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383B1 - 원심 압축기 - Google Patents

원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383B1
KR101342383B1 KR1020120013287A KR20120013287A KR101342383B1 KR 101342383 B1 KR101342383 B1 KR 101342383B1 KR 1020120013287 A KR1020120013287 A KR 1020120013287A KR 20120013287 A KR20120013287 A KR 20120013287A KR 101342383 B1 KR101342383 B1 KR 10134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diffuser
centrifugal compressor
worm wheel
worm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931A (ko
Inventor
강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383B1/ko
Priority to CN201210236338.8A priority patent/CN103244441B/zh
Priority to EP12185119.0A priority patent/EP2626573B1/en
Publication of KR2013009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6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djusting flow cross-section, otherwise than by using adjustable stat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가속시키기 위한 임펠러와, 냉매의 유로상에 구비되며 일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핀을 갖는 가변 디퓨져와, 가변 디퓨져의 일면과 대면하게 위치하며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된 웜휠과, 웜휠과 치합되는 웜이 구비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변 디퓨져는 케이스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웜휠과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유로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정밀한 유로 개도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원심 압축기{Centrifugal compressor}
본 발명은 원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변 디퓨저의 유로 개도 조절의 정밀도를 높인 원심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공기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순으로 순환하여 열을 전달하는 싸이클을 가진다.
공기조화기의 압축기는 냉매 유로상에 구비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압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압축기는 압축 방식에 따라 회전식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원심 압축기 등이 있다.
여기서, 원심 압축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로서, 압축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원심 압축기는 내부에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유체의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체를 압축시키는 가변 디퓨져를 포함한다.
또한, 원심 압축기에는 가변 디퓨져와 가변 디퓨져의 구동원인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가변 디퓨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부재가 구비된다. 동력전달 부재는 모터의 구동력 전달뿐만 아니라,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 또는 다른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동력전달 부재로써 평기어의 조합이나 캠(CAM), 링크(Link) 등을 사용한다.
다만, 종래의 가변 디퓨져는 동력전달 부재의 회전 토크(N·m)가 낮아 모터의 구동시 가변 디퓨져의 유로 개도 조절의 변위가 크므로 정밀한 유로 개도 제어가 어려웠다. 또한, 가변 디퓨져의 유로 개도 조절을 제어함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에 따른 동력전달 부재의 움직임을 계산하기가 복잡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 디퓨져의 유로 개도 조절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원심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압축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가속시키기 위한 임펠러, 상기 냉매의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디퓨져, 상기 가변 디퓨져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변 디퓨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왕복운동함으로써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재는 측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과 치합되는 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재는 웜휠이며, 상기 기어는 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웜과 상기 웜휠의 감속비(웜과 웜휠의 회전속도 비율)는 50 :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 디퓨져는 일면에 복수개의 핀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재는 일면에 복수개의 핀을 가지며,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복수개의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핀의 길이는 상기 가변 디퓨져의 왕복운동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핀은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가변 디퓨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삽입홀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은 서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임펠러의 외각을 둘러싸게 위치한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는 냉매 흡입구가 형성되는 쉬라우드 및 상기 쉬라우드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임펠러 외각의 압축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변 디퓨져와 나사결합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가속시키기 위한 임펠러, 상기 냉매의 유로상에 구비되며, 일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핀을 갖는 가변 디퓨져,상기 가변 디퓨져의 일면과 대면하게 위치하며, 상기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된 웜휠 및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이 구비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왕복운동함으로써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핀은 상기 웜휠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가변 디퓨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삽입홀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핀의 길이는 상기 가변 디퓨져의 왕복운동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웜과 상기 웜휠의 감속비(웜과 웜휠의 회전속도 비율)는 50 :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임펠러의 외각을 둘러싸게 위치한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는 냉매 흡입구가 형성되는 쉬라우드 및 상기 쉬라우드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임펠러 외각의 압축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변 디퓨져와 나사결합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웜이 구비된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웜휠을 회전시킴에 따라 케이스에 나사결합된 가변 디퓨져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부 또는 하부로 왕복운동하여 냉매 유로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전달 부재로써 감속비가 큰 웜기어(웜과 웜휠)를 이용하므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가변 디퓨져의 정밀한 유로 개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디퓨져를 구비한 원심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 가변 디퓨져 및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가변 디퓨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디퓨져가 유로를 차폐한 상태를 나타낸 압축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심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심 압축기의 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디퓨져와 임펠러의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케이스(110)는 원심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110)는 냉매가 유입하는 냉매 유입구(111)와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냉매 토출구(112)를 갖는다.
