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489B1 - 딥 커넥터 - Google Patents

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489B1
KR101345489B1 KR1020070036069A KR20070036069A KR101345489B1 KR 101345489 B1 KR101345489 B1 KR 101345489B1 KR 1020070036069 A KR1020070036069 A KR 1020070036069A KR 20070036069 A KR20070036069 A KR 20070036069A KR 101345489 B1 KR101345489 B1 KR 10134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ll
contact
contacts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804A (ko
Inventor
에이슈 나카야마
마사토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을 받아도 하우징과 컨택트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딥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딥 커넥터(100)는, 상대측 부재를 끼워 넣는 수입실(111)을 설치한 하우징(110)과, 수입실(111)로부터 오목한 수용 오목부(112)에 끼워 넣은 컨택트(120), (130)를 구비하고 있다.수용 오목부(112)는, 하우징(110)의 바닥벽(113)과 폭 방향 양측에 있는 제 1 벽(114) 및 제 2 벽(115)과 깊이 방향 양측에 있는 제 3 벽(116)으로 둘러싸여 있다. 바닥벽(113)에 수용 오목부(112)를 제 1 오목부(112a)와 제 2 오목부(112b)로 분할하는 지지벽(117)을 설치하고 있다. 컨택트(120), (130)는, 지지벽(117)에 걸치고 또한 폭 방향의 일단을 제 1 오목부(112a)에 끼워 넣는 굴곡부(121), (131)와, 굴곡부(121), (131)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2 오목부(112b)에 수용되는 중간부(122), (132)와, 중간부(122), (132)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는 스프링편(123), (133)과, 굴곡부(121), (131)의 끼워 넣음부(121a), (131a) 또는 중간부(122), (132)에 설치되어 바닥벽(113)을 관통하여 연장하여는 리드(124), (13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딥 커넥터{DIP CONNECTOR}
도 1은, 도 4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이다. 설치 전 부재 및 납땜부와, 상대측 부재의 고정 수단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4에 있어서의 II-II선 단면도이다. 설치 전 부재 및 납땜부와, 상대측 부재의 고정 수단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의 바닥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딥 커넥터의 도 1에 상당하는 도이다. 설치 전 부재 및 납땜부와 상대측 부재의 고정 수단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컨택트(contact)의 리드(lead)를 기판 등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 여 납땜하도록 한 딥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속한다.
<배경 기술>
실개평7-36369호 공보는, 폭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고 또한 상대측 부재를 끼워 넣는 수입실(受入室)이 설치된 하우징과, 일단이 하우징의 배면벽을 관통하여 수입실 안으로 연장하여 접촉부가 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배면벽에 따라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리드가 된 컨택트를 구비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컨택트의 리드를 기판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납땜하는 것에 의해 기판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컨택트를 하우징에 끼워 넣는 경우, 컨택트의 접촉부를 하우징의 배면벽에 대해서 수입실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끼워 넣게 된다.
<발명의 개시>
이와 같은 커넥터로부터, 이 커넥터에 끼워 넣은 플러그 커넥터 등의 상대측 부재를 뽑아내는 경우, 컨택트는 기판에 납땜해 두고, 하우징에는 상대측 부재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대측 부재를 뽑아내는 힘에 의해서 하우징과 컨택트가 분리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우징에 보강 탭(tab)을 설치하고, 이 보강 탭을 기판에 납땜함으로써, 하우징의 기판으로의 연결력을 높이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보강 탭을 설치함으로써 커넥터의 구성 부품이 증가하고, 게다가 납땜부분이 증가하여, 코스트가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높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고 또한 상대측 부재를 끼워 넣는 수입실이 설치된 하우징에 수입실의 개구로부터 컨택트를 넣어 하우징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기판 등으로의 연결력을 높여,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을 받아도 하우징과 컨택트가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딥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딥 커넥터는, 높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고 또한 상대측 부재를 끼워 넣는 수입실이 설치된 하우징과, 이 수입실로부터 오목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수용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는, 하우징에 있어서의 수입실 개구와는 높이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닥벽과,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한쪽에 설치된 제 1 벽과, 폭 방향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 2 벽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직교하는 깊이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제 3 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있으며, 하우징에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를 제 1 벽측의 제 1 오목부와 제 2 벽측의 제 2 오목부로 분할하는 지지벽이 설치되고, 컨택트는, 상기 지지벽에 걸치는 한편 폭 방향의 일단이 끼워 넣음부로서 제 1 오목부에 끼워 넣는 굴곡부와, 이 굴곡부의 폭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2 오목부에 수용되는 중간부와, 이 중간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 선단 부근에 있어서의 굴곡부에 면한 부위에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이 설치된 스프링편(片)과, 굴곡부의 끼워 넣음부 또는 중간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바닥벽을 관통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 딥 커넥터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기판 또는 그 외의 설치 전 부재에 설치된다. 