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493A - 환경오염 방제선 - Google Patents

환경오염 방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493A
KR20040035493A KR1020020064656A KR20020064656A KR20040035493A KR 20040035493 A KR20040035493 A KR 20040035493A KR 1020020064656 A KR1020020064656 A KR 1020020064656A KR 20020064656 A KR20020064656 A KR 20020064656A KR 20040035493 A KR20040035493 A KR 2004003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aulic cylinder
boom
environmental pollut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920B1 (ko
Inventor
고영근
송관형
Original Assignee
고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근 filed Critical 고영근
Priority to KR10-2002-006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9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63B2019/083Bow ports, e.g. for fer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을 타고 흐르는 오일과 부유 쓰레기 및 녹조를 제거해주는 한편 황토 또는 바닷속 뻘을 물과 혼합 투입하여 적조를 해소시키고, 바다속에 가라앉은 오염물질 및 항,포구와 접안장, 방파제 등의 암석에 붙은 퇴적물질을 청소해 주도록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의 선수부위를 좌우로 벌려 많은 량의 쓰레기나 오일이 선박 안으로 유입되게 한 후 쓰레기는 스크레퍼로 끌어올리고 물은 그대로 배출되게 하며, 오일은 유수분리하여 흡착포로 흡착시켜 침전실에 저장하고 물은 배출되게 하는 부유물 제거선박에 있어서, 물이 배출되는 통로에 황토 및 뻘을 혼합 살포하는 황토살포기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물에 황토 또는 뻘이 섞여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녹조 제거기를 설치하여 물에 포함된 녹조를 제거하도록 하되 제거된 녹조는 일정 주기마다 긁어내어 녹조침전실에 보관하도록 하고, 바닥의 오염물질을 끌어올리는 바닥물질 인양기를 설치하여 바닥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오염되지 않은 뻘을 적조제거에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수면이나 내수면의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환경오염 방제선{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of the breeding and extermination ship}
본 발명은 수면을 타고 흐르는 오일과 부유 쓰레기 및 녹조를 제거해주는 한편 황토 또는 바닷속 뻘을 물과 혼합 투입하여 적조를 해소시키고, 바다속에 가라앉은 오염물질 및 항,포구와 접안장, 방파제 등의 암석에 붙은 퇴적물질을 청소해 주도록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에 관한 것이다.
해수면이나 내수면에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제거해 주거나, 부유 쓰레기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유물 제거선박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등록번호10-0340219)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된 부유물 제거선박은 단순히 오일 또는 부유 쓰레기만을 제거하게 되어 그 활용성 측면에서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으며, 해수면이나 내수면에 적조가 발생하였을 경우 적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주지 못하고 또한 적조 제거에 효과가 있는 황토를 살포하기 위하여 별도의 선박을 동원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바닥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해 주지는 못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적조를 제거하기 위한 황토는 살포만 하게 되어 황토의 구입과 이동 및 살포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되고 또한 황토가 바닥에 쌓이게 되어 이차오염이 염려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부영양화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녹조는 직접 제거하지는 못하여 근본적인 녹조제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오일과 부유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선박은 건조비용과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나 녹조제거와 황토살포에는 이용되지 못하여 고가의 선박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것이었다.
본 발명은 오일 확산지역이나 부유쓰레기가 떠다니는 곳을 선박이 지나다니면서 오일과 쓰레기를 제거해주는 한편 녹조를 제거하고, 황토를 살포하며, 바닥에 가라앉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바닥에 있는 뻘을 끌어올려 적조발생 지역에 재 살포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의 선수부위를 좌우로 벌려 많은 량의 쓰레기나 오일이 선박 안으로 유입되게 한 후 쓰레기는 스크레퍼로 끌어올리고 물은 그대로 배출되게 하며, 오일은 유수분리하여 흡착포로 흡착시켜 침전실에 저장하고 물은 배출되게 하는 부유물 제거선박에 있어서, 물이 배출되는 통로에 황토 및 뻘을 혼합 살포하는 황토살포기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물에 황토 또는 뻘이 섞여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녹조 제거기를 설치하여 물에 포함된 녹조를 제거하도록 하되 제거된 녹조는 일정 주기마다 긁어내어 녹조침전실에 보관하도록 하고, 바닥의 오염물질을 끌어올리는 바닥물질 