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991B1 -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 Google Patents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991B1
KR101341991B1 KR1020110032079A KR20110032079A KR101341991B1 KR 101341991 B1 KR101341991 B1 KR 101341991B1 KR 1020110032079 A KR1020110032079 A KR 1020110032079A KR 20110032079 A KR20110032079 A KR 20110032079A KR 101341991 B1 KR101341991 B1 KR 101341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ulfur
hanwoo
mea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523A (ko
Inventor
김종덕
Original Assignee
예산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산군 filed Critical 예산군
Priority to KR102011003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99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분말과 유황을 함유한 한우용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건강한 한우를 사육하고 인류에 도움이 되는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Korean cattle feed}
본 발명은,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분말과 유황을 함유한 한우용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건강한 한우를 사육하고 인류에 도움이 되는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추가축을 비롯한 모든 동물의 사육은 최근에 이르러 기업화,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 밀집 사육을 할 수 있고, 또한 가축의 성장 속도를 증가시켜 원활한 식량자원의 공급을 위하여 사료 첨가제가 개발되었다.
사료 첨가제는 시판되는 가축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의 성장 속도를 증대시키고 밀집 사육으로 인한 가축들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으나, 종래의 사료첨가제는 대부분이 합성 항균제, 항생제, 방부제 및 탈색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축 사료에 첨가하는 성장촉진 항생물질(AGPs; Antibiotic Growth Promoters)은 인류의 식생활개선과 더불어 가축의 대량 생산에 따른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료에 적량을 사용함으로써 축산 발전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항생제 남용에 따른 논란이 크게 일면서 세계적으로 그 사용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는 2004년도부터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하여 2006년 1월부터는 사료 내 항생제 첨가를 전면 금지한 바 있으며, 각 국가별로 동물용 의약품 안전사용 기준을 강화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4년 12월부터 항생제 사용범위를 54종에서 25종으로 감축하여 향후 그 숫자를 점차 줄여나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농가에서도 미약하지만 가축의 사육 시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제조하여 투여하고 있으나, 항생제의 미사용으로 병원균에 대한 내성 저하와 폐사율 증가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 별도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육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항생제를 대처할 수 있는 항생물질이 함유된 사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최근 경제 발전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질병 치료와 건강보호를 목적으로 합성 물질보다는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 생약자원을 이용한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생약자원인 약용식물에는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독소, 효소 활성 촉진 유익 미생물 균총 유지, 면역활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데 동물체가 이를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 신진대사 촉진, 면역력 강화 등으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식욕 증진, 소화율 개선 등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능성 고기를 생산하여 인류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본 출원인은 사과분말과 유황을 함유한 한우용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쇠고기의 기능성 물질 함유를 도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인류 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하는 한우용 사료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과분말과 유황을 함유한 한우용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인류에 유용한 고기로 생산하기 위한 한우를 사육할 수 있는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반사료 99 중량%와, 사과분말 0.3 중량%와, 유황첨가제 0.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과분말와 유황을 함유한 한우용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인류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고기를 생산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우용 사료 제조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우용 사료 제조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우용 사료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법제유황과 규산염제(흑운모)를 1:2 비율로 배합하여 유황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S11)를 거친 후에, 상기 S11 단계에서 만들어진 상기 유황첨가제와 별도의 사과분말을 7:3 비율로 배합하는 단계(S12)를 수행하고, 이어 상기 S12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과 일반사료를 1: 99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한우용 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한우용 사료에는 사과분말 및 유황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사료와는 달리 친환경적이면서도 유기농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한 한우를 사육할 수 있어 양질의 한우 육질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한우용 사료는, 일반사료 99 중량%와, 사과분말 0.3 중량%와, 유황첨가제 0.7 중량%를 포함한다.
일반사료는 다음의 [표 1] 내지 [표 4]와 같다. 아래의 급여 기준은 하나의 예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표 1] 비육우 단계별 사료의 영양수준과 급여 기준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1