즉, 딥 커넥터의 컨택트의 리드를 설치 전 부재의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설치 전 부재에 납땜함으로써 설치된다. 그리고, 상대측 부재를 수입실에 끼워 넣으면,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가 딥 커넥터의 컨택트의 접점에 접촉하고, 딥 커넥터와 상대측 부재와의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속이 수행된다. 그리고, 딥 커넥터로부터 상대측 부재가 뽑아내게 되면,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이 하우징에 작용한다. 그러나, 컨택트의 굴곡부가 지지벽에 걸쳐, 이 굴곡부의 끼워 넣음부 또는 중간부에 설치된 리드가 설치 전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은, 서로 대향하는 굴곡부 및 지지벽을 통하여 컨택트에 확실히 전달되고, 또한 리드를 통하여 설치 전 부재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하우징과 컨택트가 분리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경우, 보강 탭을 설치하지 않고 마무리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한 때에는 딥 커넥터의 구성 부품 점수의 증가, 납땜부분의 증가 등에 의한 코스트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편이, 굴곡부로부터는 아니고 중간부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 있으므로, 스프링편의 선단의 높이가 억제되어, 딥 커넥터의 저배화(低背化 : 높이를 낮추는 것)가 실현된다.
굴곡부의 끼워 넣음부에 리드를 설치한 컨택트와, 중간부에 리드를 설치한 컨택트를 깊이 방향에 따라서 교대로 늘어놓으면, 리드가 지그재그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깊이 방향에 따라서 인접하는 리드의 깊이 방향의 간격이 좁은 협(狹)피치(pitch)의 딥 커넥터에 있어서도, 리드들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넓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딥 커넥터는, 컨택트의 굴곡부를 하우징의 지지벽에 걸치게 함으로써, 하우징의 기판으로의 연결력을 높여,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을 받아도 하우징과 컨택트가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딥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보강 탭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코스트 상승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편의 선단의 높이가 억제되어, 딥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리드의 지그재그 배치에 의해 협피치의 딥 커넥터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딥 커넥터는, 컨택트의 중간부에는 높이 방향으로 향하여 돌기가 설치되고, 하우징의 바닥벽에는, 이 돌기를 끼워 넣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돌기를 바닥벽의 구멍에 끼워 넣는 것으로 중간부가 바닥벽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므로, 중간부와 하우징과의 상대 이동이 확실히 억제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편의 기단이 흔들리지 않고, 접점은 스프링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변위하므로,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돌기를 바닥벽의 구멍에 끼워 넣으므로, 중간부 나아가서는 스프링편의 하우징에 대한 위치 결정이 확실히 행해진다. 그 때문에,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점의 위치가 정확하게 관리되고, 이것에 의해서도 접촉 압력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컨택트의 중간부에 돌기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바닥벽에 이 돌기 를 끼워 넣는 구멍을 설치한 때에는, 접점의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관리하며, 이것에 의해서도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딥 커넥터는, 리드가 컨택트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이 리드의 근본이 돌기가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리드의 근본을 돌기로서 하우징의 바닥벽의 구멍에 끼워 넣으므로 중간부가 바닥벽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됨으로써, 중간부와 하우징과의 상대 이동이 확실히 억제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편의 기단이 흔들리지 않고, 접점은 스프링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변위하므로,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돌기가 바닥벽의 구멍에 끼워 넣음으로써, 중간부 나아가서는 스프링편의 하우징에 대한 위치 결정이 확실히 행해진다. 그 때문에,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점의 위치가 정확하게 관리되고, 이것에 의해서도 접촉 압력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리드를 컨택트의 중간부에 설치하고, 이 리드의 근본을 돌기로서 하우징의 바닥벽의 구멍에 끼워 넣은 때에는, 접점의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관리하며, 이것에 의해서도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딥 커넥터는, 컨택트의 중간부가 제 2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대신하여, 컨택트의 중간부를 제 2 오목부에 끼워 넣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중간부를 제 2 오목부에 끼워 넣는 것으로 중간부가 제 2 오목부를 구성하는 벽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므로, 중간부와 하우징과의 상대 이동이 확실히 억제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편의 기단이 흔들리지 않고, 접점은 스프링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변위하므로,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중간부를 제 2 오목부에 끼워 넣으므로, 중간부 나아가서는 스프링편의 하우징에 대한 위치 결정이 확실히 행해진다. 