인양기를 설치하여 바닥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오염되지 않은 뻘을 적조제거에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수면이나 내수면의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평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물흐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닥물질 인양기 작동상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황토살포기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황토살포기 일부절결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 황토살포기의 후단분쇄칼날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 바닥물질 인양기의 하부를 보인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 바닥물질 인양기의 진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포획망 부위를 보인 정면도
도 13 은 본 발명 포획망 결합부위를 보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 포획망 부위의 평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 바닥물질 인양기의 붐대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 바닥물질 인양기의 붐대 측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 녹조제거기의 정면도
도 18 은 본 발명 녹조제거기의 작동상태 정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 녹조제거기의 물유입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20 은 본 발명 녹조제거기의 물유입 방향에서 본 측단면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제거구 이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2 는 본 발명 녹조제거기의 받침바 단면도
도 23 은 본 발명 녹조제거기의 제거구 단면도
도 24 는 본 발명 측면판의 단면도
도 25 는 본 발명의 충격완화장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6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장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박 2 : 좌우개폐도어 6 : 수로
10 : 스크레버 20 : 유수분리실 30 : 필터판
40 : 배출실 50 : 황토살포기 51 : 호퍼
55 : 분쇄칼날 56 : 이송스크류 57 : 배출관
59 : 후단분쇄칼날 60 : 바닥물질 인양기 61 : 바닥프레임
63 : 받침프레임 64 : 붐대 65 : 유압실린더
66 : 공기유입관 80 : 포집망 81 : 그물프레임
82 : 그물프레임지지구 83 : 스프링 86 : 유동힌지
87 : 포크 90 : 충격완화장치 91 : 오일 유입구
100 : 녹조제거기 110 : 상하이동판 120 : 배출판
130 : 측면판 140 : 바닥이동판 150 : 제거구
본 발명은 선박(1)의 선수에 좌우로 개폐되는 좌우개폐도어(2)를 설치하되 유압실린더(4)와 링크(3)로 결합시켜 유압실린더(4)를 작동시킴으로서 좌우개폐도어(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좌우개폐도어(2)는 오일이나 쓰레기 제거 또는 녹조나 적조 제거시 넓게 벌려주어 넓은 범위의 수집이 가능하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닫아 놓도록 하며, 닫았을 경우는 선박(1)의 유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좌우개폐도어(2)를 열고 선박(1)을 운항시킬 때 선박(1)으로 유입되는 물은 거름망(5)을 거쳐 선박(1)의 좌,우측으로 형성된 수로(6)로 유도되며 거름망(5)전단에는 상,하,전,후 이동 가능한 스크레퍼(10)를 설치하여 부유 쓰레기를 스크레퍼(10)로 걷어올리도록 한다.
이때 거름망(5)의 양면에는 부유물 유도장치가 설치되어 거름망(5)을 좌,우로 흔들어주어 부유물이 거름망(5)에 걸려있지 않고 스크레퍼(10)쪽으로 이동되게 하여 스크레퍼(10)로 걷어 올리도록 한다.
스크레퍼(10)에 의해 끌어올려진 쓰레기는 선박(1)에 쌓아 놓았다가 작업 종료시 쓰레기 처리장소로 이동하여 소각 또는 매립 처리하게 된다.
즉 선박(1)을 부유쓰레기가 있는 장소에서 운항하면 좌,우개폐도어(2)에 의해 모아진 쓰레기는 스크레퍼(10)로 선박(1)위로 끌어올려지게 되므로, 선박(1)을 쓰레기가 떠 있는 장소에서 반복 운항하면 간단히 쓰레기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수로(6)에는 오일유입게이트(8)를 설치하고 선박(1)의 외측으로 물방출게이트(7)를 설치하여 쓰레기를 치울 때는 오일유입게이트(8)는 닫고 물방출게이트(7)는 열어 물이 선박(1)의 좌,우측으로 방출되게 하며, 오일을 제거할 때는 물방출게이트(7)는 닫고 오일유입게이트(8)는 열어주도록 하고, 수로(6)의 후단에는 후미개폐부(12)를 설치하여 후방으로부터 물이 역류될 경우 후미개폐부(12)를 닫아주도록 한다.
한편 오일이 떠 있는 지역에서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스크레퍼(10)를 상향 이동시켜 주어 스크레퍼(10)가 물과 접촉되지 않게 하고 오일유입게이트(8)는 열어주는 한편 물방출게이트(7)는 닫아준 후 좌우개폐도어(2)를 열고 오일이 떠 있는 지역에서 선박(1)을 운행시키면 된다.
그러면 수면의 상층부에 떠있는 오일과 상층부의 물은 좌,우개폐도어(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선박(1)의 좌우측에 설치된 수로(6)를 타고 유수분리실(20)로 유입되게 하고, 유수분리실(20)에는 상하이동 가능하게 유수분리판(22)을 설치하는 한편 상측으로 수차(23)와 오일제거기(24)를 설치한다.
상기 유수분리판(22)은 외부조작에 의해 고정된 레일을 타고 그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물과 오일이 함께 유입될 때 오일은 물의 상층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층부의 오일만을 걷어내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오일과 물이 유입되면 유수분리판(22)의 높이를 조절하여 오일이 섞인 상층부와 물만으로 이루어진 하층부를 유수분리판(22)으로 분리시켜 상층부의 오일은 개방된 측게이트(21)를 통하여 오일흡수실로 흘려보내고 하층부의 물은 그대로 배출실(40)로 배출시킨다.
