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126B1 -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126B1
KR101346126B1 KR1020120001812A KR20120001812A KR101346126B1 KR 101346126 B1 KR101346126 B1 KR 101346126B1 KR 1020120001812 A KR1020120001812 A KR 1020120001812A KR 20120001812 A KR20120001812 A KR 20120001812A KR 101346126 B1 KR101346126 B1 KR 10134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processing
plate
dispens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926A (ko
Inventor
정해룡
Original Assignee
정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룡 filed Critical 정해룡
Priority to KR102012000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1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49/481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and welding opposite wall parts of the parisons or preforms to each other
    • B29C49/4815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and welding opposite wall parts of the parisons or preforms to each other by means of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69Means explicitly adapted for transporting blown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51Means for stripping, aligning or de-stacking
    • B29C49/42057Aligning disorderly arranged preforms, e.g. delivered disorder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2Aerosol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주입하면 팽창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면 수축하도록 제조되는 내부용기의 팽창과 수축작용이 보다 신속·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는, 기체(10)의 상판(11)에 부설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결합공(21)에 결합설치되어 가공대상 내부용기를 거꾸로 하여 그 주입구의 내부로 상단이 삽입되는 노즐관(22)을 구비하는 안착대(20)와, 상기 안착대의 직 하부에 위치하게 하방에 설치되어 노즐관을 통해 내부용기에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기(30)와, 상기 상판에 수직설치되는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의 후방에 수직 설치되는 수직실린더(42)와 후단은 상기 수직실린더의 로드 상단에 고정되고 전단은 지지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장공(411)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는 수평로드(43)와 후면을 상기 수평로드의 전단에 고정하는 승강판(44)을 구비하는 승강기(40) 및 상기 안착대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승강판에 설치되며 가공위치로 하강하여 작동하면 안착대에 안착된 내부용기의 몸체부를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하여 복수의 주름을 수직으로 요입되게 형성하는 가공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Crease processing machine of inner Container for 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의 내부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주입하면 팽창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면 수축하도록 제조되는 내부용기의 팽창과 수축작용이 보다 신속·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이나 점액 상으로 된 화장품은 물론 헤어무스나 면도용 거품 또는 모기약 등과 같은 에어로졸제품은 내용물을 디스펜서에 충전하여 분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를 위해서는 용기에 내용물과 함께 LPG나 부탄가스 등을 혼입 충전하였다.
그러나, LPG나 부탄가스 등을 내용물과 함께 충전하였을 때에는 내부에 일부의 가스가 남아있는 상태에서도 내용물이 모두 토출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디스펜서를 그대로 폐기하였기 때문에 막대한 자원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은 물론 부주의에 의해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단이 개방된 외부용기(1)와, 외주연의 하단을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에 결속하여 개방된 상단을 봉해주는 봉합캡(2)과, 무공해성인 PET나 PPT와 같은 수지로 형성되며 주입구(3a)의 외주면을 상기 봉합캡의 상향연장된 중앙부(2a)의 하측 내주면에 결합고정하는 내부용기(3)와, 상기 주입구의 내부에 장착하며 상단이 개방되고 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장공(4a)이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4)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승강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유통로(5a)가 수직으로 요입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유통로와 외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밸브공(5b)이 수평으로 형성된 밸브(5)와, 상기 밸브의 하단과 실린더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어 밸브을 상승시켜 주는 코일스프링(6)과, 하단부를 상기 봉합캡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2b)와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상단을 통과하여 밸브의 유통로에 결속하는 관 형상의 스템(7) 및 하부가 상기 봉합캡의 중앙부와 그 외주연부(2c) 사이의 요입부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템의 상단부를 하부에 삽입 결속하게 중앙에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통구(8a)와 외단은 측면으로 개방되고 내단은 상기 유통구와 직교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분무구(8b)를 구비하는 분무캡(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개방된 상단을 중앙부의 하면에 내부용기와 실린더 및 밸브를 결합설치한 봉합캡으로 봉해주게 결속하는 과정에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사이에 압축공기(A)를 충전하고 결속함으로써 압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내부용기의 몸체부(3b)가 압축된 상태로 내부용기에 수용되게 한 다음 분무캡을 하강시켜서 밸브공이 열리게 하고 상기 분무구를 통해 일정량의 내용물을 내부용기에 주입충전하므로 몸체부가 팽창되어 압축공기를 압축하게 한 후 분무캡을 상승시켜 밸브공이 닫히게 하여 내용물이 내부용기에 충전되어 있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분무캡을 누르면 밸브공이 열리게 됨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는 압축공기의 팽창력이 몸체부를 압축시키는 작용을 하여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한 디스펜서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LPG나 부탄가스 등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용기와 수지로 형성되는 내부용기의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압축공기의 팽창압력에 의해 내부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내용물이 항상 원활하게 토출되는 장점은 물론 폭발이나 화재발생의 위험 등이 해소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들도 있었다.
그러나, 몸체부(3b)가 내용물을 충전하면 팽창하고 토출하면 수축하게 내부용기(3)를 제조할 때에는, 처음부터 몸체부(3b)를 주입구(3a)에 비하여 지름과 길이가 현저하게 크고 길며 두께는 비교적 얇으면서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도록 금형에 PET나 PPT와 같은 수지를 주입하여 사출성형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본원 출원인은 도 2에서와 같이 먼저 사출금형에 PET나 PPT와 같은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한 반제품(3')을 가공금형에 장착하고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몸체부를 팽창시켜서 완제품(내부용기)을 제조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제조장치를 발명하여 선출원(특허출원 제10-2011-0060768호)을 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제조된 내부용기(3)는 몸체부(3b)가 팽창된 상태이므로 그 부피에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운반 및 보관장소를 많이 점유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이고, 특히,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함에 따라 어느 정도 남아 있을 때까지는 상기 몸체부의 전 부분이 균일하게 수축하게 되는 반면에 몸체부가 완전히 압축되게 수축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기 때문에 내용물이 모두 토출되지 못하고 비교적 많은 량이 남게 되어 내용물은 물론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선출원의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용물을 주입할 때에는 원활하게 팽창됨은 물론이고 내용물이 모두 토출될 수 있도록 완전히 압축되는 내부용기를 제공할 있게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체의 상판에 부설되며 가공대상의 내부용기를 거꾸로 세워지게 안착하는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판의 하면에 설치되며 거꾸로 안착한 내부용기에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기와 상기 안착대의 상방에 위치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는 승강기 및 상기 승강기의 하면에 설치되며 승강기가 하강하면 작동하여 안착대에 안착한 내부용기의 몸체부를 방사상으로 가압하여 복수의 주름을 수직방향으로 가공하는 가공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안착대에 하나의 가공대상 내부용기가 안착이 되면 승강기가 하강작동하여 가공기를 가공위치로 하강시켜 가공기가 내부용기의 몸체부를 가압하여 복수의 주름을 가공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대상의 내부용기를 자동으로 정렬시켜 하나씩 안착대에 안착시켜 가공위치로 이송시켜 주는 자동정렬안착기와 이송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를 안착대로부터 분리하여 배출위치로 이동시켜 주는 분리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는, 단시간에 대량으로 내부용기의 몸체부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주름을 수직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주름이 가공된 내부용기는 내용물을 구입충전할 때에는 더욱 신속·원활하게 팽창됨은 물론 주름에 의해 내용물이 잔류하지 않도록 압착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모두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은 물론 잔량이 남지않게 되므로 내용물이나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종래 디스펜서의 일 예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내부용기의 반제품과 완제품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내부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일부 절취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5a~c는 도 4의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에 의한 주름가공과정을 일부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4에서 내부용기와 안착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정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가공기를 발췌 분해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
도 8a는 도 7에서 전환부재와 가공부재를 발췌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8a,b는 도 7의 전환부재와 가공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a,b는 도 4에서 가공기의 작동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다른 예에서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a,b는 도 11에서 자동정렬안착기의 작동상태를 발췌하여 확대한 정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이송기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이송기의 작동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보인 확대 정면도
도 15는 도 11에서 분리기를 발췌하여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평면도
도 18은 도 16의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자동정렬안착기를 발췌하여 일부절취한 확대 정면도
도 21a,b는 도 19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
이하,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일부 절취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고, 도 5a~c는 도 4의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에 의한 주름가공과정을 일부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서 내부용기와 안착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정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가공기를 발췌 분해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8a는 도 7에서 전환부재와 가공부재를 발췌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8a,b는 도 7의 전환부재와 가공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9a,b는 도 4에서 가공기의 작동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는, 기체(10)와, 상기 기체의 상판(11)에 부설되며 가공대상의 내부용기(3)를 거꾸로 세워서 안착하는 안착대(20)와, 상기 안착대의 직 하부에 위치하게 상판의 하면에 설치되며 안착한 내부용기에 주입구(3a)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기(30)와, 수직으로 승강하게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승강기(40) 및 상기 안착대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승강기에 설치되며 가공위치로 하강하면 내부용기의 몸체부(3b)를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하여 복수의 주름(3c)이 수직으로 요입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름들 사이가 압착면(3d)으로 되게 가공하는 가공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안착대(20)는 육면체로 되며, 중앙에는 결합공(21)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관(22)을 결합설치한다.