[표 2] 거세한우 육성기 사료 급여 기준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2

[표 3] 거세한우 비육전기 사료 급여 기준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3

[표 4] 거세한우 비육후기 사료 급여 기준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4

위의 급여 기준을 살펴본다. 비육기에는 저단백 고열량사료 CP 11~13%,TDN 71~73% 의 곡류위주 사료를 급여하면서 조사료의 급여량은 점차 줄여 줌으로써 농후사료를 더 많이 섭취케 하여 지속적인 증체와 육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표 1).
육성기는 젖뗀 후인 3~4개월령(체중 90~110㎏)부터 12개월령(체중 280㎏내외)까지를 말하며 이 시기는 뼈, 내장, 제1위 등 소화기관과 체성장이 활발할 때이므로 조단백질(CP) 함량이 14~16%로 높고, 에너지함량(TDN)이 68~70% 수준의 비타민, 무기물 등과 같은 영양소가 균형 있게 함유된 육성용 배합사료를 체중의 1.2~1.5%로 제한 급여하여 지나친 과비를 방지하고, 일당 증체량은 0.6~0.7㎏정도 되게 하여 튼튼한 비육밑소로 기른다(표 2).
비육전기는 생후 13개월령(체중 280㎏)부터 18개월령(체중 450㎏)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조사료 위주로 육성된 비육밑소가 본격적인 비육이 시작되어 근육과 체지방이 증가하는 기간으로 육성기 배합사료 제한급여에 다른 성장억제가 보상성장으로 이루어져 일당증체량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근육과 지방이 골고루 축적되도록 조단백질(CP) 11~12%, 가소화양분총량(TDN)이 71~72%인 큰소 비육전기사료를 1.7~1.8%로 제한급여 한다(표 3).
비육후기는 생후 19개월령(체중 450㎏)부터 출하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비육을 마무리하는 기간으로 근육 주위의 지방이 근육 속으로 골고루 축적되어 육질이 개선되도록 고에너지(열량)사료로 가소화양분 총량이 72~73%인 큰 소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다. 또한 비육후기에는 육질을 개선하기 위해 백색의 경성지방이 잘 축적되는 보리, 고구마와 같은 곡류를 급여하는 것도 좋다(표 4).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하여 본 실시예의 한우용 사료에서 일반사료가 결정될 수 있다. 실제, 본 실시예의 한우용 사료에서 일반사료는 대부분의 양인 99 중량%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사과분말은 0.3 중량%가 함유된다. 사과분말은 사과를 건조시킨 상태에서 믹서기로 갈아 만든 분말이다.
사과에는 섬유질과 말산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회분 단백질 등을 소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을 과육 100g중 비타민A 60g, 비타민B1 0.01mg, 비타민C 3∼8mg 내외 함유한다. 사과에 들어있는 식물성 섬유인 펙틴은 사과의 효능의 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펙틴이 대장암 예방. 배변촉진. 혈당량조절.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역할을 한다. 비만 당뇨환자 또는 대장암 치료환자. 동맥경화. 고혈압 환자들은 매일 사과를 먹는 것이 좋다고 알려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사과에는 구연산과 주석산이 있어서 피로물질을 제거 하는 효과가 있고, 껍질에 있는 펙틴이 장의 수분을 유지 하여 변비를 치유하며, 미네랄에 특히 많이 함유 되여 있는 칼륨은 체내의 나트륨을 조절하여 혈압의 정상유지를 돕는다. 그리고 사과는 효성이 높은 열량원이어서 체력회복에 크게 도움이 된다. 따라서 사과분말을 만들 때는 껍질 채 갈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유황첨가제는 0.7 중량%이 함유된다. 이때, 상기 유황첨가제는, 규산염제(흑운모) 66.7 중량%와, 법제유황 33.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흑운모에 대한 부연 설명이다. 흑운모 분포는 매우 넓고, 많은 화성암, 변성암에서 산출되며, 퇴적암에도 드물지 않다. 흑운모는 황토와 맥반석 보다 약 3배 이상 원적외선 방사율(94%)이 높으며 게르마늄 함유량이 36ppm에 이르는 생명의 돌로서 발암물질도 제거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예로부터 흑운모석을 약돌이라 부른다.
흑운모원석에는 게르마늄 36ppm 함유되어 예로부터 왕실이나 사대부에서만 알려진 신비의 광물로 인정되어 왔다. 인체의 실험결과 체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혈액순환과 만성기관지염, 신경성 위염과 허리, 궤양성 대장염, 빈혈, 동맥경화, 당뇨병, 관절염, 건경통, 요통등 노인병은 물론 각종 현대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오장을 안정시키고 눈을 밝게 해주며 피부를 튼튼하게 해주는 신비의 돌로 각광받고 있다.
법제유황에 대한 부연 설명이다. 유황에서 독을 뺀 것을 법제유황이라 한다. 이 법제유황을 나노분자로 분쇄한 것을 나노유황이라 하기도 한다. 나노분자로 곱게 분쇄하면 법제유황의 활용도보다 범위가 커지게 되는 것이며, 효능 또한 증가된다고 볼 수 있다.
법제유황은 현재 농가에서 유황에 석회를 섞어 합제비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산성화된 토지를 알칼리화하는데 있으며, 황토를 객토하는 효과와 같다고 한다. 또한, 땅속에 있는 해충을 없애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 이렇게 합제유황을 사용 할 경우 비용은 절감할 수 있지만 독성으로 인한 2차 오염이 우려될 뿐더러 많이 살포할 수 없기 때문에 농작물에서 얻어지는 유황에 의한 효과는 그리 크지 않다. 그렇지만 현재 축산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법제유황의 경우 99.99% 독성이 제거되고 유황의 함량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많은 양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만큼 유황에 의한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농업용으로서 어떠한 작물 및 동물에도 응용 가능한 것이 이 법제유황인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들을 갖는 재료들을, 일반사료 99 중량%와, 사과분말 0.3 중량%와, 유황첨가제 0.7 중량%를 섞되, 유황첨가제를 규산염제(흑운모) 66.7 중량%와, 법제유황 33.3 중량%로 만들어 제조함으로서 한우용 사료를 만들게 되면, 특히 사과분말 및 유황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인류 건강를 증진 할 수 있는 물질이 높아지는 한우를 사육할 수 있게 된다.
인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물질은 오메가-3 지방산(LNA)으로 실험결과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오메가-3 지방산은 생선기름, 콩기름, 모유 등에 많이 들어 있는 지방산으로 인체 안에서 세포를 보호하고, 원활한 신진대사 촉진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검증방법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1) 시험구 배치
□ 본 시험의 시험구배치는 3처리 3반복 난괴법 배치로 처리구는 T1은 대조구로 무처리를 주었으며, T2 처리구는 유황 첨가제 0.3%와 사과분말 0.7%를 첨가하였으며, T3 처리구는 유황 첨가제 0.7%와 사과분말을 0.3%를 첨가하였음
2) 시험 사료
□ 본 시험에 첨가하는 첨가제인 사과분말, 유황첨가제 및 완전배합발효(TMF) 사료는 2세부과제에서 중금속, 유해물질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검정하였음
□ 시험사료의 일반성분 함량은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표 5] 시험사료 분석결과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5