유수분리실(20)에서 배출실(40)로 배출되는 물에는 오일이 섞여 있을 수 있으므로 배출실(30)에는 물에 뜬 상태로 상하이동되고 흡착포가 깔린 오일흡수판(41)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물의 량에 따라 물위에 떠 있는 채로 물의 량에 따라 상,하이동되며 수면위로 떠오르는 오일을 흡착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에는 오일이 완전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오일흡수실에서는 오일흡착판을 이용하여 오일을 흡수하고, 오일이 제거된 물은 바닥에 설치된 파이프로 유입된 후 펌프를 통하여 배출실(40)로 이동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된 선박(1)의 수로(6)에 황토 또는 뻘을 살포하는 황토살포기(50)를 설치하여 수로(6)로 배출되는 물에 황토 또는 뻘이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녹조 제거기(100)를 설치하여 물에 포함된 녹조를 제거하도록 하되 제거된 녹조는 일정 주기마다 긁어내어 녹조침전실에 저장하도록 하고, 바닥의 오염물질을 끌어올리는 바닥물질 인양기(60)를 설치하여 바닥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뻘을 퍼 올려 적조 발생지역에 물과 혼합하여 살포할 수 있도록 하여 부유쓰레기와 오일을 제거하는 한편 황토 또는 뻘을 살포하고 녹조 및 적조를 제거하며 바닥의 오염물질을 제거 및 청소하여 해수면이나 내수면의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선박(1)의 전방에는 파도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장치(90)를 설치하되 상기 충격완화장치(90)는 도 25 및 도 26 과 같이 하측으로 상어 아가미와 같은 형태의 오일 유입구(91)를 형성시켜 물의 표면에 떠있는 오일이 오일 유입구(91)로 유입되어 오일저장홈(92)에 저장되게 한 후 이를 퍼 올려 오일침전실로 이동시킴으로서 오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충격완화장치(90)는 유압실린더(93)에 의해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파도의 세기나 선박(1)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충격완화장치(90)가 파도에 닿게 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되 유압실린더(93)는그 상,하부에 스프링(95)(96)을 설치하여 충격완화장치(90)가 상하 충격이 있더라도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한편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수로(6)는 상하 이중으로 설치하되 상부와 하부 수로의 경계면에는 필터판(30)을 설치하고 하부 수로의 저면에는 고압공기 발생파이프(31)를 설치하여 노즐에서 고압공기가 방울져 발생하도록 한다.
황토살포기(50)는 선박(1)의 중앙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배출관(57)을 길게 형성시켜 황토가 수로(6)의 상부에서 수로(6)를 지나는 물에 뿌려질 수 있도록 하되 오일유입게이트(8)는 열어주고 물방출 게이트(7)는 닫아주어 물이 수로(6)를 타고 흐르도록 한다.
황토 살포기(50)는 도 7 내지 도 9 와 같이 황토가 담기는 호퍼(51)와, 상기 호퍼(51)의 하부에서 황토를 분쇄하여 배출관(57)으로 투입하는 분쇄칼날(55)과, 분쇄칼날(55)에 유압모터(52)의 회전력을 동력배분기(53)를 통하여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54)과, 상기 배출관(57)의 내부에서 동력전달수단(54)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으로 회전되어 황토를 수로(6)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56)와, 상기 배출구(57)의 선단에 설치되고 황토를 수로(6)로 투하하는 배출구(58)와, 상기 배출구(58)에 설치되고 유압모터(59a)에 의해 회전되며 이송스크류(56)의 축에 회전자재로 결합되어 황토를 분쇄하는 후단분쇄칼날(59)과, 상기 배출관(57)에 황토 혼합용 물을 공급하는 물주입구(57a)를 구비하므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후단분쇄칼날(59)은 이송스크류(56)의 축에 베어링(59b)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그 전단에는 황토유입을 방지하는 리데나(59c)가 끼워지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송스크류(56)는 동력전달수단(54)에 결합된 유압모터(52)에 의해 회전되고, 후단분쇄칼날(59)은 유압모터(59a)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후단분쇄칼날(59)과 이송스크류(56)는 회전력을 달리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호퍼(51)에 담긴 황토는 일차적으로 그물망(51b)에 의해 일정크기 이하만 분쇄칼날(55)로 이동되어 분쇄칼날(55)에 의해 분쇄된 후 배출관(57)으로 이동되어 이송스크류(56)를 타고 배출구(58)쪽으로 이동되며, 배출구(58)에서 배출되기 전에 후단분쇄칼날(59)에 의해 최종 분쇄되어 미세한 분말 형태로 수로(6)를 흐르는 물에 투입되도록 한다.
