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286B1 -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286B1
KR101152286B1 KR1020100081016A KR20100081016A KR101152286B1 KR 101152286 B1 KR101152286 B1 KR 101152286B1 KR 1020100081016 A KR1020100081016 A KR 1020100081016A KR 20100081016 A KR20100081016 A KR 20100081016A KR 101152286 B1 KR101152286 B1 KR 101152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stewater treatment
waste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996A (ko
Inventor
김동만
Original Assignee
효동개발 주식회사
(주)서동
서동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동개발 주식회사, (주)서동, 서동산업(주) filed Critical 효동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286B1/ko
Priority to PCT/KR2010/006085 priority patent/WO2012023649A1/ko
Publication of KR2012001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7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B01D33/76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for continuously discharging concent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6Transport systems for filtering devices
    • B01D2201/265Transport systems for filtering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탑재부(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관체(110); 차량 탑재부(100)에 설치되며 유입관을 통해 이물질과 함께 폐수를 유입시키는 집수조(200); 상기 집수조(200)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필터링 시키는 드럼 스크린(300); 상기 드럼 스크린(300)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폐수를 유입관을 통해 유입시켜 필터링 시키는 폐수 처리조(400); 상기 폐수 처리조(400)로부터 정수된 물을 보관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유입관과 내부 처리수를 배출하는 유출관을 가지며, 펌핑기를 통해 상기 노즐관체(110)로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조(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차량이 물 분사 기능, 이물질 필터링 기능, 폐수 처리 기능을 갖도록 하여 운반의 용이성이 확보됨은 물론 현장에서 빠른 설치 및 적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Waste water treatment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탑재형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통해 이동하면서 물과 함께 유입되는 폐수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시키고 또한 필터링 된 물을 통해 대기중의 먼지 또는 연기 등을 차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지하철 공사시에는 터널을 형성하게 되고 터널 등의 공사 현장에서는 터널 굴착 등의 작업시 유출수(지하수, 하천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유출수는 별도로 마련된 집수조를 통해 유로로 이동되어 폐수 처리장치를 통해 필터링 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하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유출수에는 다량의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이 함유되어 있어 유출수가 심하게 오염된 경우 부유물질을 침전시킨 후 여과된 상태에서 배출하게 된다.
즉, 터널 등의 굴착 작업시에는 굴착을 위해 초기 폭파 등의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때 먼지가 비산되고 이러한 먼지의 비산을 초기에 진화시키고자 물 등을 뿌려 가라앉히게 된다.
이때, 터널 굴착시에 발생되는 폐수와 비산되는 먼지를 가라앉히기 위해 사용되는 물에 의해 다량의 부유물질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폐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경우 주변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특허 제10-0676751호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및 특허 제10-0878892호 "터널 굴착 폐수 처리 장치"가 본원 발명인에 의해 제시된 바 있다.
전자는, 드럼 형으로 설치되어 터널 등에 설치되어 터널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를 필터링 시킨 다음 다른 용도로 재활용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후자는, 일측에 응집제 투입부를 갖는 원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 방향으로 다수개의 격판이 형성되는 처리수조와; 상기 처리수조의 바닥면과 상기 격판들의 하단 사이에 제공되며 다수개의 스크레이퍼를 통해 원수로부터 낙하된 응집물을 운반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처리수조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스크레이퍼에 의해 이동된 응집물을 보관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조에 원수가 필터링 되면서 통과되도록 하고 통과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럼 스크린를 제공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드럼스크린은, 일측에 개폐도어가 형성되고 수면에 중간부가 위치되도록 고정되며 필터링을 위한 망사체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형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되어 내부로 유입되어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터널 굴착에 따른 유출수를 펌핑시켜 처리수조로 유입시키고 처리수조에서 드럼스크린을 통해 허용치 이상으로 필터링 시켜 처리수를 재활용수로 이용 또는 외부 하천 등으로 배출시킬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폐수 처리 장치는 장비가 크고 고정식이어서 운반이 힘든 문제점이 있어 한정된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로 또는 도로 상에 산재한 방음벽, 터널, 옹벽면, 가드레일, 교통표지판, 가로등, 지주기둥, 중앙분리대, 휀스, 건물 외벽, 강교도색면 등의 각종 도로 시설물은 대기중의 먼지와 자동차의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어 흩어진 기름류 및 자동차의 매연 등으로 쉽게 오염되어 있어 이를 주기적으로 세척하게 된다.