노즐관(22)의 상단에는, 노즐(23)을 소정길이로 부설함으로써 내부용기(3)를 거꾸로 하여 상기 노즐이 주입구(3a)의 내부로 삽입되게 결합하면 이들이 서로 결속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용기는 안정되게 안착대(20)에 거꾸로 안착된다.
이렇게 내부용기(3)를 안착대(20)에 거꾸로 안착하는 것은, 가공기(50)가 몸체부(3b)만 가압하게 함은 물론 가압하기 전에 주입기(30)가 작동하여 노즐관(22)과 노즐(23)을 통해 공기, 바람직하게는 고온의 공기를 주입충전함으로써 상기 몸체부가 부드러워지게 함과 동시에 충전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들이 균일하게 압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가공기(50)가 몸체부(2b)를 가압하는 과정에서는 주입기(30)의 작동이 정지하므로 상기 몸체부에 충전되어 있는 공기는 몸체부가 압착되는 정도에 따라 노즐(23)을 통해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가압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노즐(23)의 하부 외면에는 패킹을 결합하여 내부용기(3)의 주입구(3a)에 삽입되면 상기 주입구의 내면과의 사이를 밀폐시켜 주게 하므로 내부용기에 고온의 공기를 주입충전하였을 때에는 물론이고 가공기(50)가 상기 몸체부를 가압할 때에도 노즐과 주입구의 사이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기(30)는, 상판(11)의 하부에 설치되는 펌프(31)와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노즐관(22)의 하단을 연결하는 공급구(32)를 구비하여 된다.
아울러, 펌프(31)의 내부에 흡입구(3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부설하거나, 상기 흡입구를 일반적인 열풍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주입기(30)의 펌프(31)는, 가공대상 내부용기(3)를 안착대(20)에 안착하면 승강기(40)의 작동으로 가공기(50)가 하강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몸체부(3b)를 파지하면 작동되어 고온의 공기를 공급구(32)을 거쳐 노즐관(22)으로 공급하여 노즐(23)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에 주입충전한다.
그리고, 가공기(50)가 몸체부(3b)를 가압할 때에는 펌프(31)의 작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내부용기(3)에 충전되어 있는 공기는 노즐(23)과 공급구(32)를 거쳐 역류하여 흡입구(33)를 통해 배출된다.
승강기(40)는, 지지판(41)·수직실린더(42)·수평로드(43) 및 승강판(44)을 구비하여 된다.
지지판(41)은 상판(11)의 후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간에는 수평로드(43)가 전후로 관통하는 안내장공(41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전면의 양쪽에는 지지레일(412)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수직실린더(42)는 지지판(41)의 후방에 위치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평로드(43)의 후단을 상기 수직실린더의 수직로드(421) 상단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수직실린더의 정역구동에 따라 수직로드가 수평로드를 안내장공(411)의 길이범위에서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게 된다.
승강판(44)의 후면은 수평로드(43)의 전단에 고정하고, 상면에는 가공기(50)를 설치하여 상기 가공기가 안착대(20)의 직 상부에서 수직으로 승강하게 한다.
그리고, 승강판(44)의 후면 양측에는 지지판(41)의 전면 양측에 고정된 지지레일(412)에 슬라이딩하게 결합하는 승강레일(441)을 고정함으로써 가공기(50)가 설치된 상기 승강판이 안정된 상태로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기(40)의 수직실린더(42)는 안착대(20)에 내부용기(3)가 안착되면 정 구동되어 수직로드(421)를 하강시켜 주며, 이에 따라 안내장공(411)을 따라 하강하는 수평로드(43)의 전단에 고정된 승강판(44)에 의해 가공기(50)가 상기 내부용기의 가공위치로 하강하면 정 구동을 정지한다.
또한, 가공기(50)의 작동으로 몸체부(3b)에 주름(3c)가공이 완료되면 수직실린더(41)가 역 구동하여 수직로드(421)를 상승시켜 주며, 이에 따라 수평로드(43)와 승강판(44)에 의해 가공기(50)가 상승하여 원위치하면 역 구동을 정지한다.
가공기(50)는, 가공실린더(51)·가동판(52)·고정판(53)·수직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전환부재(54) 및 몸체부(3b)를 가압하여 주름(3c)을 형성하는 가공부재(55)를 구비하여 된다.
가공실린더(51)는 승강판(44)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가공실린더의 가공로드(511) 하단에 가동판(52)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가공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가동판은 승강하게 된다.
또한, 가동판(52)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공(521)을 수직관통하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공에는 각 상단을 승강판(44)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하여 수직으로 하향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로드(522)들이 관통하게 결합하므로 상기 가동판이 지지로드들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승강하도록 한다.
고정판(53)은 지름이 가동판(52)과 동일하게 되며, 상면을 지지로드(522)들의 각 하단에 고정하여 상기 가동판의 하방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가공실린더(51)가 역 구동하여 가동판(52)이 상승하게 되면 고정판(53)과의 상하 간격이 커지고, 정 구동하여 상기 가동판이 하강하게 되면 그 하면이 고정판의 상면에 근접하게 된다.
또한, 고정판(53)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안내로드(531)의 하단을 고정하여 수직으로 상향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가동판(52)에는 상기 안내로드들이 각각 통과하는 안내관(523)들을 관통하게 설치하여 상기 가동판이 더욱 안정된 상태로 승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부재(54)는, 각각 복수인 전환판(541)·고정레일(542)·가동레일(543)·가동편(544) 및 전환롤러(545)를 구비하여 된다.
복수의 전환판(541)은 가동판(52)의 하면에 각 상단을 고정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수직설치되며, 하방으로 개방되는 하단부와 상단부는 수직으로 되고 이들 사이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상향경사지는 가동로(54a)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전환판(541)의 하부는 가동판(52)이 완전히 상승하였을 때 고정판(53)에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수직형성된 각 관통구(53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도록 한다.
