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117A -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117A
KR20150017117A KR1020130092997A KR20130092997A KR20150017117A KR 20150017117 A KR20150017117 A KR 20150017117A KR 1020130092997 A KR1020130092997 A KR 1020130092997A KR 20130092997 A KR20130092997 A KR 20130092997A KR 20150017117 A KR20150017117 A KR 20150017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mask sheet
sheet
mask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찬휘
Original Assignee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9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117A/ko
Publication of KR2015001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에 유용한 식물성분으로부터 추출한 미용기능펄프와 닥펄프를 혼합하여 제조한 종이를 이용하여 마스크시트를 제조하되, 피부로의 수분전달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트 전체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주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마스크시트는 감귤류박을 비롯한 피부미용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천연식물성 물질로 이루어져,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미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에 대한 유해성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는 전체적으로 미세한 구멍이 있으므로 피부에 수분을 전달하는 능력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양호하고 강도가 우수하여 미용팩용 마시크시트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mask sheet}
본 발명은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미용에 유효한 식물성재료로부터 추출한 펄프와 닥펄프를 혼합하여 제조한 종이를 이용하여 마스크시트를 제조하되, 종이에 미세한 구멍을 형성시켜 피부에 대한 수분전달성을 높인 마스크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팩은 그 편리성으로 인하여 이미 미용팩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으며, 마스크시트가 침지되는 미용성분에 변화를 줌으로써 사용목적을 특화한 다양한 미용팩이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마스크시트가 침지되는 미용성분은 매우 다양하여, 그에 대한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마스크시트 자체는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그에 대한 기술개발도 부족하여, 대부분이 면이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부직포를 안면에 적합한 형태로 재단하여 사용하는 상황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마스크시트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져 그에 대한 기술개발도 이루어지는 추세이며, 그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9306호 수회사용이 가능한 안면미용 시트 마스크의 제조방법에서는 부직포, 또는 면직물에 알루미늄 실리카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바이오세라믹 분말과 아크릴계 공중합물, 또는 우레탄계 공중합물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재를 이용하여 코팅을 함으로써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반복사용이 가능한 시트 마스크를 제공하였고, 등록특허 제10-1788228호 화장료 함침용 피부 피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페이스 마스크에서는 친수성 섬유를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친수성 섬유층과, 친수성 섬유층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에 분할형 복합섬유를 50중량%이상 포함하는 극세섬유층이 적층되어 일체화된 마스크 시트를 제공하였으며, 등록특허 제10-0689927호 미용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솜과 사를 다층으로 합지하고 니들펀칭한 마스크시트를 제공하였다.
상기 기술들은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 한가지는 수분보유성을 높임으로써 부착성을 높이는 것에 관한 기술이고, 다른 한가지는 반복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친환경성을 높이는 것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현재 공개된 기술들은 두 가지 목적 중 어느 한쪽에만 관심이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친환경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제시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마스크시트의 경우, 폐기물을 줄이는 장점은 있으나 편리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소재자체가 친환경적이라 보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천연식물성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자극은 물론이고 환경에 대한 유해성을 줄이는 동시에, 피부에 수분을 전달하는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시트에 전체적으로 미세한 구멍을 만들어 줌으로써, 수분전달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에 유용한 식품성분으로부터 추출한 미용기능펄프와 닥펄프를 혼합하여 제조한 종이를 이용하여 마스크시트를 제조하되, 피부로의 수분전달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트 전체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주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미용기능펄프의 추출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식물성분으로는 감귤류박을 들 수 있으며, 감귤류박, 즉 감귤, 오렌지, 레몬, 한라봉, 청견 등 감귤류의 껍질은 피부건조 및 염증을 방지하고 미백에 도움을 주는 각종 비타민을 비롯한 항산화물질들을 포함하여, 미용용 조성물의 재료로서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감귤류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되어 가공공정 중에 대량의 껍질이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한 감귤류박의 대부분은 폐기물로 처리되어 환경을 훼손시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감귤류박에는 섬유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펄프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마스크시트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폐기물을 줄여 환경보전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마스크시트 재료의 원가를 낮추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감귤류박 외에도 피부미용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진 한약재, 채소, 과일, 꽃, 해조류와 같은 식물성분으로부터 펄프를 추출하여 마스크시트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율피, 브로콜리, 매실, 미역, 파래, 감태, 쑥, 오가피, 유채꽃, 녹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 중 율피는 모공을 수축시켜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브로콜리는 피부의 저항력을 강화시켜 세균감염을 막아주며, 매실은 염증예방 및 미백작용을 하고 미역, 파래, 감태는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있게 하며, 쑥은 피부 진정작용 및 보습작용을 하고, 오가피는 노화를 방지하며, 유채꽃은 보습작용을 하고, 녹차는 항염, 항산화 및 미백작용을 하는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미용에 유용하다고 알려진 식물재료를 마스크시트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식물재료가 지닌 특유의 미용효과까지 부수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귤류박을 비롯한 피부미용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진 상기 식물성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미용기능펄프를 닥펄프와 혼합하여 마스크시트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은 원료누비단계, 증해단계, 제진 및 정선단계, 세척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미용기능펄프 제조단계와 혼합 및 해리단계, 고해단계, 종이뜨기단계, 압착 및 건조단계, 천공단계, 재단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시트 제조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미용기능펄프 제조단계 중 원료준비단계에서는 사용할 식물성재료를 선택하여 혼합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한다.
