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476B1 -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476B1
KR101344476B1 KR1020120017093A KR20120017093A KR101344476B1 KR 101344476 B1 KR101344476 B1 KR 101344476B1 KR 1020120017093 A KR1020120017093 A KR 1020120017093A KR 20120017093 A KR20120017093 A KR 20120017093A KR 101344476 B1 KR101344476 B1 KR 10134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rror
call
information
affiliated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556A (ko
Inventor
이주석
김태완
김종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림넷
이주석
김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림넷, 이주석, 김종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림넷
Priority to KR102012001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4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0Providing fault- or trouble-sig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Value added network)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호 설정시 발생되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Error) 정보와 상기 오류 정보에 따른 장애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복수의 채널로 전화선과 연결되어 다이얼 업(Dial Up)되는 물리적인 신호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뎀 보드를 포함하는 모뎀 보드부, 상기 호 설정 요청에 따른 발신 전화번호(Caller ID)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된 장애 단말기를 검출하고, 상기 장애 단말기에 대한 호를 거부(Call Reject)하는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VAN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STATE OF AFFILIATED STORE TERMINAL}
본 발명은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에서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AN(Value added Network)사업자는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회선을 빌려 부가가치가 있는 음성 또는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로 가맹점과 카드사 사이에서 전산 중계를 통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카드 결제 서비스를 예로 들면, VAN 사업자는 백화점 및 대리점과 같은 가맹점(영업점)과 각 신용카드사 사이에서 가맹점 단말기의 매출승인 요청 및 카드사 서버의 카드 승인 등을 중계한다. 그리고, 추후 매출 승인된 전표를 집계하여 각 카드사에 대금을 청구하는 업무를 대행하고 그 승인 건수에 해당하는 중계 수수료를 획득하는 수익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VA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VAN 사업자는 가맹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VAN 네트워크 장비 및 회선을 확보해야 하며, 매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가맹점 확보 및 카드 승인 조회를 위한 가맹점 단말기의 보급이 필수적이다.
한편, 현재의 모든 가맹점 단말기에서는 회선에 문제가 있거나 프로그램의 오류 및 기타 부적절한 통신환경에서 서비스를 진행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콜(Call)을 발생하며, 네트워크 측에서는 이를 감지하거나 호를 차단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반복적인 콜로 인해 발신측의 가맹점 단말기에 전화요금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를 파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그 오류 발생에 대응하는 유지보수가 늦어져 고객 불만에 따른 민원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에서 가맹점 단말기의 호 접속시 발생되는 다양한 오류 상태를 검출하고 이에 대처하는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Value added network)서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호 설정시 발생되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Error) 정보와 상기 오류 정보에 따른 장애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복수의 채널로 전화선과 연결되어 다이얼 업(Dial Up)되는 물리적인 신호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뎀 보드를 포함하는 모뎀 보드부; 상기 호 설정 요청에 따른 발신 전화번호(Caller ID)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된 장애 단말기를 검출하고, 상기 장애 단말기에 대한 호를 거부(Call Reject)하는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에, VAN 서버는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에 따른 회선 별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채널 관리부;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장애 단말기 판단을 위한 기준을 정의하고 그 판단을 위한 임계치를 외부에서 입력받아 설정하는 관리 환경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별 오류 정보를 저장하는 오류 테이블 및 연속된 오류 발생에 따른 상기 장애 단말기를 저장하는 장애 단말기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류 테이블 및 장애 단말기 테이블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발신 전화번호, 오류 종류, 연속 오류 횟수, 오류 발생 시간 및 마지막 접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류 종류는, 회선 오류, 핸드셰이킹(Handshaking) 규격 오류, 단말기 소프트웨어 오류, 단말기 하드웨어 오류, 접속 거부 오류 및 송수신 지연 오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누적 저장하고, 누적된 연속 오류 횟수가 설정 임계치와 동일하면 상기 장애 단말기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호 설정 및 데이터 송수에 성공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해당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 단말기의 등록 발생 및 거부된 호에 해당되는 상기 발신 전화번호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뎀 보드는, 전화 걸기, 전화 받기 및 전화 끊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 연결 모듈; 디지털 신호를 전화선에 실어 보낼 수 