그 때문에,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점의 위치가 정확하게 관리되고, 이것에 의해도 접촉 압력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컨택트의 중간부를 제 2 오목부에 끼워 넣은 때에는, 접점의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하우징에 있어서의 접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관리하며, 이것에 의해서도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딥 커넥터는, 굴곡부에 있어서의 스프링편의 접점에 대략 대향하는 부위에,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대해서 두 개의 접점에서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굴곡부에 있어서의 스프링편의 접점에 대략 대향하는 부위에,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을 설치한 때에는,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두 개의 접점에서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딥 커넥터는, 하우징에, 상대측 부재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고정(lock)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면, 무심코 고정 수단을 해제하지 않는 채로 딥 커넥터로부터 상대측 부재를 뽑아내어도,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은, 서로 대향하는 굴곡부 및 지지벽을 통하여 컨택트에 확실히 전달되고, 또한 리드를 통하여 설치 전 부재로 전달되므로, 하우징과 컨택트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에, 상대측 부재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고정 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면, 무심코 고정 수단을 해제하지 않는 채로 딥 커넥터로부터 상대측 부재를 뽑아내어도, 하우징과 컨택트가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딥 커넥터(100)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프린트 배선판 등의 기판 또는 그 외의 설치 전 부재(150)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 딥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 등의 상대측 부재(고정 수단을 제외하여 도시 생략)가 삽입되고, 또, 이 딥 커넥터(100)로부터 상대측 부재가 뽑아내게 된다. 이하, 서로 직교하는 깊이 방향,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정의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설명하면, 도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고, 도의 상하 방향이 높이 방향이며, 도의 지면(紙面)에 수직인 방향이 깊이 방향이다.
이 딥 커넥터(100)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에 설치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컨택트는, 판으로부터 블랭크(blank)형으로 구멍을 뚫어 성형된 프레스 컨택트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컨택트에는, 제 1 컨택트(120)와, 제 2 컨택트(130)의 2종류가 있고, 이들 2종류의 컨택트가 깊이 방향에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딥 커넥터에 있어서의 컨택트의 수, 배열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딥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 트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또 딥 커넥터의 모든 컨택트가 동일한 구성의 컨택트로 통일되어 있어도 좋으며, 딥 커넥터에 3종류 이상의 컨택트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그 경우, 일부의 컨택트로서 종래의 공지한 컨택트가 혼재(混在)하고 있어도 좋다.
하우징(110)에는, 높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고 또한 상대측 부재를 끼워 넣는 수입실(111)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10)에는, 이 수입실(111)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수용 오목부(112)가, 컨택트의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용 오목부(112)에 제 1 컨택트(120) 및 제 2 컨택트(130)가 끼워 넣어져 있다. 제 1 컨택트(120) 및 제 2 컨택트(130)는, 하우징(110)에 대해서 수입실(111)의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수용 오목부(112)에 끼워 넣어져 있다.
수용 오목부(112)는,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수입실(111)의 개구와는 높이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닥벽(113)과, 폭 방향의 한쪽에 설치된 제 1 벽(114)과, 폭 방향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 2 벽(115)과, 깊이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제 3 벽(116)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113)은 내면이 높이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고 있으므로, 대략 높이 방향으로 향하여 있게 된다. 제 1 벽(114) 및 제 2 벽(115)은 내면이 폭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고 있으므로, 대략 폭 방향에 향하여 있게 된다. 제 1 벽(114)과 제 2 벽(115)은, 대략 폭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제 3 벽(116)은 내면이 깊이 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으므로, 대략 깊이 방향으로 향하여 있게 된다. 양측의 제 3 벽(116)은, 대략 깊이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제 3 벽(116)에는, 상대측 부재를 받아 들일 때에 제 3 벽(116)과 상대측 부재와의 간섭 을 피하기 위해, 수입실(111)의 개구측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높이 방향에 따라서, 대략 U자형의 오목(116a)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내면은 수용 오목부(112)에 면하는 면이다.
하우징(110)에는, 상기 바닥벽(113)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는 지지벽(117)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벽(117)은 양면이 폭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고 있으므로, 대략 폭 방향으로 향하여 있게 된다. 이 지지벽(117)은, 상기 수용 오목부(112)를 제 1 벽(114) 측의 제 1 오목부(112a)와, 제 2 벽(115) 측의 제 2 오목부(112b)로 분할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120)는, 굴곡부(121)와, 이 굴곡부(121)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한 중간부(122)와, 이 중간부(122)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는 스프링편(123)과, 굴곡부(121)에 설치된 리드(12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130)도, 굴곡부(131)와, 이 굴곡부(131)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한 중간부(132)와, 이 중간부(132)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는 스프링편(133)과, 중간부(132)에 설치된 리드(134)를 구비하고 있다.
