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256A -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256A
KR20170109256A KR1020160033109A KR20160033109A KR20170109256A KR 20170109256 A KR20170109256 A KR 20170109256A KR 1020160033109 A KR1020160033109 A KR 1020160033109A KR 20160033109 A KR20160033109 A KR 20160033109A KR 20170109256 A KR20170109256 A KR 20170109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extract
fabric
mask sheet
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욱
Original Assignee
(주)아우딘퓨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우딘퓨쳐스 filed Critical (주)아우딘퓨쳐스
Priority to KR102016003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9256A/ko
Publication of KR20170109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의 제조시 분사되는 유체스트림에 피부미용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식물추출물, 항균성분, 피부밀착 증진성분 또는 효소성분을 포함시켜 부직포를 마스크팩으로 제조하여 사용시 유효성분이 지속적으로 추출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의하면 직물재료에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고수압직조 부직포로서, 유체스트림에 식물추출물이 포함되는 마스크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HYDROENTANGLED NON WOVEN FABRIC FOR MASK SHEET AND FABRICAT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의 제조시 분사되는 유체스트림에 피부미용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식물추출물, 항균성분, 피부밀착 증진성분 또는 효소성분을 포함시켜 부직포를 마스크팩으로 제조하여 사용시 유효성분이 지속적으로 추출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시트는 피부에 각종 영양분이나 수분,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 등을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주름개선효과, 미백효과, 마사지효과 등의 다양한 미용효과를 제공하는 미용용품의 일종이다. 마스크 시트는 적절한 크기로 절개된 시트(sheet)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시 피부 특히, 안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마스크 시트의 일예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04843호(선행기술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다.
아울러 마스크 시트는 각종 영양분이나 수분 등을 화장액의 형태로 함침(含浸)하고 하고 있으며, 피부와 접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화장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피부 내부로 침투시킨다. 따라서, 마스크 팩은 피부와 밀착이 용이하여야 하고, 화장액을 용이하게 함침할 수 있어야 하며, 그 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수 있도록 화장액을 일정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화장액을 마스크 시트에 함침시킬 경우 표면에 가까운 부분에는 화장액은 충분히 침투가 되지만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침투되는 화장액이 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부착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침출되는 화장액의 양이 줄어들게 피부에 작용하는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1.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04843호(2005, 12, 2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부착한 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유효성분이 포함된 화장액이 지속적으로 피부에 침출되어 작용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의하면 직물재료에 피부미용 증진을 위한 유효성분이 함유된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제조된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를 제공한다.
여기서 유효성분은 식물추출물, 항균성분, 피부밀착 증진성분 또는 효소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건조중량은 부직포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귤껍질추출물, 자몽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소나무 추출물, 티트리잎 오일, 티트리 추출물, 각시둥굴레 뿌리줄기/뿌리 추출물, 편백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성분은 살리실산(SALICYLIC ACID), 벤질알콜(BENZYL ALCOHOL), 메틸 프로판디올(METHYL PROPANEDIO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밀착 증진성분은 하이드롤라이즈드 익스텐신(Hydrolyzed Extensin), 하이드롤라이즈드 밀단백질(Hydrolyzed Wheat Protein), 아이드롤라이즈 전분, 하이드롤라이즈 콜라겐 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성분은 파파인(파파야 유액에서 분리한 효소), 브로멜라인(파인애플즙에서 발견된 효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직물재료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또는 나일론 극세사 섬유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리오셀과 텐셀 중 하나와 큐프라가 혼합된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리오셀이나 텐셀을 10 중량%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큐프라, 순면, 대나무, 옥수수, 펄프, 폴리에스터계 원사 또는 나일론 극세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의하면 직물재료를 개면(opening)하는 단계, 상기 개면된 직물재료를 소면(carding)하는 단계, 상기 소면된 직물재료에 식물추출물이 포함된 유체스트림을 분사하는 단계, 상기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생산된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부직포를 절단(slitt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부직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직물재료에 피부미용을 위한 유효성분인 식물추출물, 항균성분, 피부밀착 증진성분 또는 효소성분이 함유된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므로 부직포의 내부에 피부미용을 위한 유효성분이 충분히 함유되어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부착한 후 시간이 경과되어도 유효성분이 포함된 화장액이 지속적으로 피부에 침출되어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유효성분으로 식물추출물, 항균성분, 피부밀착 증진성분 또는 효소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부직포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80중량%를 함유하므로 피부미용에 유용한 다양한 효과들이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직물재료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사용하므로 조직이 치밀하고 유연성이 향상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재료로 리오셀에 큐프라, 순면, 대나무, 옥수수, 펄프 또는 폴리에스터계 원사를 하나 이상 포함 혼합된 섬유를 사용하므로 조직이 더욱 치밀하고 유연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는 직물재료에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제조한다.