3) 공시축
□ 본 시험은 25개월령 거세 한우 36두를 선발하여 2주간 예비시험을 한우 공시축으로 이용하였음
- 거세한우는 우방당 4두를 배치하였으며, 처리구는 3개의 블락을 두어 총 9개 우방을 사용하였음
4) 시험기간
□ 본 시험은 2010년 4월에 개시하여 2010년 8월에 종료하여 113일 비육하였다. 비육기간 중에 사료와 물은 무제한으로 급여하였음
5) 가축 생산성
□ 사료는 매일 급여량에 잔량을 조사하여 섭취량 측정함
□ 사료요구율은 사료섭취량을 일당증체량으로 나누어 계산함
□ 한우의 체중은 체중계를 이용하여 시험개시일, 2개월후, 시험종료일에 측정하여 일당 증체량을 계산함
6) 사료 및 육질분석
□ 첨가제의 배합은 농후사료에 각 시험구 수준에 따라 사과분말 및 유황첨가제를 배합하였고, 완전배합발효사료를 함께 한우에 급여를 하였음
□ 시험사료의 일반성분 함량은 1주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일반성분(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AOAC(1995)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음
□ 체중은 개체선발을 통하여 시험개시일, 중간일, 종료일 개체별로 1개월 간격으로 조사하였으며, 사료섭취량은 매일 오전사료 급여전에 잔량을 측정하여 급여량에서 잔량을 공제하여 계산하였다.
□ 도체조사는 사양시험이 종료된 공시축을 도축장으로 출하하여 도축 후, 0℃에서 18∼24시간 동안 도체를 현수시킨 후 육량판정요인(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과 육질판정요인(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을 축산물 등급판정 세부기준(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 2009-344호)에 준하여 축산물등급판정사가 평가하였다.
□ 육량지수는 소를 도축한 후 2등 분할된 왼쪽 반도체에 흉추와 제1허리뼈요추 사이를 절개한 후 등심쪽의 절개 면으로 측정하여 산정했다.
- 등지방 두께는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적의 오른쪽 면을 따라 복부쪽으로 3분의 2 들어간 지점의 등지방을 ㎜단위로 측정하고, 배최장근단면적은 등심쪽의 절개면에서 가로, 세로가 1㎝단위로 표시된 면적자를 이용하여 배최장근의 단면적을 ㎠단위로 측정했으며, 도체중량은 도축장에서 도체 한 마리 분의 중량으로 했다.
□ 소 도체의 육질등급판정 중 근내지방도는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에 나타난 지방분포정도로 1++등급은 근내지방도 번호 8 또는 9, 1+등급은 6 또는 7, 1등급은 4 또는 5, 2등급은 2 또는 3, 3등급은 근내지방도 번호 1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정했고, 육색은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의 고기색깔을 육색기준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하고, 지방색은 등급판정 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의 근내지방, 주위의 근간지방과 등지방의 색깔을 지방색기준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하며, 조직감은 등급판정부위에서 배최장근단면의 보수력과 탄력성을 조직감 구분기준에 의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했으며, 성숙도는 왼쪽 반도체의 척추 가시돌기에서 연골의 골화정도 등을 성숙도 구분기준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기준의 번호로 판정했다.
□ pH 측정은 근막, 지방 등을 제거한 후 세절한 시료 3g을 pH 6.8의 증류수 27㎖와 함께 균질기로 14,000rpm에서 10초간 균질하여 pH meter로 측정하였다.
□ 수분은 102 ㅁ 2℃의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 후 중량을 측정하여 건조 전 시료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 육색은 Chromameter를 이용하여 5회 반복하여 측정하며, CIE (Commi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로 나타내고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값을 측정하였다. 이 때 L*값이 89.2, a* 값이 0.921, b*값이 0.783인 표준색판을 사용하여 표준화한 다음 측정하였다.
□ 전단력(shear force value)은 등심근을 72℃로 가열한 후 원통형 표면 채취기로 시료를 채취하여 전단력측정기로 원통형 시료를 원통형 축과 수직으로 자를 때 필요한 최대 힘을 측정하였다.
□ 보수력(water-holding capacity, WHC)은 Hofmann 등 (1982)의 여지압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plexi-glass plate (11.5ㅧ5.0ㅧ0.8㎤) 위에 놓인 여과지 (No. 2, Whatman Inter-national Ltd, England) 의 중앙에 시료 0.3g을 올려놓고 나머지 plexi-glass plate로 덮은 다음 동일한 힘으로 나사를 조여 5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digitizing area-line meter를 이용하여 내부의 시료면적과 총 면적을 측정한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 가열감량(cooking loss)은 일정한 크기로 등심근을 잘라내어 무게를 잰 후 polyethylene bag으로 육표면이 닿지 않도록 싼 후 밀봉하여 항온수조에 넣어 가열한다. 수조 내 시료의 심부온도가 70℃일때 꺼내어 냉각시킨 후 감량된 무게를 측정하여 처음 중에 대비하여 백분율로 산출한다.