복수의 고정레일(542)은, 각 전환판(541)의 상단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는 일측위치에 상기 각 전환판과 각각 평행하게 가동판(52)의 하면에 방사상으로 고정설치된다.
복수의 가동레일(543)은 각 고정레일(542)의 하부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결합설치되며, 복수의 가동편(544)은 각각 상기 가동레일의 하면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게 한다.
또한, 복수의 전환롤러(545)는 각 가동편(544)의 가동판(52)에 대응하는 면에 각각 축 설치하여 각각의 가동로(54a)에 결합되게 한다.
이렇게 하면, 가동판(52)이 완전히 상승하였을 때 전환롤러(545)는 가동로(54a)의 경사부분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가동판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에는 가동로의 수직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전환롤러(545)는 가동판(52)이 하강 또는 상승하는 과정에서 가동로(54a)의 경사부분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전환롤러는 수평이동하게 설치된 가동편(544)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가동판은 수직으로 승강하는 것이므로 가동로의 경사부분이 전환롤러를 거치게 될 때에는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여 전환롤러는 경사부분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환롤러(545)가 수평이동하면, 가동편(544)과 가동레일(543)이 함께 수평이동하게 된다.
복수의 가공부재(55)는, 각 상단을 가동편(544)의 하면 전단부에 고정하는 수직편(551)과 상기 수직편의 전면에 후면을 수직으로 고정하며 전단부가 상면에서 보면 "<"형태로 형성되는 가공편(552)을 구비하여 된다.
이와 같은 복수의 가공부재(55)는, 가동판(52)의 수직하강시 가동로(54a)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 전환롤러(545)의 작동에 따라 가동편(544)과 함께 외측에서 내측으로 수평이동하면서 안착대(20)에 거꾸로 안착되어 있는 내부용기(3)의 몸체부(3b)를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압착하여 주름(3c)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름들 사이가 압착면(3d)으로 되게 가공한다.
이러한 작동을 하는 가공기(50)에서의 전환부재(54)와 가공부재(55)의 개수는 내부용기(3)의 몸체부(3b)에 가공하고자 하는 주름(3c)의 개수에 비례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환부재와 가공부재는 몸체부의 지름 크기를 감안하여 4~8개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몸체부의 지름이 큰 경우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가동할 때에는, 도 4 및 도 5a에서와 같이 주름가공위치에 있는 안착대(20)의 노즐(23)에 가공대상 내부용기(3)를 거꾸로 하여 상기 노즐이 주입구(3a)의 내부로 삽입되게 결속시켜 안착하거나 상기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가 가공위치에 놓이게 한 다음 가동하면 된다.
이렇게 가동을 하면, 승강기(40)의 수직실린더(42)가 정 구동하여 수직로드(421)를 하강시켜 주므로 수평로드(43)가 안내장공(411)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전단에 고정된 승강판(44)에 의해 가공기(50)가 함께 하강하여 몸체부(3b)의 가공위치로 하강하면 상기 수직실린더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때, 복수의 전환판(541)은 가동판(52)과 함께 상승되어 있기 때문에 전환롤러(545)들이 가동로(54a)들의 수직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공부재(55)들은 외측으로 이동되어 가공편(552)들의 각 전단들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하강하게 되는데, 그 벌어진 간격이 몸체부(3b)의 지름에 비례하므로 상기 가공부재들이 가공위치로 하강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각 전단들은 몸체부의 외면을 빙 둘러서 잡아주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가공편(552)들이 몸체부(3b)를 외측에서 잡아주게 하는 것은 주입기(30)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때, 비록 그 주입압력이 강하지 않아도 안착상태에서 임의로 이탈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기(30)의 펌프(31)가 작동되어 공급구(32)를 통해 고온의 공기를 노즐관(22)으로 공급하여 노즐(23)을 통해 내부용기(3)에 주입충전하며, 이에 따라 몸체부(3b)는 충전된 고온의 공기에 의해 부드러워지게 됨과 동시에 팽팽하게 되기 때문에 원형유지는 물론 가공편(552)들의 각 전단에 밀착되어 안착상태가 더욱 안정된다.
고온의 공기가 주입충전되면, 가공기(50)가 가공실린더(51)를 정 구동시켜 주므로 가공로드(511)에 의해 가동판(52)과 함께 전환판(541)들이 하강하게 된다.
전환판(541)이 하강하게 되면, 각 가동로(54a)의 수직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전환롤러(545)를 상기 가동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부분이 하강하면서 내측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도 5c 및 도 8c에서와 같이 상기 전환롤러가 축 설치된 가동편(544)과 가동레일(543)이 함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가동편(544)이 내측으로 이동하면, 가공부재(55)도 함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 9b에서와 같이 가공편(552)의 전단부가 내측 이동하면서 몸체부(3b)를 사방에서 중심을 향해 가압하게 되며, 이때는 주입기(30)의 작동이 정지되어 내부용기(3)에 주입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가공편이 몸체부를 가압하는 상태에 따라 노즐(23)을 통해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는 균일하게 압착된다.
이와 같은 가압작동은 가동로(54a)의 경사부분 상단이 전환롤러(545)를 지나가서 상기 전환롤러가 가동로의 수직 상단부에 위치할 때까지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태가 되면 가공실린더(51)의 정 구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내부용기(3)의 몸체부(3b)는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하는 복수의 가공부재(55)에 의해 압착이 되어 내측으로 요입되는 주름(3c)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주름들 사이는 압착면(3d)으로 된다.
그리고, 주름(3c)의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가공실린더(51)가 역 구동되어 가공로드(511)를 상승시켜 주므로 가동판(52)과 전환판(541)들이 함께 상승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가동로(54a)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경사부분이 전환롤러(545)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주기 때문에 가동편(544)과 가공부재(55)들이 함께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공편(552)들은 몸체부(3b)와 격리된다.
이후, 전환롤러(545)가 가동로(54a)의 경사부분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가공실린더(51)는 역 구동을 정지하고, 다음에는 수직실린더(42)가 역 구동되어 수직로드(421)를 상승시켜 주기 때문에 수평로드(4)와 승강판(44)에 의해 가공기(50)가 함께 상승하여 원위치 되면 상기 수직실린더의 역 구동도 정지함으로써 내부용기(3)에 주름(3c)을 가공하는 1회의 작동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3)를 안착대(20)에서 분리시킨 다음 다른 내부용기를 안착하고 상기의 가공작동을 반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는, 안착대(20)에 내부용기(3)를 안착하는 것과 가공완료 후 상기 안착대에서 분리시키는 작동은 물론 주입기(30)와 승강기(40) 및 가공기(50)의 모든 작동을 일반적인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는 도 10 내지 15에서의 다른 예에서와 같이, 내부용기(3)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안착대(20)에 안착시켜 주는 자동정렬안착기(60)와, 상기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를 가공위치로 이송시켜 주고 가공완료된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는 내부용기의 분리위치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기(70) 및 가공완료된 상기 내부용기를 안착대에서 분리시켜 주는 분리기(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정렬안착기(60)는 상판(11)에 부설되는 기대(12)에 설치되며, 컨베이어(61)·방향전환핀(62)·경사판(63) 및 낙하통로(64)를 구비하여 된다.
컨베이어(61)는 기대(12)의 상측에 좌측단으로부터 경사판(63)의 상단위치까지 수평으로 설치되며, 가공대상의 내부용기(3)를 일렬로 눕혀진 상태로 방향전환핀(62)의 상면으로 이동시켜 준다.
