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516B1 - 생분해성 수세미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516B1
KR101345516B1 KR1020130037789A KR20130037789A KR101345516B1 KR 101345516 B1 KR101345516 B1 KR 101345516B1 KR 1020130037789 A KR1020130037789 A KR 1020130037789A KR 20130037789 A KR20130037789 A KR 20130037789A KR 101345516 B1 KR101345516 B1 KR 101345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mesh
biodegradable
pla
poly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용
Original Assignee
윤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용 filed Critical 윤태용
Priority to KR102013003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01F6/625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10B2331/04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 제조공정에서 열처리 가공을 통해 미리 수축된 폴리유산(PLA) 섬유사로 망 프레임 내측에 망눈들이 형성되도록 편직하며, 상기 망 프레임을 상기 망눈에 비하여 1.5∼4배의 굵은 실로 편직하여 상기 망 프레임이 상기 망눈들에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텐터에서 80∼150℃로 열처리 가공하여 수축률이 20∼50%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자연 생분해가 가능하고, 거품 발생이 용이하며, 세척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수세미{BIODEGRADABLE SCRUBBER}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척력이 강화된 생분해성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미는 주방에서 그릇 등을 세척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대표적인 형태로는 거친 합성사를 부직포 형태로 만든 수세미, 다공성 스펀지에 연마석을 결합한 수세미, 스테인리스 코일 형상의 철 수세미 및 망사 형태로 짜여진 수세미 등이 있다.
이러한 수세미는 식기 등의 표면에 부착된 고형 이물질을 강한 마찰력으로 탈착시켜 제거하는 작용과, 세제의 계면활성작용에 의한 유지성분의 제거를 위해 다량의 거품을 발생시켜 식기 등의 표면에 부착되는 오염물을 분리시켜 세척하는 작용이 요구된다.
그러나, 공개 특허공보 제2004-0063097호와 같은 거친 합성사를 부직포 형태로 만든 수세미는 세척력이 떨어지고 물 빠짐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347071호와 같은 스펀지 형태의 수세미는 풍부한 거품을 일으키는 반면에 표면에 강하게 들러붙은 고형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7448호와 같은 스테인리스 코일 형상의 철 수세미는 고형 이물질 제거는 용이하지만 표면 마모가 심하고 사용함에 따라 코일 형태가 훼손되며 거품이 잘 발생하지 않아 세제 사용량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 수세미는 사용 후 폐기 처리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소각시 유해 물질이 발생하여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유산(PLA) 섬유사를 사용하여 폐기시 자연 생분해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조직이 견고하고 거품생성이 용이하고, 물빠짐이 용이하며, 세척력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세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원사 제조공정에서 열처리 가공을 통해 미리 수축된 폴리유산(PLA) 섬유사로 망 프레임 내측에 망눈들이 형성되도록 편직하며, 상기 망 프레임을 상기 망눈에 비하여 1.5∼4배의 굵은 실로 편직하여 상기 망 프레임이 상기 망눈들에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텐터에서 80∼150℃로 열처리 가공하여 수축률이 20∼50%가 되도록 형성하는 생분해성 수세미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망 프레임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형성하고, 상기 망눈은 필라멘트사로 형성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폴리유산(PLA) 섬유사로 편직하여 사용 후 폐기시 자연 생분해가 가능하고, 다수 개의 망프레임 내측에 망눈들을 형성하여 거품 생성이 용이하면서도 조직이 견고하고 물 빠짐이 용이하다.
또한, 망프레임을 망눈들보다 돌출시키고, 폴리유산(PLA) 섬유사에 열을 가할 시 수축되면서 촉감이 까칠해지고 단단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세척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세미의 모습을 찍은 사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세미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세미의 모습을 찍은 사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세미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2)는 자연 생분해가 가능한 폴리유산(PLA) 섬유사(8)로 망구조로 편직하되, 다수 개의 망 프레임(4) 내측에 망눈(6)들이 형성되도록 편직하고, 망 프레임(4)이 망눈(6)들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2)에 사용하는 폴리유산(PLA) 섬유사(8)는 식물자원에서 추출된 환경친화성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주원료로 하여 소비자가 사용 후 폐기시 빠르게 생분해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가수 분해되는 성질을 지니고 있으므로, 수세미(2)로 사용시 망 구조로 형성하여 물 빠짐이 용이하고 건조가 잘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유산(PLA) 섬유사(8)는 열을 가할 시 수축하며 조직이 까칠해지고 단단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폴리유산(PLA) 섬유사(8)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축률을 제어하며 열처리 가공을 하여 세척력을 강화시킨 것이다.
