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486B1 -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486B1
KR100401486B1 KR10-2001-0028502A KR20010028502A KR100401486B1 KR 100401486 B1 KR100401486 B1 KR 100401486B1 KR 20010028502 A KR20010028502 A KR 20010028502A KR 100401486 B1 KR100401486 B1 KR 10040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products
feed
weigh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722A (ko
Inventor
국길
신관표
김광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현
국길
신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현, 국길, 신관표 filed Critical 김광현
Priority to KR10-2001-002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4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의 한우육 및 그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공반추위(in vitro) 배양시험을 실시함으로써 배양시 가스발생량 변화, pH변화, 암모니아 농도 변화, 휘발성지방산 함량 및 건물소화율의 변화를 조사하여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을 결정하고, 한우에 급여함으로써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이 증가되어 기호성과 사료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를 도축하여 획득한 한우육은 등심단면적의 증가, 등지방두께의 감소, 근내지방도 증가 및 조직감의 개선으로 육질등급이 향상되고 단백질 및 불포화지방산이 증가되고,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은 감소된 고품질의 한우육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high quality meat by fed by-product of browon seaweed}
본 발명은 미역부산물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미역부산물을 이용한 완전혼합(Total mixed ration, TMR)사료를 제조하여 한우에게 이를 급여함으로써 등지방두께가 감소되어 육량등급이 향상되고,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 단백질 및 불포화지방산이 증가되고, 콜레스테롤 함량과 포화지방산이 감소되어 육질등급이 향상된 한우육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완전혼합(Total mixed ration, TMR)사료란 일일 소가 요구하는 생산능력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농후사료와 조사료 그리고 광물질 및 각종 비타민제를 혼합한 형태로 사료원료를 편식하지 못하도록 혼합하여 자유급이하는 사료이다. 완전혼합사료는 영양학적으로나 소화생리학적으로 완전 것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생산능력을 극대화시키고 사양의 불합리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완전혼합(Total mixed ration, TMR)사료의 근본원리는 조사료와 농후사료를 혼합하여 급여함으로써 반추위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고, 기호성이 좋은 사료와 기호성이 떨어지는 값싼 농산부산물을 혼합·급여하여 사료 원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미역은 갈조류의 곤포과에 속하는 해초로서 알칼리성이 강한 식품으로 사람에게 있어 피를 맑게 하며 성인병을 방지하는 건강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고전 문헌자료에서는 미역에 대한 효능으로 12가지 수종, 영류(혹), 누창(감주)을 낫게 하며(약학대사전), 적취를 제거하고(의방유취),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부은 것을 내리고 악창을 낫게 하며(약성본초), 영류처럼 뭉처있는 병을 없애며, 돌처럼 굳어 있는 것도 물렁물렁하게 만든다(본초경소론)고 전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체르노빌 원전사고 피해자들의 임상시험을 통해 체내 유해물질의 분해효과로 유해중금속의 체내축적을 방지 및 방사선 등의 흡수 억제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또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체외배출 효과와 비만과 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역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질 함량이 12.3%, 조지방 함량이 1.2%, 조회분 36.4% 그밖의 미량광물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그중 식물섬유의 중간 다당류이며 식물성 섬유질인 셀룰로오스와 동물성 섬유질인 키틴질과 비견되는 알긴산이 20% 함유되어 있어 반추동물의 사료로써 높은 잠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미역은 연간 약 22∼30 만톤 정도이나, 이중 식용으로 가공하고 폐기되는 양이 약 10만톤 정도이다. 