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014A -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014A
KR20230105014A KR1020220000061A KR20220000061A KR20230105014A KR 20230105014 A KR20230105014 A KR 20230105014A KR 1020220000061 A KR1020220000061 A KR 1020220000061A KR 20220000061 A KR20220000061 A KR 20220000061A KR 20230105014 A KR20230105014 A KR 2023010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kudzu
manufacturing
biodegradable disposable
arrow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358B1 (ko
Inventor
하현수
장석현
문태훈
이재우
김수진
노형원
강경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35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뭇가사리 및 칡을 사용하여, 폐기시에 토양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이 뛰어나며,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세척력 및 사용감이 뛰어나 세균 번식의 문제가 없는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BIODEGRADABLE DISPOSABLE SCRUBB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CRUBBER}
본 발명은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우뭇가사리 및 칡을 사용하여, 폐기시에 토양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이 뛰어나며,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세척력 및 사용감이 뛰어나 세균 번식의 문제가 없는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식기와 각종 주방기구 등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제와 함께 수세미가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의 수세미는 세제에 대하여 충분한 거품이 발생되게 하면서도 식기 등의 표면에 묻거나 점착된 상태의 음식물 찌꺼기 및 기름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세미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수세미는 기름 흡착력이 뛰어나 세정력이 좋고 값이 저렴하며 오래 사용해도 그 형태가 무너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세미가 소모품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사용 후 폐기 처리되는 과정이 고려되어야 하나, 상기와 같은 철 수세미 또는 상용화된 일반 플라스틱 소재의 수세미는 소각시 유해 물질이 발생하여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 만든 수세미는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 80~100년이 소요되며, 수세미에서 배출된 미세 플라스틱이 식기에 잔존하여 인체로 유입될 수 있고 바다로 흘러들어가 환경오염을 야기시킨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 또는 스펀지 형태로 이루어진 수세미의 경우, 피세척물의 오염물들이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피세척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 유발 및 재사용시 발생하는 식기로의 오염물 전이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특히, 기름 흡착력이 뛰어난 만큼 수세미에 기름때가 남기 쉬워 세균 번식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취약점을 갖고 있는 수세미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건조 또는 가열에 의한 멸균이 바람직할 것인데, 건조의 경우 조밀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잦은 사용이 이루어져야 하는 수세미의 특성상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고, 고온에서 가열하는 경우에는 수세미의 변형이 발생하게 될 것이므로 종래의 다양한 수세미에 대한 항균 및 멸균 상태로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 사실이다.
수세미는 통상적으로 스펀지나 부직포로 제공되어, 전용세제를 이용하여 식기나 각종 주방기구에 물을 묻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 와서 위생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압축상태의 규격화된 부직포의 시트지 형태로 제공되는 일회용 수세미가 대중화되고 있으나,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회용 수세미는 1겹의 부직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며, 그 부직포로는 대표적인 것이 멜트블로운 부직포 및 스펀본드 부직포이다. 이러한 부직포에 닦임성을 높이기 위해 엠보형성 가공을 통하거나 방사 시, 섬유의 굵기 조절이나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형태가 한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두께가 1~5mm 내외이며 세제와 함께 사용 시, 거품이 발생하는 효율이 낮고 그립감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다.
또한 환경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천연 수세미, PLA 수세미, 삼베 수세미와 같은 친환경 수세미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으나, 대부분 뻣뻣하고 거칠어 사용이 어려운 탓에 합성 섬유 수세미를 대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345516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우뭇가사리 및 칡을 사용하여, 폐기시에 토양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이 뛰어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분해성이 우수하면서도 세척력 및 사용감이 뛰어나고 세균 번식의 문제가 없는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은 1) 칡을 물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2) 상기 1) 침지단계가 완료된 칡의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박피단계; 3) 상기 2) 박피단계를 통해 표피가 제거된 칡의 내부 섬유 조직을 메쉬 형태의 분리망을 통해 복수의 가닥으로 세분하는 세분단계; 4) 상기 3) 세분단계를 통해 세분된 복수의 가닥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5) 상기 4)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칡 가닥을 꼬아 수세미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칡은 칡 뿌리, 칡 줄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1) 침지단계는 칡을 60 내지 90℃의 물에 10 내지 20일 동안 침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3) 세분단계에서 메쉬 형태의 분리망은 2 내지 6mm의 가닥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기 4) 건조단계는 송풍기 및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살균 건조하는 것이다.