□ 콜라겐 함량의 정량은 Woessner(1961)의 방법에 따라서, 콜라겐의 가열용해성은 Hill(1966)의 방법으로, 염용성 콜라겐의 함량은 Ruantrakool과 Chen(1986)의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 지방산 조성 분석을 위해 Folch 등(1957)의 방법에 의해 추출한 지질을 AOAC(1995)의 방법에 의해 fatty acid methyl este화 시킨 후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fatty acid methyl ester standard의 retention time과 비교하여 지방산 함량을 정량 하였다.
□ 아미노산 조성 분석은 시료 100㎎에 6N-HCl 3㎖를 첨가한 후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밀봉하였다. 110℃에서 24시간동안 가수분해 시킨 후 여액을 농축하고 염산가스를 제거하였다. sodium citrate buffer 5㎖를 첨가한 후 0.2㎛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시료를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로 분석하였다.
□ 본 시험의 결과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6.12 USA, 2000)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성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5%)로 하였다.
- 결과분석
1) 가축 생산성
□ 사과분말 및 유황첨가제를 4개월간 한우에 시험한 결과 한우의 생산성은 [표 6]에 제시됨
- 공시한 한우의 개시체중은 평균 635.5kg 이었으며, 종료시 체중은 T1, T2 및 T3 처리구가 각각, 717.0kg, 719.0kg 및 722.4kg으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특히 T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체중이 증가하였음
- 한우의 일당증체량도 T1, T2 및 T3 처리구가 각각 694g, 736g 및 745g 으로 T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일당증체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한우의 1일 두당 사료섭취량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요구율은 유황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낮아져서 사료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남
[표 6] 사과분말 및 유황 첨가가 가축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6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한우의 생산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가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이 좋았으며, 특히 유황첨가제 0.7%와 사과분말 0.3%를 첨가한 T3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 도체 분석
□ 사양시험을 종료한 한우의 도체분석 결과는 [표 7]에 제시되어 있음
- 도체율은 T1, T2 및 T3 처리구가 각각 60.7%, 68.8% 및 66.0%로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가 높게 나타남
□ T2 처리구가 T3 처리구보다 도체율이 높게 나타남
- 쇠고기의 등지방두께는 T2 처리구가 17mm로 T1과 T3의 15mm 보다 두껍게 나타남
- 쇠고기의 배장근 단면적은 T1, T2 및 T3 처리구가 각각 96cm2, 87cm2, 및 91cm2로 대조구가 높게 나타남
□ 한우의 육량지수 및 육량등급은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남
[표 7] 사과분말 및 유황 첨가가 한우의 육량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7
□ 도체시 한우의 육질 분석을 위하여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를 평가하였음
- 한우 도체육의 육질은 T1, T2 및 T3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결론적으로 한우의 생산성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향상되었으나 도체성적은 처리간에 차이가 적거나 없어 육질 세부분석에 의하여 한우의 육질을 최종 평가하였음
[표 8] 사과분말 및 유황 첨가가 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8