더불어,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로 상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데 이는 수거하지 않고 살수장비를 갖는 차량이 운행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에따라 도로 상의 구조물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하거나 해당 구조물에 맞는 세척 장비를 통해 세척하게 되어 세척 작업이 힘든 문제점 및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통해 이동하면서 살수관을 통해 화재 지역의 연기 차단 및 터널 등 발파 현장에서의 먼지 차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더불어 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처리하여 바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다시말해, 분사되는 물을 통해 화염은 물론 비산 먼지를 제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조경 분야 또는 소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바닥으로 흐르는 폐수를 필터링 시킨 후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탑재부(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관체(110); 차량 탑재부(100)에 설치되며 유입관을 통해 이물질과 함께 폐수를 유입시키는 집수조(200); 상기 집수조(200)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필터링 시키는 드럼 스크린(300); 상기 드럼 스크린(300)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폐수를 유입관을 통해 유입시켜 필터링 시키는 폐수 처리조(400); 상기 폐수 처리조(400)로부터 정수된 물을 보관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유입관과 내부 처리수를 배출하는 유출관을 가지며, 펌핑기를 통해 상기 노즐관체(110)로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조(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차량 탑재부 또는 상기 물 저장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관체를 보호하도록 물 분사 안내부가 경사각을 갖는 노즐 보호용 안전 커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 스크린은, 상기 집수조의 물 저장공간에 삽입되며 구동부와 연결된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게 되고 그 외주면이 망사천, 망사채, 타공판 중 어느 하나의 필터로 이루어지는 회전드럼과, 상기 집수조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드럼내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드럼의 필터로부터 탈락되는 이물질을 수납하는 이물질 수납함과, 상기 이물질 수납함에 수납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배출구와, 상기 집수조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필터의 안쪽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갖는 노즐파이프와, 상기 집수조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드럼내로 외부의 원수를 유입시키게 되는 원수 유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관체는, 몸체에 제공된 각도 조절 수단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차량 탑재부 또는 상기 물 저장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에 대해 좌우 유동 수단을 통해 좌우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몸체의 상면 양쪽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기 노즐관체의 양쪽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 브래킷,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노즐관체의 하단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유동 수단은,
상기 몸체의 저부에 위치된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레일블럭과 상기 레일블럭이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의 저부에 제공된 연결편과 연결된 로드를 전후 왕복 시키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수관의 길이는, 각각 상기 곡선부의 양쪽으로부터 중심 위치인 연직 방향의 위치로 이동될 수록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배열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살수관은, 이중관체로 내부에 내측 파이프가 삽입되며, 상기 살수관과 내측 파이프 사이에 분무틈새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 처리조는, 부직포 흡착부, PH조절부, 전기분해부, 오존처리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이동 차량이 물 분사 기능, 이물질 필터링 기능, 폐수 처리 기능을 갖도록 하여 운반의 용이성이 확보됨은 물론 현장에서 빠른 설치 및 적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외부로 부터 물을 급수받지 않고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정화 처리 한 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현장에서 발생되는 비산 먼지 또는 연기를 주변 인접 지역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함에 따라 민원은 물론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현장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는 필터링을 통해 유해 성분을 필터링 시킨후 유출함에 따라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시킬 수 있는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드럼 스크린을 확대시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폐수 처리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1에서 노즐관체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측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의 도시에 의하여 차량 탑재부(100)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관체(110)와, 회전하면서 유입된 폐수를 필터링 시키는 드럼 스크린(300)과, 상기 드럼 스크린(300)을 수용하며 필터링된 물을 저장 및 배출하는 집수조(200), 상기 집수조(200)로부터 공급된 폐수를 정수시키는 폐수 처리조(400),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조(500)를 탑재하여서 된다.
상기 차량 탑재부(100)는, 차량의 후방에서 물건을 적재시키는 공간을 말한다.
상기 노즐관체(110)는, 상기 탑재부(100)의 상면에서 분리는 물론 각도 조절수단을 통한 각도 조절 그리고 좌우 유동수단을 통한 좌우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저장조(50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140)에 결합된다.