상기 4)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칡 가닥은 우뭇가사리 분말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는 상기 생분해성 일회성 수세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은 1) 칡을 물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2) 상기 1) 침지단계가 완료된 칡의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박피단계; 3) 상기 2) 박피단계를 통해 표피가 제거된 칡의 내부 섬유 조직을 메쉬 형태의 분리망을 통해 복수의 가닥으로 세분하는 세분단계; 4) 상기 3) 세분단계를 통해 세분된 복수의 가닥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5) 상기 4)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칡 가닥을 꼬아 수세미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를 포함한다.
칡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식물로서 나무에 감아 자생하며 생명력이 매우 강한 특징을 가지고, 이 때문에 칡덩굴이 우거진 곳은 산림이 훼손되어 금방 황폐화된다. 따라서 식용 등 쓰임새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 매년 큰 예산을 들여 제거작업을 진행하고 있을 만큼, 칡은 산림 파괴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칡은 그 줄기와 뿌리가 매우 질긴 특성을 가지며, 칡에서 수득한 섬유 또한 물성이 단단하고 마, 린넨 등에 비해 우수한 흡수성, 통기성 및 항균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는 주 재료로서 산림 황폐화의 주범인 칡의 폐기자원을 활용하여, 세척력이 우수하면서도 환경오염 감소 효과, 산림 보호 효과 및 자원순환성 향상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상기 1) 침지단계는 칡을 물에 침지시키는 것으로, 박피가 용이하도록 진행하는 것이며, 상기 칡은 칡 줄기 또는 칡 뿌리에서 추출된 칡 섬유로 제조될 수도 있고, 칡 뿌리 및 칡 줄기에서 추출된 칡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칡은 칡 뿌리, 칡 줄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1) 침지단계는 칡을 60 내지 90℃의 물에 10 내지 20일 동안 침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침지단계는 9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할 경우에는 칡 줄기내의 섬유 조직이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30℃ 미만의 온도로 가열할 경우에는 칡의 표피와 섬유 조직간의 박피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2) 박피단계는 상기 1) 침지단계가 완료된 칡의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칡의 내부 섬유 조직을 수득하기 위함이다.
상기 3) 세분단계는 상기 2) 박피단계를 통해 표피가 제거된 칡의 내부 섬유 조직을 메쉬 형태의 분리망을 통해 복수의 가득으로 세분하는 것으로, 2 내지 6mm의 가닥으로 세분된다.
상기 3) 세분단계에서 메쉬 형태의 분리망은 2 내지 6mm의 가닥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기 가닥이 2mm 미만일 경우에는 얇아서 인장력이 충분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6mm 초과시에는 두께가 너무 두껍고 섬유조직(15)의 풀림 조건이 원활하지 못할 우려가 존재한다.
상기 4) 건조단계는 송풍기 및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살균 건조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단계는 실온에서 장시간 건조할 수 있으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별도의 건조실 내에서 송풍기를 이용하여 송풍 방식으로 건조하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칡 섬유는 칡 뿌리부분을 파쇄기로 파쇄하고 물에 침전시켜 전분을 제거한 후, 고해기로 칡 섬유를 해리하는 고해 작업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칡 줄기부분을 전동 압연기계로 눌러 진동과 압력을 가하면 줄기의 가로 방향으로 둥근 모양이 없어지고 종이처럼 펴지다가 실타래처럼 갈라져 칡 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칡 줄기를 물 속에 15일 정도 부숙시키고 부숙된 칡 줄기의 표피를 제거하여 건조한 후 질긴 섬유질만을 선별하여 칡 섬유를 수득할 수도 있다.