방향전환핀(62)은, 컨베이어(61)의 우단과 기대(12)의 우단측 사이에 수직으로 하향 부설되는 낙하통로(64)의 우단 상부 내면과의 사이 중간에 전후로 가로지르게 설치된다.
따라서, 컨베이어(51)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어 오는 내부용기(3)들 중 선두의 내부용기가 방향전환핀(62)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태로 수평이동되어 그 중간이 상기 방향전환로드에 위치하게 되는 순간 상기 내부용기의 무게 중심이 주입구(3a)의 무게에 의해 상기 주입구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방향전환핀을 축으로 하여 주입구가 하향하게 회전된다.
이렇게 되면, 내부용기(3)는 거꾸로 되어 주입구(3a)가 하향한 상태로 낙하통로(64)를 통해 수직으로 낙하하여 상판(11)의 우측에 위치하는 안착대(20)의 노즐관(22)이 상기 주입구에 삽입결합되게 안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내부용기(3)의 주입구(3a)가 선단에 위치하게 이동하였을 때에는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낙하통로(64)의 상단부에서 그대로 수직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주입구(3a)가 후단에 위치하게 이동하였을 때에는 방향전환핀(62)를 축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그 하방에는 낙하통로(64)의 상측을 향하게 경사판(63)이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용기(3)는 상기 주입구가 하향한 상태로 낙하통로로 안내되어 수직 낙하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내부용기(3)가 방향전환핀(62)의 상면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중간이 방향전환핀에 위치하게 되면 의해 거꾸로 되게 방향전환되어 낙하통로(64)를 통과하여 안착대(20)에 안착된 다음에 상기 안착대가 안착위치를 벗어난 후 다른 안착대가 안착위치로 이동되어 오면 컨베이어가 다시 가공하여 다음 내부용기를 정렬안착시켜 주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기(70)는, 이송로(71)·제1~3이송실린더(72)(73)(74) 및 이송컨베이어(75)를 구비하여 된다.
이송로(71)는, 낙하통로(64)의 직 하방으로부터 몸체부(3b)에 주름을 가공하는 가공위치를 가로질러 상판(11)의 우측부분에 이르게 부설되는 전측부와 상기 전측부의 우단에서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부설되는 우측부와 상기 우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을 향해 직각으로 부설되는 후측부 및 상기 후측부의 좌단에서 전측부의 좌단을 향해 직각으로 부설되는 좌측부로 이어지는 직사각형태로 설치된다.
제1이송실린더(72)는 이송로(71)의 전측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게 상판(11)에 수평설치되며, 정 구동되면 그 로드의 전단에 부설된 제1밀대(721)를 전진시켜 낙하통로(64)에서 하나의 내부용기(3)가 낙하하여 안착된 안착대(20)의 좌단을 밀어서 그 좌우길이에 비례하는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동시켜 준 후 역 구동되어 상기 밀대를 후진 원위치시켜 주고 정지한다.
이에 따라, 제1이송실린더(72)가 1회 구동할 때마다 내부용기(3)가 안착된 안착대(20)는 그 좌우길이에 비례하는 간격만큼씩 이송로(71)의 전측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주름가공위치에 도착하게 됨은 물론 주름가공된 후에는 다시 우단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이송실린더(73)는 이송로(71)의 우측부 우측에 전방을 향하게 상판(11)에 수평설치되며, 정 구동되면 그 로드의 전단에 부설된 견인대(731)를 후진시켜 상기 이송로의 전측부 우단에 위치하며 주름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3)를 분리시킨 안착대(20)를 그 전후길이에 비례하는 간격만큼 상기 우측부로 후진 이동시켜 준 후 역 구동되어 상기 견인대를 전진 원위치시켜 주고 정지한다.
이송컨베이어(75)는 이송로(71)의 우측부 후단에서 좌측부의 후단 사이를 가로지르게 상판(11)에 수평설치되며, 가동되면 제2이송실린더(73)에 의해 상기 우측부의 후단위치에서 이송컨베이어의 우단부로 이송되어 얹혀진 안착대(20)를 좌측부의 후단위치로 이송시켜 주고 정지한다.
제3이송실린더(74)는 이송로(71)의 좌측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게 상판(11)에 수평설치되며, 정 구동되면 그 로드의 전단에 부설된 제3밀대(741)를 전진시켜 이송컨베이어(75)의 좌단부에 얹혀져 있는 안착대(20)를 그 전후길이에 비례하는 간격만큼 상기 좌측부의 전단측으로 이송시켜 준 후 역 구동되어 상기 제3밀대를 후진 원위치시켜 주고 정지한다.
따라서, 제3이송실린더(74)에 의해 좌측부에서 전진이송되는 안착대(20)들은 전측부의 좌단측인 낙하통로(64)의 직 하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안착대들은 이송로(71)를 계속하여 순환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이송로(71)는 우·좌측부의 길이가 전·후측부보다 짧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판(11)의 면적에 따라 우·좌측부와 전·후측부 길이를 상기와 달리하여도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복수의 안착대(20)는 제1~3이송실린더(72)(73)(74)가 구동될 때마다 그 좌우길이 또는 전후길이의 간격만큼씩 이송되는 것이므로, 순조로운 이송을 위해서는 이송로(71)에 완전히 채워지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기(80)는, 제1분리실린더(81)·제2분리실린더(82) 및 분리암(83)을 구비하여 된다.
제1분리실린더(81)는 이송로(71)의 우측부(712) 직 후방위치의 상판(11)에 설치되는 지지대(84)의 상단에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설치되며, 그 제1로드(811)의 전단에는 제2분리실린더(82)가 수직으로 하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분리실린더(82)의 제2로드(821) 하단에는 분리암(83)이 전방으로 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분리암의 전단에는 한 쌍의 핑거(831)가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릴 수 있게 부설된다.
이때, 한 쌍의 핑거(831)는 양측부의 나사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스크류축에 상기 핑거의 각 후단을 각각 나사결합하여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하거나 상기 핑거의 각 후단을 모터에 의해 서로 맞물려 역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에 축착하여 회전하게 함으로써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하는 구조로 된다.
물론,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핑거를 사용하는 장치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그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분리기(80)는 주름(3c)의 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3)가 안착되어 있는 안착대(20)가 이송로(71)의 전측부(71) 우단측에 도착하여 정지하면 작동하는 것으로서, 작동하기 전에는 제2분리실린더(82)의 역 구동으로 제2로드(821)에 의해 분리암(83)이 하강하여 있게 되므로 핑거(831)는 좌우로 벌어진 상태로 상기 우단측의 직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름(3c)의 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3)가 안착되어 있는 안착대(20)가 이송로(71)의 전측부(71) 우단측에 도착하여 정지하면, 그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분리암(83)이 제1분리실린더(81)의 정 구동으로 제1로드(811)에 의해 전진하여 좌우로 벌어진 핑거(831)의 사이에 상기 내부용기의 주입구(3a)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분리실린더의 정 구동은 즉시 정지된다.
이후 분리암(83)이 작동하여 좌우로 벌어져 있는 핑거(831)를 오므려주며, 이에 따라 상기 핑거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주입구(3a)를 파지하게 되면 상기 분리암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렇게 하여 핑거(831)가 주입구(3a)를 파지하면, 이번에는 제2분리실린더(82)의 정 구동으로 제2로드(821)에 의해 분리암(83)이 상승하므로 상기 핑거가 주입구를 파지한 상태로 상승하여 주름(3c)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3)는 안착대(20)로부터 상승이탈되며, 상기 제2분리실린더의 정 구동이 정지된다.