호퍼(51)에는 그물망(51b)에 걸린 돌이나 이물질을 들어내는 폐석구(51a)를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호퍼(51)에 담긴 덩어리를 제거해 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면에 녹조가 발생하여 황토 또는 바닥물질 인양기(60)로 퍼 올린 뻘을 살포하고자 할 경우 호퍼(51)에 황토를 싣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 유압모터(52)(59a)를 작동시키면 호퍼(51)에 실린 황토는 분쇄칼날(55)에 의해 분쇄되고 이송스크류(56)에 의해 이동되며 물주입구(57a)로 주입되는 물과 혼합된 후 다시 후단분쇄칼날(59)에 의해 분쇄되어 수로(6)를 흐르는 물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고압공기 발생파이프(31)에서 노즐로 고압공기를 배출시키면 고압공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방울이 필터판(30)을 통하여 수로(6)에 차게 되어 황토 또는 뻘은 공기방울에 의해 혼합이 잘 이루어져 적조제거에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즉 황토 또는 뻘을 그대로 물에 뿌려 혼합시키는 경우보다 황토 또는 뻘을 뿌릴 때 공기방울이 배출되게 하면, 황토 또는 뻘이 물에 잘 섞이게 되어 물에 황토가루를 그대로 뿌려 혼합시키는 경우보다 황토를 뿌리는 효과가 증가된다.
한편 물에 뿌려진 황토는 녹조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어지나 녹조를 제거하는데 전부 활용되지 못하고 많은 량의 황토가 바닥에 가라앉게 되며, 바닥에 가라앉은 황토는 바닥의 서식환경을 변화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바닥의 뻘을 퍼 올려 적조 제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바닥물질 인양기(60)를 이용하여 바닥에 가라앉은 뻘을 퍼 올려 황토살포기(50)를 통하여 재차 물에 뿌려주도록 하므로서 적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황토사용량을 줄는 한편 황토 살포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바닥물질 인양기(60)는 도 10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의 좌우측에 설치되고 바닥의 이송레일(61a)을 타고 유압모터(61d)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러(61b)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압모터(61e)를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바닥에 가라앉은 물질을 퍼 올릴 경우는 선박(1)의 양측으로 이동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중앙으로 이동시켜 안정성과 사용의 효용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바닥 프레임(61)과 받침 프레임(63)사이는 중앙에 유동힌지(61c)로결합시키고 사면에 유압실린더(62)와 스프링(62a)을 설치하므로서 유압실린더(62)를 이용하여 받침 프레임(63)의 수평상태를 잡아주는 한편 유동힌지(61c)에 의해 전체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프링(62a)에 의한 복원력을 받도록 한다.
상기 받침프레임(63)의 상부에는 고정붐대(63a)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붐대(63a)의 상부에는 관절을 갖고 자유롭게 꺽일 수 있도록 제1붐대(64)와 제1공기유입관(66) 및 케이블(67)을 설치하고, 상기 제1붐대(64)에는 제2붐대(64a)가 내삽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제2붐대(64a)에는 제3붐대(64b)를 동일 방식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1붐대(64)의 내부에는 제1유압실린더를 내장시키는 한편 제1유압실린더축(65)을 설치하되 상기 제1유압실린더축(65)이 제2붐대(64a)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제2붐대(64a)의 내부에는 제2유압실린더(65a)를 설치하되 제2유압실린더(65a)는 제3붐대(64b)에 결합되게 하고, 제2유압실린더축(65b)은 제3붐대(64b)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3유압실린더(65c)와 결합되게 한다.
그러면 제1,제2,제3유압실린더(65a)(65c)가 순차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제1,제2,제3 붐대(64)(64a)(64b)가 순차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하고, 제1,제2,제3붐대(64)(64a)(64b)에는 고정편(67a)을 이용하여 제1,제2,제3공기유입관(66)(66a)(66b)을 설치하되 상기 공기유입관(66)(66a)(66b)은 붐대(64)(64a)(64b)와 같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67)은 실린더지주대(15)에 결합되어 긴장되게 하므로서 물살을 견디면서 팽팽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접힘과 펼침은 다단 연결이 가능하며,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지는 곳에는 수밀 처리하여 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작동이나 유지 보수에 유리하다.
상기 바닥물질 인양기(60)의 선단에는 힌지(86)로 그물프레임지지구(82)를 결합시키고 상기 그물프레임지지구(82)에는 그물프레임(81)을 내삽시켜 결합시키되 스프링(83)에 탄지되어 결합되게 하고, 상기 그물프레임(81)에는 포집망(80)이 설치되는 한편 바닥쪽에는 바닥을 파주고 긁어주기 위한 포크(87)를 형성시키되 포크(87)의 하측으로는 고압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관(88)을 형성시키며 측면으로는 바닥을 타고 이동되는 바닥썰매(89)를 설치한다.
