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156B1 -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 Google Patents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156B1
KR101344156B1 KR1020120035761A KR20120035761A KR101344156B1 KR 101344156 B1 KR101344156 B1 KR 101344156B1 KR 1020120035761 A KR1020120035761 A KR 1020120035761A KR 20120035761 A KR20120035761 A KR 20120035761A KR 101344156 B1 KR101344156 B1 KR 10134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steel
girder
composite trus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945A (ko
Inventor
원대연
Original Assignee
원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대연 filed Critical 원대연
Priority to KR102012003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1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트러스 거더를 압출공법으로 시공할 때 발생되는 콘크리트 하현재의 영구적인 하향처짐 발생, 강부재의 조립 및 용접으로 인한 절대공기가 증가, 임시 구조용 부재인 노즈로 인한 공사비 증가, 그리고 격점단위의 압출을 위해 대용량 수평잭의 사용등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압출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제작장을 강부재를 조립하는 공간과 콘크리트 하현재를 제작하는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여 강부재의 조립 및 용접작업과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작업이 병행되도록 함으로써 세그먼트 제작공기를 크게 단축시켰으며,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에 매달아 지지되는 거푸집장치 적용함으로써 소정의 캠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거더본체의 일부를 노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즈제작비용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Improved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for the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본 발명은 압출공법을 이용해 복합트러스 거더교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제작장을 기능에 따라 강재조립공간과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공간으로 각각 분리하고, 거더선단에 부착되는 압출노즈의 규모를 소형화하고, 효율적인 제작장 배치를 통해 압출완료 후에 생기는 콘크리트 하현재의 처짐현상 방지, 압출공기 단축 그리고 초기시설투자비의 절감이 가능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압출공법 개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복합트러스 거더교를 압출공법으로 시공하기 위한 종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복합트러스 거더(1)를 압출공법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길이의 거더세그먼트를 반복적으로 제작하는 공간인 제작장(2), 제작된 거더세그먼트를 밀어내기 위한 압출시스템(3), 그리고 압출도중 거더에 과도한 단면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거더선단에 부착되는 압출노즈(4)가 필요하다.
상기 제작장(2)에서 이루어지는 주요작업은 공장에서 제작된 강부재(5)의 조립과 용접, 그리고 콘크리트 하현재(6)를 제작하여 복합트러스 거더(1)를 완성시키는 것으로, 강부재(5)의 조립 및 용접작업 위해 최소 3~4일 그리고 콘크리트 하현재(6)의 제작을 위해 5~6일의 각각의 작업기간이 소요된다.
또한, 제작된 복합트러스 거더를 전방에 기시공된 교각위로 밀어내기 위해 교대측에 설치되는 압출시스템(3)으로는 연직잭으로 거더세그먼트를 소정크기의 힘(V)으로 들어올려(lifting) 임시지점을 형성한 다음, 별도의 수평잭으로 연직잭의 하면이 교대 위를 미끌러 가도록 수평력(H)을 가해 밀어내는(pushing)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압출중 거더에 생기는 단면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거더선단에 부착되는 압출노즈(4)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표준경간장(L)의 0.6~0.7L이 되며, 이것은 압출이 완료되면 필요성이 없어지는 임시구조물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압출공법에서는 복합트러스 거더를 구성하는 강부재와 콘크리트 하현재를 한곳의 제작장에서 일체가 되도록 하고 있기에 강부재의 조립과 용접에 소요되는 기간과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을 위한 기간이 순차적으로 필요하게 되므로, 세그먼트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절대공기가 길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여기에다, 