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545B1 - 원심 압축기용 가변 파이프 디퓨저 - Google Patents

원심 압축기용 가변 파이프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545B1
KR100220545B1 KR1019970023330A KR19970023330A KR100220545B1 KR 100220545 B1 KR100220545 B1 KR 100220545B1 KR 1019970023330 A KR1019970023330 A KR 1019970023330A KR 19970023330 A KR19970023330 A KR 19970023330A KR 100220545 B1 KR100220545 B1 KR 100220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flow
inner ring
outer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340A (ko
Inventor
제이. 브라스즈 주스트
더블류. 셀베이지 존
Original Assignee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캐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캐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Publication of KR98000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6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djusting flow cross-section, otherwise than by using adjustable stat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53Surge control by thrott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원심 압추기에 사용하기 위한 가변 파이프 디퓨저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가변 파이프 디퓨저는 외부 링고, 제1 개방 위치와 제2 개방 위치 사이에서 외부 링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내부 링을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내부 링과 외부 링의 상보형 공기 채널 부분은 서로에 대해서 정렬되어 최대 유량의 냉매가 디퓨저를 통과하게 한다. 폐쇄 위치에서는, 링 부분의 유동 채널들이 오정렬되어서 디퓨저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동이 제한된다. 디퓨저 링들이 폐쇄 위치를 향하게 조정하면, 압축기의 고 압력 비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서지 상태를 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원십 압축기용 가변 파이프 디퓨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 압축기용 디퓨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 부하가 넓은 범위에 걸쳐 변화하는 적용례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원심증기 압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주요 문제점들 중 한가지 문제점은 압축기를 통과하는 유동의 안정화 문제이다. 압축기의 인입구, 임펠러 및 디퓨저 통로는 소정의 최대 최적 유량을 제공하도록 하는 크기로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압축기를 통과하는 체적 유량이 낮을 때에 유동은 불안정하게 된다. 체적 유량이 안정 범이로부터 감소함에 따라 약간 불안정한 범위의 유동이 들어가게 된다. 이 범위에서, 디퓨저 통로 내의 유동의 부분적 반전이 발생하고 소음이 발생하여 압축기 효율이 낮아진다. 이러한 범위 아래에서 압축기는 서지(surge)라고 알려진 것으로 들어가는데, 이 경우 디퓨저 통로 내의 주기적인 완전한 유동 반전이 발생하고 기계의 효율이 개져서 기계 요소의 무결성에 위험이 따른다. 여러가지 압축기 적용례에서 넓은 범위의 체적 유량이 바람직하므로 저 체적 유량에서의 유동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수정례가 제안되고 있다.
넓은 작동 범위에서 기계 효율을 높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제안들이 많이 있다. 미국 특허 제4,070,123호에서, 임펠러 휘일의 전체 형상은 기계 성능을 부하 변동 요구에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부하를 변동시키는 시도에 응답하여 변동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3,362,625호에는 저 체적 유량에서의 안정화를 향상시키기위한 시도가 있을 때에 디퓨저 내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조정 가능한 디퓨저 유동 제한 장치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원심 기계에 있어서 넓은 유동 범위에 걸쳐 작동 효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한 공지 기술은 고정형 디퓨저 안내 베인과 관련된 폭 가변형 디퓨저에 줄곧 사용되고 있다.
동일 양수인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2,996,996호 및 제4,378,194호는 디퓨저의 벽들 중 하나의 벽을 볼트로 체결시킴으로써 디퓨저 베인이 견고하게 부착되는 폭 가변식 베인형 디퓨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베인은 다른 벽 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디퓨저의 형상이 부하 상태의 변동에 따라 변동될 수 있게 된다.
디퓨저 벽들 중 하나의 벽에 디퓨저를 견고하게 장착시키는 것은 기계의 제조, 보수 및 작동과 관련하여 특히 많은 문제점을 나타낸다. 베인을 조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공간은 작게 제공된다. 베인이 잘못 정렬되기라도 하면 베인을 재위치시킴에 따라 베인이 대향 벽에 대해서 구속 또는 마찰된다. 이와 유사하게, 열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베인을 조립체 내에서 교체해야 하는 경우, 교체를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기계 전체를 분리해야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태양에 따른 본 발명은 광의로 설명하자면 원심 압축기용 형상 가변형 파이프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가변 파이프 디퓨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파이프 디퓨저의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파이프 디퓨저를 제1개방 위치 및 제2 폐쇄 위치 각각에서 도시한 정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파이프 디퓨저에 대한 성능 선도.