증해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식물성재료를 수산호나트륨 수용애과 함께 다이제스터에 넣고 증해하여 원료를 섬유화한다. 이때, 2~5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20~50분 동안 증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증해시간이나 수산화나트륨 농도 조건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나 이를 크게 벗어날 경우 증해가 불완전하거나, 섬유의 수득률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진 및 정선단계에서는 원심제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섬유질을 고르면서 다시 한번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 및 농축단계에서는 상기 섬유를 물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고, 탈수하여 농축된 미용기능펄프를 수득한다.
이어, 마스크시트 제조단계 중 혼합 및 해리단계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용기능펄프와 통상의 닥펄프를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해리한다. 이때, 미용기능펄프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미용기능이 떨어지고 반대로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마스크시트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미용기능펄프 40~80중량%와 닥펄프 20~6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펄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닥펄프를 대신하여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닥펄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목재펄프 5~20중량부를 혼합한 닥혼합펄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해단계에서는 부드러우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시트지의 제조를 위하여 펄프를 고해한다.
종이뜨기단계에서는 고해를 마친 펄프혼합물에 점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종이뜨기하여 시트지를 제조한다.
압착 및 건조단계에서는 제조된 시트지를 압착하여 탈수한 후 건조시킨다.
천공단계에서는 건조된 시트지에 전체적으로 구멍을 뚫어주며, 얇은 바늘이 다수 장착된 자동천공기를 이용할 경우 손쉽게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시트는 수분을 전달할 수 있는 소재인 한지로 이루어져 있으나, 수분전달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구멍을 뚫는 것이므로, 구멍의 크기가 너무 크면 수분전달을 돕지 못하고 오히려 구멍에 대응하는 넓이의 피부에 수분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되며, 따라며, 얇은 바늘을 이용하여 미세한 크기의 구멍을 시트지 전체에 촘촘하게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멍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간격이 너무 좁으면 마스크시트의 강도가 떨어지고, 구멍이 크기가 너무 작거나 간격이 너무 넓으면 수분전달력을 높이는 효과가 떨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시트 두께의 0.1~1배에 해당되는 지름의 구멍을 마스크시트 두께의 5~100배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형성시키며, 이때 간격은 가장 가까이 위치한 구멍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다.
재단단계에서는 천공을 마친 시트지를 마스크시트에 적합한 형태로 재단하여 마스크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공정에 따라 제조한 마스크시트는 부드러운 질감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수분을 함유할 경우 피부에 부착이 가능하며, 이때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 마스크팩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는 통상의 화장수, 또는 미용농축액(에센스)에 침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침지액과 함께 포장하여 미용팩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마스크시트는 감귤류박을 비롯한 피부미용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천연식물성 물질로 이루어져, 피부에 대한 자국이 적고 미용에 도움을 주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에 대한 유해성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는 전체적으로 미세한 구멍이 있으므로 피부에 수분을 전달하는 능력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양호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미용팩용 마스크시트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체적으로 미세한 구멍을 지니고 있다.
[실시예] 마스크시트 제조 1
식물성재료를 준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여 준비하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표 1]에 제시된 비율(단위:중량%)로 혼합하여 원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원료를 3중량%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과 함께 증해부에 넣어 40분 동안 증해한 후, 섬유를 제진 및 정선하고, 물로 세척 및 농축하여 미용기능펄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미용기능펄프와 통상의 닥펄프를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표 2]에 제시된 비율(단위:중량%)로 혼합한 혼합펄프에 물을 첨가하여 해리한 후, 고해하고 종이뜨기를 하여 두께 500㎛dml 시트지를 제조한 다음, 압착 및 건조하고 지름 500㎛의 바늘이 장착된 천공기를 이용하여 5㎜간격으로 천공한 후 재단하여 마스크시트를 제조하였다.