강부재의 조립 및 하현재 콘크리트 제작을 위해서는 제작장 상부바닥면이 평평하게 고정된 상태를 갖는 것이 유리하지만, 제작된 세그먼트를 전방으로 밀어낼 때에는 콘크리트 하현재 하면과 제작장 상부바닥면을 분리시켜 압출시의 마찰저항력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콘크리트 하현재와 제작장 바닥면을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유압장치를 구비해야 하고, 그리고 분리된 틈사이에 삽입된 슬라이딩 패드가 원활히 미끌려갈수 있도록 제작장 전구간에 걸쳐 미끌림 시설이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일반적인 복합트러스 거더는 거더자중과 콘크리트 바닥판의 자중으로 발생하는 영구처짐을 거더 제작시의 선행캠버를 주는 방법을 통해 대처하고 있지만, 압출공법으로 시공될 때에는 제작장에서의 거푸집의 운용문제와 압출시의 제작장에서의 과도한 마찰력이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콘크리트 하현재는 캠버를 주지않는 상태로 제작한다. 이 결과, 선행캠버가 부여되는 트러스 상현재와 캠버가 없는 콘크리트 하현재를 연결하는 복부재의 길이 및 설치각도가 매 격점마다 모두 달라지게 되어 강부재 제작에 어려움이 따르며, 교량의 경간중앙부에 위치한 콘크리트 하현재에 상당 크기의 영구처짐이 발생하여 시각적 불안감을 느끼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편, 압출공법은 교량의 종단선형이 원곡선을 가질 때에도 적용되는데, 이 때의 제작장 상부바닥면은 반드시 종단선형에 동일한 원곡선이 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하지만 경간장이 긴 교량의 경우에는 제작장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므로 제작장 상부바닥면을 정확한 원곡선 형상을 갖도록 하는데 세심한 주의와 노력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복합트러스 거더의 압출에는 유압잭을 이용한 LIFTING과 PUSHING의 순환방식이 지금까지 많이 적용되고 있지만, 이 방식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압출중에는 늘 격점단위의 지점 형성이 필요하다는 트러스 구조특성으로 인해 대용량 스트로크(stroke)를 구비한 수평잭이 요구된다. 여기에다, 대상교량이 평면곡선을 갖는 경우에는 거더중심으로 부터 좌우측에 배치된 수평잭의 스트로크 크기를 달리하여 압출과정에서 거더세그먼트의 회전이 조금씩 생기도록 조치되어야 하지만, 직선의 실린더를 구비한 수평잭을 사용한 PUSHING방식으로는 압출과정에서 요구되는 미소한 회전변형을 제어하면서 압출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노즈는 압출과정에서 생기는 단면력 저감과 기시공된 교각위를 거더가 원활히 올라탈 수 있도록 해주는 임시구조부재이며, 경량성을 살리기 위해 전체 부재가 강재로 제작되지만 충분한 구조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합트러스 거더에 구비되는 강부재의 단위길이당 중량의 약80%에 해당하는 강재량이 소요된다. 그리고 압출중에 복합트러스 거더와 일체로 된 구조거동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탈부착이 가능한 별도의 연결시설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특히 콘크리트 하현재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콘크리트 하현재의 균열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양의 고강도 PS강봉을 사용하는 체결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가설하고자 하는 교량이 평면 및 종단 선형상으로 원곡선을 가질 때에는 복합트러스 거더 자체뿐만 아니라 압출노즈도 반드시 원곡선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가설용 임시부재인 노즈를 원곡선에 맞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추가 비용이 소요되고, 추후에 동일한 조건의 원곡선을 갖는 교량이 건설되는 경우는 거의 없기에 재활용이 어렵고, 시공 후 전량 고재로 처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합트러스 거더를 종래의 압출공법으로 시공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주요 문제점들, 즉 콘크리트 하현재의 영구적인 하향처짐 발생, 강부재의 조립 및 용접과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 따른 제작공기가 늘어나는 문제, 임시 구조인 대형노즈 제작에 따른 공사비 증가, 그리고 압출을 위한 대용량 수평잭 필요 등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압출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해결과제로 한다.
전술한 주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제작장을 강부재를 조립하는 공간과 콘크리트 하현재를 제작하는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한다. 이를 통해 강부재의 조립 및 설치작업 그리고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작업을 병행할 수 있어 세그먼트 제작공기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강부재 조립 및 설치를 위한 제작장의 상면바닥면은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고정수평면 상태로 운용하며, 세그먼트 별로 다른 캠버로 제작되어야 하는 콘크리트 하현재는 별도의 제작장 바닥면없이 매달아 지지되는 거푸집장치를 통해 제작한다.