굴곡부(121, 131)는, 깊이 방향에서 보아, 대략 거꾸로 선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117)에 걸쳐져 있다. 그리고, 굴곡부(121, 131)의 폭 방향의 일단은 끼워 넣음부(121a, 131a)로서 높이 방향에 따라서 수입실(111)의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연장하고 있고, 이 끼워 넣음부(121a, 131a)가 제 1 오목부(112a)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끼워 넣는 형태는 압입(壓入)이라고 하는 것으로, 끼워 넣음 부(121a, 131a)와, 제 1 오목부(112a)를 구성하는 제 1 벽(114) 및 지지벽(117)과의 사이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끼워 넣음부(121a, 131a)와, 제 1 오목부(112a)를 구성하는 제 3 벽(116)과의 사이에는 대부분 또는 모든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고, 제 3 벽(116)은 끼워 넣음부(121a, 131a)를 끼워 넣을 때에 가이드 기능을 발휘한다. 이 경우, 반대로, 끼워 넣음부(121a, 131a)와 제 1 벽(114) 및 지지벽(117)과의 사이에 압력을 대부분 또는 모두 작용시키지 않고, 끼워 넣음부(121a, 131a)와 제 3 벽(116)과의 사이에 압력을 작용시켜도 좋다. 또, 끼워 넣음부(121a, 131a)와 제 1 벽(114), 지지벽(117) 및 제 3 벽(116)과의 사이에 압력을 작용시켜도 좋다.
중간부(122, 132)는, 굴곡부(121, 131)의 폭 방향의 양단부 중 끼워 넣음부(121a, 131a)가 설치된 쪽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단부로부터 폭 방향에 따라서 끼워 넣음부(121a, 131a)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부(122, 132)는 제 2 오목부(112b)에 수용되고 있다. 즉, 중간부(122, 132)와, 제 2 오목부(112b)를 구성하는 바닥벽(113), 지지벽(117), 제 2 벽(115) 및 제 3 벽(116)과의 사이에는 대부분 또는 모든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고, 이러한 벽은 중간부(122, 132)의 삽입시에 가이드 기능을 발휘한다.
스프링편(123, 133)은, 중간부(122, 132)로부터 높이 방향에 따라서 수입실(111)의 개구에 가까운 쪽으로 일어서 있다. 그리고, 스프링편(123, 133)의 선단 부근에 있어서의 굴곡부(121, 131)에 면한 부위에는,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123a, 133a)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120)의 경우, 리드(124)는, 굴곡부(121)의 끼워 넣음부(121a)에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을 관통하여 높이 방향에 따라서 수입실(111)의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130)의 경우, 리드(134)는, 중간부(132)에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을 관통하여 높이 방향에 따라서 수입실(111)의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 1 컨택트(120)에서는, 중간부(122)에 높이 방향에 따라서 수입실(111)의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향하여 돌기(1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에는, 이 돌기(125)를 끼워 넣는 구멍(11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 넣는 형태는 압입이라고 하는 것으로, 돌기(125)와, 구멍(113a)을 구성하는 벽 사이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제 2 컨택트(130)에서는, 중간부(132)에 설치된 리드(134)의 근본이 돌기(135)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에는, 이 돌기(135)가 끼워 넣는 구멍(11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 넣는 형태는 압입이라고 하는 것으로, 돌기(135)와, 구멍(113a)을 구성하는 벽 사이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굴곡부(121, 131)에 있어서의 스프링편(123, 133)의 접점(123a, 133a)에 대략 대향하는 부위에는,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121b, 131b)이 설치되고 있다.
하우징(110)에는, 상대측 부재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고정 수단(1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수단(118)은, 하우징(110)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향한 벽면 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돌기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양측의 면은, 모두 벽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수입실(111)의 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상대측 부재에는 고정 수단(1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수단(141)은,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외팔보 모양의 암이고, 선단이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측 부재가 딥 커넥터(100)에 끼워 맞춤할 때, 상대측 부재의 고정 수단(141)이 수입실(111)의 개구로부터 들어 오면, 상대측 부재의 고정 수단(141)이 탄성 변형하고, 그 선단의 후크부가 하우징(110)의 고정 수단(118)의 개구에 가까운 쪽의 면을 타고 진행되어 이것을 넘어, 개구로부터 먼 쪽의 면에 끼워, 고정을 완료한다. 고정의 해제는 상대측 부재의 고정 수단(141)을 다시 탄성 변형시켜, 후크부를 고정 수단(118)으로부터 떼어 놓는 것으로 실시한다. 딥 커넥터의 고정 수단에는, 다른 방향으로 향한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도 포함된다.
