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570B1 -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570B1
KR101342570B1 KR1020110090964A KR20110090964A KR101342570B1 KR 101342570 B1 KR101342570 B1 KR 101342570B1 KR 1020110090964 A KR1020110090964 A KR 1020110090964A KR 20110090964 A KR20110090964 A KR 20110090964A KR 101342570 B1 KR101342570 B1 KR 101342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weight
delete delete
hodo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648A (ko
Inventor
고지훈
이창순
최성근
Original Assignee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5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과 호도를 이용한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과 그것을 함유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홍삼농축액과 호도분말과 생약재 8종(용안육, 백복령, 진피, 원지, 석창포, 감초, 생강, 대추)의 혼합추출물과 레시틴과 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홍삼과 호도를 이용한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과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s containing red ginseng and walnut}
본 발명은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삭제
기억력은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학습효과와 학습효과를 기억하는 학습유지효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은 기억력과 관련된 신경전달 물질로서 뇌속에 그 함량이 증가하면, 기억력이 개선되어 기억력이 증진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과 그것을 함유한 식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39202호 '학습효능 강화 인삼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는, 뇌기능 향상물질인 Ginsenoside Rg1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인삼을 추출하고 원심분리 후 감압농축한 인삼엑기스와 원지, 석창포, 산조인, 백복령, 오미자를 배합하고 추출한 후, 여기에 소맥배아유, 타우린 등을 배합한 남학생용 학습효능강화 인삼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43212호 '뇌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는, 홍삼, 원지, 산조인, 석창포, 백복령, 오미자, 황기, 당귀, 백출, 감초, 대추 추출물 및 팔라티노스를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39202호 '학습효능 강화 인삼식품 및 그 제조방법'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43212호 '뇌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기억증진을 위한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홍삼농축액과 호도분말 및 생약재 8종(용안육, 백복령, 진피, 원지, 석창포, 감초, 생강, 대추)의 혼합추출물과 레시틴과 물을 포함하여 구성된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홍삼과 호도를 이용한 기억력 증진용 기능성식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홍삼과 호도를 이용한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의 투여량별 학습효과 비교실험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과 기억력저해제인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투여량별 학습효과 비교실험결과이다.
본 발명은 홍삼농축액과 호도분말과 생약재 8종(용안육, 백복령, 진피, 원지, 석창포, 감초, 생강, 대추)의 혼합추출물과 레시틴과 물로 조성된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삼에 들어있는 사포닌 중 Ginsenoside Rg1은 아세틸콜린의 합성, 기억력 증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인삼을 쪄서 만든 홍삼에는 Ginsenoside Rg1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홍삼농축액은 아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70 % 주정을 이용하여 1회에는 홍삼 중량의 8 배량, 2회 및 3회에는 6 배량을 첨가하고 70 ℃에서 8시간씩 추출하여 65 ℃에서 수분함량이 40 % 되도록 감압 농축하여 홍삼농축액을 제조한다.
호두는 견과류의 일종으로 다양한 불포화지방산과 β-sitosterol, δ-avenasterol 등이 포함되어 있다. 호도는 심혈관질환예방, 항산화활성 및 뇌기능강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호도분말은 믹서로 제조한다.
즉, 수확한 호도의 껍질을 깐 다음에 호도알갱이를 분리 수득한 다음, 호도알갱이를 믹서에 넣고 80 메시 크기로 분쇄하여 호도분말을 수득한다.
생약재 8종은 머리를 좋게 한다는 총명탕을 구성하는 생약재들 중, 홍삼과 호도와의 시너지효과를 고려하여 용안육, 백복령, 진피, 원지, 석창포, 감초, 생강, 대추 8종의 생약재를 사용한다.
생약재 혼합추출물은 아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용안육, 백복령, 진피, 원지, 석창포, 감초, 생강, 대추 8종의 생약재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한다.
용안육 14 중량%, 백복령 14 중량%, 진피 14 중량%,원지 10 중량%, 석창포 10 중량%, 감초 10 중량%, 생강 14 중량%, 대추 14 중량%를 혼합한다.
물을 용매로 1회에는 혼합생약재 중량의 10 배량, 2회에는 5 배량의 물을 가하여 85 에서 4 시간씩 추출하고, 추출액을 5000 rpm으로 20 분간 원심분리 여과한 후, 여액을 60 ~ 65 ℃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36 ~ 40 % 될 때가지 감압 농축하여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한다.
레시틴은 호도가 갖는 기름기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물은 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홍삼농축액의 제조
홍삼농축액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추출용매로 70 % 주정을 이용하여 1회에는 홍삼 중량의 8 배량, 2회 및 3회에는 6 배량을 첨가하고 70 ℃에서 8시간씩 추출하여 65 ℃에서 수분함량이 40 % 되도록 감압 농축하여 홍삼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호도분말의 제조
수확한 호도의 껍질을 깐 다음에 알갱이를 분리 수득하였다.
