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955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955B1
KR101345955B1 KR1020110066791A KR20110066791A KR101345955B1 KR 101345955 B1 KR101345955 B1 KR 101345955B1 KR 1020110066791 A KR1020110066791 A KR 1020110066791A KR 20110066791 A KR20110066791 A KR 20110066791A KR 101345955 B1 KR101345955 B1 KR 10134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pring
tub
control uni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426A (ko
Inventor
권기현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9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2Preventing or reducing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브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의 진동 또는 소음을 감쇠시키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에어 스프링과,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과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에어 스프링 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 {A 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진동 또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터브(2)가 설치된 캐비닛(1)과,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3)과, 상기 캐비닛(1)의 내측 하면과 상기 터브(2)의 외측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탈수 시 상기 드럼(3)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터브(2)의 진동 또는 소음을 감쇠시키는 댐퍼(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1)의 내측 상면과 상기 터브(2)의 외측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2)를 지지하는 스프링(9)과, 상기 터브(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모터(4)와, 상기 모터(4)에 연결된 모터 풀리(41)와, 상기 드럼(3) 후방에 설치된 드럼축(32)과, 상기 드럼축(32)에 설치된 드럼 풀리(31)와, 상기 모터 풀리(41)와 상기 드럼 풀리(31)를 연결하여 서로 연동되게 하는 벨트(5)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터브(2)에서 발생하는 적절한 진동 또는 소음을 제거하지 못하여 소음이 크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522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동 또는 소음 성능을 개선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터브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에어 스프링과,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과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에어 스프링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에어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스프링 커넥터는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과 상기 제어부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진동 또는 소음값을 측정하여 상기 에어 스프링의 적절한 특성을 산출한 후 밸브를 조절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에어 스프링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진동 또는 소음 감소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에 따라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에어 스프링을 포함하여 터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무시되는 진동이나 소음이 없으므로 의류건조기의 진동 또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에어 스프링마다 밸브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기의 이동 및 흡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라서, 의류건조기의 진동 또는 소음을 다각도에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건조기의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라서, 에어 스프링 커넥터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므로, 밸브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에어 스프링과 제어부 사이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라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에 따라 각각의 에어 스프링의 강성 및 탄성을 제어하므로, 의류건조기의 진동과 소음 감소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류건조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베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진동 또는 소음 감소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베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진동 또는 소음 감소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터브(11)가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터브(11)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에어 스프링(13,14,15,16)과,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13,14,15,16)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부(17)와,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13,14,15,16)과 상기 제어부(17)를 연결하는 에어 스프링 커넥터(18,19,20,21)를 포함한다.
의류건조시 진동 또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터브(11) 또는 기타 냉동부품 등이 원인이 되는데, 그 중 터브(11)는 진동 또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의 진동 또는 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상기 센서(미도시)는 상기 터브(11)의 외측 또는 상기 터브(11)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적당하다.
터브(11)의 하부에는 베이스(12)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2)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터브(11)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2)에는 상기 터브(11)의 진동 또는 소음을 감쇠시키도록 에어 스프링(13,14,15,16)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 스프링(13,14,15,16)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에어 스프링(13,14,15,16)이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에어 스프링(13,14,15,1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 개의 에어 스프링(13,14,15,16)은 제1에어 스프링(15), 제2에어 스프링(16), 제3에어 스프링(17) 및 제4에어 스프링(1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에어 스프링(15), 제2에어 스프링(16), 제3에어 스프링(17) 및 제4에어 스프링(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의 바닥면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에어 스프링(13,14,15,16)은 각각의 내부에 압축공기가 채워지고, 압축공기량에 따라 이동을 반복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 스프링(13,14,15,16)은 세탁기, 철도, 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서 고루 쓰이는 통상적인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5224호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네 개의 에어 스프링(13,14,15,16)의 중앙, 즉, 베이스(12)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13,14,15,1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터브(11)의 진동 또는 소음값을 신호로 받아 각각의 에어 스프링(13,14,15,16)의 공기량을 적절히 제어한다.
예를 들어, 현재 각각의 에어 스프링(13,14,15,16) 내부의 압축공기량이 10이고, 터브(11)의 진동 또는 소음 감지 후, 필요로 하는 제1에어 스프링(15)의 압축공기량이 5이고, 제2에어 스프링(16)의 압축공기량이 15이면, 제어부(17)의 밸브(미도시)를 조절하여 후술할 에어 스프링 커넥터(18,19,20,21)에 의해 제1에어 스프링(15)의 압축공기량 5를 제2에어 스프링(16)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7)는 중앙밸브제어장치(CVC, Center Valve Contr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7)는 터브(11)에 의해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값을 신호로 받을 뿐만 아니라, 기타 냉동부품에 의해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값을 신호로 받아 에어 스프링(13,14,15,16)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와 각각의 에어 스프링(13,14,15,16)은 에어 스프링 커넥터(18,19,20,2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 스프링 커넥터(18,19,20,21)는 제1에어 스프링(13)과 제어부(17)를 연결하는 제1에어 스프링 커넥터(18)와, 제2에어 스프링(14)과 제어부(17)를 연결하는 제2에어 스프링 커넥터(19)와, 제3에어 스프링(15)과 제어부(17)를 연결하는 제3에어 스프링 커넥터(20)와, 제4에어 스프링(16)과 제어부(17)를 연결하는 제4에어 스프링 커넥터(21)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스프링 커넥터(18,19,20,21)는 각각의 에어 스프링(13,14,15,16) 내의 압축공기가 제어부(17)로 통과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에어 스프링 커넥터(18,19,20,21)는 제1 에어 스프링(13) 내의 압축공기가 상기 제어부(17)로 통과하여 다른 에어 스프링(14,15,16)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의 진동 또는 소음 감소 방법은, 의류건조기의 진동 또는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S1)와, 측정된 진동 또는 소음값에 따라 에어 스프링(13,14,15,16)의 적절한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S2)와, 밸브를 조절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에어 스프링(13,14,15,16)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의류건조기의 진동 또는 소음, 특히, 터브(11)의 진동 또는 소음을 센서(미도시)로 측정한다.(S1)
상기 센서(미도시)는 상기 터브(11)의 외측 또는 상기 터브(11)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진동 또는 소음값의 신호를 제어부(17)에서 받아서 에어 스프링(13,14,15,16)의 적절한 특성을 산출한다.(S2)
상기 에어 스프링(13,14,15,16)의 적절한 특성은, 강성 또는 탄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현재 상태에 적절한 강성 또는 탄성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7)는 중앙밸브제어장치(CVC, Center Valve Contr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출된 적절한 강성 또는 탄성을 적용하기 위해 중앙밸브제어장치(CVC, Center Valve Control)에서 밸브를 조절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에어 스프링(13,14,15,16)의 공기량을 제어한다.(S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 및 의류건조기의 진동 또는 소음 감소 방법은, 특히, 진동 또는 소음을 감소하는 의류건조기 및 세탁기에 적합하다.
10 : 본체 11 : 터브
12 : 베이스 13 : 제1에어 스프링
14 : 제2에어 스프링 15 : 제3에어 스프링
16 : 제4에어 스프링 17 : 제어부
18 : 제1에어 스프링 커넥터 19 : 제2에어 스프링 커넥터
20 : 제3에어 스프링 커넥터 21 : 제4에어 스프링 커넥터