제6도는 인입 안내 베인만을 구비하는 압축기에 대한 성능 선도.
제7도는 가변 파이프 디퓨저와 인입 안내 베인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 대한 성능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심 압축기 12 : 임펠러
14 : 디퓨저 16 : 수집기
32 : 링 조립체 33 : 안내 베인
40,42 : 링 44,46 : 채널 부분
124 : 기어 28 : 모터
본 발명에 따른 형상 가변형 파이프 디퓨저(분할-링 파이프 디퓨저라고도함)는 제1 내부 링과 제2 외부 링을 포함한다. 내부 링과 외부 링은 그 안에 형성된 상보형의 인입 유동 채널 부분을 구비한다. 즉, 내부 링의 인입 유동 채널 가각은 외부 링에 형성된 상보형의 인입 유동 채널 부분이다. 내부 링과 외부 링은 서로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내부 링은 외부 링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외부 링은 고정형 내부 링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링이 다른 것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쌍을 이루는 링의 상보형 공기채널 부분들 사이의 정렬이 변동된다. 링은 링의 상보형 채널 부분이 정렬되어 최대 유량이 내부 링과 외부 링을 통과하게 하는 제1 개방 위치와 채널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한하며 체적이 감소된 유체가 내부 링과 외부 링의 상보형 인입 유동 채널을 통과하게 하는 제2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링은 또한 개방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로 조정 가능하게 제조할 수도 있다.
제2 폐쇄 위치에 있어서,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적어도 약 10
Figure kpo00002
의 clp적 유량이 디퓨저를 통과 유동하게 해야만 기계의 구성 부품의 과도한 열동력학적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열동력학적 가열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2개의 링 부분들 간의 상대 회전량은 제2 폐쇄 위치를 유효하게 하는 데 필요한 회전량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링들은 이들 링 사이의 유체 유동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게 할 정도로 조정 가능해서는 안된다. 2개의 링 사이의 허용 회전 정도는 완전 폐쇄위치에 있는 링들 사이의 소정의 유량과 그리고 링 부분 내의 인입 공기 채널의 갯수와 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인입 유동 채널이 완전히 폐쇄되는 것은 폭이 외부링 유동 채널의 최소 폭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 있는 채널이 아닌 부분을 구비하는 내부 링을 마련함으로써도 방지될 수 있다.
가변 파이프 디퓨저를 폐쇄 위치로 향하게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디퓨저를 구비하는 압축기용의 성능 선도에서의 서지(surge) 지점은 낮은 유량 쪽으로 향하게 조정된다. 유량이 이외 같이 낮은 상태에 있는 압축기에 의하여 발생된 압력은 디퓨저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압축기에 의한 압력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압축기 특성을 조정하는 데 유용하므로 압축기는 저유량, 고 압력비 상태에 부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는 일례로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차가 크지만 저 부하 시스템인 경우에 요구된다.
소정의 작동 조건에서 압축기의 효율은 종종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가변 디퓨저의 조정과 압축기의 인입 안내 베인의 조정을 조합함으로써 최적화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
제1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냉매 증기를 고속으로 가속시키는 임펠러(12), 냉매를 저속으로 감속시키고 이와 함께 운동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디퓨저(14) 및 응축기로 후속해서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배출 증기를 수집하는 수집기(16) 형태의 배출 프리넘(plenum)을 구비하는 원심 압축기(10) 내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압축기의 타 단부에서 기밀되게 밀봉되고 고속 축(19)을 회전시키도록 작동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에 의해 임펠러(12)로 동력이 가해진다.