폐기되는 미역을 가축의 사료로 이용한다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겠으나, 실제로는 미역에 다량의 염분이 포함되어 있어,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데는 염분 제거를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착안하여, 염장미역 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Total mixed ration, TMR)사료를 인공배양액의 기질로 사용하여 미역 부산물의 적정혼합 수준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비육중인 한우에 급여하여 사양시험을 통해 사료의 기호성과 증체량을 분석하고, 도축후 혈액성상과 반추위내 발효특성, 도체특성, 육의 이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 그리고 관능평가을 실시하여 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역부산물을 적정수준으로 혼합한 완전혼합(TMR)사료를 급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식육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품질의 식육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완전혼합사료에 미역부산물의 수준을 달리하여 첨가하고 이를 인공타액과 한우의 제1위액을 혼합하여 인공반추위(in vitro) 배양시험을 통하여 가스발생량, pH, 암모니아 농도, 총휘발성지방산의 함량 및 개별 휘발성지방산의 조성 그리고 건물소화율을 분석하여 완전혼합사료에 첨가할 미역부산물의 적정 첨가수준을 결정하고 이를 비육중인 한우에 대조구(미역부산물 무첨가구)와 3중량% 첨가구(미역부산물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미역부산물 5중량% 첨가구)로 나누어 사양시험을 실시하여 기호성과 증체량을 조사하며 사양시험 종료후 도축하여 혈액성상과 반추위내 발효특성, 도체성적, 산육성적, 육질특성과 관능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도 1은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량에 따른 가스발생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량에 따른 pH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량에 따른 총휘발성지방산 함량, 초산, 프로피온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량에 따른 뷰티릭산 함량, 기타산의 함량과 초산과 프로피온산의 비율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량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량에 따른 건물소화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완전혼합사료에 미역부산물을 수준별로 첨가하고 기질로 사용하여인공반추위 배양시험을 실시함으로써 한우에 급여할 완전혼합사료의 미역부산물의 적정 첨가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가스발생량의 변화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pH 변화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총휘발성 지방산 함량 및 개별 휘발성지방산 조성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의 암모니아 농도를 채니(Chaney)와 매배치(Mabach)법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건물소화율의 변화를 조사하는 단계; 미역부산물을 0중량%, 3중량% 및 5중량% 수준으로 첨가하여 완전혼합사료를 제조하여 한우에게 사양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을 혼합한 TMR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을 혼합한 TMR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반추위내의 발효특성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을 혼합한 TMR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중의 혈당, 혈중요소태질소, 알부민, 글로부린, 크레아틴, 콜레스테롤, 총단백질, 칼슘 및 인등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을 혼합한 TMR사료를 급여한 한우를 농림부 고시의 도체등급판정기준에 따라 도체성적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을 혼합한 TMR사료를 급여한 한우 도체육의 산육성적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을 혼합한 TMR사료를 급여한 한우육의 이화학적 성분인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을 AOAC법으로 분석하고, pH, 육색, 가열감량, 연도,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을 혼합한 TMR사료를 급여한 한우육의 지방산 조성을 폴치(Folch)와 모리슨과 스미스(Morrison과 Smith)방법에 따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미역부산물을 혼합한 TMR사료를 급여한 한우육을 9점법에 의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단계에서 사용한 미역부산물은 식용으로 가공후 폐기된 염장미역을 사용하였다.
상기 단계의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AS 패키지 프로그램(1988)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처리구간의 평균은 던칸(Duncan) 다중검정방법으로 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한우의 사양시험에 사용한 공시동물은 한우암소(1산)로서 평균체중 400±15.0kg인 15두를 공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TMR)사료 제조 및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
한우에 급여할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미역부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완전혼합(TMR)사료의 배합비는 표 1과 같다. 표 1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완전혼합(TMR)사료에서 에너지 사료로는 곡류사료인 분쇄된 옥수수와 강피류 사료인 대두피를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사료로는 대두박을 사용하였으며, 보충사료로는 광물성사료인 석회석과, 과학사료인 비타민·미네랄 복합제를 사용했다. 섬유질 사료로는 발효톱밥과 깻묵을 사용하였다.