있는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전화선을 타고 들어오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 모듈; 및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하고,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압축된 데이터를 해제하는 데이터 압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를 통해 수집되는 오류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선 관리부는, 특정 회선에서 반복적인 오류가 발생되는 로그 정보를 토대로 해당 데이터 전송 경로의 오류를 추정하여 기간통신사업자의 서버로 오류 복구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AN(Value added network) 서버가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은, a)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상기 호 설정 요청에 따른 발신 전화번호(Caller ID)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가맹점 단말기별 오류(Error) 정보와 상기 오류 정보에 따른 장애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장애 단말기로 등록 되었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c)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 전화번호가 상기 장애 단말기로 등록되어 있으면, 오프 훅(Off Hook)이 되기 이전에 요청된 호를 거부(Call Reject)하는 단계; 및 d) 상기 거부된 호의 상기 발신 전화번호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조회 결과 상기 발신 전화번호가 상기 장애 단말기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e)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상태에 따른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판단 결과 오류가 발생된 경우 발생된 오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오류 테이블에 등록하는 단계; 및 g) 상기 오류 테이블에 등록된 발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연속 오류 횟수가 관리자 설정 임계치와 동일하면, 장애 단말기 테이블에 장애 단말기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의 핸드셰이킹 및 데이터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의 판단 결과 오류 없이 핸드셰이킹 및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하면,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발신 전화번호가 오류 테이블에 등록된 경우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연속 오류 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맹점 단말기의 호 요청에 따른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오프 훅(Off Hook)이전에 장애 단말기에 대한 호를 거부함으로써 불필요한 전화요금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 및 VAN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오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 및 유지보수 관련 사업자에 알려 빠르게 대처함으로써 가맹점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AN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오류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장애 단말기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모뎀 서버에 탑재되는 모뎀 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 상태 관리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AN 시스템은 복수의 가맹점 단말기(10), VAN 서버(100) 및 카드사 서버(200)를 포함한다.
가맹점 단말기(10)는 카드 결제를 위해 영업장에 설치되는 카드 결제 단말기일수 있으며,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 전송 규격이 서로 상이한 이종 모뎀이 사용될 수 있다.
VAN 서버(100)는 기존의 VAN 사업자 시스템의 CMUX, 데이터 모뎀(Data Modem) 및 단말기 서버(Terminal Server)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가맹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른 호 설정(Call setup)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AN 서버(100)는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한다. 즉, 가맹점 단말기(10)의 호 접속시 가입자 단말기(10) 및 VAN 네트워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오류 조건을 등록하고, 오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동일한 오류를 반복하는 호를 거부(Call Reject)할 수 있다.
이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관리'한다는 것은 가맹점 단말기 및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감지 및 진단하고, 이에 대처하는 것과 그 오류 발생을 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를 갖는다.
카드사 서버(200)는 복수의 카드회사별로 구비되어 고객의 카드 결제요청에 따른 승인결과를 응답한다.
망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300)은 VAN(Value added Network)를 제공하는 기간통신사업자의 서버로 네트워크상의 모든 장비(Network Element) 및 회선을 관리한다.
한편, 다음의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10)와 VAN 서버(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10)는 카드 인식 모듈(11), 입출력 모듈(12), 영수증 출력 모듈(13), 통신 모뎀(14), 메모리 모듈(15) 및 제어 모듈(16)을 포함한다.
카드 인식 모듈(11)는 접촉식 및 비접촉식 카드 인식 장치를 통해 고객의 신용카드 정보를 인식한다.
입출력 모듈(12)는 결제대금, 포인트 사용 등의 카드 결제정보를 입력정보를 입력 받고, 그에 따른 처리결과를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영수증 출력 모듈(13)은 카드 인식 및 카드결제정보 입력 및 그 처리 결과에 따른 영수증을 출력한다.
통신 모뎀(14)은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를 통해
메모리 모듈(15)은 카드결제를 위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특히, 가맹점 단말기(10)의 상태정보 관리를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어 모듈(16)은 가맹점 단말기(10)의 구동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발신자 전화번호(Caller ID)와 인식카드의 카드사에 해당하는 접속 전화번호(DNIS)를 VAN 서버(100)로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청한다.