호도알갱이를 믹서에 넣고 80 메시 크기로 분쇄하여 호도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생약재 혼합추출물의 제조
생약재 혼합추출액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용안육, 백복령, 진피, 원지, 석창포, 감초, 생강, 대추 8종의 생약재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용안육 14 중량%, 백복령 14 중량%, 진피 14 중량%, 원지 10 중량%, 석창포 10 중량%, 감초 10 중량%, 생강 14 중량%, 대추 14 중량%를 혼합하였다.
물을 용매로 1회에는 혼합생약재 중량의 10 배량, 2회에는 5 배량의 물을 가하여 85 ℃에서 4 시간씩 추출하고, 추출액을 5000 rpm으로 20 분간 원심분리 여과한 후, 여액을 60 ~ 65 ℃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36 ~ 40 %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생약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2, 3에서 제조한 홍삼농축액 6 g, 호도분말 60 g, 생약재 혼합추출물 158 g과 레시틴 0.9 g, 물 40 g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학습효과 실험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을 학습효과 실험과 학습유지효과 실험하였다.
(1) 실험동물 및 투여
실험동물(ICR mice, ♂ , 30g)은 각 군별로 10 마리 씩 3 개군 (정상군, 25 mg /kg b.w. 투여군, 100 mg/kg b.w.투여군)으로 하였다.
각 처리군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해당 농도를 0.2 ㎖로 맞추어 10 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2 ± 2도, 습도는 55 ± 5%로 유지하였으며 12시간 명암 주기 (오전 9시 ~ 오후 9시)로 하였다.
(2) 수동회피 반응측정
수동회피 반응 장치는 가로 21 cm, 세로 28 cm, 높이 24 cm 아크릴 상자에 전기 그리드 15 개 설치하여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안전판은 비전도체인 코르크 판을 가로, 세로 8 cm 로 하여 실험 시작시 실험동물이 안전하게 내려앉을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동물(ICR mice, ♂ , 30g)을 코르크 판이 있는 판에 올려놓고 판에 4 발서 내려오는 즉시 3 초간 40 mA로 전기충격을 가했다.
이 과정에서 전기 그리드로 내려오는 시간이 30 초가 초과되는 실험동물은 활동성이 낮은 것으로 간주하여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90 분경과 후 실험동물을 코르크 판에 올려놓고 판에서 내려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학습능력의 척도로 설정하였다. 이과정은 전체 3분간 측정하며 3분이 초과하는 실험동물은 3분으로 간주하였다.
1 일 경과 후 실험동물을 다시 코르코 판에 올려놓고 판에서 내려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학습 능력이 유지되는 척도로 설정하였다.
학습효과와 학습유지효과 실험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첨부한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학습효과(sec) 학습유지효과(sec)
Normal 36 123
25 mg 44 173
100 mg 81 152
본 발명의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을 투여한 군 모두의 학습효과가 대조군의 학습효과보다 유의성 있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25 mg 투여군에서 학습효과는 44초로 대조군 36초의 1.2배, 100 mg 투여군의 학습효과는 2.3 배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을 투여한 군 모두의 학습유지효과가 대조군의 학습효과보다 유의성 있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25 mg 투여군에서 학습유지효과는 173초로 대조군 123초의 1.4배, 100 mg 투여군의 학습유지효과는 대조군의 1.2 배로 증가하였다.
<실험예 2 > 뇌중 아세틸콜린의 함량 측정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뇌는 phosphate buffer(pH 7.4, 0.1M)로 균질화 한 후 14,000 rpm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acetylcholine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뇌 중의 acetylcholine을 acetylcholine esterase에 의하여 가수분해하여 생성되는 choline을 choline oxidase 로 반응시켜 betaine과 과산화수소가 생성된다.
이 중 과산화수소를 발색 시약으로 반응시킨 20 분 후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흡광도는 acetylcholine 표준액에서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acetylcholine의 함량을 결정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험결과를 아래 표 2로 나타냈다.
group Acetylcholine(nmole/wt g)
Normal 21.4
25 mg 56.6
100 mg 60.6
본 발명의 홍삼과 호도를 이용한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투여군 모두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아세틸콜린의 함량 증가를 나타냈다.
즉, 25 mg 투여군에서 대조군의 2.6배, 100 mg 투여군에서 대조군의 2.8배의 함량을 나타냈다.