상기 수득된 칡 섬유는 필요에 따라 삶거나 찌는 추가적인 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득된 칡 섬유를 1시간 이상 삶아 무르고 부드럽게 만들고, 이를 다시 건조하여 섬유 조직이 더 질기면서도 표면이 부드러운 물성을 갖는 칡 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칡 섬유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칡 수세미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칡 섬유의 여러 부분을 서로 엮어서 수세미를 제조할 수도 있고, 새끼줄 형태로 꼬아 뜨개질하여 수세미로 제조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4)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칡 가닥은 우뭇가사리 분말과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는 조간대 중부 및 하부의 바위에 착생하는 몸길이 10 내지 30cm, 주축 너비 약 1mm의 홍조식물 우뭇가사리과의 바닷말로서,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 분포하는 생물체이다. 이와 같은 우뭇가사리는 한천질을 포함하므로 한천 제조의 주원료로 이용되는 해초로 잘 알려져 있으며, 한천 제조 이외에도 묵 등의 식품 제조, 약품의 원료 등에 널리 사용되며, 화장품 제조시 첨가물이 침전되지 않도록 하는 안정화제로 사용되기도 하는 해초이다. 본 발명에서는 우뭇가사리 분말을 사용하는데, 우뭇가사리 분말은 고온에서 물에 용해되고 건조되면서 겔(gel)화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은 우뭇가사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칡 가닥 70 내지 85 중량부 및 정제수 70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은 우뭇가사리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칡 가닥 70 내지 85 중량부, 정제수 70 내지 85 중량부, 각시개서실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 및 도랭이 사초 분말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시개서실(Chondria dasyphylla)은 홍조식물 비단풀목 빨간검둥이과의 해초로, 간조선(干潮線) 부근의 바위 위에 자란다. 높이 10∼20cm, 아랫부분 지름 1∼1.5mm이다. 원기둥 모양이며 차츰 위쪽으로 가늘어진다. 3∼6회 겹깃꼴로 갈라져서 피라미드 모양이 된다. 몸의 아랫부분에 나는 가지는 약간 뭉쳐서 나며 기는가지와 같아서 새싹이 나오기도 한다. 가지는 매우 넓게 펼쳐지고 수평으로 나기도 한다. 4분포자낭(四分胞子囊)은 작은가지 꼭대기 아래 또는 가운데보다 조금 위쪽에 모여서 생긴다. 낭과(囊果)는 작은가지의 옆면에 1개 또는 2∼3개가 모여서 생기는데, 달걀 모양이고 자루가 없다. 빛깔은 자줏빛을 띤 갈색이거나 노란색이다.
상기 도랭이 사초(Carex nubigena var. albata)는 외떡잎식물 벼목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줄기는 가늘고 길며 세모지고 뭉쳐나며 곧게선다. 높이는 30cm 정도이다. 잎은 뭉쳐나고 줄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은줄기보다 짧거나 길며 나비 3mm 정도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꽃이삭은 줄기 끝에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 25∼40mm 정도이다. 밑동에 짧은 줄 모양의 포가 있고 작은이삭은 양성으로 길이가 5mm 정도이다. 암꽃영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다갈색이다. 과낭은 달걀 모양바소꼴로 길이 4∼5mm이고 영보다 길며, 암술대는 2개이다. 전라북도, 경기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중량 범위로 혼합될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물성이 사용에 가장 적합하며 우수한 세척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5) 단계는 상기 4)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칡 가닥을 꼬아 수세미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로, 칡 가닥을 80℃ 이상의 고온,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우뭇가사리 분말을 물에 완전 용해시킨 이후 45℃ 내지 60℃의 온도범위에서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용해된 우뭇가사리 분말이 물과 반고체 형태의 점질성 다당류의 겔(gel)을 형성하여 칡 가닥에 코팅된다.
위와 같이 우뭇가사리 겔이 칡 가닥에 코팅됨으로써 거친 표면을 보완하여 세척력 및 사용감을 높이고 이와 동시에 칡 가닥의 형태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는 상기 생분해성 일회성 수세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수세미는 생분해성 재료를 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수세미로서의 사용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며 우수한 세척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수세미는 일회용으로서, 사용된 수세미의 보관과 재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세균 번식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는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고, 대량 생산을 통해 상업적인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는 및 이의 제조방법은 우뭇가사리 및 칡을 사용하여, 폐기시에 토양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이 뛰어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분말의 제조]
1. 우뭇가사리 분말의 제조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를 자연 건조시킨 다음, 이를 분말화하여 각각의 건조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각 건조분말에 80% 에탄올(ethanol)을 가하여,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와트만 NO.2(Whatman Ltd., UK)로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하고, 상기 액상성분을 진공증발기(vacuum evaporator)에 적용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형태의 우뭇가사리 분말(GP)을 수득하였다.
2. 기타 분말의 제조
상기 우뭇가사리 분말(GP)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시개서실 분말(CP) 및 도랭이 사초 분말(AP)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
1. 칡 줄기를 이용한 칡 가닥의 제조
칡 줄기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칡 단을 만들고, 이를 물 속에서 15일간 부숙시켰다. 부숙된 칡 단을 물 속에서 꺼내어 부숙된 칡줄기의 표피를 제거하였고, 이 중 질긴 섬유 조직 만을 선별하여 메쉬 형태의 분리망으로 칡 가닥을 수득하여 건조시킨 후 칡 줄기 가닥(KSF)을 제조하였다.