이때, 케이스(110)는 냉매 유입구(111)에서 연장되어 임펠러(120)로 유입된 냉매를 안내하는 쉬라우드(113)를 포함한다. 쉬라우드(113)는 내측이 유선형 형상을 가져, 유입되는 냉매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쉬라우드(113)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지지부재(11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4)에는 임펠러(120)와 가변 디퓨져(130)가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14)는 쉬라우드(113)와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지지부재(114)와 쉬라우드(113) 사이에 임펠러(1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쉬라우드(113)와 지지부재(114)의 사이의 중앙부에는 임펠러(12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중앙부의 외각으로는 임펠러(120)에 의해 가속된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P)가 형성된다.
더불어, 케이스(110)는 지지부재(114)와 사이에 볼류트(B) 공간을 형성하는 볼류트 부재(115)를 포함한다. 볼류트 부재(115)와 지지부재(114) 사이에 형성되는 볼류트(B)는 압축된 냉매가 경유하는 공간이다. 볼류트(B)를 경유한 냉매는 냉매 토출구(112)를 통해 원심 압축기 외부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임펠러(120)는 회전하여 유입된 냉매를 고속으로 가속시킨다. 임펠러(120)는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한 압축모터(140)의 구동축(142)에 연결되어, 쉬라우드(113)와 지지부재(114)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임펠러(120)는 구동축(142)이 결합되는 허브(122)와, 허브(122)에 표면에 마련되는 임펠러 베인(122)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가변 디퓨져(130)는 유로(P)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즉, 가변 디퓨져(130)는 유로(P)의 개도를 줄여 냉매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킴에 따라 임펠러(120)에 의해 가속된 냉매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킨다. 가변 디퓨져(130)는 냉매의 유로(P)상에 구비되며, 일실시예로 쉬라우드(113)와 지지부재(114) 사이의 공간으로 임펠러(120)의 외각을 둘러싸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 디퓨져(130)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유로(P)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냉매 유로(P)상에서 가변 디퓨져(130)가 상부로 이동하여 유로(P)의 개도를 감소시키거나, 가변 디퓨져(130)가 하부로 이동하여 유로(P)의 개도를 증가시킨다.
이때, 가변 디퓨져(130)는 케이스(110)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14)에는 가변 디퓨져(130)와 나사결합되는 삽입부를 가져, 가변 디퓨져(130)가 삽입부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변 디퓨져(130)가 케이스(11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가변 디퓨져(130)가 회전에 의해 상하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부재는 가변 디퓨져(13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가변 디퓨져(13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회전부재는 동력전달 부재로써, 구동모터(150)의 회전력을 가변 디퓨져(13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150)의 회전운동 방향을 변환한다.