다음에는, 제1분리실린더(81)의 정 구동으로 제1로드(811)에 의해 제2분리실린더(82)와 분리암(83)이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핑거(831)가 파지하고 있는 내부용기(3)가 상판(11)의 전단을 지나서 기체(1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분리실린더의 정 구동이 정지함과 동시에 분리암이 작동하여 핑거(831)를 벌려주고 정지하므로 파지하고 있던 내부용기(3)는 하방으로 낙하하여 회수함(도시하지 않음)에 수납되게 한다.
또한, 핑거(831)가 내부용기(3)를 놓아주면 제1분리실린더(81)의 역 구동으로 제1로드(811)가 후진하므로 제2분리실린더(82)와 분리암(83)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여 핑거(831)가 전측부(71)의 우단측의 직 후방에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분리실린더의 역 구동은 정지되고, 상기 제2분리실린더가 역 구동하므로 제2로드(821)에 의해 상기 분리암이 하강하여 핑거가 좌우로 벌어진 상태로 다시 우단측의 직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2분리실린더가 역 구동도 정지되어 다음 내부용기(3)의 분리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는, 기체(10)의 상판(11)에 부설되며 가공대상의 내부용기(3)를 거꾸로 세워서 안착하는 안착대(20)와, 상기 내부용기의 몸체부(3b)를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하여 복수의 주름(3c)이 수직으로 요입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름들 사이가 압착면(3d)으로 되게 가공하는 가공기(50) 및 상기 상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3)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대에 안착한 내부용기에 주름을 가공하기 전에 하강하여 몸체부의 하면을 상부에서 파지하는 파지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안착대(20)는, 상판(11)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에 수직으로 관통하게 결합설치되는 노즐관(22)과 상기 노즐관의 상단에 소정길이로 부설되며 내부용기(3)를 거꾸로 하여 결합하면 주입구(3a)의 내부로 삽입결속되어 상기 내부용기가 거꾸로 안착되게 하는 노즐(23)을 구비하여 된다.
그리고, 노즐관(22)의 하단은 상기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기(도시하지 않음)의 공급구와 연결하여 주름(3c)을 가공하기 전에 고온의 공기를 노즐(23)을 통해 내부용기(3)에 주입하게 한다.
가공기(50)는, 기체(10)의 상판(11)에 중앙을 향해 방사상으로 수평설치되는 복수의 가공실린더(51)와, 상기 상판에 중앙을 향해 방사상으로 수평설치된 고정레일(542)과, 상기 고정레일에 수평이동하게 결합되는 가동레일(543)과, 하면은 상기 가동레일의 상면에 고정되고 후면은 상기 가공실린더들의 각 가공로드(511) 전단에 고정되는 가동편(544) 및 가동편의 상면 전측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공부재(55)를 구비하여 된다.
가공실린더(51)는 상판(1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정 구동되면 각 가공로드(511)가 사방에서 중앙에 설치된 안착대(20)에 거꾸로 안착되어 있는 내부용기(3)를 향해 동일한 간격으로 수평전진하여 각 전단에 수직설치된 가공부재(55)들이 상기 내부용기의 몸체부(3b)를 가압하게 한다.
가공부재(55)는, 하단을 각 가공로드(511)의 전단에 고정한 가동편(544)의 상면 전단부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수직편(551)과 전단부가 상면에서 보면 "<"형태로 형성되는 가공편(552)을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가공부재(55)는, 가공실린더(51)의 정 구동하면 각 가공로드(511)에 의해 안착대(20)에 거꾸로 안착되어 있는 내부용기(3)의 몸체부(3b)를 향해 사방에서 동시에 수평이동하여 상기 몸체부를 가압압착하여 주름(3c)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름들 사이가 압착면(3d)으로 되게 가공한다.
이렇게 작동을 하는 가공기(50)에서의 가공실린더(51)와 가공부재(55)는 내부용기(3)의 몸체부(3b)에 가공하고자 하는 주름(3c)의 개수에 비례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름의 개수는 몸체부의 지름 크기를 감안하여 4~8개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몸체부의 지름이 큰 경우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파지기(90)는, 지주대(13)의 전면 상측에 수평으로 고정하는 가로대(14)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직설치되는 파지실린더(91)와 그 파지로드(911)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하단에는 파지부(921)가 형성된 파지부재(92)를 구비하여 된다.
이와 같은 파지기(90)는, 안착대(20)에 내부용기(3)를 거꾸로 안착하면 파지실린더(91)를 정 구동시켜 파지로드(911)에 의해 파지부재(92)가 하강하여 그 하단의 파지부(921)가 상기 거꾸로 안착된 내부용기의 몸체부(3b) 하단을 상부에서 받쳐주는 상태로 파지하게 한다.
이렇게 파지부재(92)가 내부용기(3)를 상부에서 파지토록 하는 것은, 상기 파지부재가 내부용기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온의 공기가 주입될 경우에 그 주입압력에 의해 내부용기가 가공위치에서 이탈하거나 유동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가동할 때에는, 먼저, 가공기(50)의 각 가공부재(55)가 후진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공대상 내부용기(3)를 거꾸로 하여 안착대(20)의 노즐(23)이 주입구(3a)의 내부로 삽입되게 결속하여 안착한다.
이렇게 안착이 되면, 파지기(90)는 파지실린더(91)를 정 구동시켜 주므로 파지로드(911)에 의해 파지부재(92)가 하강하여 파지부(921)가 안착대(20)에 거꾸로 안착되어 있는 내부용기의 몸체부(3b) 하단을 상부에서 받쳐주는 상태로 파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안착되어 있도록 하고 정 구동을 정지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기가 작동하여 공급구를 통해 고온의 공기를 노즐관(22)으로 공급하므로 노즐(23)을 거쳐 내부용기(3)에 주입충전되며, 이에 따라 몸체부(3b)는 충전된 고온의 공기에 의해 부드러워지게 됨과 동시에 팽팽하게 되기 대문에 원형유지는 물론 외면이 가공편(552)들의 각 전단에 밀착되어 안착상태가 더욱 안정된다.
다음에는 가공기(50)가 각 가공실린더(51)를 동시에 정 구동시켜 주므로 각 가공로드(511)에 의해 가공부재(55)들이 사방에서 동시에 중심을 향해 전진하기 때문에 가공편(552)의 전단부가 몸체부(3b)를 사방에서 중심을 향해 가압한다.
이때, 주입기의 작동은 정지상태이므로 내부용기(3)에 주입되어 있는 고온의 공기는 가공편(552)들이 몸체부(3b)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노즐(23)을 거쳐 주입기를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는 균일하게 압착된다.
이렇게 하여 압착이 완료되면, 각 가공실린더(51)를 동시에 역 구동시켜 주므로 가공편(552)들이 후진하여 몸체부(3b)의 주름(3c)과 압착면(3d)으로부터 격리되게 한 후에 역 구동을 정지시켜 준다.
그리고, 파지기(90)는 파지실린더(91)를 역 구동시켜 파지로드(911)에 의해 파지부재(92)가 원위치로 상승하게 하여 파지부(921)가 거꾸로 안착되어 있는 몸체부(3b)의 하단으로부터 완전히 격리되면 역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내부용기(3)에 주름(3c)을 가공하는 1회의 작동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3)를 안착대(20)에서 분리시킨 다음, 다른 내부용기를 안착하고 상기의 가공작동을 반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는, 주입기와 가공기(50) 및 파지기(90)의 모든 작동들이 일반적인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서 자동정렬안착기를 발췌하여 일부절취한 확대 정면도이며, 도 21a,b는 도 19에서 요부를 발췌하여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이다.