2. 칡 뿌리를 이용한 칡 가닥의 제조
칡 뿌리부분을 진동압연기계로 압축하여서 칡 뿌리의 섬유조직을 길고 가늘게 갈라지게 하고, 이를 물 속에서 15일간 부숙시켰다, 부숙된 칡 뿌리의 표피를 제거하였고, 이 중 질긴 섬유 조직 만을 선별하여 메쉬 형태의 분리망으로 칡 가닥을 수득하여 건조시킨 후 칡 뿌리 가닥(KRF)을 제조하였다.
3.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
먼저, 상기 제조된 칡 줄기 가닥(KSF) 및 칡 뿌리 가닥(KRF)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우뭇가사리 분말(GP), 각시개서실 분말(CP) 및 도랭이 사초 분말(AP)을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범위 내로 혼합하였다.
BDS1 BDS2 BDS3 BDS4 BDS5 BDS6 BDS7 BDS8 BDS9 BDS10
GP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정제수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KSF 75 75 75 75 75 - - - - -
KRF - - - - - 75 75 75 75 75
CP - 5 10 20 25 - 5 10 20 25
AP - 5 10 20 25 - 5 10 20 25
(단위: 중량부)
얇은 판에 상기 BDS1 내지 BDS10을 잘 섞일 때까지 저어주었다. 이를 질감판 위에 골고루 펼처서 80℃ 내지 90℃의 온도로 가열한 후, 45℃ 내지 60℃의 온도범위를 유지하며 건조시켰다. 제조된 수세미의 크기는 약 12 x 8.5 cm가 되도록 하였다.
4. 비교예의 제조
시중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주방용 은사 수세미를 상기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와 같은 크기(약 12 x 8.5 cm)로 제조하여,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생분해능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BDS1 내지 BDS10에 대한 생분해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생분해능은 3개월 간 토양 매립을 통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BDS1 내지 BDS10)의 무게 감소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매립 후 정해진 기간을 기준으로 시료를 채취, 물과 알코올로 시료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매립 후 무게를 매립 전 무게로 나누어 생분해율을 측정하였다.
이 때, 매립은 인근 야산에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이 공존할 수 있는 30cm 깊이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BDS1 BDS2 BDS3 BDS4 BDS5 BDS6 BDS7 BDS8 BDS9 BDS10
생분해능
(무게 감소율)
55.3 78.5 82.5 83.2 79.2 91.6 93.2 98.9. 97 91.7
(단위: %)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는 우뭇가사리 분말과 칡으로 이루어져 50% 이상의 분해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칡 줄기 가닥(KSF)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BDS1 내지 BDS5에 비해, 칡 뿌리 가닥(KRF)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BDS6 내지 BDS10의 경우, 모두 90% 이상의 분해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동물성 기름에 대한 세정력 테스트]
상기 BDS6 내지 BDS10 및 비교예의 수세미에 대하여 각각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였고, 동물성 기름에 대한 세정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먼저 도자기 접시에 동물성 기름으로 지름 5cm 정도의 오염 부위를 만들고 10분간 방치한 다음 주방세제를 상기 오염 부위에 3방울씩 떨어뜨렸다. 그리고 각 BDS6 내지 BDS10 및 비교예의 수세미로 오염 부위를 완벽히 제거하기까지 문지른 횟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BDS6 BDS7 BDS8 BDS9 BDS10 비교예
세정력 테스트 5 6 8 9 7 6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는 기존 플라스틱 합성 섬유로 제조한 수세미와 유사한 정도의 세정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사용감 테스트]
약 20명의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상기 BDS6 내지 BDS10 및 비교예의 수세미들을 실제 설거지에 사용했을 때 용이성, 수세미에 잔존하는 냄새, 세척력 각각의 항목에 대해 매우 좋음: 5점 ~ 매우 나쁨: 0점으로 하여 전반적인 사용감을 테스트하였고, 이를 평균값으로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BDS6 BDS7 BDS8 BDS9 BDS10 비교예
사용의 용이성 3.6 4 4.4 4.8 4.3 4.7
냄새 3.8 4.55 4.6 4.7 4.5 3
세척력 4.1 4.4 4.8 4.9 4.4 4.8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의 수세미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세척력이 우수하나 수세미에 잔존하는 냄새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뭇가사리 분말에 칡 뿌리 가닥(KRF)만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BDS6의 수세미는 형태가 뻣뻣하여 설거지 시 접시를 꼼꼼하게 닦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우뭇가사리 분말에 칡 뿌리 가닥(KRF)을 포함하고, 각시개서실 분말(CP) 및 도랭이 사초 분말(AP)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BDS8 내지 BDS9에 의하는 수세미의 경우, 사용의 용이성, 수세미에 잔존하는 냄새, 세척력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시를 닦기 쉬운 적당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일회용이어서 관리가 편하고, 이에 부수적으로 수세미에서 은은한 칡 냄새가 나 사용하기 좋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칡을 물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2) 상기 1) 침지단계가 완료된 칡의 표피를 제거하기 위한 박피단계;