4) 육질 분석
□ 한우 등심의 수분, pH, 조지방, 가열감량 및 콜라겐 함량은 <표 24>에 나타나 있음
- 처리간의 비교에서 T3 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T2에 비해 약 10% 가량 높아 1++과 1 등급 차이를 나타냄
□ 이러한 이유로 T3 처리구의 가열감량(cooking loss)이 가장 낮았음
- 등심의 pH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콜라겐 함량은 T2에서 가장 낮았고, 용해성(가용성) 콜라겐 함량도 높아 T3 처리구보다 우수함
□ 이상의 결과에서 도체 등급의 결과는 다른 육질 특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T3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됨
- 근내지방 1%을 증가 시키는데 평균 약 1개월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T3의 처리 효과는 대단히 큰 것으로 평가됨
[표 9] 사과분말 및 유황 첨가가 쇠고기의 수분함량, pH, 조지방, 가열감량 및 콜라겐 함량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11025278954-pat00009

□ 한우 등심의 육색 및 전단력은 위의 표 9에 나타나 있음
- 육색은 적색도(a*)에서 T2가 높았고, 명도(백색도, L*)는 T3이 높게 나타나 T3에서 근내지방이 높은 결과로 판단됨
□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적색도가 높은 근섬유에서 근내지방 침착도가 높은 경향이 있으나, 본 결과는 근내지방도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됨
- 전단력은 T1에서 3.68kg으로 가장 높았고, 시료를 절단하는데 필요한 총 에너지 값 역시 0.15J로 가장 높았음
□ 연도를 중심으로 본다면 전반적으로 소비자 기호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준으로 판단됨
- 특히 T1의 경우 근내지방도가 T2보다 높아 더 낮은 전단력이 예상되었으나 T1의 전단력이 높게 나타남
□ T3처럼 근내지방도가 높은 처리구에서는 전단력에 높은 영향을 미치지만 상대적으로 T1과 T2와 같은 수준에서는 큰 영향이 없었음을 나타내고 있음
[표 10] 사과분말 및 유황 첨가가 쇠고기 등심의 육색과 전단력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11025278954-pat00010