완전혼합사료의 배합비
원료사료명 함 량(중량%)
분쇄 옥수수 65.0∼75.0
소맥피 9.0∼10.0
대두박 6.0∼7.0
대두피 3.0∼4.0
석회석 1.0∼2.0
발효 톱밥 3.0∼5.0
깻묵 3.0∼5.0
비타민·미네랄 복합제1) 0.4∼0.7
[주 1]비타민·미네랄 복합제 -- 비타민 A: 2,650 IU, 비타민 D3: 530,000 IU, 비타민 E: 1,050 IU, 망간: 4,400 mg, 아연: 4.4 mg, 철: 13,200 mg, 이오늄: 440 mg, 코발트: 440 mg, Ao: 10,000 mg.
상기 완전혼합사료에 첨가되는 미역부산물의 적정 첨가수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인공반추위 배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인공반추위 배양시험의 배양기질로 사용될 완전혼합사료는 사료분쇄기를 이용하여 1mm 이하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구(0%)와 미역부산물 2중량%, 3중량%, 4중량%, 5중량% 첨가수준으로 나누어 0, 1.5, 3, 6, 12,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가스발생량, pH, 총휘발성지방산 함량 및 개별 휘발성지방산 조성, 암모니아 농도 그리고 건물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한우의 급여에 알맞은 적정수준을 결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역부산물은 미역가공 공장에서 식용으로 이용하고 폐기된 염장미역으로써 수분 함량이 80% 정도였다. 상기의 미역부산물을 운반 후 미역절단기을 이용하여 2∼3㎝ 길이로 절단하여 열풍건조기로 60℃에서 70% 정도의 수분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자연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17∼18% 정도로 준비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때 미역부산물의 염분 함량은 20% 였다.
인공반추위 배양시험에 사용되는 인공타액은 맥도갈(McDougall, 1948)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1위액은 도축장으로부터 채취하여 보온병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한 후 4겹의 가제로 거른 후 408x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사료입자를 제거하고 이산화탄소 가스를 지속적으로 주입하여 사용하였다.
인공반추위 배양은 250ml의 배양병에 상기 완전혼합(TMR)사료 5g에 미역부산물의 수준을 달리하여 첨가한 후, 상기 인공타액 100ml과 제 1위액 100ml을 넣고 환원장치에서 산소가 제거된 이산화탄소 가스로 충분히 혐기적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50cc 주사기가 장착된 고무마개로 단단히 밀봉한 뒤 39℃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 미역부산물 첨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가스발생량의 변화 조사
상기 실시예1에서 실시한 인공반추위 배양시 가스발생량의 변화를 50cc 주사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추동물의 제1위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반추위미생물에 의해 사료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주로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가 발생되는데 사료의 소화율이 증가하면 메탄생성량도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초기(0-6시간)는 미역부산물의 2중량%, 3중량%, 4중량%, 5중량%에서 가스발생량이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이었고, 12시간에는 3중량% 첨가수준이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그리고 24시간에는 3중량%와 4중량% 미역부산물 첨가수준이 대조구보다 높은 가스발생량을 나타냈다. 특히 24시간에는 대조구와 2중량%, 3중량%, 4중량%, 5중량%가 각각 108.0ml, 85.0ml, 164.0ml, 142.5ml, 58.3ml로 3중량%와 4중량%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한 반면에 5중량%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초기는 반추위 미생물이 새로운 환경과 기질에 적응하고 분해가 빠른 가용성 당 등이 주로 분해되는 시기로 첨가된 미역부산물에 의한 가스발생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배양후기에는 첨가된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량도 달랐는데 특히 3중량%와 4중량%의 미역부산물 첨가가 미생물 증식에 풍부한 기질을 제공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 미역부산물 첨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pH의 변화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실시한 인공반추위 배양시 pH 변화를 pH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역부산물의 첨가에 의한 pH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배양 6시간까지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양 12시간에 대조구와 2중량%, 3중량%, 4중량%, 5중량%가 각각 6.60, 6.56, 6.67, 6.40, 6.48으로 3중량%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배양 종료 24시간까지 지속되었다. 일반적으로 반추위액의 pH는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데, 이는 휘발성지방산(VFA)생성량의 증가 때문이며, 섬유소소화에 적합한 적정범위는 6.0∼6.8를, 단백질 합성에 적합한 범위는 6.3∼7.4를 그리고 암모니아 생성에 적합한 범위는 6.2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서 pH범위는 배양 12시간에 6.40∼6.69의 범위로 주로 섬유소소화에 적합한 수준으로 첨가한 미역부산물이 소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3 : 미역부산물 첨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휘발성지방산의 변화 조사
상기 실시예1의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휘발성지방산 함량과 조성을 조사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라 배양액을 10ml를 취하여 4℃에서 17,000x g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이용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휘발성지방산은 반추위내에서 미생물이 사료를 이용할 때 생성되는 최종분해산물로서 반추동물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데 반추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에너지의 70∼80%가 휘발성지방산으로 전환된다. 일반적으로 농후사료의 급여비율이 높으면 프로피온산의 비율이 증가하고 조사료의 급여비율이 높으면 초산의 비율이 증가한다.
