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588B1 -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588B1
KR101346588B1 KR1020130089465A KR20130089465A KR101346588B1 KR 101346588 B1 KR101346588 B1 KR 101346588B1 KR 1020130089465 A KR1020130089465 A KR 1020130089465A KR 20130089465 A KR20130089465 A KR 20130089465A KR 101346588 B1 KR101346588 B1 KR 101346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edging
air
protective window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재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08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호스와 연결되어 하수관거를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 호스로부터 공급된 고압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 노즐; 및 상기 본체의 전방에 내장되어 상기 하수관의 청소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으로도 하수관거의 슬러지를 청소한 후 청소 상태를 확인하고 촬영까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하수관거의 철저한 관리 및 감독이 가능하고, 예산 낭비를 방지하며,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예산의 집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SEWER DREDGING AND CLEANING APPARATUS USING AIR PRESSURE}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으로 하수관거의 청소가 가능하고, 준설 및 세정공사가 이루어진 하수관거의 전체 구간 상태를 확인하고 촬영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거는 일반적으로 합류식 관거와 분류식 관거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하수관거는 최소유속에 미달하는 구간에 대하여 통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준설공사와, 악취저감을 위한 세정공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지하에 매설된 협소한 하수관거의 구조적 특성상 악취 발생으로 인하여 육안으로 조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준설공사 및 세정공사를 완료한 후 공사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CTV가 장착된 로봇 등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CCTV가 장착된 로봇과 같은 장비는 그 대여비가 막대하므로, 준설 및 세정공사가 이루어진 하수관거의 전 구간을 조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표본조사, 즉 준설 및 세정공사가 이루어진 전 구간 중 임의의 몇 개소를 선택하여 조사를 실시하는 실정이었다.
한편, 현재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공사는 고압수를 분사하여 실시하게 되지만, 이러한 고압수를 사용할 경우 준설흡입차량과 별도로 청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용수공급 차량이 동반되어야 하며, 준설흡입차량과 용수공급 차량이 준설 및 세정공사를 시행하는 동안 도로를 점유함으로 인한 교통 지체를 유발하고, 이러한 교통지체로 인한 민원을 초래할 우려가 다분하였던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은 용수공급 차량을 이용하여 동절기에 세정작업을 수행할 때는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이 그대로 동결되므로,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제10-1999-0015053호 특허출원 제10-2007-0139858호 특허출원 제10-2010-00426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으로 하수관거의 청소가 가능하고, 준설 및 세정공사가 이루어진 하수관거의 전체 구간 상태를 확인하고 촬영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불필요한 물의 사용을 극소화하여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도로 점거를 최소화하여 교통 불편 및 민원 발생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계절에 관계없이 원활한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 호스와 연결되어 하수관거를 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 호스로부터 공급된 고압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 노즐; 및 상기 본체의 전방에 내장되어 상기 하수관거의 청소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메라가 내장되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보호창과,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보호창측으로 고압 에어가 분사되는 창 세척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카메라가 내장되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투명한 재질이며,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호창과, 상기 보호창이 개방되면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를 돌출시키고 회동시키는 작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하수관거를 이동하는 상기 본체 전방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에어 호스와 별도로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물 호스와, 상기 에어 노즐과 별도로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물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물 호스로부터 공급된 물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창 세척 노즐은 상기 에어 호스와 별도로 구비된 물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보호창측으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카메라가 출입 가능하게 상기 보호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는 출입 슬롯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보호창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스크러버와, 상기 보호창이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보호창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스크러버와 대향되게 상기 출입 슬롯의 하측 가장자리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스크러버와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창의 회동 공간을 형성하는 방지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출입부와, 상기 출입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카메라가 장착된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부는 상기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지단턱이 상기 출입 슬롯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스크러버가 상기 출입 슬롯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고압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 노즐이 구비된 본체의 전방에 카메라를 장착한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으로도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공사가 이루어진 전체 구간의 청소 상태를 확인하고 촬영까지 가능하므로 대여비가 막대한 기존의 CCTV 로봇 장치 등과 같은 장치에 의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내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는 언제라도 즉시 본체를 하수관거에 투입하여 촬영하면서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압 에어로 하수관거의 협잡물, 슬러지등을 밀어내면서 준설 및 세정공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물의 사용을 극소화하여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협잡물, 슬러지 등의 세정에 물을 대량으로 사용함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처리비 및 운영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압 에어를 주로 사용하므로, 동절기와 같이 분사되는 물이 얼면서 작업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이 사계절 원활하게 준설 및 세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하수관거 청소를 고압수로 사용함으로 인한 별도의 용수공급차량을 준비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준설흡입차량만 구비하여 고압 에어로 협잡물, 슬러지등을 준설 및 세정하여 청소하면 되므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준설흡입차량 및 용수공급차량까지 필요한 기존의 하수관 청소 방식에 비하여 도로 점거를 최소화하여 교통 불편을 야기하지 않음은 물론, 민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의 주요부인 본체 전방의 보호창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의 주요부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의 주요부인 본체의 형상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를 이용한 준설 및 세정공사 이후 하수관거의 전체 구간에 걸친 청소 상태의 확인을 위한 촬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의 주요부인 본체 전방의 보호창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의 주요부인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에어 노즐(20)과 카메라(3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본체(10)는 에어 호스(50)와 연결되어 하수관거(40)를 이동하는 것이다.