본 발명 제3 실시 예는, 상기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기체(10)의 상판(11)에 부설되며 가공대상의 내부용기(3)를 거꾸로 세워서 안착하는 안착대(20)와, 상기 안착대의 직 하부에 위치하게 상판의 하면에 설치되며 안착한 내부용기에 주입구(3a)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기(30)와, 수직으로 승강하게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승강기(40) 및 상기 내부용기의 몸체부(3b)를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하여 복수의 주름(3c)이 수직으로 요입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름들 사이가 압착면(3d)으로 되게 가공하는 가공기(50)와 상기 가공기의 전측부에 설치되며 내부용기(3)를 정렬하여 안착대(20)에 안착시켜 주는 자동정렬안착기(60) 및 상기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를 가공위치로 이송시켜 주고 가공완료된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는 내부용기의 분리위치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입기와 승강기에 의해 승강하는 가공기 및 자동정렬안착기를 횡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주입기(30)와 승강기(40)에 의해 승강하는 가공기(50) 및 자동정렬안착기(60)를 복수로 설치하는 것은, 단위시간당 내부용기(3)의 가공량을 대폭적으로 상승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로 설치되는 주입기(30)와 승강기(40)에 의해 승강하는 가공기(50)들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설명은 상기 제1 실시 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그러나, 복수로 설치하는 자동정렬안착기(60)는 상기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정렬튜브(65)와 상·하부스토퍼(66')(66')로 구성된다.
정렬튜브(65)는 개방된 하단이 안착대(20)의 상면으로부터 하나의 내부용기(3) 길이에 비례하는 간격을 유지하게 기체(1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거꾸로 투입되는 복수의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게 된다.
상·하부스토퍼(66')(66')는 솔레노이드와 제동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스토퍼는 정렬튜브(65)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스토퍼는 하나의 내부용기(3) 길이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상기 하부스토퍼의 직 상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스토퍼(66')의 제동핀은 전진하여 전단부가 정렬튜브(65)의 해당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출입공을 통해 내측으로 들어가서 거꾸로 수용되어 있는 내부용기(3)들 중에서 제일 하측 내부용기의 상주면을 걸어주기 때문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용기들이 하락하지 않게 하며, 이때, 상부스토퍼(66)의 제동핀은 후진하여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스토퍼(66)의 제동핀을 전진시켜 그 전단부가 정렬튜브(65)의 해당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출입공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서 거꾸로 직립하게 수용되어 있는 내부용기(3)들 중 하단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는 내부용기의 상주면을 걸어주게 한 다음에 하부 스토퍼(66')의 제동핀을 후진시켜 주면 제일 하측의 내부용기가 즉시 수직으로 낙하하여 안착대(20)의 상면에 안착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정렬튜브에 수용되어 있는 다른 내부용기들은 상부 스토퍼에 의해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여 하나의 내부용기(3)가 낙하안착하면 하부 스토퍼(66')의 제동핀이 다시 전진하여 그 전단부가 정렬튜브(65)의 내측으로 다시 들어가고, 상부 스토퍼(66)의 제동핀이 후진하여 나오게 되므로 상측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내부용기들이 하강하여 제일 하측의 내부용기가 하부스토퍼의 제동핀에 걸어지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제동되어 다음 낙하를 대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이 주기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정렬튜브(65)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용기(3)들이 순차적으로 낙하하여 하나의 안착대(20)에 하나씩 안착되는 것이며, 상기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는 이송기(70)의 작동에 의해 가공기(50)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하는 자동정렬안착기(60)의 정렬튜브(65)는, 내부가 보이게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내부용기(3)를 적시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동정렬안착기(60)를 복수로 설치할 때에는 각각의 간격을 내부용기(3)의 주입구(3a)가 결합되는 각 안착대(20)의 노즐(23)들 사이의 간격에 비례하게 하며, 상기 자동정렬안착기는 주입기(30)와 승강기(40)에 의해 승강하는 가공기(50)와 동일한 대수로 설치한다.
도 19는, 그 일 예로 주입기(30)와 승강기(40)에 의해 승강하는 가공기(50) 및 자동정렬안착기(60)를 각각 횡으로 4대씩 설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설치할 때에는 각 자동정렬안착기(60)의 간격은 내부용기(3)들의 주입구(3a)가 결합되는 각 안착대(20)의 노즐(23)들 간격에 비례하게 하여야 하는 반면에 가공기(50)는 구조상 좌·우의 폭이 상기 노즐관들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4대를 모두 인접하게 설치하면 각 안착대에 안착된 내부용기들의 간격과 각 가공기의 가공위치간격들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의 간격차이를 감안하여 가공기를 2대씩 인접시켜 좌우에 격리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를 가동할 때에는, 각 상부스토퍼(66)의 제동핀은 후진시켜 주고 하부스토퍼(66')의 제동핀은 전진시켜 그 전단부가 각 정렬튜브(65)의 개방된 하단 내측으로 들어가게 한 다음에 내부용기(3)들을 거꾸로 투입한다.
이렇게 하여, 먼저 투입된 내부용기(3)가 하부스토퍼(66')의 제동핀에 걸어져 하락하는 것이 멈추게 되면 다음에 투입되는 상기 내부용기들은 차례로 직립하게 수용된다.
그리고, 내부용기(3)들의 투입이 완료되면 각 상부스토퍼(66)의 제동핀을 전진시켜 그 전단부가 각 정렬튜브(65)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내부용기들 중에서 하측에서 두 번째의 내부용기들을 걸어주게 한 다음에 각 하부스토퍼(66')를 후진시켜 주므로 제일 하측의 내부용기들이 낙하하게 한다.
이때 내부용기(3)들은 거꾸로 낙하하는 것이므로, 정렬튜브(65)들의 직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해당 안착대(20)들의 각 노즐(23)이 주입구(3a)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용기들은 각 안착대들에 안정되게 안착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안착대(20)에 내부용기(3)의 안착이 완료되면, 이송기(70)가 작동하여 상기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들을 가공위치인 가공기(50)들의 직 하방으로 이동시켜 주고 정지한다.
그런데, 4대의 가공기(50)는 2대씩 인접시켜 좌우로 격리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기(70)가 내부용기(3)를 안착한 안착대(20)들을 이동시켜 주는 초기에는 상기 내부용기들 중 선두와 세 번째의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들은 좌측에 위치하는 2대의 가공기(50)들의 가공위치를 통과한 우측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두 번째와 네 번째의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들은 좌측에 위치하는 2대의 가공기들의 각 가공위치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정지한다.
다음에는, 승강기(40)가 정 구동하여 좌측 2대의 가공기(50)를 몸체부(3b)의 가공위치로 하강시켜 주고 정지하는데, 이때 상기 가공기의 가공부재(55)들은 각 전단의 사이가 몸체부(3b)의 지름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벌어져 하강하므로 상기 가공부재들이 가공위치로 하강하면 각 전단들은 몸체부의 외면을 빙 둘러서 잡아주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2대의 주입기(30)가 작동하여 노즐(23)을 통해 고온의 공기를 내부용기(3)에 주입충전하며, 이에 따라 몸체부(3b)는 충전된 고온의 공기에 의해 부드러워지게 됨과 동시에 팽팽하게 되어 그 원형을 유지하게 됨은 물론 가공편(552)들의 각 전단에 밀착되어 안착상태가 더욱 안정된다.