실험결과, 도 3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총휘발성지방산 함량은 배양초기에는 처리간에 차이는 없었다. 배양 6시간에 대조구와 2중량%, 3중량%, 4중량%, 5중량%가 각각 75.68mM/L, 74.01mM/L, 84.71mM/L, 70.36mM/L, 78.04mM/L로 2중량%와 4중량%는 대조구보다 낮았고, 3중량%와 5중량%는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배양종료까지 지속되었다. 특히 배양 12시간에는 3중량%와 5중량%가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배양 24시간에는 2중량%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개별휘발성지방산에 있어 초산 비율은 배양초기에 (0-3시간)에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 12시간과 24시간에 2중량%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프로피온산 비율은 초산과는 상반되는 경향으로 2중량%에서 배양 12시간과 24시간에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A/P비율의 변화에서도 배양 24시간에 2중량%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액의 기질이 완전혼합(TMR)사료로서 섬유질 함량이 높았고, 배양후기에 미역의 주요 성분인 알긴산의 분해 작용이 활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미역부산물의 2중량% 첨가수준에서 초산비율이 높았던 것은 미역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알긴산의 분해에 의한 것으로 알긴산은 식물성 섬유질인 셀룰로오스나 동물성 섬유질인 키틴질과 비교되는 성분으로 반추동물의 사료로써 잠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 미역부산물 첨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암모니아 농도의 변화 조사
상기 실시예1의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암모니아농도를 조사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라 배양액을 10ml를 취하여 4℃에서 17,000x g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이용하여 채니와 매배치(Chaney와 Mabach, 1962)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반추위내에서 암모니아는 제 1위내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의 질소공급원으로 사료내 단백질 분해가 활발할 때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한다.
실험결과,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초기(0-3시간)에는 처리간에 유의적 (p<0.05)인 차이는 없었으나, 배양 6시간과 12시간, 24시간에 3중량%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암모니아가 제1위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미생물 단백질로 전환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질소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배양액내 미생물의 성장에 암모니아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암모니아 농도가 낮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5 : 미역부산물 첨가에 따른 인공반추위 배양시 건물소화율의 변화 조사
상기 실시예1의 인공반추위 배양시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에 따른 건물소화율은 TMR사료와 미역부산물을 나일론 백에 담아 24시간 동안 소화율을 측정하였다. 반추위내에서 사료의 분해는 반추위미생물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가용성 당과 전분의 소화가 빠르고 섬유소의 분해는 서서히 이루어진다. 특히 섬유소 분해는 약 12시간의 휴지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반추위미생물이 섬유소에 부착하는 시간과 반추작용에 의한 섬유소의 물리적 손상 때문이다.