- 등심의 지방산 함량
□ 한우 등심의 지방산 함량은 [표 10]에 나타나 있음
- 지방산의 경우 불포화지방이 T1, T2 및 T3 처리구에서 각각 53.08%, 51.03%, 50.67%로 T1(대조구)이 T2 및 T3 처리구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게 나타남
[표 11] 사과분말 및 유황 첨가가 쇠고기 등심의 지방산함량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11025278954-pat00011

- 반면 필수지방산은 T1, T2 및 T3 처리구에서 각각 2.51%, 3.41%, 3.27%로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게 나타남
-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 필수지방산의 함량도 T1, T2 및 T3 처리구에서 각각 0.04%, 0.07%, 0.06%로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 향미에 중요한 올레인산(C18:1n-9)은 T1에서 44.6%로 41.8%인 T3와는 약 3%의 차이가 있음
- 이와 반대로 다가 불포화 지방산(C18:2n-6, C18:3n-9) 은 T2와 T3에서 높게 나타남
-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인, 리놀에닉 및 아라치도닉산에서는 T1이 각각 2.39, 0.12, 0.09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유사하거나 낮게 나타남
- 올레인산(C18:1n-9), 리놀레인산(C18:2n-6), 리놀레닉산(C18:3n-3)을 첨가했을 때 쇠고기나 사과에서 고기향으로 알려진(Gasser와 Grosch, 1988; Valim 등, 2003) bis(2-methyl-3-furyl) 2가 각각 이러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황(disulfide)의 성분이 3, 5, 10배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특히 올레인산은 가열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변패취의 발생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오메가 지방산의 분해(예, 리놀레닉산, 18:3-n3)의 분해는 더 많은 향기성분을 발상시키지만 오메가 9의 지방산(예, 올레인산, C18:1-n9)의 분해물에 비해 변패취(off-flavor)를 더 많이 유발함(Elmore 등, 2002).
- 또한 올레인산(C18:1n-9)은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어주는 기능이 있음
- 많은 양의 올레인산을 섭취하여도 혈액 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많은 양의 올레인산 섭취는 LDL의 산화를 막아 동맥경화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Bruce McDonald, 1991)
- 본 시험의 지방산 분석에서 이중 결합이 한 개인 올레인산은 대조구인 T1처리구가 시험구보다 높았으나, 이중결합이 2개와 3개인 리놀레닉과 리놀레닉산 함량은 시험구인 T2과 T3 처리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성인병과 황산화 효과가 좋은 오메가 3 지방산인 리놀리넥산은 T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남
- 이는 T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산화가 덜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11 : 제1 단계
S12 : 제2 단계
S13 : 제3 단계