수세미(2)의 열처리 가공은 후술할 텐터 가공을 이용해서 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유산(PLA) 섬유사(8)로 형성된 수세미(2)를 그냥 열처리할 경우는 너무 수축되어 제품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생산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세미(2)의 수축률은 20∼50%가 되도록 제어하면서 열처리 가공할 수 있는데, 상기의 범위내에서 수축률이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조직이 부드럽고 힘이 없어 수세미(2)로서의 세척력이 떨어지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생산수율이 취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수세미(2)의 수축률의 제어는 텐터 가공시 공정 온도를 제어하고, 폴리유산(PLA) 섬유사(8)에 내열성을 부가하여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유산(PLA) 섬유사(8)에 내열성을 부가하는 방법으로는, 폴리유산(PLA) 섬유사(8)를 원사 제조공정에서 미리 열처리하여서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유산(PLA) 섬유사(8)에 130℃의 열을 부가시, 5 데니어는 약 6%, 3 데니어는 약 15%, 6 데니어는 약 25%의 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원사 제조공정에서 미리 열처리하여 수축된 폴리유산(PLA) 섬유사(8)는 수세미(2)로 편직 후 텐터 가공 처리시 수축률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폴리유산(PLA) 섬유사(8)의 제조공정에서 내열재를 첨가하여서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세미(2)는 상기와 같은 폴리유산(PLA) 섬유사(8)를 사용하여 다수 개의 망 프레임(4)을 형성하고, 망 프레임(4) 내측에는 망눈(6)들이 형성되도록 편직한다.
망 프레임(4)은 마름모의 형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편직할 수 있다.
망 프레임(4)의 크기와 개수는 수세미(2)의 용도에 따라 조정 가능하며, 고형물 세척 용도로 사용시는 망 프레임(4)의 크기를 작게 하여 개수를 늘일 수 있으며, 유리 그릇과 같은 부드러운 식기에 사용시는 망 프레임(4)의 크기를 크게 하고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망 프레임(4)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망눈(6)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망 프레임(4)은 망눈(6)들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세척력이 강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망 프레임(4)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형성하고, 망눈(6)은 필라멘트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망 프레임(4)은 망눈(6)에 비하여 1.5∼4배의 굵은 실로 형성하여서 수세미로 편직 후 망 프레임(4)이 망눈(6)들보다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세미(2)는 편직 후 텐터에서 열처리 가공을 통하여 셋팅할 수 있다.
이 때, 텐터의 공정온도는 80∼150℃로 조정하여서 수세미(2)의 수축률이 20∼50%가 되도록 열처리 가공할 수 있다.
텐터의 온도는 상기의 범위내에서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조직이 부드럽고 힘이 없어 수세미(2)로서의 세척력이 떨어지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수세미(2)가 50% 이상 수축되어 생산수율이 취약하다.
폴리유산(PLA) 섬유사(8)로 형성된 수세미(2)는 텐터 가공을 거치면서 조직이 까칠하고 단단해지며 세척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망눈(6)들보다 돌출된 망 프레임(4)은 딱딱해지면서 까칠해지고 식기 등에 부착된 고형 이물질의 제거도 용이하게 해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편직된 수세미(2)는 조직이 견고하면서도 세제 사용시 거품 발생이 용이하여 세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물 빠짐이 용이하여 건조가 잘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2 : 수세미 4 : 망 프레임
6 : 망눈

Claims (6)

  1. 원사 제조공정에서 열처리 가공을 통해 미리 수축된 폴리유산(PLA) 섬유사로 망 프레임 내측에 망눈들이 형성되도록 편직하며, 상기 망 프레임을 상기 망눈에 비하여 1.5∼4배의 굵은 실로 편직하여 상기 망 프레임이 상기 망눈들에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텐터에서 80∼150℃로 열처리 가공하여 수축률이 20∼50%가 되도록 형성하는 생분해성 수세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 프레임은 모노 필라멘트사로 형성하고, 상기 망눈은 필라멘트사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수세미.