3) 상기 2) 박피단계를 통해 표피가 제거된 칡의 내부 섬유 조직을 메쉬 형태의 분리망을 통해 복수의 가닥으로 세분하는 세분단계;
4) 상기 3) 세분단계를 통해 세분된 복수의 가닥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5) 상기 4)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칡 가닥을 꼬아 수세미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칡은 칡 뿌리, 칡 줄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침지단계는 칡을 60 내지 90℃의 물에 10 내지 20일 동안 침지시키는 것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세분단계에서 메쉬 형태의 분리망은 2 내지 6mm의 가닥을 통과시키는 것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 건조단계는 송풍기 및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살균 건조하는 것인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칡 가닥은 우뭇가사리 분말과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KR1020220000061A 2022-01-03 2022-01-03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061A KR102610358B1 (ko) 2022-01-03 2022-01-03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061A KR102610358B1 (ko) 2022-01-03 2022-01-03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014A true KR20230105014A (ko) 2023-07-11
KR102610358B1 KR102610358B1 (ko) 2023-12-05

Family

ID=8715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061A KR102610358B1 (ko) 2022-01-03 2022-01-03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3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47U (ja) * 1991-02-19 1993-04-06 工業技術院長 生分解性束子
KR101345516B1 (ko) 2013-04-06 2013-12-27 윤태용 생분해성 수세미
KR20150007830A (ko) * 2013-07-12 2015-01-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설거지용 수세미
KR20180006628A (ko) * 2015-06-09 2018-01-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수세미
KR102105679B1 (ko) * 2019-08-20 2020-04-28 김현기 해조류를 이용한 흡수제품용 흡수제의 제조방법.
KR102271350B1 (ko) * 2020-12-10 2021-07-01 박정범 칡 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새끼줄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47U (ja) * 1991-02-19 1993-04-06 工業技術院長 生分解性束子
KR101345516B1 (ko) 2013-04-06 2013-12-27 윤태용 생분해성 수세미
KR20150007830A (ko) * 2013-07-12 2015-01-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설거지용 수세미
KR20180006628A (ko) * 2015-06-09 2018-01-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수세미
KR102105679B1 (ko) * 2019-08-20 2020-04-28 김현기 해조류를 이용한 흡수제품용 흡수제의 제조방법.
KR102271350B1 (ko) * 2020-12-10 2021-07-01 박정범 칡 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새끼줄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358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bagyo et al. Banana pseudo-stem fiber: Prepar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Batra et al. Other long vegetable fibers: abaca, banana, sisal, henequen, flax, ramie, hemp, sunn, and coir
CN107042566B (zh) 一种杞柳的软化去皮方法
KR101442502B1 (ko) 감귤껍질을 이용한 종이의 제조방법
KR101274792B1 (ko) 해조류 유래 섬유를 포함하는 유분 제거용 기름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010804B (zh) 以丝瓜为原料生产洗涤用品的方法
CN107627416A (zh) 一种高效单竹纤维的提取方法
KR102610358B1 (ko)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657506B (zh) 一种笋箨丝洗洁球的加工方法
El Nemr From natural to synthetic fibers
KR102208744B1 (ko) 속빈 식물을 이용한 빨대
Al Mamun et al. Eco-friendly treatment of Green Banana Fibre in compared to Chemical Treatment
KR101971890B1 (ko) 홍조류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팩용 시트
Afrin et al. Bamboo fibres and their unique properties
Azam et al. Sustainable Raw Materials
CN103406958B (zh) 一种笋箨垫的加工方法
KR102503820B1 (ko) 기능성 타올 및 그 제조방법
CN102398294A (zh) 稻草、小麦秸秆生产一次性高档餐具的制备方法
KR102180084B1 (ko) 야자잎을 연질화하여 만든 식물가죽 및 연질화 방법
CN202761170U (zh) 一种清洁用玉米抽纸盒
KR102208747B1 (ko) 속빈 식물을 이용한 빨대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속빈 식물 빨대의 제조 방법
KR102208749B1 (ko) 다회 이용이 가능한 속빈 식물을 이용한 빨대
CN111423944B (zh) 一种安全环保的茶籽洗洁粉及其制备方法
CN108166154A (zh) 一种去污效果好的厨房用无纺布的制备方法
Munib Utilization of coconut coir sack waste as eco-friendly canvas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