Claims (4)

  1. 터브가 설치된 본체;
    상기 터브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에어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 스프링에 의해 진동 또는 소음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에어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과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에어 스프링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스프링 커넥터는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과 상기 제어부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에어 스프링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진동 또는 소음값을 측정하여 상기 에어 스프링의 적절한 특성을 산출한 후 밸브를 조절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에어 스프링의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10066791A 2011-07-06 2011-07-06 의류건조기 KR10134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91A KR101345955B1 (ko) 2011-07-06 2011-07-06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91A KR101345955B1 (ko) 2011-07-06 2011-07-06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26A KR20130005426A (ko) 2013-01-16
KR101345955B1 true KR101345955B1 (ko) 2014-01-03

Family

ID=4783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791A KR101345955B1 (ko) 2011-07-06 2011-07-06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9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224B1 (ko) * 2004-07-05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방진장치
KR100777299B1 (ko) 2006-06-09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JP2011083458A (ja) 2009-10-16 2011-04-28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224B1 (ko) * 2004-07-05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방진장치
KR100777299B1 (ko) 2006-06-09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JP2011083458A (ja) 2009-10-16 2011-04-28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26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0057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4844412B2 (ja) 洗濯機
US10011937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y
KR101516470B1 (ko) 세탁기
JP5010431B2 (ja) 洗濯機
JP2015154880A (ja) 洗濯機
EP3252201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928884B (zh) 洗衣机
KR101273042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1345955B1 (ko) 의류건조기
US20180371667A1 (en) Washing machine
KR20150054163A (ko) 세탁기용 현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N203530703U (zh) 滚筒式洗衣机
KR20120108373A (ko) 세탁장치
JP2011062334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51806B1 (ko) 세탁기
CN108823914B (zh) 用于衣物处理装置的底脚组件和衣物处理装置
US970874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dynamic balancer
KR20120106245A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8061552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541230B2 (ja) 洗濯機
KR20170041414A (ko)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WO2015185234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damping member
CN109518430B (zh) 一种滚筒洗衣机
KR20110022495A (ko) 세탁장치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