상기 노즐관체(100)는, 외형이 저면은 직선부(111)를 형성하고 상면은 타원 형상의 곡선부(112)를 형성하며 상기 곡선부(112)에 둘레를 따라 다수의 살수관(114)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살수관(114)과 연통되는 공간(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살수관(114)의 길이는, 각각 상기 곡선부(112)의 양쪽으로부터 중심 위치인 연직 방향의 위치로 이동될 수록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배열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살수관(114)들을 통한 물의 살수시 최외측 살수관이 중심측 살수관보다 멀리 살수되어 도달 거리가 같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지형적 위치 예를들어 터널 등에서의 살수 작업시 터널의 천정면 중심과 외측에 동시에 물이 살수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입구(120)는, 일단이 상기 노즐관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116)과 연통되게 돌출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130)은, 상기 유입구(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물 저장조(500)로부터 펌핑되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유입구(120)로 안내하며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살수관(114)은, 다른 예로서 이중관체로 내부에 내측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구성함이 가능하며, 상기 살수관(114)과 내측 파이프(115) 사이에 미세 틈새를 갖는 분무틈새(118)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분무틈새(118)는 용접에 의해 다수의 홀이 둘레를 따라 등간격 형성된 것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살수관(114)을 통해서는 물줄기가 분사되고 상기 분무틈새(118)를 통해서는 물이 분무형태로 분사되도록 하여 스크린 막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비산 먼지 또는 연기 등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부호 115a는 캡으로 상기 살수관(11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회전시 상기 분무틈새(118)에 형성된 각 홀을 외부로 개방하게 되고 역회전시 각각의 홀을 차단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분무틈새(118)의 상단은 내외부를 통하는 분무홀(114a)이 둘레를 따라 등간격 형성되며, 여기서 다수의 상기 분무홀(114a)은 상기 살수관(114)과 상기 내측 파이프(115)의 결합을 위한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수관(114)의 상단에는 나사 결합되는 캡(115a)이 결합되며, 상기 캡(115a)에는 상기 분무홀(114a)과 동일한 간격의 분무홀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상기 캡(115a)의 회전 여부에 따라 상기 분무홀(114a)이 개방 또는 폐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40)에는 상기 노즐관체(1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각도 조절수단(150)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수단(150)은, 상기 몸체(140)의 상면 양쪽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기 노즐관체(110)의 양쪽에 제공되는 회전축(152)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 브래킷(154)과, 상기 몸체(140)의 일측에서 로드(156)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노즐관체(110)의 하단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57)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157)를 당김 동작시키면 로드(156)가 후진되면서 상기 노즐관체(110)의 하단을 당기게 되고 이때 상기 노즐관체(110)는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40)의 상면에는 상기 살수관(114)을 통한 물을 안내하도록 경사각을 갖는 안내부가 형성된 안전커버(180)가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널 등에서의 작업시 발파 작업에 의한 파편들로부터 노즐관체(11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물 저장조(500)의 상면에는 상기 노즐관체(110)를 결합하는 몸체(140)가 좌우 유동 가능하도록 좌우 유동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좌우 유동수단(510)은, 상기 몸체(140)의 저부에 위치된 프레임(512)과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14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레일블럭과 상기 레일블럭이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514), 상기 프레임(512)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140)의 저부에 제공된 연결편과 연결된 로드를 전후 왕복 시키는 액추에이터(516)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블럭은 상면이 상기 몸체(140)에 결합되고 저면이 상기 프레임(512)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512)에 대해 상기 몸체(14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액추에이터(516)가 정역 방향으로 반복 동작시키면 액추에이터의 로드가 몸체(140)를 밀고 당기게 되고 이때 상기 살수관(114)을 통해 물을 분사시키게 되면 상기 살수관(114)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어 물줄기와 물줄기 사이의 공간을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차량 탑재부(100)의 후방 양쪽 모서리단에 분사노즐(102)이 제공되며 상기 분사노즐(102)은 바닥으로 물을 분사하여 먼지의 비산을 방지 및 먼지를 물과함께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집수조(200)는, 내부에 상기 드럼 스크린(300)을 수용하며, 상기 드럼 스크린(300)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폐수를 저장하게 된다.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 및 내부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10) 그리고 외부로 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 공급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300)은, 상기 집수조(200) 내에 설치되며 회전 동작시 유입된 이물질을 필터링 시키게 된다.