이와 같이 고온의 공기가 주입충전되면 좌측 2대의 가공기(50)가 정 구동하여 가동판(52)과 함께 전환판(541)을 하강시켜 가공부재(55)들이 함께 내측으로 이동하게 하므로 그 전단부들이 몸체부(3b)를 사방에서 중심을 향해 가압하게 하며, 이때 주입기(30)는 작동을 정지하여 내부용기(3)에 주입된 고온의 공기가 상기 가공부재가 몸체부를 가압하는 상태에 따라 노즐(23)을 통해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 상기 몸체부가 균일하게 압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내부용기(3)의 몸체부(3b)는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하는 복수의 가공부재(55)에 의해 압착이 되어 내측으로 요입되는 주름(3c)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주름들 사이는 압착면(3d)으로 된다.
그리고, 주름(3c)의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가공실린더(51)가 역 구동되어 가동판(52)과 전환판(541)들을 함께 상승시켜 주며, 이렇게 되면 가공부재(55)들이 외측으로 이동되어 각 전단부가 몸체부(3b)와 격리된다.
이후, 가공실린더(51)의 역 구동은 정지하고 승강기(40)가 역 구동되어 좌측 2대의 가공기(50)를 상승 원위치시켜 주고 정지하므로 두 번째와 네 번째의 내부용기(3)에 주름(3c)을 가공하는 1회의 작동이 완료된다.
다음에는, 이송기(70)가 작동하여 상기 가공된 두 번째와 네 번째 내부용기 및 좌측의 가공기에 의해 가공되지 않은 첫 번째와 세 번째 내부용기가 안착된 4대의 안착대(20)를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시켜 가공되지 않은 상기 첫 번째와 세 번째 내부용기가 우측 2대의 가공기들의 가공위치에 각각 위치하게 한 다음 정지한다.
이렇게 되면 가공이 완료된 첫 번째와 세 번째의 내부용기(3)들은 우측 2대의 가공기(50)들 각 좌측에 위치하게 되고, 좌측 2대의 가공기(50)들의 가공위치에는 다음 가공대상의 내부용기(30)가 안착된 안착대(20)들이 각각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번에는 좌·우측 각 2대의 가공기(50)들이 동시에 작동하여 각 가공부재(55)들이 가공위치에 있는 내부용기(3)의 몸체부(3b)를 압착하여 주름(3c)을 가공하므로 상기 내부용기 4개를 동시에 가공하게 된다.
따라서, 가공을 위한 초기 작동시에는 좌측 2대의 가공기(50)가 작동하여 2개의 내부용기(3)를 가공하게 되는 반면에, 이후부터는 좌·우측 각 2대의 상기 가공기들이 동시에 작동하므로 한번 작동할 때마다 4개의 내부용기가 가공되기 때문에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켜 주게 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4개 내부용기(3)의 가공이 완료되면 이송기(70)가 작동하여 각 가공기(50)의 가공위치로는 다음 가공대상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20)를 이동시켜줌과 동시에 가공완료된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는 배출위치로 이동시켜 주므로 다음 가공대상 내부용기의 가공작동과 가공완료된 내부용기의 배출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에서의 주입기(30)와 승강기(40)에 의해 승강하는 가공기(50) 및 자동정렬안착기(60)와 이송기(70)의 모든 작동은 일반적인 자동제어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서는 주입기(30)와 승강기(40)에 의해 승강하는 가공기(50) 및 자동정렬안착기(60)를 4대씩 설치한 것을 그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대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도 되는 것이다.
한편, 상·하부스토퍼(66')(66')는 솔레노이드와 제동핀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정렬튜브(65)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용기(3)의 하락을 선택적으로 제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의 스토퍼를 사용하여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 기체 20 : 안착대
22 : 노즐관 30 : 주입기
40 : 승강기 41 : 지지판
42 : 수직실린더 43 : 수평로드
44 : 승강판 50 : 가공기
51 : 가공실린더 52 : 가동판
53 : 고정판 54 : 전환부재
55 : 가공부재 54a : 가동로
541 ; 전환판 542 : 고정레일
543 : 가동레일 544 : 가동편
545 : 전환롤러 551 : 수직편
552 : 가공편 60 : 자동정렬안착기
61 : 컨베이어 62 : 방향전환핀
64 : 낙하통로 65 : 정렬튜브
66,66' : 상·하부스토퍼 70 : 이송기
71 : 이송로 72~74 : 제1~3 이송실린더
75 : 이송컨베이어 80 : 분리기
81 : 제1분리실린더 82 : 제2분리실린더
83 : 분리암 831 : 핑거
90 : 파지기 91 : 파지실린더
92 : 파지부재

Claims (15)

  1. 기체(10)와,
    상기 기체(10)의 상판(11)에 부설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결합설치되어 가공대상 내부용기를 거꾸로 하여 그 주입구의 내부로 상단이 삽입되는 노즐관(22)을 구비하는 안착대(20)와;
    상기 안착대(20)의 직 하부에 위치하게 하방에 설치되며, 노즐관(22)을 통해 내부용기에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기(30)와;
    상기 상판(11)에 수직설치되는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41)의 후방에 수직 설치되는 수직실린더(42)와, 후단은 상기 수직실린더(42)의 로드 상단에 고정되고 전단은 지지판(41)에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장공(411)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는 수평로드(43)와, 후면을 상기 수평로드(43)의 전단에 고정하는 승강판(44)을 구비하는 승강기(40); 및
    상기 안착대(20)의 직 상방에 위치하게 승강판(44)에 설치되며, 가공위치로 하강하여 작동하면 안착대(20)에 안착된 내부용기의 몸체부를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하여 복수의 주름을 수직으로 요입되게 형성하는 가공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50)는, 가공실린더(51)와, 상기 승강판(44)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는 가공실린더(51)의 로드 하단에 고정하는 가동판(52)과, 각 상단을 상기 가동판(5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지지공(521)을 수직관통하여 승강판(44)의 하면에 고정한 지지로드(522)들의 하단에 고정설치하는 고정판(53)과, 각 상단을 상기 가동판(52)의 하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고정하고 하부는 고정판(53)에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형성된 각 관통구(53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상향경사지는 가동로(54a)가 형성된 전환판(541)과, 상기 각 전환판(541)의 상단과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가동판(52)의 하면에 방사상으로 고정설치하는 고정레일(542)과, 상기 각 고정레일(542)의 하부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결합설치되는 가동레일(543)과, 상기 각 가동레일(543)의 하면에 고정되는 가동편(544)과, 상기 각 가동로(54a)에 결합되게 각 가동편(544)에 축 설치되는 전환롤러(545)을 구비하여 가동판(52)의 수직운동을 가동편(544)의 수평운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복수의 전환부재(54) 및 각 상단을 상기 가동편(544)의 하면 전단부에 고정하는 수직편(551)과, 상기 수직편(551)의 전면에 후면을 수직으로 고정하며 전단부가 상면에서 보면 "<"형태로 형성된 가공편(552)을 구비하는 복수의 가공부재(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환부재(54)와 가공부재(55)는, 각각 4~8개 중 어느 하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10)의 상판(11)에 설치되며, 가공대상 내부용기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상기 안착대(20)에 안착시켜 주는 자동정렬안착기(60)와, 상기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20)를 가공위치로 이송시켜 주고 가공완료된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는 내부용기의 분리위치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정렬안착기(60)는, 상기 상판(11)에 부설된 기대(12)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61)와, 상기 컨베이어(61)의 우단과 기대(12)의 우단측 사이에 수직으로 하향 부설되는 낙하통로(64)와, 상기 컨베이어(61)의 우단과 낙하통로(64)의 우단 상부 내면과의 사이 중간에 전후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방향전환핀(62)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70)는, 상기 낙하통로(64)의 직 하방으로부터 가공기(50)의 가공위치를 가로지르게 부설되는 전측부와 상기 전측부의 우단에서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부설되는 우측부와 상기 우측부의 후단에서 좌측을 향해 직각으로 부설되는 후측부 및 상기 후측부의 좌단에서 전측부의 좌단을 향해 직각으로 부설되는 