제어 모듈(16)은 VAN 서버(100)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10)의 상태정보 검출하고 이를 보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16)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10)에 설치된 프로그램 버전 및 오류 발생 정보(예; 코드정보)를 수집하고 VAN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AN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AN 서버(100)는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부(120), 모뎀 보드부(130), 제어부(140), 클라이언트 관리부(150), 회선 관리부(160) 및 관리 환경 설정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가맹점 단말기(10)로부터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VAN 서버(100)의 호 설정에 따라 가맹점 단말기(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광단국 장치(미도시)와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PRI(Primary Rate Interface) 회선 접속방식으로 연결되어 고성능 대용량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부(Database, DB)(120)는 VAN 서버(100)의 운용을 위한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120)는 가맹점 단말기(10)와의 호 연결에 따른 로그 정보와 카드결제정보를 시간에 따라 기록하며, 특히 호 설정시 발생되는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 정보가 저장된 오류 테이블(Error Table)과 그 오류 진단에 따라 등록되는 장애 단말기 테이블(Table)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오류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장애 단말기 테이블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류 테이블(Error Table) 및 장애 단말기 테이블은 발신 전화번호(Caller ID), 오류 종류, 연속 오류 횟수, 오류 발생 시간 및 마지막 접속 시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맹점 단말기(10)의 접속시 발생되는 상기 오류 종류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회선 오류: 회선 불량에 따른 노이즈 발생으로 인한 오류
- 규격 오류: 핸드셰이킹(Handshaking)시에 속도와 프로토콜이 맞지 않는 것으로 인한 오류
- 단말기 소프트웨어 오류: 가맹점 단말기(10)의 프로그램 버전이 맞지 않거나 프로그램 버그로 인한 오류
- 단말기 하드웨어(H/W) 오류: 가맹점 단말기(10)에 탑재된 하드웨어 고장으로 인한 오류
- 접속 거부 오류: 해지 고객이나 일시 정지 등록된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 시도로 인한 오류
- 기타 오류: 하나의 가맹점 단말기(10)에서 일정 시간에 과다하게 접속하는 경우 및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접속 시도하는 경우의 오류
예를 들면, 도 4의 오류 테이블에서 발신 전화번호 15XX-yyyy는 가맹점 단말기(10)의 핸드셰이킹 규격 오류로 인해 연속 오류 횟수가 3회에 걸쳐 발생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 때, 상기 연속 오류 횟수는 마지막 접속 시간 이후에 동일한 오류가 반복적으로 발생된 누적 횟수를 의미하며, 발신 전화번호 15XX-yyyy는 연속 오류 횟수가 관리자가 설정한 임계치(예; 3회)와 동일하므로 도 5와 같이 장애 단말기 테이블에 등록된다.
반면, 발신 전화번호 15XX-xyxy의 경우 연속 오류 횟수가 설정 임계치(예; 3회) 미만인 상태에서 접속(Call setup)에 성공하면 해당 발신 전화번호의 연속 횟수 카운트가 0회로 초기화된다.
모뎀 보드부(130)는 복수의 채널(예; 30개)로 전화선과 연결되어 다이얼 업(Dial Up)되는 물리적인 신호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뎀 보드(130-1, 130-2, 130-n)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모뎀 서버에 탑재되는 모뎀 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뎀 보드(130-1, 130-2, 130-n)는 다수의 2선식(2-Wire) 회선이나 PRI 회선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전화 연결 모듈(131), 신호 변환 모듈(132) 및 데이터 압축 모듈(133)을 포함한다.
전화 연결 모듈(131) 전화 걸기, 전화 받기, 전화 끊기 등과 같은 전화 연결 관련 기능을 갖는다.
신호 변환 모듈(132)은 디지털 신호를 전화선에 실어 보낼 수 있는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전화선을 타고 들어오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압축 모듈(133)은 전화선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의 오류를 수정하는 오류 제어(Error Control)와 전송 데이터를 압축해서 보내거나, 압축된 데이터를 해제하는 데이터 압축(Data Compression) 및 해제(Data Expanding)를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복수의 채널로 다양한 다이얼 모뎀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 보드부(130)를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가맹점 단말기(10)의 호 설정요청에 따라 해당 규격에 맞는 핸드셰이킹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셰이킹 규격은 예컨대, v.21, v.22, v.22bis, v.25, v.26, v.27, v.29, v.32, v.32bis. v.34, v.41, v.42, v.42bis, Bell 103, Bell 202, Bell 212, V.Fast class, MNP 등일 수 있으며, 각 규격에 대한 설명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핸드셰이킹 규격은 상기한 규격 이외에 기간통신망 사업자가 새롭게 제공하는 규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가맹점 단말기(10)의 호 설정 요청시 체크되는 발신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의 장애 단말기 테이블에 등록된 장애 단말기를 검출하고, 상기 장애 단말기에 대한 호를 거부(Call Reject)한다.