또한, 콘크리트 하현재에 선행캠버를 주게 될 경우 발생되는 최외측 경간과 내측경간의 길이차이로 인한 시공중 임시지점 사이의 높이차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장내에서 압출중 각 내측경간의 교각에서 형성되는 지점과 항상 동일조건의 지점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첫번째 교각으로부터 압출교대측 후방으로 내측경간장 만큼 떨어진 위치에 압출중에 격점단위로의 지점형성이 가능한 폭을 갖는 임시교각을 설치한다.
한편, 임시구조인 압출노즈를 이용하여 압출중의 거더의 단면력을 저감시키는 종래의 방법대신에 종점측 최외측 경간장에 해당하는 구간의 콘크리트 하현재 대신에 별도의 강재로 된 수평부재를 하부격점사이에 용착시켜 종래의 압출노즈가 수행한 기능을 대신하도록 하며, 더불어 압출노즈는 시공중의 전방교각에 거더가 올라탈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트러스의 한 격점 길이로만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초기제작비 및 평면곡선제작시의 추가비용 문제 그리고 콘크리트 하현재와 결합시 발생되는 균열발생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한다.
다음으로, 격점단위 압출을 위한 대용량 수평잭의 사용과 평면곡선을 갖는 교량을 격점단위로 압출할 때 생기는 좌우측 수평잭의 스트로크를 달리해야 하는 기술적인 문제는 제작된 복합트러스 거더의 후면에 장착된 버팀대와 압출측 교대전면에 서치된 반력대를 고강도 PS강봉으로 서로 연결한 다음, 교대측 반력대에 두대의 긴장잭을 직렬로 배치한 다음, 교번으로 긴장력을 도입하여 강봉을 끌어당김으로서 제작된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방법을 통해 대용량의 수평잭 사용문제를 해결하며, 평면곡선으로 인한 좌우측 세그먼트의 압출길이의 차이는 교대전면의 반력대와 반력대와 교대전면의 좌우측 유간을 달리하는 방법을 통해 세그먼트 단위로 압출길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트러스 압출공법의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압출완료시 콘크리트 하현재에 영구처짐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복부재의 제작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시각적 안전성도 크게 개선된다.
둘째로, 강부재조립 공정과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공정을 병행할 수 있어 종래에 비교해 가설공기를 약 30%이상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로, 압출노즈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노즈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노즈와 콘크리트 하현재와의 결합시 발생되는 균열발생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넷째로, 압출중에 큰 연직반력에 저항하기 위해 제작방 받침하부에 촘촘히 설치하였던 지지파일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제작장 조성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다섯째로, 평면곡선을 갖는 경우 격점단위가 아닌 세그먼트 길이단위로 압출길이를 관리할 수 있어 좌우측 압출길이를 달리해야 하는 교량에서의 시공관리가 용이해진다.
제 1도는 종래의 복합트러스 거더교 압출공법 개요도
제 2도는 종래의 압출공법에 적용된 캠버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공법에서의 캠버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공법 개요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경간 연속교의 압출공법 개요를 나타낸 순서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을 위한 거푸집장치
제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출시스템 개요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대전면에 구비하는 긴장시스템의 구조상세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복합트러스 거더를 종래의 압출공법으로 시공할 때 각 구성부재에 부여하는 캠버개요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종래의 공법에서는 제작장의 운용문제로 인해 상현강재(5)에만 캠버를 주고, 콘크리트 하현재(6)에는 캠버를 주지 않게 됨으로써, 복부재(7)의 길이와 각도가 매 격점마다 달라지고, 압출완료 후에는 콘크리트 하현재에 하향의 영구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공법으로 복합트러스 거더를 시공할 때 각 구성부재에 부여하는 캠버개요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상현강재(5)와 콘크리트 하현재(6)에 동시에 캠버를 주게 되고, 이 결과 복부재(7)의 길이를 각 격점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출완료 후에는 콘크리트 하현재에 영구처짐이 