이 딥 커넥터(100)는, 관통 구멍(151)이 설치된 기판 또는 그 외의 설치 전 부재(150)에 설치된다. 즉, 딥 커넥터(100)의 제 1 컨택트(120)의 리드(124) 및 제 2 컨택트(130)의 리드(134)를 설치 전 부재(150)의 관통 구멍(151)에 삽입하여 설치 전 부재(150)에 납땜하는 것으로 설치된다. 도 1 내에서 160은 납땜부이다. 그리고, 상대측 부재가 수입실(111)에 끼워 넣어지면,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가 딥 커넥터(100)의 제 1 컨택트(120)의 접점(123a, 121b), 제 2 컨택트(130)의 접점(133a, 131b)에 접촉하고, 딥 커넥터(100)와 상대측 부재와의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속이 수행된다. 그리고, 딥 커넥터(100)로부터 상대측 부재를 뽑아내면, 상 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이 하우징(110)에 작용한다. 그러나, 제 1 컨택트(120)의 굴곡부(121)가 지지벽(117)에 걸쳐, 이 굴곡부(121)의 끼워 넣음부(121a)에 설치된 리드(124)가 설치 전 부재(15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은, 서로 대향하는 굴곡부(121) 및 지지벽(117)을 통하여 제 1 컨택트(120)에 확실히 전달되어, 더욱 리드(124)를 통하여 설치 전 부재(150)에 전달된다. 또, 제 2 컨택트(130)의 굴곡부(131)가 지지벽(117)에 걸쳐, 이 중간부(132)에 설치된 리드(134)가 설치 전 부재(15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은, 서로 대향하는 굴곡부(131) 및 지지벽(117)을 통하여 제 2 컨택트(130)에 확실히 전달되어, 더욱 리드(134)를 통하여 설치 전 부재(150)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하우징(110)과 제 1 컨택트(120) 또는 제 2 컨택트(130)가 분리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경우, 보강 탭을 설치하지 않고 마무리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한 때에는 딥 커넥터(100)의 구성 부품 점수의 증가, 납땜 부분의 증가 등에 의한 코스트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컨택트(120)에 있어서도 제 2 컨택트(130)에 있어서도, 스프링편(123, 133)이, 굴곡부(121, 131)로부터는 아니고 중간부(122, 132)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 있으므로, 스프링편(123, 133)의 선단의 높이가 억제되어, 딥 커넥터(100)의 저배화가 실현된다.
굴곡부(121)의 끼워 넣음부(121a)에 리드(124)를 설치한 제 1 컨택트(120)와, 중간부(132)에 리드(134)를 설치한 제 2 컨택트(130)을 깊이 방향에 따라서 교대로 늘어놓으면, 리드(124, 134)가 지그재그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깊이 방 향으로 인접하는 리드의 깊이 방향의 간격이 좁은 협피치의 딥 커넥터(100)에 있어서도, 리드들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넓게 된다.