그리고 그물프레임지지구(82)에는 회동대(85)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대(85)에는 유압실린더(84)를 연결하여 유압실린더(84)를 작동시킴에 따라 그물프레임(81)이 힌지(86)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하는 각도를 맞추어주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80a)와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선박(1)에서 바닥의 상황을 확인하여 가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닥물질 인양기(60)는 사용시 선박(1)의 양측으로 이동시킨 후 붐대(64)를 바닥쪽으로 펼쳐주고 카메라(80a)로 확인하여 가며 유압실린더(84)로 그물프레임(81)의 각도를 조절하여 주고, 선박(1)을 전진시키면 바닥에 쌓인 물질은 포집망(80)에 채워지게 되고, 포집망(80)에 채워진 물질은 선박(1)의 상부로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적조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바닥의 뻘을 긁어내어 황토살포기(50)에서 물과 혼합시켜 살포되도록 하므로서 적조 발생시 황토를 사용하지 않고 뻘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일 경우는 이를 긁어내어 선박(1)에 쌓아 놓은 후 육지에서 재처리하게 하므로서 바닥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녹조를 필터로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녹조제거기(100)를 수로(6)에 설치하여 물과 함께 수로(6)를 흐르는 녹조를 제거해주는 것이다.
녹조제거기(100)는 도 17 내지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6)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사각의 상자 형태를 갖되 전방과 후방을 가로막는 상하이동판(110)과 배출판(120)은 유압실린더(111)(12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개폐되게 되고,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13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바닥에는 바닥이동판(140)이 설치되나 상기 바닥이동판(140)은 유압실린더(141)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상기 바닥이동판(140)의 상부에서 제거구(150)가 이동수단(160)에 의해 좌우 이동되며 바닥이동판(140)에 쌓인 녹조를 배출판(12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하이동판(110)은 내측으로 교체가능한 필터(112)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112)에는 구멍(113)을 통하여 물이 통하도록 하며, 전면에는 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필터(112)를 통과한 물은 배출로(114)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하고, 유압실린더(111)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배출판(120)은 내측으로 교체가능한 필터(122)가 설치되고 내부의 물이 구멍(123)을 통하여 필터(122)에서 걸러진 후 후방으로 배출되게 되며, 후방으로는 녹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녹조제거관(124)이 설치되고, 유압실린더(121)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구성된다.
측면판(130)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고 교체 가능한 필터(132)에 구멍(133)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고 필터(132)를 통과한 물은 배출로(134)를 타고 하부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바닥이동판(140)은 필터(142)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멍(143)을 통하여 물이 필터(142)를 통과한 후 하부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바닥이동판(140)은 유압실린더(141)에 의해 녹조제거기(100)의 내부를 이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바닥이동판(140)은 수평바(161)의 하부에 고정되어 유압실린더(141)로 수평바(161)를 밀어올리면 상부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수평바(161)사이는 녹조제거기(100)의 물흐름 방향으로 받침바(162)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바(162)의 상부에는 유압모터(163)와 동력전달구(164)를 설치하는 한편 하부에는 체인기어(165)를 설치하여 유압모터(163)의 회전에 의해 양측으로 설치된 체인기어(165)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인기어(165)에는 받침바(162)의 하측을 따라 체인(166)을 설치하여 유압모터(163)로 체인(166)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인(166)에는 유압실린더(151)를 연결하되 상기 유압실린더(151)의 하부에는 제거구(150)를 연결하여 체인(166)의 이동시 제거구(150)가 받침바(162)의 설치방향으로 전후 이동되게 하는 한편 유압실린더(151)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거구(150)에는 에어배출구(152)를 형성하여 에어호스(153)로 공급되는 에어가 에어배출구(15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녹조제거기(100)를 이용하여 녹조를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유압실린더(111)로 상하이동판(110)을 들어올려 녹조제거기(100)의 내부로 녹조가 포함된 물이 유입되도록 하면 녹조제거기(100)로 유입된 물은 배출판(120)과 측면판(130) 및 바닥이동판(140)에 설치된 필터(122)(132)(142)를 거친 후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하부의 필터판(3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때 필터(122)(132)(142)는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녹조가 통과할 수 없도록 하므로서 녹조는 필터(122)(132)(142)에서 제거되고 물만 수로(6)를 타고 흐르게 되어 녹조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 필터(122)(132)(142)성능이 떨어지면 필터(122)(132)(142)를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녹조제거기(100)가 일정시간 가동되면 필터(122)(132)(142)를 통과하지 못한 녹조가 녹조제거기(100)의 내부에 쌓이게 되므로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녹조제거기(100)의 녹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하이동판(11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내부의 물이 배출되기를 기다리며, 녹조제거기(100)의 물이 배출되고 나면 유압실린더(141)를 작동시켜 바닥이동판(140)을 상부로 들어올려 배출판(120)과 측면판(130)에 붙은 녹조를 바닥이동판(140)으로 긁어 올리도록 한다.
이같이 녹조제거 과정시 수로(6)로 유입되는 물은 수로(6)의 바닥에 설치된 필터판(30)을 통하여 계속 배출되게 된다.