아세틸콜린은 기억력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로서 뇌속에 이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면 기억력이 증진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실험예 3 > 스코폴라민 처리실험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기억력저해제로 알려진 스코폴라민을 처리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동물(ICR mice, ♂ , 30g)은 각 군별로 10 마리 씩 3개군 (정상군, 25 mg /kg b.w. 투여군, 100 mg/kg b.w.투여군)으로 하였다
각 처리군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해당 농도를 0.2 ㎖로 맞추어 10 일간 경구투여하였다.
기억력 저해제로 알려진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3 mg/kg b.w로 처리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2 ± 2도, 습도는 55 ± 5%로 유지하였으며 12시간 명암 주기 (오전 9시 ~ 오후 9시)로 하였다.
스코폴라민 처리실험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냈다. 또한,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냈다.
학습효과(sec) 학습유지효과(sec)
Control 33 42
25 mg 97 131
100 mg 84 114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군 모두의 학습효과가 대조군의 학습효과보다 유의성 있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25 mg 투여군의 학습효과는 97초로 대조군 33초의 2.9배, 100 mg 투여군의 학습효과는 대조군의 2.5 배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군 모두의 학습유지효과가 대조군의 학습유지효과보다 유의성 있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25 mg 투여군의 학습유지효과는 131초로 대조군의 42초에 비해 3.1배 증가하였고, 1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2.1배 증가하였다.
즉, 기억력저해제인 스코폴라민 처리시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억력을 증진시켜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
삭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료, 다류, 고상식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즉, 홍삼농축액과 호도분말 및 생약재 8종(용안육, 백복령, 진피, 원지, 석창포, 감초, 생강, 대추)의 혼합추출물과 레시틴과 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비타민, 감미제 등을 첨가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즉,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조성물 3,000 mg, 비타민B1-염산염 0.05 mg, 타우린 100 mg, 구연산 25 mg, 액상과당 1,500 mg에 적량의 정제수를 배합하여 음료를 만들었다.
본 발명에 의해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이 제공된다.

Claims (2)

  1. 삭제
  2.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에 있어서,
    추출용매로 70 % 주정을 이용하여 1회에는 홍삼 중량의 8 배량, 2회 및 3회에는 6 배량을 첨가하고 70 ℃ 에서 8시간씩 추출하여 65 ℃ 에서 수분함량이 40 % 되도록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 홍삼농축액 6 g 과;
    80 메시로 분쇄한호도분말 60 g과;
    용안육 14 중량%, 백복령 14 중량%, 진피 14 중량%,원지 10 중량%, 석창포 10 중량%, 감초 10 중량%, 생강 14 중량%, 대추 14 중량%로 조성된 생약재 혼합추출물 158 g과;
    레시틴 0.9 g 과;
    물 40 g;로 조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KR1020110090964A 2011-09-08 2011-09-08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KR101342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964A KR101342570B1 (ko) 2011-09-08 2011-09-08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964A KR101342570B1 (ko) 2011-09-08 2011-09-08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648A KR20130027648A (ko) 2013-03-18
KR101342570B1 true KR101342570B1 (ko) 2013-12-17

Family

ID=4817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964A KR101342570B1 (ko) 2011-09-08 2011-09-08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239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진안당연구소 커큐민 홍삼 발포정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239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진안당연구소 커큐민 홍삼 발포정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90553B1 (ko) 2019-04-29 2021-08-18 주식회사 진안당연구소 커큐민 홍삼 발포정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648A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ee Potential medicinal application and toxicity evaluation of extracts from bamboo plants
RU2523384C2 (ru) Фитокомплекс из плодов бергамот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и в области фармакологии
CN109303794B (zh) 一种富硒堇叶碎米荠提取物及其在肝脏保护方面的应用
US20130018009A1 (en) Anti-obesity product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KR20120134166A (ko) 미량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90014376A (ko)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280300B1 (ko) 인삼씨오일을 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1967073B1 (ko)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발효생강추출물과 진공건조 홍삼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CN100348218C (zh) 显示提高轴突生长活性和神经营养作用的含有荒漠肉苁蓉y.c.ma提取物的组合物
Malík et al. Nootropic herbs, shrubs, and trees as potential cognitive enhancers
CN104398561A (zh) 一种预防与治疗酒精性肝病的药食两用品种组合物及制备方法
Kim et al.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Ecklonia cava extracts
KR20150143294A (ko) 천연발효효소 제조방법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42570B1 (ko) 홍삼과 호도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KR101823673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수면유도 조성물
KR20190101063A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46655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стительных экстрактов
CN108497246A (zh) 一种植物减肥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606913B1 (ko) 강황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1319829B1 (ko) 생더덕과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CN107494863B (zh) 多功能固体饮料的制备方法及其用途
Hewageegana et al. Proximate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of leaves: Leptadenia reticulata (Retz) Wight and Arn (Jeevanti)
CN110679818A (zh) 一种多功能荠荠菜水提物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