먼저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원료 섬유로는, 처음에는 면, 비스코스레이온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50년대 중반부터는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부직포의 가공법에는 침지식(浸漬式)과 건식(乾式)이 있다. 침지식은 초지식(抄紙式)이라고도 하며, 섬유를 합성수지 접착제 통에 넣어 적셨다가 건조··열처리한 것으로, 종이와 비슷하다. 건식은 섬유를 얇은 솜 모양으로 만든 것에 합성수지를 내뿜고 열을 가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부직포의 생산기술은 1950년경부터 미국에서 급속도로 발전하였는데,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결이 없어 자른 가장자리가 풀리는 일도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의 공업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절단면이 풀어지는 현상이 없으며,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물이나 용매에 침지된 상태에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섬유조직이 해리되지 않아 화장품이나 의약품을 담지해 사용하는 각종 패치 제형에 우수한 전달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된 부직포는 합성섬유와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한 섬유조직으로서 섬유 자체의 흡수성이나 수분 유지능력이 뛰어나지 못하고, 피부에 축적되는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흡수능력이 부족한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팩시트의 재료로서 고수압직조 방식으로 제조된 고수압직조 부직포를 발명하였다.
고수압직조 방식은 고속 유체스트림의 연속적인 뱅크에 의해 생성된 불균일 압력장에 직물재료를 노출시키는 것이다. 이 직물재료가 인접하는 섬유들과 접촉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직물재료에 대한 유체 스트림 영향은 인접 섬유들을 변위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섬유들의 결합(entanglement)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상대적인 섬유 변위시에 일부 섬유는 상호 작용하는 섬유 간의 마찰력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력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다른 섬유 주변에 감기고/감기거나 다른 섬유와 서로 맞물려 부직포를 형성한다. 그 결과 제품은 결합된 섬유로 이루어진 고도로 압축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고수압직조 부직포는 신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의 직물재료는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나일론 극세사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라직하다.
특히 셀룰로오스 섬유 중 특성이 우수한 리오셀(Lyocell) 또는 텐셀(Tencell)에 큐프라(Cupra)순면, 대나무, 옥수수, 펄프 또는 폴리에스터계 원사를이 혼합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리오셀을 사용할 경우 섬유들의 혼합비율은 리오셀을 10 중량%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큐프라, 순면, 대나무, 옥수수, 펄프, 폴리에스터계 원사 또는 나일론 극세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오셀은 Spandex 가 개발된 이래 근 30여년만에 새로이 탄생된 신소재인 Lyocell 은 1989년 섬유표준 용어를 제정하는 국제적인 기구인 비스파(BISFA) 로 부터 새로운 속명인 Lyocell 이라는 이름을 부여받았고 또한 미국의 FTC로부터 새로이 개발된 섬유로 공인받은 섬유의 명칭이다.
원래 리오셀(Lyocell)이란 그리스어로 Lyo(용제) + Cell(셀룰로오즈)의 합성어이다. 특수하게 재배된 천연 팔프를 주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용제방사 섬유소계 섬유라고 한다. 일본은 이와 별도로 "정제 셀룰로오즈 섬유"라 분류하고 있다. 리오셀계 섬유의 태동은 60년대 이후 급격히 팽창한 저가의 화학섬유 및 생산비의 상승과 화학섬유의 생산으로 발생하는 각종 환경 공해와 인체의 유해한 성분으로 인해 기인되었다. 유럽의 여러 회사들이 환경과 인체에 해가 없으며 물성 또한 기존의 여타 섬유보다 뛰어난 섬유의 연구에 몰입하게 되었다.