생기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출공법의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공법은 거더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공간을 크게 강부재 조립 및 용접을 위한 작업공간(14, 이하 제작장"1")과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을 위한 작업공간(15, 이하 제작장"2")으로 각각 구분하고, 압출측 첫번째 교각(53)으로부터 내측경간장(L)만큼 압출교대(13)측으로 떨어진 거리에 격점단위의 지지점 형성이 가능한 임시교각(12)을 구비하고, 거더선단으로 부터 최외측경간장(Le)에 해당되는 길이만큼은 콘크리트 하현재(6) 대신에 강재로 된 수평부재(9)를 용착시켜 종래의 압출노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트러스 한 격점에 해당하는 짧은 길이의 노즈(4)를 거더선단에 부착하는 것을 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 4(a)는 거더 세그먼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 4(b)는 제작된 세그먼트의 압출이 완료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장에서 제작된 트러스 강부재(10)를 제작장"1"에서 조립하고 용접하는 동안에 이전 단계에서 압출이 완료된 트러스 강부재의 콘크리트 하현재(6)를 제작장"2"에서 제작하며, 트러스 강부재 조립과 압출과정 도중에 조립된 강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러스 하부격점 사이에 가는 형강재 또는 철근으로 구성되는 수평간격재(11)를 구비되는데, 이것은 나중에 콘크리트 하현재 속에 매입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경간 연속교의 압출공법의 전반적인 개요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측경간길이(Le)와 내측경간장(L)의 1/4만큼 해당하는 트러스 강부재(10)와 선단노즈(4)를 제작장"1"과 제작장"2"에 걸쳐 동시에 조립설치한 다음 전방으로 압출한다(도5(a)). 압출이 완료되면, 제작장"1"에서 경간중앙 강트러스 부재(16)를 조립설치하고, 제작장"2"에서 압출노즈 기능을 수행하는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콘크리트 하현재(17)를 제작한다(도5(b)). 다음으로 제작장"1"에서 지점부와 경간중앙부 강트러스 부재(16,18)를 교대로 조립설치하고, 제작장"2"에서 이전에 압출이 완료된 부분의 콘크리트 하현재(19,20)를 제작하고 압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도5(c)~도5(f)). 상기의 과정을 거쳐 제작장"1"에서 마지막 트러스 강부재(21)의 조립설치하고, 제작장"2"에서 중간지점부 하현재 콘크리트(20)를 제작한 후 압출한다(도5(g)). 그런 다음, 제작장"2"에서 마지막 트러스 강부재의 콘크리트 하현재(22)를 시공한다(도5(h)). 마지막 콘크리트 하현재(22)의 시공이 완료되면 임시교각(12)과 압출교대(13)에 설치된 연직잭을 이용해 지점을 순차로 형성하면서 압출을 완료한 다음 노즈(4)를 제거한다(도5(i)). 마지막으로, 제작장에 사용된 거치식 거푸집 장치를 이용하여 종점측 콘크리트 하현재(23)를 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을 위한 거치식 거푸집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압출교대(13), 임시교각(12) 그리고 제작장 베드 앞쪽기초부(24)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설벤트(25)를 설치하고, 이들 가설벤트(25) 위에 종방향 지지보(26)를 단순지지로 거치하고, 종방향 지지보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거치식 거푸집 지지대(27)를 설치하고, 그런 다음 탈부착과 높이 조절기능이 구비된 거푸집패널(28)을 거푸집 지지대(27)에 고정시켜 콘크리트 하현재(6)를 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출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출시스템은 제작된 콘크리트 하현재(6)의 후면에 지지되는 후방버팀대(29)를 구비하고, 교대 전면에 설치된 반력대(30)를 고강도 강봉(31)으로 연결하고, 임시교각(12)과 압출교대(13)에 구비된 연직잭(32)을 이용해 임시지점을 형성한 다음, 반력대 전면에 설치한 긴장잭(33)으로 고강도 강봉(31)을 끌어당기는 방식을 통해 거더세그먼트를 압출한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후방버팀대(29)는 콘크리트 하현재(6) 선단의 지압력과 트러스 강부재 상현재(5)에 용착된 브라켓형 지지판(34)과 가로보(35)에 의해 강봉(31)으로 부터 전달되는 수평력에 대해 저항하며, 교대전면 반력대(30)는 교대하면에 매입한 강봉(36)을 이용해 긴장잭(33)의 반력에 저항한다. 