냉매 유동이 압축기(10)에서 발생하는 방식으로 참고할 때, 냉매는 흡입 하우징(31)의 인입 개구(29)안으로 들어가서, 블레이드 링 조립체(32)와 안내 베인(33)을 통과하고, 이어서 임펠러(12)에 의하여 내부 측면 상에 한정되어 있고 측판(shround)(34)에 의하여 외부 측면 상에 한정되어 있는 압축 영역으로 이어지는 압축부분 영역(23)안으로 들어간다. 압축 후에, 냉매는 디퓨저(14), 수집기(16) 및 배출라인(도시되지 않음)안으로 유동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상 가변형 파이프 디퓨저(14)는 제1 내부 링(40)과 제2 외부 링(42)을 포함한다. 내부 링과 외부 랭은 그 안에 형성된 상보형의 유동 채널 부분(44,46)을 구비한다. 즉, 내부 링(40)의 각각의 유동 채널 부분(44)은 외부 링(42)안에 형성된 상보형의 채널 부분(46)을 구비한다. 내부 링(40)과 외부 링(42)은 서로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내부 링(40)은 외부 링(42)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외부링(42)은 고정형 내부 링(40)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조될 수도 있다.
하나의 링이 다른 것에 대해서 회전할 때에 내부 링과 외부 링의 쌍을 이루는 상보형 인입 유동 채널 사이의 정렬은 제3도 및 도를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변동된다. 링(40.42)은 상보형 채널 부분이 정렬되어 최대 유량이 내부 링(40)과 외부 링(42)을 통과하게 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개방 위치와 상보형 채널이 오정렬되고 채널(44,46)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한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개방 위치의 유량 대비 폐쇄 위치에서의 디퓨저(14)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은 개방 위치에서의 유동 채널(상보형 채널 부분(4,46)에 의하여 한정됨)의 최소 단면적에 대한 폐쇄 위치에서의 디퓨저의 유동 채널의 최소 단면적의 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목 영역(throat area)"이라고도 하는 이러한 최소 유동 채널 영역은 일반적으로, 디퓨저(1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내부 링 채널(44)의 유동 통로(52)의 최소 직경에 의하여 결정되고, 디퓨저(14)가 제2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내부 링(40)과 외부 링(42) 사이의 계면에서의 폭(53)에 의하여 조절된다. 일례로, 디퓨저 채널이 제2 폐쇄 위치에서 3.2
Figure kpo00003
(1/8인치)의 최소 영역(목 영역)을 갖고 개방 위치에서 1.6
Figure kpo00004
(1.4인치)의 최소 영역(목 영역)을 갖는 경우, 폐쇄 위치에 있는 디퓨저를 통과하는 유체의 체적 유량은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유량의 약 50
Figure kpo00005
가 된다. 디퓨저가 제2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압축기(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은 일반적으로 디퓨저가 제1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압축기(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의 약 10
Figure kpo00006
내지 100
Figure kpo00007
가 된다.
제2 폐쇄 우치(제4도 참조)에서,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적어도 약 10
Figure kpo00008
의 체적 유량이 디퓨저(14)를 통과하므로 압축기(10)의 구성 부품의 과도한 열동력학적 가열이 방지된다. 열동력학적 가열 상태를 피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2개의 링 부분들간의 상대 회전량은 제2 폐쇄 위치를 유혀하게 하는 데 필요한 회전량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링들은 이들 링 사이의 유체 유동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게할 정도로 조정 가능해서는 안된다. 2개의 링 사이의 허용 회전 정도는 완전 폐쇄 위치에 있는 링들 사이의 소정의 유량과 그리고 링 부분(40,42)내의 인입 유동 채널 부분(44,46)의 갯수와 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인입 유동 채널이 완전히 폐쇠되는 것은 폭이 외부 링 채널 부분(46)의 최소 폭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 있는 채널이 아닌 부분을 구비하는 내부 링(40)을 마련함으로써도 방지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4도를 참고하면 R2는 임펠러 팁의 반경을 나타내고, R3은 내부 링(40)의 반경을 나타내고, R4는 외부 링의 반경을 나타내는 것이다. 내부 링(40)의 정량식 T=3-R2에 의하여 한정된 두께를 외부 링(46)을 통과하는 유량의 소정부분(일례로, 유량의 50
Figure kpo00009
)을 차단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크지 않게 함으로써 디퓨저(14)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외부 링에 대한 내부 링의 회전은 어떠한 분산도 발생하기 전에 디퓨저 목 영역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분산 이후의 유동 가속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 링 두께 T가 작아지면 작아질 수록 부분적으로 폐쇄된 가변 파이프 디퓨저를 통과하는 유동의 선회 각이 작아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는 모두가 부분 하중 작동 상태 하에서의 압축기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파이프 디퓨저는 또한 외부 링(4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내부 링(40)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통상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쌍을 이루는 링 만큼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서로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쌍을 이루는 디퓨저 링에 있어서는 90