상기 드럼 스크린(300)은, 상기 집수조(200)의 물 저장공간에 삽입되며 구동부(312)와 연결된 회전축(313)을 통해 회전하게 되고 그 외주면이 망사천, 망사채, 타공판 중 어느 하나의 필터로 이루어지는 회전드럼(310)과, 상기 집수조(20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드럼(310)내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드럼(310)의 필터로부터 탈락되는 이물질을 수납하는 이물질 수납함(320)과, 상기 이물질 수납함(320)에 수납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배출구(321)와, 상기 집수조(200)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드럼(310)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필터의 안쪽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다수개의 분사노즐(331)을 갖는 노즐파이프(330)와, 상기 집수조(200)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드럼(310)내로 외부의 원수를 유입시키게 되는 원수 유입관(340)으로 구성된다.
도면중 부호 360은 회전 로울러이며, 상기 회전 로울러(360)는 상기 회전드럼(310)의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회전 로울러(36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폐수 처리조(400)는, 상기 드럼 스크린(300)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폐수를 유입관(410)을 통해 유입시켜 필터링 시키게 되고 처리된 처리수는 배출관(420)을 통해 물 저장조(500)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폐수 처리조(400)는, 부직포 흡착부, PH조절부, 전기분해부, 오존처리부 등이 적용되어 폐수를 처리하게 된다.
도면중 부호 440은 격벽으로 유입된 폐수의 정화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도면중 부호 450은 화학 약품 등에 의해 응고되어 가라앉는 이물질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동시에 강제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중 부호 430은 흡입관으로, 상기 흡입관(430)은 내부의 이물질을 강제로 외부에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물 저장조(500)는, 상기 폐수 처리조(400)로부터 정수된 물을 보관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유입관과 내부 처리수를 배출하는 유출관을 가지며, 펌핑기를 통해 상기 노즐관체(11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차량 탑재부(100)에 상기 노즐관체(110)를 보호하도록 물 분사 안내부가 경사각을 갖는 노즐 보호용 안전 커버(180)가 적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100: 차량 탑재부 102: 분사 노즐
110: 노즐관체 111: 직선부
112: 곡선부 114: 살수관
115: 내측 파이프 115a: 캡
116: 공간 118: 분무틈새
120: 유입구 130: 공급관
200: 집수조 210: 배출관
300: 드럼 스크린
310: 회전 드럼 320: 이물질 수납함
321: 배출구 330: 노즐 파이프
340: 처리수 배출구 350: 원수 유출구
400: 폐수 처리조
500: 물 저장조 510: 좌우 유동 수단
512: 프레임 514: 가이드레일
516: 액추에이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차량 탑재부(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관체(110); 차량 탑재부(100)에 설치되며 유입관을 통해 이물질과 함께 폐수를 유입시키는 집수조(200); 상기 집수조(200)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필터링 시키는 드럼 스크린(300); 상기 드럼 스크린(300)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폐수를 유입관을 통해 유입시켜 필터링 시키는 폐수 처리조(400); 상기 폐수 처리조(400)로부터 정수된 물을 보관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유입관과 내부 처리수를 배출하는 유출관을 가지며, 펌핑기를 통해 상기 노즐관체(110)로 물을 공급하는 물 저장조(50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관체(110)가, 외형이 저면은 직선부(111)를 형성하고 상면은 타원 형상의 곡선부(112)를 형성하며 상기 곡선부(112)에 둘레를 따라 다수의 살수관(114)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살수관(114)과 연통되는 공간(116)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몸체(140)에 제공된 각도 조절 수단(150)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140)는 상기 차량 탑재부(100) 또는 상기 물 저장조(5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512)에 대해 좌우 유동 수단(510)을 통해 좌우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각도 조절 수단(150)은,
    상기 몸체(140)의 상면 양쪽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기 노즐관체(110)의 양쪽에 제공되는 회전축(152)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힌지 브래킷(154),
    상기 몸체(140)의 일측에서 로드(156)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노즐관체(110)의 하단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57)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유동 수단(510)은,
    상기 몸체(140)의 저부에 위치된 프레임(512)과의 사이에서 상기 몸체(14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레일블럭과 상기 레일블럭이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514), 상기 프레임(512)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140)의 저부에 제공된 연결편과 연결된 로드를 전후 왕복 시키는 액추에이터(51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살수관(114)의 길이는,
