 구획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07A KR101348889B1 (ko) 2012-07-16 2012-07-16 가변 공간 구획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889B1 true KR101348889B1 (ko) 2014-01-08

Family

ID=5014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007A KR101348889B1 (ko) 2012-07-16 2012-07-16 가변 공간 구획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8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78U (ja) * 2000-02-21 2000-08-29 猛 堀内 サニタリーシステム
JP2006265895A (ja) * 2005-03-23 2006-10-05 Shinetsu Unit Kk 個室病室ユニット
JP3137928U (ja) * 2007-10-01 2007-12-13 勝 安生 浴室構造及び建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78U (ja) * 2000-02-21 2000-08-29 猛 堀内 サニタリーシステム
JP2006265895A (ja) * 2005-03-23 2006-10-05 Shinetsu Unit Kk 個室病室ユニット
JP3137928U (ja) * 2007-10-01 2007-12-13 勝 安生 浴室構造及び建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77683T1 (de) Toilettenanlage
KR101348889B1 (ko) 가변 공간 구획 모듈
JP2007315047A (ja) 間仕切り構造
JP6990510B2 (ja) 建物
CN1837567B (zh) 豪华型卫生间掩门
KR101083162B1 (ko) 샤워부스의 방수장치
JP3212344U (ja) 建物
JP2015017394A (ja) 建物の間仕切り構造
JP2001090354A (ja) 住 宅
KR20110041171A (ko) 가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CN104033075A (zh) 一种卫生间三框一门组合布局
KR100756541B1 (ko) 공동주택의 화장실 구조
JP2005211396A (ja) 洗面装置
JP7162429B2 (ja) 浴室ユニット
JP5774827B2 (ja) 水廻り設備室構造および洗面カウンターの配置構造
AU2019101796A4 (en) Buildings
KR200413177Y1 (ko) 공동주택의 화장실 구조
JP5512164B2 (ja) 間仕切り壁構造
KR20110010954U (ko)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 설치프레임
JP3133896U (ja) バス空間とトイレ空間を別個に備える集合型宿泊施設
JP3133897U (ja) バス空間とトイレ空間を別個に備える集合型宿泊施設の居室
JP2006169815A (ja) 集合住宅の住戸構造
JP6722436B2 (ja) 屋内用収納システム
JP2008214949A (ja) 住居
JP2000240302A (ja) 建物内収納空間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