실험결과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4시간 동안 배양 후 건물소화율은 대조구와 2중량%, 3중량%, 4중량%, 5중량%가 각각 53.17%, 57.68%, 73.46%, 64.35%, 55.32%를 나타냈는데, 3중량%와 4중량%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3중량% 미역부산물의 첨가수준은 가스발생량의 증가와 pH의 감소, 총휘발성지방산의 증가와 암모니아 농도 감소 등으로 볼 때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의 활발한 성장에 의해 건물소화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육 생산
한우 암소 15두를 대조구와 미역부산물을 3중량%, 5중량% 각각 혼합한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의 3개 처리구를 공시하여 비교하였다. 시험배치 및 처리내용은 표 2에 나타낸바와 같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표 3과 같이 미역부산물을 3중량%와 5중량% 수준으로 사료혼합(TMR)배합기를 이용하여 완전혼합(TMR)사료를 제조하였으며 그 화학적 성분은 AOAC(1996)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는데 미역부산물의 첨가로 인해 조섬유와 인 그리고 칼슘의 함량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분쇄 옥수수 사용량 감소에 의해 가소화영양소 총량은 대조구가 72.04%, 3중량% 첨가구가 72.01%, 5중량% 첨가구가 72.00%로 미역부산물 첨가로 인해 약간 낮게 나타났다.
시험구 배치 및 처리내용
시험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시험구 배치수 5 5 5
처리 내용 0%미역부산물 3중량%미역부산물 5중량%미역부산물
시험사료의 배합비 및 화학적 조성
시험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원료사료명
분쇄 옥수수 71.58 68.58 65.58
소맥피 9.60 9.60 9.60
대두박 6.67 6.67 6.67
대두피 3.33 3.33 3.33
석회석 1.67 1.67 1.67
발효 톱밥 3.33 3.33 3.33
깻묵 3.33 3.33 3.33
미역부산물 0.00 3.00 5.00
비타민·미네랄 복합제1) 0.49 0.49 0.49
100 100 100
화학적 조성 (%)
수분 11.84 11.53 11.25
조단백질 15.96 16.27 15.30
조지방 3.52 3.23 3.86
조섬유 14.95 15.72 16.45
조회분 6.20 7.43 6.35
칼슘 0.74 0.89 1.09
0.44 0.43 0.43
가소화영양소 총량 72.04 72.01 72.00
[주 1]비타민·미네랄 복합제-비타민 A: 2,650 IU, 비타민 D3: 530,000 IU, 비타민 E: 1,050 IU, 망간: 4,400 mg, 아연: 4.4 mg, 철: 13,200 mg, 이오늄: 440 mg, 코발트: 440 mg, Ao: 10,000 mg.
실험예 1 :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미역부산물을 급여한 한우의 체중 및 사료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체중측정은 시험개시시와 시험종료시 측정하였으며, 사료섭취량은 매일 아침 사료를 급여하기 전에 전날에 급여한 사료의 잔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1.02kg, 1.03kg, 0.90kg로 미역부산물 3중량% 첨가구가 약간 증가한 반면에 5중량% 첨가구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8.25kg/일, 8.25kg/일, 6.85kg/일로 미역부산물 3중량% 첨가구는 대조구와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사료효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0.12kg/일, 0.13kg/일, 0.13/kg/일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완전혼합사료에 3중량%의 미역부산물의 첨가는 향과 기호성에 있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에 5중량%의 미역부산물의 첨가는 미역자체내에 함유된 염분의 농도의 증가로 기호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대조구보다 3중량% 미역부산물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미역부산물을 첨가함으로써 양호한 증체량의 개선과 사료효율의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처리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시험 개시체중(kg) 177.7±5.251) 170.7±9.75 163.3±10.01
시험 종료체중(kg) 482.5±15.21a 480.0±13.31a 432.5±13.31b
증체량(kg) 304.8±1.74a 309.3±1.65a 269.2 1.00b
일당증체량(kg/일) 1.02±0.09a 1.03±0.10a 0.90±0.04b
사료섭취량(kg/일) 8.25±0.55a 8.25±0.23a 6.85±0.13b
사료효율(kg/일) 0.12±0.01 0.13±0.01 0.13±0.02
[주]1)는 평균값 ±표준오차 (n=5)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열의 유의차(p〈0.05)