일실시예로, 가변 디퓨져(130)는 일면에 복수개의 핀을 가지며, 회전부재는 복수개의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의 삽입홀에 가변 디퓨져(130)의 핀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핀을 통해 회전부재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부재와 가변 디퓨져(13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변 디퓨져(130)는 케이스(110)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회전부재의 삽입홀 내부에서 핀은 고정되지 않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 가변 디퓨져(130)가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회전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핀의 길이는 가변 디퓨져(130)의 왕복운동 길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왕복운동 거리 범위내에서 핀이 삽입홀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부재의 회전력이 가변 디퓨져(130)에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부재가 일면에 복수개의 핀을 가지며, 가변 디퓨져(130)는 복수개의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핀은 회전부재에 고정된 채로 가변 디퓨져(130)에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전달하며, 가변 디퓨져(130)는 회전하면서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5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50)는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원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로, 회전부재는 측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구동모터(150)는 회전부재의 측면과 치합되는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기어가 회전함과 동시에 기어와 치합되는 회전부재가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재는 웜휠이며, 구동모터(150)에 구비된 기어는 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웜과 웜휠을 이용하여 구동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가변 디퓨져(13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고가의 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 절감효과가 있다. 자세하게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부재의 회전방향과 구동모터(150)의 회전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회전부재의 회전방향과 구동모터(150)의 구동축 회전방향이 서로 수직하여 구동모터(150)를 회전부재의 측면에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동모터(150)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스텝모터는 펄스신호에 의해 회전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회전부재의 구동을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디퓨져(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디퓨져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웜기어를 이용한 가변 디퓨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가변 디퓨져(130)는 링 형상으로 케이스(110) 내부에 임펠러(120)의 외각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가변 디퓨져(130)는 케이스(110)의 지지부재(114)에 마련된 삽입부(114a)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즉, 가변 디퓨져(130)가 삽입부(114a)에 삽입되어 유로(P)를 완전히 개방하거나, 삽입부(114a)에서 인출되어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유로(P)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가변 디퓨져(130)는 지지부재(114)에 나사결합된다. 가변 디퓨져(130)의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게 지지부재(114)의 삽입부(114a)의 내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변 디퓨져(13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변 디퓨져(130)는 일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핀(132)을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132)은 웜휠(160)의 회전력을 가변 디퓨져(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핀(132)의 개수는 웜휠(160)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핀(132)은 한개 이상이 가변 디퓨져(13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핀(132)은 가변 디퓨져(130)의 일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변 디퓨져(130)의 구동모터(150)에는 웜(152)이 구비된다. 웜(152)은 웜휠(160)과 치합되어 구동모터(150)의 구동에 따라 웜휠(160)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웜휠(160)은 가변 디퓨져(130)의 일면과 대면하게 위치하며, 가변 디퓨져(130)의 핀(132)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162)이 마련된다.
즉, 가변 디퓨져(130)의 핀(132)이 웜휠(160)의 삽입홀(16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150)가 구동시 웜휠(160)과 함께 가변 디퓨져(13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지지부재(114)에 나사결합된 가변 디퓨져(130)가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유로(P)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150)의 동력전달 부재로써 웜(152)과 웜휠(160)을 이용하며, 웜휠(160)과 가변 디퓨져(130)가 일체로 회전하여 가변 디퓨져(130)의 왕복운동에 의해 유로(P)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구동모터(150)의 회전에 따른 유로(P) 개도 조절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웜(152)과 웜휠(160)은 감속비(웜과 웜휠의 회전속도 비율)가 크므로, 구동모터(150)의 회전에 따른 웜휠(160)의 회전수가 작다. 따라서, 구동모터(150)를 회전시켜 웜휠(160)의 회전각도를 작은 범위에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구동모터(150)의 회전에 따른 웜휠(160)의 회전수 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구동모터(150)의 정밀한 제어가 필요없어 저가의 모터나 소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웜휠(160)과 가변 디퓨져(130)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나사결합된 가변 디퓨져(130)가 상승 또는 하강하므로 구동모터(15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메카니즘이 간단하다. 즉, 구동모터(150)의 회전에 따른 웜휠(160)의 회전수와, 웜휠(160) 회전에 따른 가변 디퓨져(130)의 왕복운동 거리를 알면 구동모터(150)의 제어를 통해 가변 디퓨져(130)의 유로(P) 개도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때, 웜(152)과 웜휠(160)의 감속비는 50 : 1 이상일 수 있다. 웜(152)과 웜휠(160)의 감속비가 50 : 1 이상인 경우, 웜(152)과 웜휠(160)의 백래쉬(backlash)에 따른 가변 디퓨져(130)의 이동거리의 오차가 전체 왕복운동 거리의 1% 내로 무시할만 수준이다.