본 발명은, 컨택트의 중간부에 돌기가 설치되지 않은 딥 커넥터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의 경우, 제 1 컨택트(120)의 중간부(122)에는 높이 방향으로 향하여 돌기(125)가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에는, 이 돌기(125)를 끼워 넣는 구멍(113a)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컨택트(130)의 중간부(132)에는 높이 방향으로 향하여 돌기(135)가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에는, 이 돌기(135)를 끼워 넣는 구멍(113a)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돌기(125, 135)를 바닥벽(113)의 구멍(113a)에 끼워 넣는 것으로 중간부(122, 132)가 바닥벽(113)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므로, 중간부(122, 132)와 하우징(110)과의 상대 이동이 확실히 억제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편(123, 133)의 기단이 흔들리지 않고, 접점(123a, 133a)은 스프링편(123, 133)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변위하므로,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돌기(125, 135)를 바닥벽(113)의 구멍(113a)에 끼워 넣으므로, 중간부(122, 132) 나아가서는 스프링편(123, 133)의 하우징(110)에 대한 위치 결정이 확실히 행해진다. 그 때문에,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접점(123a, 133a)의 위치가 정확하게 관리되어, 이것에 의해서도 접촉 압력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제 1 컨택트(120)와 같이 리드가, 굴곡부의 끼워 넣음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리드를 컨택트의 중간부에 설치하여도, 이 리드를 하우징의 바닥벽의 구멍에 간단히 관통시키는 것만으로, 리드와 구멍을 구성하는 벽과의 사 이에 압력을 대부분 또는 전부 작용시키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그러나, 상기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의 제 2 컨택트(130)의 경우, 리드(134)가 제 2 컨택트(130)의 중간부(132)에 설치되고, 이 리드(134)의 근본이 돌기(135)가 되어 구멍(113a)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리드(134)의 근본을 돌기(135)로서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의 구멍(113a)에 끼워 넣는 것으로 중간부(132)가 바닥벽(113)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므로, 중간부(132)와 하우징(110)과의 상대 이동이 확실히 억제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편(133)의 기단이 흔들리지 않고, 접점(133a)은 스프링편(133)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변위하므로,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돌기(135)를 바닥벽(113)의 구멍(113a)에 끼워 넣으므로, 중간부(132) 나아가서는 스프링편(133)의 하우징(110)에 대한 위치 결정이 확실히 행해진다. 그 때문에,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접점(133a)의 위치가 정확하게 관리되어, 이것에 의해서도 접촉 압력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스프링편에만 접점을 설치한 딥 커넥터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의 경우, 굴곡부(121, 131)에 있어서의 스프링편(123, 133)의 접점(123a, 133a)에 대략 대향하는 부위에,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121b, 131b)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대해서 두 개의 접점 123a 및 121b, 133a 및 131b로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고정 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딥 커넥터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의 경우, 하우징(110)에는, 상대측 부재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고정 수단(118)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 수단(118)이 설치되어 있어, 무심코 고정 수단(118)을 상대측 부재의 고정 수단(141)으로부터 해제하지 않는 채로 딥 커넥터(100)로부터 상대측 부재를 뽑아내어도,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은, 서로 대향하는 굴곡부(121, 131) 및 지지벽(117)을 통하여 제 1 컨택트(120), 제 2 컨택트(130)에 확실히 전달되어, 더욱 리드(124, 134)를 통하여 설치 전 부재에 전달되므로, 하우징(110)과 제 1 컨택트(120), 제 2 컨택트(13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딥 커넥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딥 커넥터(100)는, 하우징(110)과 제 1 컨택트(120)와, 제 2 컨택트(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에서는, 제 1 컨택트(120)의 구성, 제 1 컨택트(120)에 대응한 하우징(110)의 부분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와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에서는, 제 1 컨택트(120)의 중간부(122)은 제 2 오목부(112b)에 수용되어 있었지만, 제 2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에서는, 이것에 대신하여, 제 1 컨택트(120)의 중간부(122)가 제 2 오목부(112b)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끼워 넣는 형태는 압입이라고 하는 것으로, 중간부(122)와, 제 2 오목부(112b)를 구성하는 지지벽(117) 및 제 2 벽(115)과의 사이에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중간부(122)와, 제 2 오목부(112b)를 구성하는 제 3 벽(116)과의 사이에는 대부분 또는 모든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고, 제 3 벽(116)은 중간부(122)를 끼워 넣을 때에 가이드 기능을 발휘한다. 이 경우, 반대로, 중간부(122)와 지지벽(117) 및 제 2 벽(115)과의 사이에 압력을 대부분 또는 모두 작용시키지 않고, 중간부(122)와 제 3 벽(116)과의 사이에 압력을 작용시켜도 좋다. 또, 중간부(122)와, 지지벽(117), 제 2 벽(115) 및 제 3 벽(116)과의 사이에 압력을 작용시켜도 좋다. 