바닥이동판(140)이 배출판(120)의 높이에 맞게 이동된 후에는 유압실린더(151)를 작동시켜 제거구(150)를 들어올린 후 유압모터(163)를 작동시켜 제거구(150)가 상하이동판(110)의 상부쪽으로 이동되게 한 후 다시 유압실린더(151)를 작동시켜 제거구(150)가 바닥이동판(140)에 밀착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거구(150)를 배출판(120)쪽으로 이동시키면 바닥이동판(140)으로 긁어 올려진 녹조가 배출판(120)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밀려진 녹조는 녹조제거관(124)에 떨어지게 되고, 녹조제거관(124)으로 이동된 녹조는 이송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선박(1)의 일정장소로 이동시켜 보관하게 된다.
이때 제거구(150)에는 에어배출구(152)가 형성되어 에어호스(153)로 유입되는 공기를 분사하게 하므로서 바닥이동판(140)의 상부에 쌓인 녹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거구(150)를 원위치시키고 바닥이동판(140)을 원위치 시킨 후 상하이동판(110)을 들어올리면 녹조제거기(100)로 다시 물이 유입되어 녹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된 녹조제거기(100)는 녹조제거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오일 확산지역이나 쓰레기가 떠 있는 지역을 반복 운항하므로써 수표면에 떠 있는 오일이나 쓰레기를 제거해 주는 한편 녹조발생 지역에서는 녹조를 제거하거나 적조발생 지역에서는 황토 또는 뻘을 살포하여 적조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바닥에 가라앉은 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닥의 오염물질을 제거해 줄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선박은 연중 가동이 가능한 것으로, 평상시 부유쓰레기의 제거나 바닥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녹조 또는 적조가 발생하거나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발생지역으로 이동하여 녹조또는 적조나 기름을 제거하게 되므로 고가의 선박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한편 인력의 낭비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부유쓰레기를 제거하고 수면의 기름을 제거하는 선박(1)에 있어서,
    선수에 설치된 좌우 개폐도어(2)사이로 유입된 물이 선박(1)의 양측면으로 흐르게 하는 수로(6)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녹조를 포집하고 주기적으로 포집된 녹조를 제거하는 녹조제거기(100)와,
    선박(1)에 적재되어 설치되고 황토를 분쇄하여 수로(6)를 흐르는 물에 살포하는 황토살포기(50)와,
    선박(1)의 중앙쪽에 설치되고 좌우로 이동하며 바닥의 오염물질을 퍼 올리는 바닥물질 인양기(6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2. 제 1 항에서, 황토 살포기(50)는 황토가 담기는 호퍼(51)와, 상기 호퍼(51)의 하부에서 황토를 분쇄하여 배출관(57)으로 투입하는 분쇄칼날(55)과, 분쇄칼날(55)에 동력배분기(53)를 통한 유압모터(5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54)과, 상기 배출관(57)의 내부에서 동력전달수단(54)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으로 회전되어 황토를 수로(6)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56)와, 상기 배출구(57)의 선단에 설치되고 황토를 수로(6)로 투하하는 배출구(58)와, 상기 배출구(58)에 설치되고 유압모터(59a)에 의해 회전되며 이송스크류(56)의 축에 회전자재로 결합되어 황토를 분쇄하는 후단분쇄칼날(5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3. 제 1 항에서, 바닥물질 인양기(60)는 받침프레임(63)의 상부에 고정붐대(63a)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붐대(63a)의 상부에는 관절을 갖고 자유롭게 꺽일 수 있도록 제1붐대(64)와 제1공기유입관(66) 및 케이블(67)을 설치하고, 상기 제1붐대(64)에는 제2붐대(64a)가 내삽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제2붐대(64a)에는 제3붐대(64b)가 내삽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결합하며, 상기 제1붐대(64)의 내부에는 제1유압실린더를 내장시키는 한편 제1유압실린더축(65)을 설치하되 상기 제1유압실린더축(65)이 제2붐대(64a)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제2붐대(64a)의 내부에는 제2유압실린더(65a)를 설치하되 제2유압실린더(65a)는 제3붐대(64b)에 결합되게 하고, 제2유압실린더축(65b)은 제3붐대(64b)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3유압실린더(65c)와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4. 제 3 항에서, 받침프레임(63)의 하부에는 이송레일(61a)을 타고 이동하는 이송롤러(61b)가 구비된 바닥프레임(61)을 설치하되 상기 바닥 프레임(61)과 받침 프레임(63)사이는 중앙에 유동힌지(61c)로 결합시키고 사면에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62)를 설치하는 한편 유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2a)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5. 