한편, 가변 디퓨져(130)의 핀(132)은 가변 디퓨져(130)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웜(152)홀의 삽입홀(162)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변 디퓨져(130)의 핀(132)은 웜휠(160)의 삽입홀(162)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홀(16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32)의 길이(L)는 가변 디퓨져(130)의 왕복운동 길이(H)보다 크다. 여기서, 왕복운동 길이(H)는 가변 디퓨져(130)와 지지부재(114)의 최대 이격거리를 말한다. 이에 따라, 가변 디퓨져(130)가 상부로 이동하여 지지부재(114)와 최대한 이격된 상태에서도 핀(132)은 웜휠(160)의 삽입홀(162)에 삽입되어 가변 디퓨져(130)는 웜휠(16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케이스 113 : 쉬라우드
114 : 지지부재 120 : 임펠러
130 : 가변 디퓨져 132 : 핀
150 : 구동모터 152 : 웜
160 : 웜휠 162 : 삽입홀

Claims (18)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가속시키기 위한 임펠러;
    상기 냉매의 유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디퓨져;
    상기 가변 디퓨져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변 디퓨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냉매 흡입구가 형성되는 쉬라우드 및 상기 쉬라우드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임펠러 외각의 압축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변 디퓨져와 나사결합되는 삽입부를 가지고,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삽입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왕복운동함으로써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측면에 나선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과 치합되는 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웜휠이며, 상기 기어는 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웜과 상기 웜휠의 감속비(웜과 웜휠의 회전속도 비율)는 50 :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디퓨져는 일면에 복수개의 핀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일면에 복수개의 핀을 가지며,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복수개의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길이는 상기 가변 디퓨져의 왕복운동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가변 디퓨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삽입홀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은 서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임펠러의 외각을 둘러싸게 위치한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삽입부는 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3.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가속시키기 위한 임펠러;
    상기 냉매의 유로상에 구비되며, 일면에 마련된 복수개의 핀을 갖는 가변 디퓨져;
    상기 가변 디퓨져의 일면과 대면하게 위치하며, 상기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마련된 웜휠; 및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이 구비된 구동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왕복운동함으로써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웜휠과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가변 디퓨져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삽입홀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길이는 상기 가변 디퓨져의 왕복운동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웜과 상기 웜휠의 감속비(웜과 웜휠의 회전속도 비율)는 50 :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디퓨져는 상기 임펠러의 외각을 둘러싸게 위치한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냉매 흡입구가 형성되는 쉬라우드; 및
    상기 쉬라우드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임펠러 외각의 압축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변 디퓨져와 나사결합되는 링 형상의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KR1020120013287A 2012-02-09 2012-02-09 원심 압축기 KR10134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87A KR101342383B1 (ko) 2012-02-09 2012-02-09 원심 압축기
CN201210236338.8A CN103244441B (zh) 2012-02-09 2012-07-09 离心压缩机
EP12185119.0A EP2626573B1 (en) 2012-02-09 2012-09-20 Centrifugal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87A KR101342383B1 (ko) 2012-02-09 2012-02-09 원심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31A KR20130091931A (ko) 2013-08-20
KR101342383B1 true KR101342383B1 (ko) 2013-12-16

Family

ID=4694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287A KR101342383B1 (ko) 2012-02-09 2012-02-09 원심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626573B1 (ko)
KR (1) KR101342383B1 (ko)
CN (1) CN1032444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1209B (zh) * 2013-08-26 2017-0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调节器结构及离心式压缩机