에어 노즐(20)은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진공흡입 준설차량(80, 이하 도 5 및 도 6 참조)의 에어 컴프레서(이하 미도시)로부터 에어 호스(50)를 통하여 공급된 고압 에어가 분사되는 것이다.
여기서, 에어 노즐(20)의 분사 방향은 본체(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준설 및 세정공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카메라(30)는 본체(10)의 전방에 내장되어 하수관거(40)의 청소 상태를 촬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체(10)와 연결되는 에어 호스(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와도 연결되는 전원 및 데이터 송수신용의 케이블(45)과 함께 내구성과 내열성과 내화학성 및 내충격성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층(41)으로 보호되며 준설흡입차량(80)의 윈치(82)에 감겨지고 풀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것이다.
여기서, 카메라(30)는 케이블(45)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유선 연결된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무선 통신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수관거(40)를 이동하는 것으로, 보호창(11)과 함께 창 세척 노즐(12)을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보호창(11)은 케이블(45)과 연결되는 카메라(30)가 내장되는 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것이며, 창 세척 노즐(12)은 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되고 에어 호스(50)와 연결되어 보호창(11)측으로 고압 에어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보호창(11)은 도 2와 같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하수관거(40)의 준설 및 세정공사가 마무리되면 하수관거(40)의 전체 구간에 걸쳐 청소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촬영하는 카메라(30)가 출입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러버(16)와 힌지(17) 및 방지단턱(18)을 구비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스크러버(16)는 카메라(30)가 출입 가능하게 보호창(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는 출입 슬롯(15)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보호창(11)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것으로, 보호창(11)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보호창(11)에 묻은 슬러지나 오수를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힌지(17)는 보호창(11)이 회동 가능하게 보호창(11)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본체(10)와 결합되는 것으로, 보호창(11)의 개폐 동작을 위한 것이다.
방지단턱(18)은 스크러버(16)와 대향되게 출입 슬롯(15)의 하측 가장자리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스크러버(16)와의 사이에서 보호창(11)의 회동 공간(11h)을 형성하는 것으로, 스크러버(16)에 의하여 밀려나는 슬러지나 오수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방지단턱(18)이 출입 슬롯(15)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스크러버(16)가 출입 슬롯(15)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30)는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보호창(11)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카메라(30)를 돌출시키고 회동시키는 작동 어셈블리(13)와 결합되도록 한다.
작동 어셈블리(13)는 크게 출입부(13a)와 회동부(13b)를 포함하며, 출입부(13a)는 본체(10)의 내부로부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구조이며, 회동부(13b)는 출입부(13a)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카메라(30)가 장착된 것이다.