Figure kpo00010
선회에 기인한 고 선회 손실이 있기 때문이다. 서로에 대해서 축 방향 관계를 이루는 링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공식적으로 양수된 미국 특허 제4,527,949호, 제4,378,194호, 제4,219,305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과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파이프 디퓨저를 안에 결합시켜 구비하고 있는 압축기에 대한 성능 선도를 나타내는 제5도를 참고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5도의 성능 선도는 다수의 성능 플롯(plot)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성능 플롯은 내부 링(40)과 외부 링(42) 사이의 불연속 위치에 대응한다. 각각의 성능 플롯, 일례로 플롯 60은 최대 가용 압력 지점인 지점 70으로 특징된다. 서지 지점에서 또는 그 이하에서의 유량으로 작동하는 압축기는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배경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지 상태가 되기 쉽다.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플롯 60은 일례로 제1 개방 위치에 대응하게 하고, 플롯 62는 중간의 2
Figure kpo00011
폐쇄 위치에 대응하게 하고, 플롯 64는 중간의 4폐쇄 위치에 대응하게 하며, 플롯 68은 최대 8
Figure kpo00013
폐쇄 위치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링 부분(40,42)을 폐쇄 위치로 향하게 조정하는 것은 저 유량 쪽으로 향하는 압축기에 대한 성능 플롯에서 서지 지점, 일례로 서지 지점70 및 서지 지점72를 조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서지 상태는 디퓨저 링(40.42)을 폐쇄 위치로 향학 조정함으로써 저 유량 요구가 지속되는 동안에 피할 수 있게 된다.
가변 디퓨저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대한 제5도의 성능 선도를 조정 가능한 인입안내 베인만을 구비하는 압축기에 대응하는 제6도에 도시된 성능 선도와 비교하게 되면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6도에서, 플롯 80,82,84,86,88은 증가하는 폐쇄 위치에서 안내 베인(33)의 불연속 위치에 대응한다. 디퓨저 링 부분(40,42)을 폐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안내 베인(33)을 폐쇄하는 것은 서지 지점의 유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서지 사어태는 종종 인입 안내 베인(33)을 폐쇄위치로 향하게 조정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제6도의 성능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베인(33)을 폐쇄위치로 향하게 조정하는 것은 또한 서지 지점에서 압축기(10)로부터 활용 가능한 수두 압력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비교적 고압을 요구하는 저 유량 작동 조건은 안내 베인(33)만을 조정해서는 만족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5도의 성능 선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10)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서지 지점 압력은 디퓨저 링(40,42)이 폐쇄 위치로 향하게 조정되었을 때에 실질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저 유량, 고 압축기 압력을 필요로 하는 작동 상태는 디퓨저 링(40,42)을 폐쇄 위치로 향하게 조정함으로써 만족된다.
저 유량과 전 부하 작동 압력 비(일례로, 전 부하의 90
Figure kpo00014
)에 대한 고 압력 비를 필요로 하는 작동 조건은 외기 온도와 실내 온도 간의 온도 차가 크지만(일례로, 약 10℃(50℉)이상, 건물 내의 임시적인 광 부하가 차가워진 경우에 공통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교적 높은 압축기 압력 비(일례로, 약2.5)는 응축기에 대응하는 냉매 포화 압력과 증발 온도에 의하여 요구되는 것이지만, 건물 내에서 발생한 열을 제거하는 데에는 일례로 전 부하의 25
Figure kpo00015
로 감소된 유량은 필요하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한 안내 베인과 가변 파이프 디퓨저 모두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대한 성능 선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압축기의 효율은 종종 안내 베인(33)의 조정과 디퓨정 링(40,42)의 조정을 조합함으로써 최적화 될 수 있다. 제7도를 참고하면, 점곡선(111,112,113,114,115,116)은 인입 안내 베인(33)을 여러가지로 위치시키기 위한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가변 디퓨저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대한 성능 플롯이고, 실 곡선(101,102,103,104,105)은 여러가지 안내 베인을 위치시킨 폐쇄된(폐쇄 위치에서 최초 유량의 약 40
Figure kpo00016
가 존재함) 디퓨저 링을 구비하는 압축기의 성능 플롯이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의 성능을 특징지우는 성능 플롯의 "푸름"(일례로, 제6도의 지점 81)에서 작동할 때에 압축기는 최적의 효율로 작동한다. 제7도의 선도를 참고하면, 일례로 약 0.7의 최대 압력과 약 0.3의 최대 유량을 필요로 하는 작동 조건은 플롯 104를 따라 작동하는 압욱기에 의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만족되고 디퓨저 링(40,42)을 폐쇄 위치로 조정하고 또한 안내 베인(33)을 10
Figure kpo00017
위치로 조정함으로써 실현된다.