CN104653476B (zh) * 2013-11-18 2017-1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离心式压缩机及离心式冷水机组
US10753370B2 (en) 2017-05-23 2020-08-25 Rolls-Royce Corporation Variable diffuser with axially translating end wall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KR102267751B1 (ko) * 2017-06-26 202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칠러시스템
US20190120249A1 (en) * 2017-10-25 2019-04-25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Modular, multi-stage, integral sealed motor pump with integrally-cooled motors and independently controlled rotor speeds
US11323003B2 (en) 2017-10-25 2022-05-03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Compact, modular, pump or turbine with integral modular motor or generator and coaxial fluid flow
US10753369B2 (en) 2018-05-11 2020-08-25 Rolls-Royce Corporation Variable diffuser having a respective penny for each vane
US10883379B2 (en) 2018-05-11 2021-01-05 Rolls-Royce Corporation Variable diffuser having a respective penny for each vane
US11708841B2 (en) 2019-09-18 2023-07-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daptive volutes for centrifugal pump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545B1 (ko) 1996-06-07 1999-09-15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원심 압축기용 가변 파이프 디퓨저
JP2006063895A (ja) * 2004-08-27 2006-03-09 Mitsubishi Heavy Ind Ltd 遠心圧縮機
KR100909779B1 (ko) 2008-02-01 2009-07-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압축기의 가변 디퓨저
JP2010270639A (ja) * 2009-05-20 2010-12-02 Toyota Motor Corp 遠心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5976A (en) * 1940-01-15 1942-06-09 Gen Electric Centrifugal compressor
US2431398A (en) * 1944-08-22 1947-11-25 United Aircraft Corp Supercharger with controllable inlet
CH486636A (de) * 1968-08-20 1970-02-28 Escher Wyss Ag Diffusor einer Zentrifugalfördermaschine
US4544325A (en) * 1980-10-22 1985-10-01 Teledyne Industries, Inc. Variable geometry device for turbine compressor outlet
US4932835A (en) * 1989-04-04 1990-06-12 Dresser-Rand Company Variable vane height diffuser
CN100436757C (zh) * 2003-08-14 2008-11-26 霍尼韦尔国际公司 带有可动壁的可变扩散器
AT506107B1 (de) * 2007-12-03 2009-11-15 Tcg Unitech Systemtechnik Gmbh Radialpumpe
DE102008051980A1 (de) * 2008-08-22 2010-02-25 Daimler Ag Luftversorgungsvorrichtung für eine Brennstoffzel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545B1 (ko) 1996-06-07 1999-09-15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원심 압축기용 가변 파이프 디퓨저
JP2006063895A (ja) * 2004-08-27 2006-03-09 Mitsubishi Heavy Ind Ltd 遠心圧縮機
KR100909779B1 (ko) 2008-02-01 2009-07-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압축기의 가변 디퓨저
JP2010270639A (ja) * 2009-05-20 2010-12-02 Toyota Motor Corp 遠心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6573B1 (en) 2020-02-26
CN103244441B (zh) 2016-09-21
CN103244441A (zh) 2013-08-14
KR20130091931A (ko) 2013-08-20
EP2626573A1 (en)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383B1 (ko) 원심 압축기
US10731770B2 (en) Electric flow control valve and actuator
KR102203935B1 (ko)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07101171A (ja) 風向調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器
EP2889544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984665B2 (ja) 圧縮機及びターボ冷凍機
US10364826B2 (en) Inlet guide vane mechanism
KR20020011895A (ko) 터보 압축기 및 냉동기
KR101176312B1 (ko) 원심 압축기용 가변 디퓨저 구조
CN103711695B (zh) 马达驱动压缩机和空调
KR102395851B1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572313B1 (ko) 소형의 가변 기하학적 구조의 디퓨저 메커니즘
EP2906885B1 (en) Centrifugal compressor inlet guide vane control
JP2011220146A (ja) ターボ圧縮機及びターボ冷凍機
KR101829837B1 (ko) 원심 압축기
US11635229B2 (en) Air conditioner
CN1118860A (zh) 空调机
WO2015172720A1 (zh) 蜗轮蜗杆传动装置
US20140086733A1 (en) Compressing system
KR20120057687A (ko) 터보 압축기
CN205533382U (zh) 离心式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207437353U (zh) 带内压缩罗茨真空泵
CN107762848A (zh) 带内压缩罗茨真空泵
CN2921375Y (zh) 一种变频螺杆式制冷压缩机
WO2021171489A1 (ja) スクリュー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