좌측부로 이어지는 직사각형태로 설치되는 이송로(71)와, 상기 이송로(71)의 전측부 좌측에 설치되며 낙하통로(64)에서 하나의 가공대상 내부용기가 낙하하여 안착된 안착대(20)의 좌단을 밀어서 가공위치로 이동시켜 주는 제1이송실린더(72)와, 상기 이송로(71)의 우측부 우측에 설치되며 주름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3)를 분리시킨 안착대(20)를 상기 우측부로 후진 이동시켜 주는 제2이송실린더(73)와, 상기 이송로(71)의 우측부 후단에서 좌측부의 후단 사이를 가로지르게 설치되며 제2이송실린더(73)에 의해 우측부의 후단위치에서 우단부로 이송되어 얹혀지는 안착대(20)를 좌측부의 후단위치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컨베이어(75)와, 상기 이송로(71)의 좌측부 후방에 설치되며 이송컨베이어(75)의 좌단부에 얹혀져 있는 안착대(20)를 좌측부의 전단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3이송실린더(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10)의 상판(11)에 설치되며, 상기 주름가공이 완료된 내부용기가 안착된 안착대(20)가 이송로(71)의 우측부 우단에 도착하면 작동하여 내부용기를 안착대(20)에서 분리시켜 주는 분리기(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80)는, 상기 이송로(71)의 우측부 후방위치에 설치하는 지지대(84)의 상단에 수평설치되는 제1분리실린더(81)와, 상기 제1분리실린더(81)의 로드 전단에 수직하향설치되는 제2분리실린더(82)와, 상기 제2분리실린더(82)의 로드 하단에 전방을 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단에는 내부용기의 주입구를 파지하는 한 쌍의 핑거(831)가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릴 수 있게 부설된 분리암(83)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9. 기체(10)와;
    상기 기체(10)의 상판(11)에 부설되며, 가공대상의 내부용기를 거꾸로 세워서 안착하는 안착대(20)와;
    상기 내부용기의 몸체부를 사방에서 동시에 가압하여 복수의 주름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가공기(50); 및
    상기 상판(11)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13)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대(20)에 안착한 내부용에 주름을 가공하기 전에 하강하여 몸체부(3b)의 하면을 상부에서 파지하는 파지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20)는, 상기 상판(11)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에 수직으로 관통하게 결합설치되는 노즐관(22)과, 상기 노즐관(22)의 상단에 소정길이로 부설되며 내부용기(3)를 거꾸로 하여 결합하면 주입구(3a)의 내부로 삽입결속되어 상기 내부용기가 거꾸로 안착되게 하는 노즐(23)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50)는, 기체(10)의 상판(11)에 중앙을 향해 방사상으로 수평설치되는 복수의 가공실린더(51)와, 상기 가공실린더(51)들의 각 로드 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단부가 상면에서 보면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공부재(55)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기(90)는, 상기 지주대(13)의 전면 상측에 수평으로 고정하는 가로대(14)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직설치되는 파지실린더(91)와, 상기 파지실린더(91)의 로드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하단에는 안착대(20)에 거꾸로 안착되어 있는 내부용기의 하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재(9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실린더(51)와 가공부재(55)의 설치개수는, 각각 4~8개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30)와 승강기(40)에 의해 승강하는 가공기(50) 및 자동정렬안착기(60)는, 각각 복수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정렬안착기(60)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거꾸로 투입되는 복수의 내부용기를 수용하는 정렬튜브(65)와;
    상기 정렬튜브(65)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정렬튜브(65)에 수용되어 있는 제일 하측에 있는 내부용기가 하락하는 것을 제동하는 하부스토퍼(66')와;
    상기 정렬튜브(65)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정렬튜브(65)에 수용되어 있는 제일 하측에 있는 내부용기를 걸어주는 하부스토퍼(66')와;
    상기 하나의 내부용기 길이에 비례하는 간격으로 하부스토퍼(66')의 직 상측에 위치하게 정렬튜브(65)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정렬튜브(65)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용기들 중에서 하측에서 두 번째의 내부용기를 걸어주는 상부스토퍼(6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KR1020120001812A 2012-01-06 2012-01-06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KR10134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812A KR101346126B1 (ko) 2012-01-06 2012-01-06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812A KR101346126B1 (ko) 2012-01-06 2012-01-06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926A KR20130080926A (ko) 2013-07-16
KR101346126B1 true KR101346126B1 (ko) 2013-12-31

Family

ID=4899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812A KR101346126B1 (ko) 2012-01-06 2012-01-06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046B1 (ko) * 2013-09-24 2014-09-05 (주)에코파우치 압축 분사 용기의 주름관 제조 장치
KR101595500B1 (ko) * 2014-08-22 2016-02-18 (주)크리에이티브 핸즈 압축 분사 용기의 주름관 제조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670A (ko) * 1999-09-08 2002-06-05 위지 팩 인터내셔날 엘티디. 열성형처리 후 언더컷 성형된 용기를 분리하는 장치
JP2005074886A (ja) 2003-09-02 2005-03-24 Fuso Seiko Kk 容量調整機構付同時多品成形金型
KR200408404Y1 (ko) 2005-11-30 2006-02-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가류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670A (ko) * 1999-09-08 2002-06-05 위지 팩 인터내셔날 엘티디. 열성형처리 후 언더컷 성형된 용기를 분리하는 장치
JP2005074886A (ja) 2003-09-02 2005-03-24 Fuso Seiko Kk 容量調整機構付同時多品成形金型
KR200408404Y1 (ko) 2005-11-30 2006-02-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가류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926A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1649A (en) Hydraulic pressure bottle testing method and machine
JP5749859B2 (ja) 吸収材の内容物吸収工程を含む化粧品製造装置
CN206125534U (zh) 品字形进推送料机构
CN101500458A (zh) 从一次使用的囊包配制饮料的泡制装置
CN102582877A (zh) 上开盖装盒机
CN205202162U (zh) 一种全自动胶柱热压机
US20120167524A1 (en) Machine for placing protective dividers of bottles contained in packaging boxes
KR101346126B1 (ko) 디스펜서용 내부용기의 주름가공장치
CN207171467U (zh) 一种新型气动接头自动装配机
CN106029331A (zh) 配有转动活动的型芯座的预型件模制单元
KR101959261B1 (ko) 화장품 충진장치
CN101691141A (zh) 铝盒包装机
CN105151354A (zh) Led支架全自动包装机
CN106720517A (zh) 一种茶饼制作设备
CN103231908A (zh) 超洁净预制杯灌装机
KR102201339B1 (ko) 종이상자 제조 시스템
CN101723177A (zh) 方形包装体输送装置的进出料区间暂存机构及其动作方法
KR20180018685A (ko) 충전 및 폐쇄 용기 생산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용기
US6805230B2 (en) Palletizer for articles manipulated by suspension
CN206298128U (zh) 一种啤酒空玻璃瓶排列码垛机
KR101449737B1 (ko) 플라스틱 용기의 성형장치
CN205917168U (zh) 一种改进结构的安瓿瓶灌装封口装置
US5313767A (en) Multiple package forming and filling machine
CN205526705U (zh) 无机防火膨胀珍珠岩保温板自动码垛装置
CN105438567B (zh) 一种分包装置及适用于该分包装置的袋装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