Claims (3)

  1. 일반사료 99 중량%와, 사과분말 0.3 중량%와, 유황첨가제 0.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2. 삭제
  3. 삭제
KR1020110032079A 2011-04-07 2011-04-07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KR101341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79A KR101341991B1 (ko) 2011-04-07 2011-04-07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079A KR101341991B1 (ko) 2011-04-07 2011-04-07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23A KR20120114523A (ko) 2012-10-17
KR101341991B1 true KR101341991B1 (ko) 2013-12-16

Family

ID=472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079A KR101341991B1 (ko) 2011-04-07 2011-04-07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46B1 (ko) 2020-03-24 2020-11-20 대명에이지 영농조합법인 한우용 사료 조성물
KR102645287B1 (ko) 2023-05-31 2024-03-08 한기웅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905B1 (ko) * 2017-06-26 2019-08-13 김창훈 법제유황을 포함하는 보조 사료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782A (ja) 2001-03-13 2002-09-17 Shiraishi Calcium Kaisha Ltd 液体混合飼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782A (ja) 2001-03-13 2002-09-17 Shiraishi Calcium Kaisha Ltd 液体混合飼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46B1 (ko) 2020-03-24 2020-11-20 대명에이지 영농조합법인 한우용 사료 조성물
KR102645287B1 (ko) 2023-05-31 2024-03-08 한기웅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23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CN105166482A (zh) 鸡饲料
KR101909002B1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Majdoub-Mathlouthi et al. Carcass traits and meat fatty acid composition of Barbarine lambs reared on rangelands or indoors on hay and concentrate
CN107149046A (zh) 功能性复合膳食纤维、制备方法及应用
CN104171369A (zh) 一种添加桑叶粉和桑枝灵芝下脚料粉的畜禽饲料及其用途
Worku et al. Comparative slaughter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Rutana, Gumuz and Washera sheep of Ethiopia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of concentrate
KR101341991B1 (ko)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KR100843625B1 (ko)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
CN104247859A (zh) 一种桑叶猪饲料添加剂
JP2004141145A (ja) 飼料用添加物
KR100911279B1 (ko) 무항생제 사료조성물
CN106212903A (zh) 育肥羊饲草型全价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
Stojčić et al. Influence of rearing system and nettle supplementation (Urtica dioica) on the carcass trai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edbro broilers
Modisaojang-Mojanaga et al. Mineral composition of Moringa oleifera leaf meal (MOLM) and the responses of Ross 308 broilers to MOLM supplementation.
Tirajoh et al. Evaluation of nutritive values of Papua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sp) and its substitutive effect for yellow corn on broiler performances
Chima Effect of basil leaf (Ocimum gratissimum) supplement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growing pullets
KR20130036935A (ko)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Maung et al. Effects of supplementing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a) to basal diet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s digestibility of broiler chickens
Nickolova et al. Influence of Tribulus terrestris extract supplementation on laying productivity and eggs quality in Japanese quails
Abdelati et al. Influence of feeding processed pigeon pea (Cajanus cajan) seeds on broiler chick performance
Epler et al. Effect of feeding sunflower and linseed oil in pelleted mixtur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carp meat and fatty acid profile.
KR100401486B1 (ko)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Jankowski et al. Whole grain in turkey nutrition. Part 2: Production results in different feeding systems
KR100680308B1 (ko) 감초 추출액이 첨가된 쑥 또는 산약 부산물을 이용한 육질개선용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질개선용 가축사료첨가제 및 상기 가축사료첨가제를 급여하여 생산된 한우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