실험예 2 :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의 반추위내 발효특성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반추위액을 채취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추위액의 채취는 도축후 제1위에서 직접채취하였으며, pH와 총휘발성 지방산 함량 및 개별 휘발성지방산 조성 그리고 암모니아 농도는 상기 실시예 1의 실험예 2, 3,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6.40, 6.77, 6.45로 3중량%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휘발성지방산 함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66.90mM/L, 52.08mM/L, 63.28mM/L로 3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개별 휘발성지방산 조성중 초산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56.9 molar %, 61.4 molar %, 62.1 molar %로 3중량%와 5중량%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인 증가한 반면에 프로피온산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 각각 21.3 molar %, 19.8 molar %, 16.5 molar %로 3중량%와 5중량% 첨가구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A/P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에서 각각 2.67, 3.09, 3.77로 3중량%와 5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암모니아 농도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151.13mg/100ml, 109.75mg/100ml, 128.26mg/100ml로 3중량% 첨가구 급여구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반추위내 pH는 미생물의 성장과 휘발성지방산의 생성비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섬유소분해박테리아의 정상 활동 범위는 6.0∼6.8이며, 전분분해박테리아의 정상활동범위는 5.5∼6.0으로 알려지고 있는바 본 시험에서 급여된 완전혼합사료내의 미역부산물의 첨가는 섬유소 분해박테리아의 분해활동에 적합한 것으로 미루어 볼수 있는데 특히 3중량% 첨가가 보다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휘발성지방산과의 관계에서도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데 총휘발성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면 pH가 낮아지며 초산보다도 프로피온산과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3중량% 미역부산물 완전혼합사료는 pH에 있어 섬유소분해박테리아의 활동에 더 적합한 수준이였으며, 초산의 비율이 높아짐을 알수 있었다. 암모니아 농도 역시 반추위내 미생물의 활력의 증가로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3중량% 미역부산물 완전혼합사료 첨가구가 비교적 정상적인 발효수준으로 사료된다.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반추위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처리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pH 6.40±0.06b1) 6.77±0.04a 6.45±0.05b
총휘발성지방산(mL/L) 66.90±3.26a 52.08±2.45b 63.28±2.45a
휘발성지방산의 조성( Molar %)
초산 (A) 56.9±2.09b 61.4±2.34a 62.1±1.43a
프로피온산 (P) 21.3±1.67a 19.8±1.43ab 16.5±1.32b
뷰티릭산 14.7±0.77 12.3±0.46 16.0±0.57
기타 7.1±0.32 6.5±0.41 5.4±0.44
A/P 비율 2.67±0.23c 3.09±0.56b 3.77±0.34a
암모니아 농도(mg/100ml) 151.13±3.22a 109.75±3.76b 128.26±2.23ab
[주]1)는 평균값±표준오차 (n=5)a∼c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열의 유의차(p〈0.05)
실험예 2 :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의 혈액성분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혈액성분을 조사하였다. 