또한, 압출중 임시지점 역활을 하는 연직잭(32)이 원활히 미끌려갈수 있도록 임시교각 상면과 교대 상면에는 얇은 스테인레스판이 용착된 띠형상의 미끌림판(37)을 구비하고, 연직잭을 후방격점으로 이동시킬때 필요한 임시지점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블럭(38)을 각각 구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대전면에 구비하는 긴장시스템의 구조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더압출을 위한 긴장시스템은 연속적인 압출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두 대의 중공형상의 긴장잭을 직렬로 배치하여 교번으로 강봉을 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한대의 긴장잭(39)은 반력대(30)에 직접지지 되도록 하며, 다른 한대(40)는 박스형상의 보조지압대(41)를 통해 반력대(30)에 간접지지 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 긴장잭의 후면에 강봉고정용 너트(42)를 구비하여 순차적인 교번긴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지 의미의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1 : 복합트러스 거더
2,14,15 : 세그먼트 제작장
3 : LIFTING & PUSHING에 의한 압출시스템
4 : 압출노즈
5 :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
6 : 복합트러스 거더의 콘크리트 하현재
7 : 복합트러스 거더의 복부재
8 : 복합트러스 거더의 하부격점
9 : 노즈기능 수행위해 첨부한 수평강재
10 : 트러스 강부재
11 : 강부재 형상유지를 위해 용착한 압연형강 또는 철근
12 : 임시교각
13 : 압출교대
14 : 강부재 조립을 위한 제작장"1"
15 : 콘크리트 하현재 시공을 위한 제작장"2"
25 : 거푸집시스템 지지벤트
27 : 거치식 거푸집 지지대
28 : 거푸집 패널
29 : 후방버팀대
30 : 교대전면 반력대
31 : 고강도 강봉
32 : 임시지점용 연직잭
33,39,40 : 강봉긴장용 중공형 긴장잭

Claims (5)

  1.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압출공법에 있어서,
    (a) 바닥판 합성전 복합트러스 거더세그먼트 제작장이 강부재 조립 및 용접을 위한 작업공간과,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을 위한 작업공간을 포함하도록 준비하는 단계;
    (b) 압출측 첫번째 교각으로부터 내측경간장만큼 압출교대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격점단위의 지점형성이 가능한 임시교각을 설치하는 단계; 및,
    (c) 거더선단으로부터 최외측 경간장에 해당되는 길이만큼은 콘크리트 하현재 대신에 강재의 수평부재를 하부격점판 사이에 용착시켜 압출노즈의 기능을 하도록 하며, 트러스 한 격점에 해당하는 짧은 길이의 노즈만을 거더선단에 부착하여 복합트러스 거더를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트러스 강부재의 상현재와 콘크리트 하현재에 캠버를 동시에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압출이 완료된 후에도 콘크리트 하현재의 영구처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강부재의 조립 및 용접작업과 콘크리트 하현재 제작작업을 병행하여 시공하는 것을 통해 세그먼트 제작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작된 콘크리트 하현재의 후면과 트러스 강부재의 상현재에 내민보 구조로 지지되는 후방버팀대를 설치하고, 교대 전면에 교대하부에 매입된 강봉(36)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반력대를 설치하여 고강도 강봉(31)으로 후방버팀대와 연결하고, 임시교각과 압출교대에 각각 구비된 연직잭을 이용해 거더세그먼트를 들어올려 임시지점을 형성한 다음, 전방반력대에 설치한 긴장잭으로 고강도 강봉(31)을 끌어당기는 것을 통해 거더세그먼트를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거더의 압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방반력대에 두 대의 중공형상의 긴장잭을 직렬로 배치하고, 한대의 긴장잭은 전방반력대에 직접 지지되도록 하며, 다른 한대의 긴징잭은 박스형상의 보조지압대를 통해 전장반력대에 간접 지지되도록 하고, 각각의 긴장잭 후면에 강봉고정용 너트를 구비하여 순차적인 연속긴장이 가능하도록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KR1020120035761A 2012-04-05 2012-04-05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KR10134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61A KR101344156B1 (ko) 2012-04-05 2012-04-05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61A KR101344156B1 (ko) 2012-04-05 2012-04-05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945A KR20120050945A (ko) 2012-05-21
KR101344156B1 true KR101344156B1 (ko) 2013-12-23

Family