마스크시트 감귤류껍질 율피 브로콜리 매실 미역 파래 감태 오가피 유채꽃 녹차
1 30 30 10 30
2 10 30 30 30
3 20 20 20 20 20
4 30 20 30 20
5 30 10 10 10 10 10 10 10
6 30 20 20 10 20
7 20 20 30 30
8 20 20 10 10 10 10 20
9 40 30 30
10 20 10 20 50
11 50 20 20 10
12 50 20 20 10
13 50 30 20
14 50 50
15 50 20 30
16 50 50
17 70 30
18 70 10 10 10
19 70 30
20 100
미용기능펄프 닥펄프
마스크시트 1 40 60
마스크시트 2 40 60
마스크시트 3 40 60
마스크시트 4 40 60
마스크시트 5 40 60
마스크시트 6 40 60
마스크시트 7 60 40
마스크시트 8 60 40
마스크시트 9 60 40
마스크시트 10 60 40
마스크시트 11 60 40
마스크시트 12 60 40
마스크시트 13 60 40
마스크시트 14 60 40
마스크시트 15 60 40
마스크시트 16 80 20
마스크시트 17 80 20
마스크시트 18 80 20
마스크시트 19 80 20
마스크시트 20 80 20
[실시예 2] 마시크시트 제조 2
식물성재료를 준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여 준비하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표 3]에 제시된 비율(단위:중량%)로 혼합하여 원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원료를 3중량%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과 함께 증해부에 넣어 40분 동안 증해
한 후, 섬유를 제진 및 정선하고, 물로 세척 및 농축하여 미용기능펄프를 제조하였다.
닥펄프와 목재펄프를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표 4]에 제시된 비율(중량부)로 혼합하여 닥혼합펄프를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미용기능펄프와 통상의 닥펄프를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기 [표 5]에 제시된 비율(단위:중량%)로 혼합한 혼합펄프에 물을 첨가하여 해리한 후, 고해하고 종이뜨기를 하여 두께 약 500㎛의 시트지를 제조한 다음, 압착 및 건조하고 지름 500㎛의 바늘이 장착된 천공기를 이용하여 5㎜간격으로 천공한 후 재단하여 마스크시트를 제조하였다.
마스크시트 감귤류껍질 율피 브로콜리 매실 미역 파래 감태 오가피 유채꽃 녹차
21 20 20 20 20 20
22 10 10 10 10 10 30 20
23 10 20 10 10 10 10 20
24 20 10 10 20 30 10
25 20 10 20 20 30
26 40 30 10 20
27 40 10 20 30
28 50 50
29 50 50
30 100
닥펄프 목재펄프
마스크시트 21 100 5
마스크시트 22 100 5
마스크시트 23 100 5
마스크시트 24 100 10
마스크시트 25 100 10
마스크시트 26 100 10
마스크시트 27 100 15
마스크시트 28 100 15
마스크시트 29 100 20
마스크시트 30 100 20
미용기능펄프 닥혼합펄프
마스크시트 21 40 60
마스크시트 22 40 60
마스크시트 23 40 60
마스크시트 24 60 40
마스크시트 25 60 40
마스크시트 26 60 40
마스크시트 27 60 40
마스크시트 28 80 20
마스크시트 29 80 20
마스크시트 30 80 20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마스크시트는 통상적인 마스크시트의 사용법과 같이, 화장수나 미용농축액(에센스)를 적신 후 안면에 부착하거나, 마스크시트를 안면에 덮은 후 미용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미용성분을 포함하는 침지액과 함께 포장하여 마스크팩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마스크팩 제조
알로에겔 60g, 히아루론산 8g, 글리세린 4g, 솔비톨 4g, 로즈마리 에센셜오일 2g과 물 400㎖를 혼합하여 마스크팩용 침지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침지액을 6㎖씩 60개 준비하고,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한 마스크시트 1 내지 30을 각각 2장식 준비하여, 각각의 침지액에 마스크시트를 한 장씩 침지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본 발명의 마스크팩은 세안을 마친 안면에 부착한 후, 마스크시트가 건조되면 안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마스크팩을 이용하여 시험적으로 반복사용한 결과, 약 10분이 지난 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시험과정에서 마스크시트가 찢어지거나 거친 질감 등으로 인하여 피부자극을 토로하는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발명의 마스크시트는 미용용 시트로서 적합한 강도와 질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0 : 마스크시트 11 : 두께
20 : 구멍 21 : 간격

Claims (6)

  1. 사용할 식물성재료를 선택하여 혼합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는 원료준비단계,
    준비된 식물성재료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함께 다이제스터에 넣고 증해하여 원료를 섬유화하는 증해단계,
    증해로 수득한 섬유를 원심제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섬유질을 고르면서 다시 한번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진 및 정선단계,
    재진 및 정선을 마친 섬유를 물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고, 탈수하여 농축시킴으로써 미용기능펄프를 수득하는 세척 및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미용기능펄프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미용기능펄프와 통상의 닥펄프를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해리하는 혼합 및 해리단계,