또, 제 1 실시예의 제 1 컨택트(120)에서는 중간부(122)에 높이 방향으로 향하여 돌기(125)를 설치하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에, 이 돌기(125)를 끼워 넣는 구멍(113a)을 설치하고 있었지만, 제 2 실시예의 제 1 컨택트(120)에는, 이와 같은 돌기를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에, 이와 같은 구멍을 설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제 2 실시예의 제 1 컨택트(100) 및 하우징(110)에 있어서도, 또한 이와 같은 돌기 및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제 2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와 마찬가지로, 제 2 컨택트(130)의 중간부(132)는 제 2 오목부(112b)에 수용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제 2 컨택트(130)의 중간부(132)를 제 2 오목부(112b)에 끼워 넣어도 좋다. 이 끼워 넣는 형태는 압입이라고 하는 것으로, 제 1 컨택트(120)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 경우, 리드(134)를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의 구멍(113a)에 간단히 관통시키는 것만으로, 리드와 구멍을 구성하는 벽 사이에 압력을 대부분 또는 모두 작용시키지 않도록 하여도 좋고,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의 제 2 컨택트(130)와 같이, 리드(134)의 근본이 돌기(135)가 되어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의 구멍(113a)에 끼워 넣어도 좋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에서는, 제 1 컨택트(120)의 중간부(122)를 제 2 오목부(112b)에 끼워 넣는 것으로 중간부(122)가 제 2 오목부(112b)를 구 성하는 벽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므로, 중간부(122)와 하우징(110)과의 상대 이동이 확실히 억제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편(123)의 기단이 흔들리지 않고, 접점(123a)은 스프링편(123)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변위하므로,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중간부(122)를 제 2 오목부(112b)에 끼워 넣으므로, 중간부(122) 나아가서는 스프링편(123)의 하우징(110)에 대한 위치 결정이 확실히 행해진다. 그 때문에,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접점(123a)의 위치가 정확하게 관리되어, 이것에 의해도 접촉 압력이 확보된다. 그 외의 작용 및 효과는 제 1 실시예의 딥 커넥터(100)로 얻을 수 있던 작용 및 효과와 같다. 또, 굴곡부(121, 131)에 접점(121b, 131b)를 설치하지 않고 스프링편(123, 133)에만 접점(123a, 133a)을 설치하여도 좋고, 하우징(110)에 고정 수단(118)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은 것도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의 특징을 조합한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딥 커넥터의 몇 개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서 본 발명의 딥 커넥터가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고 또한 상대측 부재를 끼워 넣는 수입실이 설치된 하우징에 수입실의 개구로부터 컨택트를 넣어 하우징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기판 등으로의 연결력을 높여, 상대측 부재의 뽑아내는 힘을 받아도 하우징과 컨택트가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딥 커 넥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높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고 또한 상대측 부재를 끼워 넣는 수입실(受入室)(111)이 설치된 하우징(110)과, 이 수입실(111)로부터 오목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된 수용 오목부(112)에 끼워 넣어진 컨택트(120), (130)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112)는,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수입실 개구와는 높이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닥벽(113)과,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한쪽에 설치된 제 1 벽(114)과, 폭 방향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 2 벽(115)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직교하는 깊이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제 3 벽(116)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10)에는, 상기 바닥벽(113)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112)를 제 1 벽측의 제 1 오목부(112a)와 제 2 벽측의 제 2 오목부(112b)로 분할하는 지지벽(117)이 설치되고,
    컨택트(120), (130)는, 상기 지지벽(117)에 걸치고 또한 폭 방향의 일단을 끼워 넣음부(121a), (131a)로서 제 1 오목부(112a)에 끼워 넣는 굴곡부(121), (131)와 이 굴곡부(121), (131)의 폭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2 오목부(112b)에 수용되는 중간부(122), (132)와, 이 중간부(122), (132)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 선단 부근에 있어서의 굴곡부(121), (131)에 면(面)한 부위에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123a), (133a)이 설치된 스프링편(123), (133)와 굴곡부(121), (131)의 끼워 넣음부(121a), (131a) 또는 중간부(122), (132)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을 관통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드(124), (134)를 구비하며,
    컨택트(120), (130)의 중간부(122), (132)에는 높이 방향으로 향하여 돌기(125), (135)가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에는, 이 돌기(125), (135)를 끼워 넣는 구멍(113a)이 설치되어 있는 딥 커넥터(100).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리드(134)가 컨택트(130)의 중간부(132)에 설치되고, 이 리드(134)의 근본(根本)이 돌기(135)로 되어 있는 딥 커넥터(100).