내부 링(40)을 외부 링(42)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간단한 기계적 장치에대해서 제1도를 다시 참고하여 설명한다. 내부 링(40)과 일체인 실린더(120)는 내부 링(40)과 동일 연장선 상에서 연장되고, 실린더(120)로부터 반경 방향외향으로 연장되며 실린더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플랜지(122)를 구비한다. 플랜지(122)와의 기어 결합 관계에 있어서 기어(124)는 모터(128)에 의해 차축(126)을 거쳐서 구동된다. 모터(128)는 내부 링(40)이 외부 링(42)과 관계된 상태로 완전 개방위치와 제2 폐쇄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이들 위치 사이의 임의의 갯수의 중간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선택되고 제어된다. 차축(126)은, 이 차축(126)을 압축기 내부(132)로부터 기밀되게 밀봉하는 종래의 수용 하우징(130)내에 하우징되어서 유체가 수용 하우징(130)을 통하여 압축기(10)로부터 누출되는 것은 방지된다.
제2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욉주 링(42)에는 내부 링(40)과 외부 링(42) 사이의 정렬을 보장하고 또한 2개의 링 사이의 계면을 통해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착좌부(136)를 마련할 수 잇다.

Claims (8)

  1. 케이싱고, 작동 유체를 인입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환형 배치된 디퓨저의 입구까지 이르게 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안에 장착된 임펠러를 구비하는 원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가, 다수의 제1유동 안내 채널 부분을 안에 형성시켜 구비하는 제1내부 링과, 각각이 제1 유동 안내 채널 부분과 상보형인 다수의 제2 유동 안내 채널을 안에 형성시켜 구비하는 제2 외부 링과, 상보형의 제1 유동 채널 부분과 제2 유동 채널 부분이 정렬되어 최대 유량의 유체가 상기 상보형의 채널 부분을 통과하게 하는 제1 개방 위치와 상보형의 제1 유동 채널 부분과 제2 유동 채널 부분이 오정렬되어서 상기 상보형의 채널 부분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한하는 제2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제1 링과 제2 링을 서로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내부 링을 상기 외부 링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외부 링을 상기 내부 링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제2 폐쇄 위치에서의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상기 디퓨저가 상기 제1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채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의 10
    Figure kpo00018
    미만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내부 링과 외부 링 사이에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내부 링으로부터 동일 연장선 상에서 연장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와 기어 물림 관계를 유지하는 기어수단과, 상기 기어 수단을 구동시키는 모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링이 다수의 중실 비채널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비채널 부분 각각의 폭은 상기 외부 링 유동 안내 채널 부분의 최소 폭 미만의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링의 두께는 상기 외부 링 유동 안내 부분을 통과하는 유동의 소정 부분을 차단하는데 필요하는 두께보다 크지 않은 크기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8. 케이싱과, 작동 유체를 안입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환형 배치된 디퓨저의 입구까지 이르게 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안에 장착된 임펠러를 구비하는 원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가, 다수의 제1유동 안내 채널 부분을 안에 형성시켜 구비하는 제1 내부 링과 각각이 제1 유동 안내 체널 부분과 상보형인 다수의 제2 유동 안내 채널을 안에 형성시켜 구비하는 제2외부 링과, 상기 내부 링과 상기 외부 링을 서로에 대해서 축 방향 관계를 유지시키며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
KR1019970023330A 1996-06-07 1997-06-05 원심 압축기용 가변 파이프 디퓨저 KR100220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58,801 1996-06-07
US08/658,801 US5807071A (en) 1996-06-07 1996-06-07 Variable pipe diffuser for centrifugal compressor
US08/658,801 1996-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340A KR980003340A (ko) 1998-03-30
KR100220545B1 true KR100220545B1 (ko) 1999-09-15

Family

ID=2464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330A KR100220545B1 (ko) 1996-06-07 1997-06-05 원심 압축기용 가변 파이프 디퓨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807071A (ko)
EP (1) EP0811770B1 (ko)
JP (1) JP3115846B2 (ko)