따라서 리오셀 섬유는 생산공정에서 일체의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생산공정시 유일한 사용되는 용매인 아민옥사이드는 거의 95%이상이 수거되어 재사용한다. 폐기시에도 1달동안 땅에 묻으면 생분해된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친화적인 섬유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텐셀(Tenscell)은 오스트리아 렌징사에서 생산하는 렌징이 생산하는 식물성 섬유로서 섬유 생산 과정이 폐쇄 공법이므로 친환경적입니다. 아울러 텐셀로 만든 직물은 면보다 흡수성이 뛰어나고 실크보다 부드러우며 린넨보다도 시원하다.
또한 상기 큐프라는 1890년 프랑스인 디스페이시스에 의해 발명되어 1895년 독일인 브론넬에 의해서 공장생산을 시작했는데, 1918년에 독일의 벰베르크사가 새로운 방사법을 채용해서 비스코스 레이온 보다도 가늘고 질긴 실을 만들었다. 상표를 벰베르크(Bemberg)라고 한다. 제조법은 면린터(면화에서 채취한 짧은 섬유)를 원료로 해서, 이것을 산화동(酸化銅) 암모니아액으로 녹여서 긴장방사법(緊張紡絲法)에 의해 실로 만든다. 이 제법의 특징에 따라 동암모니아 레이온(cuprammonium rayon)이라고 부른다. 섬유소의 재생 섬유에 속하고 비스코스 레이온과 비슷한 특징을 갖고 있지만, 그것보다도 가늘고 질긴 실을 만들 수 있고 우아한 광택과 부드러운 감촉도 견에 가깝다. 물에 적셔도 정도가 그다지 변하지 않으므로 얇은 직물, 블라우스, 드레스, 속옷류, 안감 등에 사용된다(패션전문자료사전, 1997. 8. 25., 한국사전연구사).
이러한 고수압직조시 분사되는 유체 스트림은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을 위한 유효성분이 함유된
정제수이다. 이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정제수를 직물재료에 분사하면 섬유들이 직물재료에서 변위를 일으켜 결합되는 동안 정제수에 함유된 식물추출물들이 섬유의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 잔존하고 있는 식물추출물은 부직포를 건조시킬 경우 그 함유비율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성이나 향 등을 고려하여 부직포가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식물추출물은 귤껍질추출물, 자몽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지는 않았지만 피부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다른 식물들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식물추출물은 항균효과 뿐만 아니라 호노키올 성분이 항암물질로 밝혀져 항암작용을 할 수 있다(전북대학교 치의학과 조진형 연구원, 바이오메트리얼즈).
아울러 상기 정제수에는 편백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수에 포함된 편백수는 살균제와 탈취제로서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의 식물추출물들과 편백수를 사용하여 마스크시트용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부재료로 폴리머, 펩티드, 용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제조방법은 직물재료를 개면하는 단계와, 상기 개면된 직물재료를 소면하는 단계와, 상기 소면된 직물재료에 식물추출물이 포함된 유체스트림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생산된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부직포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부직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면하는 단계는 셀롤로오스계인 큐프라와 리오셀이 혼합된 직물재료를 개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개면(opening)은 원면을 풀어헤쳐 큰 덩어리를 작은 덩어리로 만들면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소면하는 단계는 다음 단계에서 유체스트림을 용이하게 분사하도록 장섬유만을 보아서 평행한 상태로 간추려 두꺼운 끈모양인 슬리버를 만드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유체스트림을 분사하는 단계는 직물재료에 정제수를 분사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통하여 정제수를 직물재료에 분사하면 섬유들이 직물재료에서 변위를 일으켜 결합되는 동안 정제수에 함유된 식물추출물들이 섬유의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다음으로 건조시키는 단계는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생산된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로서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부직포를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절단하는 단계는 건조된 부직포를 절단(slitting)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를 절단할 때 폭방향을 따라 절단하므로 띠 형상이 되도록 절단한다.