이 때, 가맹점 단말기(10) 또는 통신환경의 오류 상황에서 반복되는 콜(Call)로 인하여 불필요한 전화요금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오프 훅(Off Hook)이전에 호 거부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장애 단말기로 등록된 단말기에서 호 설정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오프 훅(Off Hook)하지 않은 상태에서 호를 거부(Call Reject)함으로써 가맹점 단말기(10)의 장애로 인한 전화요금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가맹점 단말기(10)의 장애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가맹점 단말기(10)의 접속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발신 전화번호의 오류 정보를 테이블(Error Table)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기 오류 테이블에서 상기 발신 전화번호의 오류가 발생된 연속횟수를 카운트하여 누적된 오류 연속횟수가 관리자가 설정한 임계치와 동일한 경우 장애 단말기 테이블에 등록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장애 단말기의 등록 상황을 미리 설정된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신속한 유지보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보는 이메일 및 휴대폰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관리부(150)는 핸드셰이킹의 성공으로 가맹점 단말기(10)와 호 설정된 이후에 데이터 송수신 관련 프로토콜을 제어하며, 필요시 가맹점 단말기(1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관리부(150)는 각 가맹점 단말기(10)를 관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을 배포하고, 이를 통해 수집되는 프로그램 버전을 파악하여 최신 버전으로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관리부(150)는 가맹점 단말기(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되는 오류 발생 정보(코드정보)를 분석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회선 관리부(160)는 모뎀 보드부(130)에 접속되는 각 채널의 상태 정보를 감시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그 채널 상태에 따른 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가맹점 단말기(10)의 접속에 따른 회선 별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선 관리부(160)는 특정 회선에서 반복적인 오류가 발생되는 로그 정보를 토대로 해당 데이터 전송 경로의 오류를 추정하여 망 관리 시스템(300)로 오류 복구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 환경 설정부(170)는 상기 장애 단말기의 판단을 위한 기준을 정의하고 그 등록을 위한 임계치를 설정한다. 또한, 장애 단말기를 임의로 등록하거나 복구가 완료된 단말기에 대해서 장애 단말기 등록을 취소하거나 조회할 수 있다.
한편, 다음의 도 7을 통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AN 서버(100)의 구성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VAN 서버(100)는 수신 대기 상태에서 가맹점 단말기(10)로부터 호 설정 요청(Calling)을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발신 전화번호(Caller ID)를 검출한다(S101).
VAN 서버(100)는 상기 발신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0)의 장애 단말기 테이블에 장애 단말기의 등록 여부를 조회하고(S102), 상기 발신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S103; 예), 오프 훅(Off Hook)이 되기 이전에 요청된 호를 거부(Call Reject) 한다(S104).
VAN 서버(100)는 거부된 호의 상기 발신 전화번호를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대기상태로 돌아간다(S105).
한편, 상기 S102 단계의 조회 결과 장애 단말기 테이블에 상기 발신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S103; 아니오), 유휴상태인 하나의 채널을 할당하여 오프 훅(Off Hook)상태로 전환한다(S106).
VAN 서버(100)는 가맹점 단말기(10)의 접속상태에 따른 이상여부를 판단하여(S107), 가맹점 단말기(10)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S108; 예), 발생된 오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20)의 오류 테이블에 등록한다(S109).
여기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는 예컨대, 가맹점 단말기(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되는 오류 발생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오류 테이블 등록은 오류 종류에 연속 오류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
VAN 서버(100)는 가맹점 단말기(10)의 발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연속 오류 횟수가 관리자 설정 임계치와 동일하면(S110; 예), 장애 단말기 테이블에 장애 단말기로 등록한다(S111).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이때에도 VAN 서버(100)는 관리 환경 설정에 따라 가맹점 단말기(10)의 장애 단말기 등록 상황을 관리자에에 통보하여 알릴 수 있다.