KR (1) KR100220545B1 (ko)
CN (1) CN1097682C (ko)
AU (1) AU711217B2 (ko)
BR (1) BR9703482A (ko)
CA (1) CA2205211C (ko)
DE (1) DE69725212T2 (ko)
ES (1) ES2206673T3 (ko)
HK (1) HK1004682A1 (ko)
MX (1) MX9704232A (ko)
MY (1) MY125683A (ko)
SG (1) SG73453A1 (ko)
TW (1) TW3695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894B1 (ko) * 2005-12-17 2012-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축기의 능동 서지 및 스톨 제어 시스템
KR101342383B1 (ko) 2012-02-09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661A (en) * 1997-08-06 1999-05-04 Carrier Corporation Axial restraint system for variable pipe diffuser
US5915920A (en) * 1997-08-06 1999-06-29 Carrier Corporation Roller positioning system or variable pipe diffuser
TW402666B (en) 1997-08-06 2000-08-21 Carrier Corp Drive positioning mechanism, centrifugal compressor, and backlash adjustment mechanism
US6015259A (en) * 1997-08-06 2000-01-18 Carrier Corporation Support mechanism of inner ring for variable pipe diffuser
US5895204A (en) * 1997-08-06 1999-04-20 Carrier Corporation Drive positioning mechanism for a variable pipe diffuser
US6039534A (en) * 1998-09-21 2000-03-21 Northern Research And Engineering Corp Inlet guide vane assembly
DE10029808C1 (de) 2000-06-16 2001-11-29 Daimler Chrysler Ag Abgasturbolad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6402465B1 (en) * 2001-03-15 2002-06-11 Dresser-Rand Company Ring valve for turbine flow control
US6547520B2 (en) * 2001-05-24 2003-04-15 Carrier Corporation Rotating vane diffuser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US6672826B2 (en) * 2002-04-05 2004-01-06 Mafi-Trench Corporation Compressor surge control apparatus
US6814540B2 (en) 2002-10-22 2004-11-09 Carrier Corporation Rotating vane diffuser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US6962056B2 (en) * 2002-11-13 2005-11-08 Carrier Corporation Combined rankine and vapor compression cycles
US7146813B2 (en) * 2002-11-13 2006-12-12 Utc Power, Llc Power generation with a centrifugal compressor
US6892522B2 (en) 2002-11-13 2005-05-17 Carrier Corporation Combined rankine and vapor compression cycles
US7254949B2 (en) * 2002-11-13 2007-08-14 Utc Power Corporation Turbine with vaned nozzles
US7174716B2 (en) 2002-11-13 2007-02-13 Utc Power Llc Organic rankine cycle waste heat applications
US6880344B2 (en) * 2002-11-13 2005-04-19 Utc Power, Llc Combined rankine and vapor compression cycles
US7281379B2 (en) * 2002-11-13 2007-10-16 Utc Power Corporation Dual-use radial turbomachine
US7101151B2 (en) 2003-09-24 2006-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Diffuser for centrifugal compressor
US7356999B2 (en) * 2003-10-10 2008-04-15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ty control in a centrifugal compressor
WO2007079137A2 (en) * 2005-12-30 2007-07-12 Ingersoll-Rand Company Geared inlet guide vane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US7905703B2 (en) * 2007-05-17 2011-03-15 General Electric Company Centrifugal compressor return passages using splitter vanes
JP5082615B2 (ja) * 2007-06-14 2012-11-28 株式会社Ihi 遠心圧縮機及び遠心圧縮機の運転制御方法。
JP5029396B2 (ja) * 2008-02-06 2012-09-19 株式会社Ihi インレットガイドベーン及びターボ圧縮機並びに冷凍機
US9353765B2 (en) 2008-02-20 2016-05-31 Trane International Inc. Centrifugal compressor assembly and method
WO2010101426A2 (ko) * 2009-03-05 2010-09-10 주식회사 에어젠 기체 압축기 및 기체 압축기의 유량 제어 방법
CN102575685B (zh) * 2009-10-21 2015-08-12 开利公司 用于改进性能的离心压缩机部分负载控制算法