시험종료전 각 공시축의 미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4℃에서 12시간 이상 방치한 다음 3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상기 혈액중의 혈당, 혈중요소태질소, 알부민, 글로부린, 크레아틴, 콜레스테롤, 총단백질, 칼슘 및 인 등을 혈액자동분석기 (DTSCⅡ, DT60Ⅱ, 존슨앤존슨, 미국)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당의 농도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131.15mg/dl, 168.71mg/dl, 105.45mg/dl로 3중량%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한 반면에 5중량% 첨가구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혈중요소태질소의 농도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23.94mg/dl, 26.82mg/dl, 28.51mg/dl로 3중량%와 5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172.40mg/dl, 202.14mg/dl, 155.41mg/dl로 3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한 반면에 5중량% 첨가구에서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혈액성분중 혈당,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가 근육내 지방축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본 시험에서도 혈액내 다량의 대사물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증가된 혈청대사물이 근육내 단백질 대사의 촉진과 근육내 지방대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여 고기의 육량 및 품질 개선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혈액성분 조사
처리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글루코스 (mg/dl) 131.15±1.35b1) 168.71±2.04a 105.45±2.00c
총단백질(g/dl) 9.25±0.61 10.18±0.50 10.23±0.62
알부민(A) (g/dl) 3.32±0.21 4.31±0.21 4.05±0.20
글로블린(G) (g/dl) 5.92±0.22 5.87±0.20 6.17±0.30
알부민/글로블린 비율 0.56±0.22 0.73±0.04 0.66±0.02
혈중요소태질소(mg/dl) 23.94±0.33b 26.82±0.54a 28.51±0.51a
크레아틴(mg/dl) 1.43±0.41 1.52±0.20 1.24±0.26
콜레스테롤(mg/dl) 172.40±3.44b 202.14±4.01a 155.41±5.03c
칼슘(mg/dl) 7.81±0.52 10.07±0.24 9.17±0.35
인(mg/dl) 7.96±0.23 9.74±0.41 8.46±0.21
[주]1)는 평균값±표준오차 (n=5)a∼c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열의 유의차(p〈0.05)
실험예 3 :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의 도체성적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의 도체성적을 조사하였다. 사양시험 종료 후 24시간 절식시켜 축협중앙회 나주공판장에 출하하여 도축하였다. 소 도체의 육량 및 육질평가는 농림부 고시(1999)의 도체 등급판정방법·기준 및 적용조건 규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체중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257.5kg, 272.5kg, 231.0kg으로 3중량%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5중량% 첨가구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도체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53.24%, 56.76%, 53.44%로 3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육량결정에 있어 정의관계가 있는 배최장근단면적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70.50㎠, 76.00㎠, 63.00㎠로 대조구의 배최장근단면적을 100%로 한 경우 3중량%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7.8% 증가한 반면에, 5중량% 첨가구는 10.6% 감소하였다. 등지방두께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11.00㎜, 9.50㎜, 5.50㎜로 대조구의 등지방두께를 100%로 한 경우 3중량%와 5중량%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13.6%, 50% 감소하였다. 육질개선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근내지방도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4.83, 6.34, 2.33으로 대조구의 근내지방도를 100%로 한 경우 3중량% 첨가구는 31.3% 증가한 반면에 5중량% 첨가구는 51.8% 감소하였다. 육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3.50, 4.00, 4.50으로 첨가구를 급여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조직감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 가 각각 2.17, 1.33, 2.33으로 3중량%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육질등급별 출현두수를 살펴보면 대조구는 1등급 2두를 2등급 3두가 출현하였으며, 3중량% 첨가구는 1등급 2두, 1등급 3두 출현하였고, 5중량% 첨가구는 1등급 1두를 2등급 2두를 3등급에 2두가 출현되어 3중량% 미역부산물 급여에 의해 육량 및 육질등급이 향상됨을 알수 있었다. 이상의 도체성적을 종합해 볼 때 3중량% 미역첨가구가 냉도체중 및 도체율의 증가와 더불어 배최장근단면적의 증가와 등지방두께의 감소 등으로 육량등급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도체성적