    혼합 및 해리를 마친 펄프혼합물을 고해하는 고해단계,
    고해를 마친 펄프혼합물에 점제를 처가하여 혼합한 후 시트지를 제조하는 종이뜨기 종이뜨기단계,
    제조된 시트지를 압착하여 탈수한 후 건조시키는 압착 및 건조단계,
    건조된 시트지에 바늘이 장착된 자동천공기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구멍을 뚫어주는 천공단계,
    구멍이 형성된 시트지를 마스크시트에 적합한 형태로 재단하는 재단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시트의 제조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단계에서 구멍은 마스크시트 두께의 0.1~1배에 해당되는 지름의 크기로 마스크시트 두께의 5~100배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준비단계에서 식물성재료는 감귤류박, 율피, 브로콜리, 매실, 미역, 파래, 감태, 쑥, 오가피, 유채꽃, 녹차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및 해리단계에서는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미용기능펄프 40~80중량%와 닥펄프 20~60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해단계에서는 2~5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20~50분 동안 증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및 해리단계에서의 닥펄프를 대신하여,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닥펄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목재펄프 5~20중량부를 혼합한 닥혼합펄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30092997A 2013-08-06 2013-08-06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KR20150017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997A KR20150017117A (ko) 2013-08-06 2013-08-06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997A KR20150017117A (ko) 2013-08-06 2013-08-06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17A true KR20150017117A (ko) 2015-02-16

Family

ID=5304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997A KR20150017117A (ko) 2013-08-06 2013-08-06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1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206A (ko) 2015-03-26 2016-10-06 이수임 마스크팩 시트 원단 조성물, 마스크팩 시트 원단의 전사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시트 원단
CN109068834A (zh) * 2016-04-01 2018-12-2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薄片面膜及其包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206A (ko) 2015-03-26 2016-10-06 이수임 마스크팩 시트 원단 조성물, 마스크팩 시트 원단의 전사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시트 원단
CN109068834A (zh) * 2016-04-01 2018-12-2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薄片面膜及其包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393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2779B1 (ko) 해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팩용 시트
CN106514824B (zh) 一种竹材碾压破碎机
KR101230057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마스크팩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3365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0175A (ko) 천연잎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09256A (ko)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2943A1 (zh) 耐菌无纺布
CN103233357A (zh) 含天然竹粉的卫生材料整理剂、含天然竹粉的卫生材料及其用途
KR20150017117A (ko) 마스크시트의 제조방법
CN109629114A (zh) 一种凝胶面膜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865140B1 (ko) 감귤류박 펄프를 포함하는 마스크시트
KR101622706B1 (ko) 친환경 항균 신발중창의 성형체 제조방법
WO2018112941A1 (zh) 多元复合无纺布
CN105559670A (zh) 一种厨房用湿纸巾及其制作方法
KR20200035899A (ko)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514142A (zh) 一种睡莲抗菌纤维及其制备方法
CN206589080U (zh) 一种减少竹锟损失的竹材蒸煮锅
KR102160364B1 (ko) 마스크 팩 제조용 수분산성 원단과 그의 제조 방법
CN105560071B (zh) 海藻面膜及其生产制作方法
KR102066815B1 (ko) 코코넛 화이버를 이용한 비닐대용 친환경 식물생장 조절 섬유 제조 방법
KR101134127B1 (ko) 피브릴화한 측백나무과의 나뭇잎을 포함하여 심미성이 향상된 한지의 제조방법
KR20210148783A (ko) 포졸란을 이용한 한지섬유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65335A (zh) 植物面膜液及植物面膜纸的制备方法
CN206589079U (zh) 一种减少竹锟损失的竹材高压蒸煮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