WO2012060825A1 (en) 2010-11-03 2012-05-10 Danfoss Turbocor Compressors B.V. Centrifugal compressor with fluid injector diffuser
WO2012077231A1 (ja) * 2010-12-10 2012-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心圧縮機
EP2655890B1 (en) 2010-12-22 2019-01-23 Danfoss A/S Variable-speed oil-free refrigerant centrifugal compressor with variable geometry diffuser
FR2975451B1 (fr) * 2011-05-16 2016-07-01 Turbomeca Procede de soufflage dans un diffuseur de turbine a gaz et diffuseur correspondant
CN103562561A (zh) * 2011-06-01 2014-02-05 开利公司 经济化离心压缩机
US10544791B2 (en) * 2011-12-01 2020-01-28 Carrier Corporation Centrifugal compressor startup control
TWI507606B (zh) 2012-01-20 2015-11-11 Ind Tech Res Inst 多容調離心式壓縮機及其控制方法
US9341193B2 (en) * 2013-04-04 2016-05-1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abin air compressor diffuser vane drive ring
CN104421209B (zh) * 2013-08-26 2017-0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调节器结构及离心式压缩机
WO2015030723A1 (en) 2013-08-27 2015-03-05 Danfoss Turbocor Compressors B.V. Compressor including flow control and electromagnetic actuator
TWI614410B (zh) 2013-12-17 2018-02-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進氣導葉組件
WO2015126393A1 (en) 2014-02-20 2015-08-27 Danfoss A/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entrifugal compressor
JP6256142B2 (ja) * 2014-03-26 2018-01-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遠心圧縮機
DE112015004006T5 (de) * 2014-10-07 2017-06-08 Borgwarner Inc. BYPASS-Ventil FÜR KOMPRESSOR
WO2016057262A1 (en) * 2014-10-08 2016-04-14 Borgwarner Inc. Variable turbine geometry turbocharger with a fixed vane flow control device
DE102015204466A1 (de) * 2015-03-12 2016-09-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mit zwei Verdichtern, Verfahren zum Nachrüsten
US10563673B2 (en) * 2016-01-12 2020-02-18 Daikin Applied Americas Inc. Centrifugal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US10352237B2 (en) 2016-05-26 2019-07-16 Rolls-Royce Corporation Diffuser having shaped vanes
CN107975498B (zh) 2016-10-24 2021-08-31 开利公司 用于离心压缩机的扩压器及具有其的离心压缩机
TWI607185B (zh) * 2016-12-09 2017-1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離心式壓縮機之調變機構
KR102655373B1 (ko) * 2017-09-25 2024-04-04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원심 압축기용 2 부품 분할 스크롤
US11268523B2 (en) * 2017-10-10 2022-03-08 Daikin Industries, Ltd. Centrifugal compressor with recirculation structure
RU2716940C1 (ru) 2018-02-09 2020-03-17 Кэрриер Корпорейшн Центробежный компрессор с рециркуляционным каналом
US10774676B2 (en) * 2018-05-29 2020-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variable inlet compressor
US10774677B2 (en) * 2018-05-29 2020-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variable inlet compressor
CN109404324A (zh) * 2018-12-17 2019-03-01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离心压缩机驱动机构
TWI692584B (zh) * 2019-11-05 2020-05-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離心式壓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931C (ko) *
DE538960C (de) * 1930-07-10 1931-11-19 Hans Heinzelmann Vorrichtung zur axialen Verstellung von Ringschiebern bei Kreiselpumpen
DE573559C (de) * 1930-08-07 1933-04-03 Guido Zerkowitz Dr Ing Leitrad fuer Kreiselradarbeitsmaschinen, dessen Beschaufelung in zwei oder mehrere in der Umfangsrichtung gegeneinander versetzte Teilkraenze zerlegt wird
NL225232A (ko) * 1958-01-20