VAN 서버(100)는 사용중인 채널을 온 훅(On Hook) 상태로 하여 반납하여 수신 대기상태로 리턴 한다(S116).
한편, 상기 S107 단계의 이상여부 판단 결과 가맹점 단말기(10)에서 오류가 발견되지 않으면(S108; 아니오), 발신 전화번호 혹은 모뎀의 설정 규격에 따른 핸드셰이킹을 시도한다(S112).
VAN 서버(100)는 상기 핸드셰이킹에 성공하면(S113; 예), 설정된 호를 통해 가맹점 단말기(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S114; 예), 사용중인 채널을 온 훅(On Hook) 상태로 하여 반납하여 수신 대기상태로 리턴 한다(S116).
여기서, 상기 S116 단계 이전에, VAN 서버(100)는 가맹점 단말기(10)가 데이터 송수신을 완료한 시점을 마지막 접속 시간으로 기록하고, 가맹점 단말기(10)의 발신 전화번호가 오류 테이블에 등록된 경우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연속 오류 횟수를 0로 초기화할 수 있다(S115).
반면, 상기 S113 단계에서 핸드셰이킹에 실패하거나(S113; 아니오), S114 단계에서 데이터송수신에 실패하는 경우 각각의 해당 오류 정보를 오류 테이블에 등록하는 S109 단계로 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S109 단계 이후에 리턴 되기까지의 과정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VAN 서버(100)가 가맹점 단말기(10)의 호 요청에 따른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오프 훅(Off Hook)이전에 장애 단말기에 대한 호를 거부함으로써 불필요한 전화요금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10) 및 VAN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오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관리자 및 유지보수 관련 사업자에 알려 빠르게 대처함으로써 가맹점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가맹점 단말기 11: 카드 인식 모듈
12: 입출력 모듈 13: 영수증 출력 모듈
14: 통신 모뎀 15: 메모리 모듈
16: 제어 모듈 100: VAN 서버
110: 통신부 120: 데이터베이스부
130: 모뎀 보드부 140: 제어부
150: 클라이언트 관리부 160: 회선 관리부
170: 관리 환경 설정부

Claims (15)

  1.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Value added network)서버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호 설정 실패시 발생되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Error) 정보와 상기 오류 정보에 따른 장애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복수의 채널로 전화선과 연결되어 다이얼 업(Dial Up)되는 물리적인 신호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뎀 보드를 포함하는 모뎀 보드부;
    상기 호 설정 요청에 따른 발신 전화번호(Caller ID)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된 장애 단말기를 검출하고, 상기 장애 단말기에 대한 호를 거부(Call Reject)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류 정보는, 회선 오류, 핸드셰이킹(Handshaking) 규격 오류, 소프트웨어 오류, 단말기 하드웨어 오류 및 접속 거부 오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오류 정보 연속 누적 횟수가 설정 임계치와 동일하면 상기 장애 단말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호 설정 및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해당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 정보 연속 누적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N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에 따른 회선 별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채널 관리부;
    상기 모뎀 보드부에 접속되는 각 채널의 상태 정보를 감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각 채널 상태에 따른 로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회선 관리부; 및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장애 단말기 판단을 위한 기준을 정의하고 그 판단을 위한 임계치를 외부에서 입력받아 설정하는 관리 환경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VAN 서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별 오류 정보를 저장하는 오류 테이블 및 연속된 오류 발생에 따른 상기 장애 단말기를 저장하는 장애 단말기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N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테이블 및 장애 단말기 테이블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발신 전화번호, 오류 종류, 연속 오류 횟수, 오류 발생 시간 및 마지막 접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VAN 서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 단말기의 등록 발생 및 거부된 호에 해당되는 상기 발신 전화번호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N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보드부는,
    전화 걸기, 전화 받기 및 전화 끊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 연결 모듈;
    디지털 신호를 전화선에 실어 보낼 수 있는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전화선을 타고 들어오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 모듈; 및
    상기 전화선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하고,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압축된 데이터를 해제하는 데이터 압축 모듈
    을 포함하는 VAN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부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를 통해 수집되는 오류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오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N 서버.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관리부는,
    특정 회선에서 반복적인 오류가 발생되는 로그 정보를 토대로 해당 데이터 전송 경로의 오류를 추정하여 기간통신사업자의 서버로 오류 복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AN 서버.