  4. 높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오목하고 또한 상대측 부재를 끼워 넣는 수입실(受入室)(111)이 설치된 하우징(110)과, 이 수입실(111)로부터 오목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된 수용 오목부(112)에 끼워 넣어진 컨택트(120), (130)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112)는,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수입실 개구와는 높이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바닥벽(113)과,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한쪽에 설치된 제 1 벽(114)과, 폭 방향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 2 벽(115)과, 높이 방향 및 폭 방향과 직교하는 깊이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제 3 벽(116)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10)에는, 상기 바닥벽(113)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112)를 제 1 벽측의 제 1 오목부(112a)와 제 2 벽측의 제 2 오목부(112b)로 분할하는 지지벽(117)이 설치되고,
    컨택트(120), (130)는, 상기 지지벽(117)에 걸치고 또한 폭 방향의 일단을 끼워 넣음부(121a), (131a)로서 제 1 오목부(112a)에 끼워 넣는 굴곡부(121), (131)와 이 굴곡부(121), (131)의 폭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2 오목부(112b)에 끼워 넣어져 있는 중간부(122), (132)와, 이 중간부(122), (132)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서, 선단 부근에 있어서의 굴곡부(121), (131)에 면(面)한 부위에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123a), (133a)이 설치된 스프링편(123), (133)와 굴곡부(121), (131)의 끼워 넣음부(121a), (131a) 또는 중간부(122), (132)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바닥벽(113)을 관통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드(124), (134)를 구비하고 있는 딥 커넥터(100).
  5. 제 1항에 있어서,
    컨택트(120), (130)의 중간부(122), (132)가 제 2 오목부(112b)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대신하여, 컨택트(120), (130)의 중간부(122), (132)가 제 2 오목부(112b)에 끼워 넣어져 있는 딥 커넥터(100).
  6. 제 3항에 있어서,
    컨택트(120), (130)의 중간부(122), (132)가 제 2 오목부(112b)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대신하여, 컨택트(120), (130)의 중간부(122), (132)가 제 2 오목부(112b)에 끼워 넣어져 있는 딥 커넥터(100).
  7.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굴곡부(121), (131)에 있어서의 스프링편(123), (133)의 접점(123a), (133a)에 대향하는 부위에, 상대측 부재의 컨택트에 접하는 접점(121b), (131b)이 설치되어 있는 딥 커넥터(100).
  8.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10)에는, 상대측 부재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고정 수단(118)이 설치되어 있는 딥 커넥터(100).
  9. 제 7항에 있어서,
    하우징(110)에는, 상대측 부재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고정 수단(118)이 설치되어 있는 딥 커넥터(100).
KR1020070036069A 2006-04-12 2007-04-12 딥 커넥터 KR101345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0332A JP4808537B2 (ja) 2006-04-12 2006-04-12 ディップコネクタ
JPJP-P-2006-00110332 2006-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804A KR20070101804A (ko) 2007-10-17
KR101345489B1 true KR101345489B1 (ko) 2013-12-27

Family

ID=3860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069A KR101345489B1 (ko) 2006-04-12 2007-04-12 딥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44417B2 (ko)
JP (1) JP4808537B2 (ko)
KR (1) KR101345489B1 (ko)
CN (1) CN1010559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203711A (en) * 2010-06-17 2012-01-16 Asustek Comp Inc Connector module and connector
JP6045970B2 (ja) * 2013-04-12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5182Y2 (ko) * 1975-07-28 1980-06-17
JPH0315484U (ko) * 1989-06-28 1991-02-15
JPH0472486U (ko) * 1990-10-31 1992-06-25
JP2593239Y2 (ja) 1993-12-10 1999-04-05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
JP2678971B2 (ja) * 1994-04-04 1997-11-19 大宏電機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H10335025A (ja) * 1997-06-02 1998-12-18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H11149967A (ja) * 1997-11-18 1999-06-02 Harness Syst Tech Res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6050858A (en) * 1998-06-25 2000-04-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JP2000208185A (ja) 1999-01-18 2000-07-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87361A (ja) 2007-11-01
KR20070101804A (ko) 2007-10-17
US7344417B2 (en) 2008-03-18
US20070243745A1 (en) 2007-10-18
JP4808537B2 (ja) 2011-11-02
CN101055949A (zh) 2007-10-17
CN101055949B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58569B (zh) 连接器以及基板间连接构造
US8864524B2 (en) Connector
EP2019456B1 (en) Electric connector
JP5522217B2 (ja) 電気コネクタ
CN106921056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20090012072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50110333A (ko) 커넥터
KR20110139092A (ko) 커넥터
JP5298227B1 (ja) コネクタ
JP5336427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1228138A (ja) コネクタ
CN110277689B (zh) 可动连接器
JP2019129084A (ja) コネクタ
CN109936013A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EP1881564A2 (en) Connector-mounting configuration
US9490559B2 (en) Connector having easily unfastened lock lever from a flat conductor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JP587260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345489B1 (ko) 딥 커넥터
EP2053703A2 (en) Connector
EP1679769A1 (en) Card connector
JP5516678B2 (ja) コネクタ端子
KR20040087891A (ko) 전기 커넥터
JP2012059654A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該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を用いた基板間接続構造
KR100591583B1 (ko)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