    각각 상기 곡선부(112)의 양쪽으로부터 중심 위치인 연직 방향의 위치로 이동될 수록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배열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살수관(114)은,
    이중관체로 내부에 내측 파이프가 삽입되며, 상기 살수관(114)과 내측 파이프(115) 사이에 분무틈새(11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8. 삭제
KR1020100081016A 2010-08-20 2010-08-20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KR10115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016A KR101152286B1 (ko) 2010-08-20 2010-08-20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PCT/KR2010/006085 WO2012023649A1 (ko) 2010-08-20 2010-09-08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016A KR101152286B1 (ko) 2010-08-20 2010-08-20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96A KR20120017996A (ko) 2012-02-29
KR101152286B1 true KR101152286B1 (ko) 2012-06-08

Family

ID=4560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016A KR101152286B1 (ko) 2010-08-20 2010-08-20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2286B1 (ko)
WO (1) WO2012023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83B1 (ko) * 2013-01-31 2013-07-02 녹스 코리아(주) 이동형 수질 정화 및 터널 세척 장치
CN106351165A (zh) * 2016-11-03 2017-01-25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适用于建筑施工现场的空气降尘装置
CN107812421A (zh) * 2017-11-05 2018-03-20 李红星 一种街道空气灰尘吸附装置
CN107754503B (zh) * 2017-11-05 2020-08-14 浙江略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车
CN109113012B (zh) * 2018-09-14 2020-05-15 郑鑫 公路绿色环保降尘喷雾车
CN110604962A (zh) * 2019-09-24 2019-12-24 广东东荣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模块式、独立中轴支撑、长与直径超大比率微滤机
CN111559303B (zh) * 2020-05-18 2022-07-01 宁波甬瑞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环保渣土车
CN112264228B (zh) * 2020-10-29 2022-01-28 安徽华信电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喷洒均匀的市政洒水车
CN112832181B (zh) * 2021-01-26 2023-08-01 珠海金港市政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环保的建筑工地降尘装置
CN113082900A (zh) * 2021-02-24 2021-07-09 付红 一种旋转降尘机构及建筑施工用扬尘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51B1 (ko) * 2006-05-23 2007-02-01 효동개발 주식회사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KR100889328B1 (ko) * 2007-07-04 2009-04-01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열차 터널용 청소차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3364U (ko) * 1987-11-05 1989-05-17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51B1 (ko) * 2006-05-23 2007-02-01 효동개발 주식회사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KR100889328B1 (ko) * 2007-07-04 2009-04-01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열차 터널용 청소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649A1 (ko) 2012-02-23
KR20120017996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286B1 (ko) 물 분사 및 오폐수 처리가 가능한 차량용 폐수 처리 장치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20017995A (ko) 비산 먼지/연기 제거용 차량 탑재형 살수장치
KR102320989B1 (ko) 회전 워터젯 방식의 노후관 세척장치
US8012265B2 (en) Concrete/asphalt wet washing system
KR101577365B1 (ko) 노면 청소차량
CN206528459U (zh) 一种建筑工地出口自动洗车装置
KR100909076B1 (ko) 빗물을 이용한 도로의 비산먼지 제거장치
KR101816833B1 (ko) 살수와 먼지 흡입에 의한 공기 정화 기능 및 운전석 양압 형성 구조를 가지는 집진차량 및 이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KR101799868B1 (ko) 지중시설물의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장치
KR200417748Y1 (ko) 터널용 소화장치
KR100676751B1 (ko) 폐수 재활용을 위한 드럼 스크린
CN110711425A (zh) 旋斗式过滤器
CN109057855A (zh) 箱式隧道水幕降尘装置
KR101264748B1 (ko) 전개식 스크레이퍼를 갖는 살수 차량
CN105113447A (zh) 干湿两用型清洗吸尘车
JP3932411B2 (ja) トンネル内壁面の洗浄装置
KR102527754B1 (ko) 필터정화기능을 구비한 초기우수처리장치
CN111197295B (zh) 一种水利工程施工方法
KR20040035493A (ko) 환경오염 방제선
KR100516024B1 (ko) 터널 벽면 청소장치
KR20100029003A (ko) 원수 혼입방지 슬러지 배출시스템
KR20190028852A (ko) 오염수 처리 시스템
KR100878892B1 (ko)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KR20050098758A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