ID=4626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761A KR101344156B1 (ko) 2012-04-05 2012-04-05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385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플로스코리아 세제가 도포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1127B (zh) * 2013-03-05 2015-06-10 唐述林 钢桁梁拖拉施工智能测控方法与系统
CN112195795A (zh) * 2020-10-30 2021-01-08 中铁大桥局集团第八工程有限公司 一种连续梁顶推装置、使用方法及连续梁的施工方法
CN114808752B (zh) * 2022-04-27 2023-09-05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钢桁梁双顶托举顶推安装方法
CN114892540A (zh) * 2022-06-13 2022-08-12 中交第二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钢桁梁主动调节的步履式顶推装置及方法
CN115041853B (zh) * 2022-06-20 2024-05-14 中铁宝桥(扬州)有限公司 具有镂空式横联的上弦块体制造方法
CN116044174B (zh) * 2022-12-14 2024-06-04 中国中材国际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跨道路、河流的大跨钢桁架廊道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757B1 (ko) * 2001-05-04 2004-03-22 원대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65361B1 (ko) * 2003-05-21 2006-03-31 (주)서현컨스텍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한 연속압출공법에 의한 교량시공방법
JP2007144920A (ja) * 2005-11-30 2007-06-14 Geotop Corp 緊張用接続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757B1 (ko) * 2001-05-04 2004-03-22 원대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65361B1 (ko) * 2003-05-21 2006-03-31 (주)서현컨스텍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한 연속압출공법에 의한 교량시공방법
JP2007144920A (ja) * 2005-11-30 2007-06-14 Geotop Corp 緊張用接続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385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플로스코리아 세제가 도포된 생분해성 일회용 수세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945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156B1 (ko)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US11634877B2 (en) Method for removal of temporary support system for road bridge pre-fabricated small box girder-type concealed bent cap, and equipment therefor
CA2687832C (en) Girder element for concrete formwork comprising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compensating bending strains
KR101654742B1 (ko)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2008088782A (ja) 波形鋼板ウェブ橋の片持ち張り出し架設工法
KR101623047B1 (ko) 측방풀링을 이용한 교량압출방법
KR20210054303A (ko) 경사구간 시공이 가능한 터널용 콘크리트 라이닝 거푸집장치
CN115977407B (zh) 一种预应力大跨度张弦桁架滑移施工体系及其施工方法
CN109629439B (zh) 一种独塔斜拉桥施工方法
CN105040594A (zh) 一种变截面箱梁桥合龙段施工方法
CN109056536A (zh) 基于复合式抱箍支架现浇箱梁施工方法
CN114134796A (zh) 一种钢桁梁桥超大节段无应力制作方法
CN103194982B (zh) 桥梁边跨现浇段短悬臂支架施工方法
JP2020183678A (ja) 箱桁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システム
JP2008031733A (ja) 橋の架設工法
KR10152775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CN112696013A (zh) 整体自拆式梁底支撑装置
JP2006063718A (ja) 波形鋼板ウエブを用いた張出し架設橋梁の施工方法
CN104453228A (zh) 一种大跨度超大截面钢板墙梁施工方法
CN103835238A (zh) 一种高墩斜拉桥0号块无支架施工方法及施工中的结构
CN213233106U (zh) 一种拱圈支架
KR101200246B1 (ko) 철근조립용 지그의 토글링크식 리프팅 장치
CN212003212U (zh) 一种多种变截面暗挖隧道二衬快速施工结构
CN103603490A (zh) 一种应用楼板台车的楼板混凝土施工方法
CN108978500B (zh) 大跨度箱梁悬浇装配预应力复合式支架体系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