다음으로 포장하는 단계는 절단된 부직포를 포장하는 단계로서 운반이 용이하도록 단위별로 포장하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외부와 밀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1)

  1. 직물재료에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고수압직조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분사되는 유체스트림은 피부미용 증진을 위한 유효성분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식물추출물, 항균성분, 피부밀착 증진성분 또는 효소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부직포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귤껍질추출물, 자몽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 추출물,소나무 추출물, 티트리잎 오일, 티트리 추출물, 각시둥굴레 뿌리줄기/뿌리 추출물, 편백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분은 살리실산(SALICYLIC ACID), 벤질알콜(BENZYL ALCOHOL), 메틸 프로판디올(METHYL PROPANEDIO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부밀착 증진성분은 하이드롤라이즈드 익스텐신(Hydrolyzed Extensin), 하이드롤라이즈드 밀단백질(Hydrolyzed Wheat Protein), 아이드롤라이즈 전분, 하이드롤라이즈 콜라겐 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효소성분은 파파인(파파야 유액에서 분리한 효소), 브로멜라인(파인애플즙에서 발견된 효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물재료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또는 나일론 극세사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리오셀과 텐셀 중 하나와 큐프라가 혼합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리오셀을 10 중량%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큐프라, 순면, 대나무, 옥수수, 펄프 또는 폴리에스터계 원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11. 직물재료를 개면(opening)하는 단계;
    상기 개면된 직물재료를 소면(carding)하는 단계;
    상기 소면된 직물재료에 식물추출물이 포함된 유체스트림을 분사하는 단계;
    상기 유체스트림을 분사하여 생산된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부직포를 절단(slitt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부직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제조방법.
KR1020160033109A 2016-03-21 2016-03-21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9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09A KR20170109256A (ko) 2016-03-21 2016-03-21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09A KR20170109256A (ko) 2016-03-21 2016-03-21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56A true KR20170109256A (ko) 2017-09-29

Family

ID=6003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109A KR20170109256A (ko) 2016-03-21 2016-03-21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2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6781A (zh) * 2017-01-22 2017-06-20 嵊州市派特普科技开发有限公司 从玉米胚芽粕中提取蛋白粉的方法
KR20180132550A (ko) * 2017-06-02 2018-12-12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679A (ko) * 2017-11-20 2019-05-29 한국콜마주식회사 마스크 팩
CN111691062A (zh) * 2020-07-12 2020-09-22 常熟市神马纺织品有限公司 面柔巾用抑菌水刺无纺布
KR20210082052A (ko) * 2019-12-24 2021-07-02 김선철 마스크팩 시트
KR20220052037A (ko) * 2020-10-20 2022-04-2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6781A (zh) * 2017-01-22 2017-06-20 嵊州市派特普科技开发有限公司 从玉米胚芽粕中提取蛋白粉的方法
KR20180132550A (ko) * 2017-06-02 2018-12-12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679A (ko) * 2017-11-20 2019-05-29 한국콜마주식회사 마스크 팩
KR20210082052A (ko) * 2019-12-24 2021-07-02 김선철 마스크팩 시트
CN111691062A (zh) * 2020-07-12 2020-09-22 常熟市神马纺织品有限公司 面柔巾用抑菌水刺无纺布
KR20220052037A (ko) * 2020-10-20 2022-04-2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9256A (ko)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05011391B (zh) 一种天然抗菌竹纤维袜子
CN104762756B (zh) 一种天然蚕丝面膜基布及其制备方法
CN104164754A (zh) 一种甲壳素无纺布及其应用
CN105814249B (zh) 保液片及面膜
KR102302656B1 (ko) 산화아연 함유 셀룰로즈 섬유를 함유하는 액체-함침된 부직포
CN108143680B (zh) 一种植物纤维素纳米纤丝抗菌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230057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마스크팩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49294A (zh) 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013365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56995B (zh) 一种高吸水性无纺布
CN103088553A (zh) 可降解生物纤维擦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839408A (zh) 一种竹纤维/棉麻混纺面料的制备方法
CN106676670A (zh) 一种透明质酸/丝素蛋白纳米纤维及其制备方法
CN103233357A (zh) 含天然竹粉的卫生材料整理剂、含天然竹粉的卫生材料及其用途
CN101343780A (zh) 一种芦荟粘胶纤维及其制造方法
CN108842297A (zh) 一种芹菜纤维面膜基布及其制备方法
JP2021532283A (ja) バイオセルロース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9353046U (zh) 一种茶纤维面膜布
CN103541148A (zh) 一种新型湿巾材料
CN111691062A (zh) 面柔巾用抑菌水刺无纺布
CN110295445A (zh) 一种户外用毛巾面料
KR20230057521A (ko) 유효성분이 지속적으로 추출되는 유아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제조법
CN104032400B (zh) 生物酶/木质纤维素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N209039682U (zh) 一种含有海藻纤维的混纺布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9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02

Effective date: 201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