제 3 항에서, 제1,제2,제3붐대(64)(64a)(64b)에는 고정편(67a)을 이용하여 제1,제2,제3공기유입관(66)(66a)(66b)을 설치하되 상기 공기유입관(66)(66a)(66b)은 붐대(64)(64a)(64b)와 같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케이블은(67)은 실린더지주대(16)에 연결되어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6. 제 1 항에서, 바닥물질 인양기(60)의 선단에는 힌지(86)로 그물프레임지지구(82)를 결합시키고 상기 그물프레임지지구(82)에는 그물프레임(81)을 내삽시켜 결합시키되 스프링(83)에 탄지되어 결합되게 하고, 상기 그물프레임(81)에는 포집망(80)이 설치되는 한편 바닥쪽에는 바닥을 파주고 긁어주기 위한 포크(87)를 형성시키되 포크(87)의 내측으로는 고압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관(88)을 형성시키며 측면으로는 바닥을 타고 이동되는 바닥썰매(89)를 설치하고, 그물프레임지지구(82)에는 회동대(85)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대(85)에는 유압실린더(84)를 연결하여 유압실린더(84)를 작동시킴에 따라 그물프레임(81)이 힌지(86)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하는 각도를 맞추게 하며, 카메라(80a)와 조명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7. 제 1 항에서, 녹조제거기(100)는 수로(6)에 설치되고 사각의 상자 형태를 갖되 전방과 후방을 가로막는 상하이동판(110)과 배출판(120)은 유압실린더(111)(12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개폐되고,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판(13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바닥에는 바닥이동판(140)이 설치되나 상기 바닥이동판(140)은 유압실린더(141)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상기 바닥이동판(140)의 상부에서 제거구(150)가 이동수단(160)에 의해 좌우 이동되어 바닥이동판(140)에 쌓인 녹조를 배출판(120)쪽의 녹조제거관(124)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8. 제7항에서, 상하이동판(110)은 내측으로 교체가능한 필터(112)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112)의 양측에는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구멍(113)을 형성시키는 한편 전면에는 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필터(112)를 통과한 물은 배출로(114)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하고, 배출판(120)은 내측으로 교체가능한 필터(122)가 설치되고 필터(122)의 양측에는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구멍(123)을 형성시키며, 측면판(130)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고 교체 가능한 필터(132)에 구멍(133)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고 필터(132)를 통과한 물은 배출로(134)를 타고 하부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9. 제7항에서, 바닥이동판(140)은 필터(142)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멍(143)을 통하여 물이 필터(142)를 통과한 후 하부로 배출되게 하며, 상기 바닥이동판(140)은 유압실린더(141)에 의해 녹조제거기(100)의 내부를 이동하며 녹조를 긁어 올리게 구성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10. 제7항에서, 바닥이동판(140)의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상부에 고정된 수평바(161)사이는 녹조제거기(100)의 물흐름 방향으로 받침바(162)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바(162)의 상부에는 유압모터(163)와 동력전달구(164)를 설치하는 한편 하부에는 체인기어(165)를 설치하여 유압모터(163)의 회전에 의해 양측으로 설치된 체인기어(165)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인기어(165)에는 받침바(162)의 하측을 따라 체인(166)을 설치하여 유압모터(163)로 체인(166)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체인(166)에는 유압실린더(151)를 연결하되 상기 유압실린더(151)의 하부에는 에어배출구(152)가 형성된 제거구(150)를 연결하여 체인(166)의 이동시 제거구(150)가 받침바(162)의 설치방향으로 전후 이동되게 하는 한편 유압실린더(151)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11. 제1항에서, 선박(1)의 전방 좌우개폐도어(2)의 내측에는 파도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장치(90)를 설치하되 유압실린더(93)에 의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한편 스프링(95)(96)을 설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충격완화장치(90)에는 하측으로 상어 아가미와 같은 형태의 오일 유입구(91)를 형성시켜 물의 표면에 떠있는 오일이 오일 유입구(91)로 유입되어 오일저장홈(92)에 저장되게 한 후 이를 제거해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오염 방제선.