여기서, 출입부(13a)는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는 본체(10) 전방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 노즐(14)을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보조 분사 노즐(14)은 준설 및 세정공사가 완료된 후 카메라(30)를 본체(10)로부터 돌출시켜 하수관거(40)의 청소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바닥면에 새로이 유입되는 물을 고압 에어로 밀어내면서 하수관거(40)의 바닥면 또는 하수관거(40)의 연결부 부근의 상태를 카메라(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한편, 본체(10)는 에어 호스(50)와 별도로 본체(10)와 연결되는 물 호스(60)와, 에어 노즐(20)과 별도로 본체(10)의 후방에 구비되어 물 호스(60)와 연결되고, 물 호스(60)로부터 공급된 물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 분사 노즐(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물 호스(60)와 물 분사 노즐(70)은 대부분의 경우 고압 에어만으로도 하수관거(40)의 준설 및 세정공사를 수행할 수 있지만, 부피나 크기가 큰 이물질이나 슬러지가 하수관거(40)에 있거나, 작업 현장의 여건상 물의 사용이 필요한 하수관거(40)의 경우 선택적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확실하게 준설 및 세정공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창 세척 노즐(12)은 에어 호스(50)와 별도로 구비된 물 호스(60)와 연결되어 보호창(11)측으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보호창(11)을 깨끗하게 만든 다음 개방하여 카메라(30)로 촬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체(10)는 도 4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체(10)는 도 4(a) 및 도 4(c)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외주면 또는 타원구 형상인 유선형의 구조로 함으로써 하수관거(40) 내를 전, 후진함에 지장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a)와 같은 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지닌 본체(10) 및 도 4(c)와 같은 유선형의 구조를 지닌 본체(10)는 에어 노즐(20) 및 물 분사 노즐(70)을 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하수관거(40)의 내주면을 따라 균일한 압력으로 고압 에어를 분사하면서 준설 및 세정공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10)는 도 4(b) 및 도 4(d)와 같이 저면이 평평한 구조로 설계하여 하수관거(40) 내를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b) 및 도 4(d)와 같이 저면이 평평한 구조의 본체(10)는 하수관거(40)를 이동함에 따라 다소 요동하며 흔들릴 수도 있는 도 4(a) 및 도 4(c)의 본체(10)에 비하여 흔들림이 없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30) 촬영시에 떨림없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도 4(b) 및 도 4(d)와 같이 저면이 평평한 구조의 본체(10)는 하수관거(40) 내의 장애물에 걸리면 이동에 지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동에 걸림이 없는 도 4(a) 및 도 4(c)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를 준설 및 세정공사를 수행할 하수관거(40)의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를 이용한 작업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 표시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며, 도 5 및 도 6에서 도면부호로 45 또는 50으로 표시된 실선 부위는 진공흡입 준설차량(80)의 윈치(82)로부터 본체(10)와 연결되어 피복층(41)으로 감싸진 케이블(45)과 에어 호스(50) 등의 배치 방향을 편의상 나타낸 것이다.
실제로는 케이블(45)과 에어 호스(50)는 피복층(41)에 감싸진 구조가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케이블(45) 및 에어 호스(50)와 함께 물 호스(60)도 피복층(41)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감싸진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작업자는 진공흡입 준설차량(80)의 윈치(82)를 조작하여 윈치(82)로부터 에어 호스(50)를 풀어내어 본체(10)를 하수관거(40) 로 내려보내고, 도 5와 같이 본체(10)를 준설 및 세정공사를 실시할 구간까지 에어 노즐(20)을 통하여 분사되는 고압 에어에 의하여 이동시킨다.
이후, 에어가 본체(10) 후방에 배치된 에어 노즐(20)을 통하여 경사지게 고압으로 분사되면서 하수관거(40)의 바닥에 쌓인 하수 슬러지(90)를 일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준설 및 세정공사를 마무리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준설 및 세정공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조작하면서 도 6과 같이 본체(10) 전방의 보호창(11)을 개방시키고 출입부(13a)에 의하여 카메라(30)를 출입 슬롯(15) 바깥으로 돌출시킨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컨트롤러로 회동부(13b)를 조작하면서 카메라(30)를 출입부(13a)에 대하여 회동시켜 촬영하고 싶은 부분을 향하여 조준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본체(10)를 이동시키면서 본체(10) 전방의 보조 분사 노즐(14)을 통하여 에어를 분사시키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에어는 하수관거(40) 바닥면에 새로이 고이는 물을 밀어내면서 카메라(40)가 하수관거(40) 바닥면을 조준하여 청소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으로도 하수관의 준설 및 세정공사가 이루어진 전체 구간의 청소 상태를 확인하고 촬영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본체 11...보호창
11h...회동 공간 12...창 세척 노즐
13...작동 어셈블리 13a...출입부
13b...회동부 14...보조 분사 노즐
15...출입 슬롯 16...스크러버
17...힌지 18...방지단턱
20...에어 노즐 30...카메라
40...하수관거 41...피복층
45...케이블 50...에어 호스
60...물 호스 70...물 분사 노즐
80...진공흡입 준설차량 82...윈치
90...하수 슬러지

Claims (9)

  1. 에어 호스와 연결되어 하수관거를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 호스로부터 공급된 고압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 노즐 및 상기 본체의 전방에 내장되어 상기 하수관거의 청소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메라가 내장되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투명한 재질이며,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호창과, 상기 보호창이 개방되면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를 돌출시키고 회동시키는 작동 어셈블리와,