  12. VAN(Value added network) 서버가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호 설정 요청에 따른 발신 전화번호(Caller ID)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호 설정에 실패한 가맹점 단말기별 오류(Error) 정보와 상기 오류 정보에 따른 장애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장애 단말기로 등록 되었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c)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 전화번호가 상기 장애 단말기로 등록되어 있으면, 오프 훅(Off Hook)이 되기 이전에 요청된 호를 거부(Call Reject)하는 단계; 및
    d) 상기 거부된 호의 상기 발신 전화번호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류 정보는, 회선 오류, 핸드셰이킹(Handshaking) 규격 오류, 소프트웨어 오류, 단말기 하드웨어 오류 및 접속 거부 오류를 포함하며,
    동일한 오류 정보 연속 누적 횟수가 설정 임계치와 동일하면 상기 장애 단말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호설정 및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해당 가맹점 단말기의 오류 정보 연속 누적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태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의 조회 결과 상기 발신 전화번호가 상기 장애 단말기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e) 상기 가맹점 단말기의 접속상태에 따른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판단 결과 오류가 발생된 경우 발생된 오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오류 테이블에 등록하는 단계; 및
    g) 상기 오류 테이블에 등록된 발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연속 오류 횟수가 관리자 설정 임계치와 동일하면, 장애 단말기 테이블에 장애 단말기로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태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의 핸드셰이킹 및 데이터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 테이블에 등록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태 관리 방법.
  15. 삭제
KR1020120017093A 2012-02-20 2012-02-20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 KR10134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93A KR101344476B1 (ko) 2012-02-20 2012-02-20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93A KR101344476B1 (ko) 2012-02-20 2012-02-20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556A KR20130095556A (ko) 2013-08-28
KR101344476B1 true KR101344476B1 (ko) 2013-12-23

Family

ID=4921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093A KR101344476B1 (ko) 2012-02-20 2012-02-20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608B1 (ko) * 2017-12-04 2019-09-30 주식회사 태양기전 빅데이터를 활용한 tro센서 모듈 에러유형별 검출 및 진단 방법
KR102099827B1 (ko) * 2017-12-08 2020-04-13 주식회사 아이페이지온 지역 이원화 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225815A1 (ko) * 2018-05-23 2019-11-28 (주)누벤트 결제 단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결제 단말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46B1 (ko) 2006-11-01 2008-03-10 퍼스트데이타인터내셔널코리아 주식회사 카드 단말기의 작동 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46B1 (ko) 2006-11-01 2008-03-10 퍼스트데이타인터내셔널코리아 주식회사 카드 단말기의 작동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556A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5911B2 (en) Central monitoring station with method to process call based on call 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7773727B1 (en) Method for providing predictive maintenance relating to trunk operations in a VoIP network
US200701232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leakage of information from mobile phone
JPH0750910B2 (ja) 着信課金電話呼出し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7505567B1 (en) Method for providing detection of fault location for defect calls in a VoIP network
KR101344476B1 (ko)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
CN101902712A (zh) 呼叫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RU214220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ереговоров на коммут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KR101007966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합 중앙집중식 녹취 시스템 및 방법
US20010021248A1 (en) Personal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in call center
KR101268590B1 (ko) 핸드셰이킹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 모뎀 서버 및 그 방법
US5920610A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database of customers' telephone numbers
US20030061056A1 (e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KR100639853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 전송 프로토콜 추적 장치및 방법
JP3212802B2 (ja) 遠隔監視装置
KR20050071945A (ko) 호 연결 실패 원인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75547B1 (ko) 전화망 단선 및 기기 상태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0705933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JPH09305833A (ja) 自動現金取引装置の障害通知方法
KR19990085160A (ko) 통신관리 망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 소자간의명령 인터페이스 방법
CN111049994A (zh) 一种故障诊断方法和装置
KR20030021910A (ko) 멀티미디어 공중통신 단말 네트워크 시스템
KR100319278B1 (ko) 교환시스템의운용오류데이타관리방법
JP3471766B2 (ja) 呼処理異常監視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90132328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trouble tickets of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