US3138317A (en) * 1962-09-21 1964-06-23 Worthington Corp Surge control mechanism for turbomachinery
US3362625A (en) * 1966-09-06 1968-01-09 Carrier Corp Centrifugal gas compressor
BE793550A (fr) * 1971-12-29 1973-04-16 Gen Electric Pompe centrifuge a diffuseur reglable
JPS5414886B2 (ko) * 1973-05-23 1979-06-11
US3841789A (en) * 1973-09-17 1974-10-15 Gen Motors Corp Variable diffuser
JPS52158907U (ko) * 1976-05-28 1977-12-02
US4378194A (en) * 1980-10-02 1983-03-29 Carrier Corporation Centrifugal compressor
US4527949A (en) * 1983-09-12 1985-07-09 Carrier Corporation Variable width diffuser
DE3529281C1 (de) * 1985-08-16 1986-09-1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Richtungsaenderung eines durch den Einlass eines Verdichters eines Abgasturboladers einer Brennkraftmaschine eintretenden Luftstromes
JP2751418B2 (ja) * 1989-06-13 1998-05-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ターボ圧縮機のディフューザ
CN1056673A (zh) * 1990-05-20 1991-12-04 姚瑞霞 镁碳质耐火材料固体粉末结合剂
JP2891579B2 (ja) * 1991-11-29 1999-05-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軸流送風機のエアセパレータ
DE4238550A1 (de) * 1992-11-14 1994-05-19 Daimler Benz Ag Abgasturbolad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894B1 (ko) * 2005-12-17 2012-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축기의 능동 서지 및 스톨 제어 시스템
KR101342383B1 (ko) 2012-02-09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73453A1 (en) 2000-06-20
CN1178293A (zh) 1998-04-08
BR9703482A (pt) 1998-09-01
CA2205211C (en) 2002-07-09
DE69725212T2 (de) 2004-07-29
JPH1061587A (ja) 1998-03-03
AU2469797A (en) 1997-12-11
ES2206673T3 (es) 2004-05-16
EP0811770A1 (en) 1997-12-10
MX9704232A (es) 1997-12-31
MY125683A (en) 2006-08-30
JP3115846B2 (ja) 2000-12-11
CA2205211A1 (en) 1997-12-07
KR980003340A (ko) 1998-03-30
DE69725212D1 (de) 2003-11-06
TW369588B (en) 1999-09-11
EP0811770B1 (en) 2003-10-01
CN1097682C (zh) 2003-01-01
AU711217B2 (en) 1999-10-07
US5807071A (en) 1998-09-15
HK1004682A1 (en) 199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545B1 (ko) 원심 압축기용 가변 파이프 디퓨저
KR0142413B1 (ko) 팬 및 고정자를 갖춘 열 교환기 조립체
RU2394998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дачи воздуха, циркулирующего внутри вращающегося вала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US8147186B2 (en) Centrifugal compressor
JP2975008B2 (ja) 自由ロータ
JP5394509B2 (ja) 気体圧縮機
EP0971131A2 (en) Centrifugal blower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JP3091179B2 (ja) 位置決め駆動機構及びバックラッシ調整機構
CN106121737B (zh) 带有一体式旁通机构的可变叶片涡轮机喷嘴的涡轮增压器
US20180258842A1 (en) Adjustable-trim centrifugal compressor for a turbocharger
US5895204A (en) Drive positioning mechanism for a variable pipe diffuser
KR102215296B1 (ko) 컴프레서
US6554567B2 (en) Compliant mechanical stop for limiting split ring diffuser travel
GB2319809A (en) An enhanced map width compressor
RU2173797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компрессор
KR101080954B1 (ko) 기체 압축기 및 기체 압축기의 유량 제어 방법
KR101066968B1 (ko) 기체 압축기 및 기체 압축기의 유량 제어 방법
US5899661A (en) Axial restraint system for variable pipe diffuser
GB2412695A (en) Centrifugal compressor with multiple diffuser passages
JP2019173617A (ja) インレットガイドベーン及び圧縮機
EP0346456A1 (en) Regenerative rotodynamic machines
WO2020213151A1 (ja) 可変容量タービン及び過給機
CN116067048A (zh) 压缩机级间节流阀及其操作方法
MXPA98006324A (en) Mechanism of placement driver with adjustment of kickback for diffuser of variable pipes
JPH0533665A (ja) 排気ガスタービン過給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