  6. 삭제
KR1020130037789A 2013-04-06 2013-04-06 생분해성 수세미 KR101345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789A KR101345516B1 (ko) 2013-04-06 2013-04-06 생분해성 수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789A KR101345516B1 (ko) 2013-04-06 2013-04-06 생분해성 수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516B1 true KR101345516B1 (ko) 2013-12-27

Family

ID=4998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789A KR101345516B1 (ko) 2013-04-06 2013-04-06 생분해성 수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5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830A (ko) * 2013-07-12 2015-01-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설거지용 수세미
WO2016200923A1 (en) * 2015-06-09 2016-12-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ouring pad
KR20190084736A (ko) 2018-01-09 2019-07-17 황형철 다기능 양면 수세미
WO2021006361A1 (ko) * 2019-07-05 2021-01-14 (주)광진상사 다기능 양면 수세미
KR20230105014A (ko) 2022-01-03 2023-07-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01Y1 (ko) * 2000-01-21 2000-06-15 문창길 수세미
JP2000220994A (ja) * 1999-01-29 2000-08-08 Hokushin Ind Inc 生分解性ボ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994A (ja) * 1999-01-29 2000-08-08 Hokushin Ind Inc 生分解性ボール
KR200185901Y1 (ko) * 2000-01-21 2000-06-15 문창길 수세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2011.03)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830A (ko) * 2013-07-12 2015-01-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설거지용 수세미
US20160106291A1 (en) * 2013-07-12 2016-04-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ouring pad for washing dishes
KR102104135B1 (ko) 2013-07-12 2020-04-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설거지용 수세미
WO2016200923A1 (en) * 2015-06-09 2016-12-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ouring pad
US20180125331A1 (en) * 2015-06-09 2018-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ouring pad
KR20190084736A (ko) 2018-01-09 2019-07-17 황형철 다기능 양면 수세미
WO2021006361A1 (ko) * 2019-07-05 2021-01-14 (주)광진상사 다기능 양면 수세미
KR20230105014A (ko) 2022-01-03 2023-07-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516B1 (ko) 생분해성 수세미
CN103290617B (zh) 一种生活卫生用纯棉无纺布的生产方法
US20160066763A1 (en) New towel capable of replacing cleaning ball and bath glo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8538388A5 (ko)
JP5801984B2 (ja) タオル製品
CN204939783U (zh) 一种新型热轧无纺布
JP3152796U (ja) 室内干しに好適なタオル
JP6063478B2 (ja) カットループ組織を有する生地、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製品
TWM379415U (en) Massage glove for shower
KR101372626B1 (ko) 피부맛사지기능을 가지는 때밀이용구의 원단
KR100868745B1 (ko) 항균성 클리닝성이 우수한 오염물 제거용 환편지 제조방법
KR102284215B1 (ko) 세제가 도포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9825943B (zh) 单提花复合毛巾布的加工方法及应用其的复合毛巾布
CN110804786A (zh) 一种使用清水即可卸妆的卸妆清洁巾及其生产工艺
CN111011950A (zh) 环保再生速干浴衣
KR20150143238A (ko) 촉감과 흡습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957842B1 (ko) 의장사를 이용한 닦이용 포의 제조방법
CN206186486U (zh) 超柔软非织造布
KR101609328B1 (ko)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N204820479U (zh) 一种用于电子行业的无纺布
CN207996188U (zh) 一种长毛清洁布
KR101609326B1 (ko) 원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 및 제품
KR100863934B1 (ko) 목욕용 직물
Chung et al. Effect of wet cleaning on shrinkage and detergency of wool and rayon fabrics
CN103451915A (zh) 一种羊毛纤维织物的抗起球整理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