KR10-2002-0064656A 2002-10-22 2002-10-22 환경오염 방제선 KR10049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656A KR100490920B1 (ko) 2002-10-22 2002-10-22 환경오염 방제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656A KR100490920B1 (ko) 2002-10-22 2002-10-22 환경오염 방제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493A true KR20040035493A (ko) 2004-04-29
KR100490920B1 KR100490920B1 (ko) 2005-05-24

Family

ID=3733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656A KR100490920B1 (ko) 2002-10-22 2002-10-22 환경오염 방제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9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181B1 (ko) * 2005-01-18 2007-03-09 박순 양어장용 수차
KR100742051B1 (ko) * 2003-06-26 2007-07-23 조옥현 적조방제용 약품의 조성물
FR3043645A1 (fr) * 2015-11-16 2017-05-19 Remy Francois Bateau broyeur de sargasse offshore
WO2019073107A1 (en) * 2017-10-12 2019-04-18 Suomen Merituote Oy ARRANGEMENT FOR COLLECTING PLASTIC WASTE IN WATER PLANS
CN114917671A (zh) * 2022-05-13 2022-08-19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池塘污物收集去除设备
CN116556294A (zh) * 2023-07-04 2023-08-08 苏州北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河道水生态治理设备及河道水生态治理方法
CN116905457A (zh) * 2023-09-12 2023-10-20 黄委会山东水文水资源局泺口水文站 一种水生态环境治理用污物打捞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468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활성탄소를 이용한 수중 유해물질 제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450B2 (ja) * 1992-02-06 1996-06-26 運輸省第三港湾建設局長 水面浮遊物回収船
JP3156097B2 (ja) * 1992-03-17 2001-04-16 豊国工業株式会社 水路の除塵装置
KR970001137A (ko) * 1995-06-01 1997-01-21 이성진 해저 오물 수거용 선박
JPH11180681A (ja) * 1997-12-25 1999-07-06 Kobe Steel Ltd 伸縮ブーム
JP3233908B2 (ja) * 1998-10-30 2001-12-04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除塵装置
KR100304060B1 (ko) * 1998-11-04 2001-11-22 배평암 적조방제를위한황토분쇄및살포방법및그장치
KR100356397B1 (ko) * 2000-11-13 2002-10-19 윤여균 조류제거선
KR200248822Y1 (ko) * 2001-05-12 2001-11-16 김학수 수로를 구비한 조류 제거 부선
KR100422406B1 (ko) * 2001-05-25 2004-03-18 외 동 김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JP4782946B2 (ja) * 2001-06-12 2011-09-28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車両搭載型のクレーン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051B1 (ko) * 2003-06-26 2007-07-23 조옥현 적조방제용 약품의 조성물
KR100689181B1 (ko) * 2005-01-18 2007-03-09 박순 양어장용 수차
FR3043645A1 (fr) * 2015-11-16 2017-05-19 Remy Francois Bateau broyeur de sargasse offshore
WO2019073107A1 (en) * 2017-10-12 2019-04-18 Suomen Merituote Oy ARRANGEMENT FOR COLLECTING PLASTIC WASTE IN WATER PLANS
CN114917671A (zh) * 2022-05-13 2022-08-19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池塘污物收集去除设备
CN116556294A (zh) * 2023-07-04 2023-08-08 苏州北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河道水生态治理设备及河道水生态治理方法
CN116556294B (zh) * 2023-07-04 2023-10-17 苏州北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河道水生态治理设备及河道水生态治理方法
CN116905457A (zh) * 2023-09-12 2023-10-20 黄委会山东水文水资源局泺口水文站 一种水生态环境治理用污物打捞装置
CN116905457B (zh) * 2023-09-12 2023-12-01 黄委会山东水文水资源局泺口水文站 一种水生态环境治理用污物打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0920B1 (ko) 200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8864B2 (en) Construction si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CN109944286B (zh) 一种环保清污系统
US10927519B1 (en) Recovery system for large-scale spilled oil flowing onto and adhered to shore
KR100870909B1 (ko) 유류에 오염된 토사석의 복원방법 및 그 장치
KR102207360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나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수중발생 오염물의 재활용 방법 및 오염물여과장치
KR20150071697A (ko) 점오염원과 비정오염원에서 유입되는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과 각종 쓰레기들과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주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여기에 적용되는 빗물 저장고
KR20140043427A (ko) 하천수와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재사용하거나 깨끗하게 처리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하천수와 빗물을 저장하여 정수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정수시스템
KR100490920B1 (ko) 환경오염 방제선
KR100922414B1 (ko) 친환경 수중 준설 장치 및 공법
CN109292930A (zh) 一种采油过滤设备及过滤方法
KR20150088213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과 각종 쓰레기들과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주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여기에 적용되는 빗물 저장고
KR20160060012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 각종 쓰레기들 및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20230148477A (ko) 수중 오염물의 신속분리를 위한 고액분리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20090107224A (ko) 해변의 오염된 흙의 기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0340219B1 (ko) 부유물 제거 선박
KR100361458B1 (ko) 하천의 수질정화 시공방법
KR20150136737A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들과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하천수 정화시스템
KR102258861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 발생하는 수초 및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수중발생 퇴적물 제거방법 및 제거장치
KR20150088217A (ko) 오염된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과 각종 쓰레기들과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주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여기에 적용되는 빗물 저장고
KR20150070077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과 각종 쓰레기들과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주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여기에 적용되는 빗물 저장고
EP4019700B1 (en) High viscosity oil recovery device for sea spill and method thereof
CN213803191U (zh) 一种农田水域面源污染处理装置
KR20150068929A (ko) 필터와 약품 없이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들과 유체성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처리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주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20150060630A (ko)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처리한 후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정수하여 줌과 동시에 전기를 생산 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20150068340A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들과 유체성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주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여기에 적용되는 빗물 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