    상기 카메라가 출입 가능하게 상기 보호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는 출입 슬롯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보호창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스크러버와, 상기 보호창이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보호창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스크러버와 대향되게 상기 출입 슬롯의 하측 가장자리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스크러버와의 사이에서 상기 보호창의 회동 공간을 형성하는 방지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메라가 내장되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보호창과,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보호창측으로 고압 에어가 분사되는 창 세척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하수관거를 이동하는 상기 본체 전방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고압 에어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출입부와,
    상기 출입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카메라가 장착된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부는 상기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지단턱이 상기 출입 슬롯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스크러버가 상기 출입 슬롯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KR1020130089465A 2013-07-29 2013-07-29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KR101346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465A KR101346588B1 (ko) 2013-07-29 2013-07-29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465A KR101346588B1 (ko) 2013-07-29 2013-07-29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588B1 true KR101346588B1 (ko) 2014-01-03

Family

ID=5014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465A KR101346588B1 (ko) 2013-07-29 2013-07-29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5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27B1 (ko) * 2014-09-23 2015-03-06 주식회사 우림특장 에어 겸용 준설차
KR20200069620A (ko) 2018-12-07 2020-06-17 권치원 관로준설용 고압워터젯 회전노즐
CN111962597A (zh) * 2020-08-10 2020-11-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基于三角轮滑块连杆机构驱动清淤刀起落的清淤装置
CN113882502A (zh) * 2021-10-29 2022-01-04 厦门西佃源环境科技有限公司 多沙石管道清淤设备
CN117721903A (zh) * 2024-01-30 2024-03-19 广东畅龙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堵控流助推的清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703U (ko) * 1991-04-29 1992-11-17 김종순 로보트 준설기
KR100208061B1 (ko) 1997-04-01 1999-07-15 정운익 터널 및 각종벽면의 세척장치
KR100348010B1 (ko) 1998-11-20 2003-04-08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하수관로용절단및천공장치
KR101130071B1 (ko) * 2011-03-18 2012-03-28 (주)아록이엔지 영상획득 가능한 관로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703U (ko) * 1991-04-29 1992-11-17 김종순 로보트 준설기
KR100208061B1 (ko) 1997-04-01 1999-07-15 정운익 터널 및 각종벽면의 세척장치
KR100348010B1 (ko) 1998-11-20 2003-04-08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하수관로용절단및천공장치
KR101130071B1 (ko) * 2011-03-18 2012-03-28 (주)아록이엔지 영상획득 가능한 관로 세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27B1 (ko) * 2014-09-23 2015-03-06 주식회사 우림특장 에어 겸용 준설차
KR20200069620A (ko) 2018-12-07 2020-06-17 권치원 관로준설용 고압워터젯 회전노즐
CN111962597A (zh) * 2020-08-10 2020-11-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基于三角轮滑块连杆机构驱动清淤刀起落的清淤装置
CN113882502A (zh) * 2021-10-29 2022-01-04 厦门西佃源环境科技有限公司 多沙石管道清淤设备
CN117721903A (zh) * 2024-01-30 2024-03-19 广东畅龙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堵控流助推的清淤方法
CN117721903B (zh) * 2024-01-30 2024-05-17 广东畅龙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堵控流助推的清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85B1 (ko) 촬영기능을 구비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KR101346588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CN206528459U (zh) 一种建筑工地出口自动洗车装置
KR101152286B1 (ko)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KR100934943B1 (ko) 견인 흡입식 관로 준설공법
KR101652511B1 (ko) 무인 관로 청소용 안전 이동 대차
KR101792767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101317857B1 (ko) 암거 퇴적 토사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6009410A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および養生装置
KR100725226B1 (ko) 물돌리기용 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돌리기 공법
CN212494385U (zh) 一种清淤及检测一体化装置
KR102100148B1 (ko) 완충부가 구비된 관로 청소 노즐 및 이를 이용한 관로준설방법
KR102143774B1 (ko) 맨홀 내부 보수 장치 및 맨홀 내부 보수 방법
CN107217735A (zh) 一种管道清理机器人及其使用方法
JP2002146737A (ja) トンネル上面清掃装置
CN112122273A (zh) 一种清淤及检测一体化装置及清淤方法
KR20100041040A (ko) 통합형 하수관거 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1506B1 (ko) 빗물을 재활용한 터널 방재 장치
KR20200069620A (ko) 관로준설용 고압워터젯 회전노즐
KR102301922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세척장치
JP4255719B2 (ja) 排水管の洗浄方法とその装置
JP3694243B2 (ja) ホース引上げ装置及びホース引上げ装置を用いた排水管洗浄装置、並びに排水管の洗浄方法
JP2007315030A (ja) 石綿管の撤去方法
US20160122958A1 (en) Method for cleaning up powder or other contaminants
KR100690956B1 (ko)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