항목/시험구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냉도체중(kg) 257.5±17.48a1) 272.5±14.85a 231.0±2.83b
도체율(%) 53.24±2.70b 56.76±0.59a 53.44±1.53b
육량등급
등심단면적(㎠2)) 70.50±3.78b 76.00±3.67a 63.00±2.83c
등지방두께(mm2)) 11.00±1.41a 9.50±0.71b 5.50±2.12c
육량지수3) 65.66±0.94 66.61±0.23 67.37±0.56
등급4)(A:B:C:D) 2.0±0.00(0:5:0:0) 1.8±0.00(1:4:0:0) 2.0±0.00(0:5:0:0)
육질등급5)
근내지방도 4.83±0.23b 6.34±0.24a 2.33±0.32c
육색 3.50±0.33 4.00±0.21 4.50±0.14
지방색 3.50±0.33 3.00±0.23 3.00±0.32
조직감 2.17±0.09a 1.33±0.08b 2.33±0.10a
성숙도 1.84±0.58 1.67±0.32 1.67±0.12
등급6)(1+:1:2:3:4) 2.60±0.00a(0:2:3:0:0) 1.40±0.10b(3:2:0:0:0) 3.20±0.10a(0:1:2:2:0)
〔주〕결과값은 평균±표준오차(n=5)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열의 유의차(p<0.05)육량지수=65.834-(0.393×등지방두께mm)+(0.088×등심표면적cm2)-(0.008×도체중량kg)+2.01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1∼7조직감 1∼3육질등급: 1+등급(No.6∼7), 1등급(No.4∼5), 2등급(No.2∼3), 3등급(No.1)
실험예 4: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의 산육성적
상기 실시예 2에서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산육성적을 조사하였다. 사양시험 종료 후 24시간 절식시켜 축협중앙회 나주공판장에 출하하여 도축하였다. 산육성적은 농림부 고시(1999)의 쇠고기 부위별 분할정형기준의 대분할육 정형기준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급부위인 안심, 등심 및 채끝의 생산율은 대조구가 15.31%, 3중량% 첨가구가 16.13%, 5중량% 미역첨가구가 15.75%로 대조구의 생산율을 100%로 한 경우 3중량% 첨가구의 생산율은 대조구에 비해 6.5%가 증가되었다. 거래정육율은 5중량% 첨가구가 가장 높은 반면에 지방율은 5중량% 첨가구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육도가 높을수록 지방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거래정육율이 감소하며 또한 도체의 지방 함량이 일정할 경우에는 비육도가 높을수록 거래정육율은 증가하게 된다는 것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산육성적
처리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안심 2.20±0.201) 2.65±0.19 2.51±0.19
등심 10.57±0.70 10.81±0.29 10.44±0.30
채끝 2.54±0.14 2.67±0.12 2.81±0.19
설도 5.90±0.52 5.30±0.42 6.71±0.44
우둔 9.33±0.66 9.68±0.71 10.25±0.73
앞다리 4.96±0.43 5.28±0.73 5.28±0.36
목심 4.08±0.44 3.04±0.34 4.03±0.41
양지 7.53±0.70 8.55±0.71 7.88±0.69
사태 4.55±0.65 4.34±0.79 5.11±0.88
갈비2) 9.20±0.85 9.47±0.99 8.79±0.93
거래정육율 60.84±0.45 61.79±3.17 63.80±0.75
11.16±0.11 10.34±1.03 11.75±0.11
지방 28.00±0.56 27.87±2.14 24.44±0.64
[주] 1) 평균값 ±표준오차(n=5)2) 뼈와 지방을 포함
실험예 5: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육의 이화학적 특성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육질특성은 도축 후 냉각실에서 4±2℃상태로 24시간 냉각된 반도체의 배최장근을 시료로 채취하여 육의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다. 육의 이화학적 성분인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AOAC(1996)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pH는 스킨(skin) pH 측정기(오리온, 모델명 520A,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육색은 배최장근의 절단면을 공기중에 노출하여 30분 방치시킨 후 육색측정기(미놀타(주), CR-301)로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판은 Y=92.40, x=0.3136, y=0.3196의 백색타일을 사용하였다. 가열감량 및 전단력은 배최장근을 스테이크 모양으로 절단(두께 2.5cm, 무게 약 200g)하여 진공포장한 후 육의 내부온도가 75℃에서 10분간 유지되도록 가열한 다음 가열전후의 중량차를 이용하여 가열감량을 측정하였다. 전단력 측정은 가열감량을 측정한 후 직경 1.8cm 코아로 근섬유방향으로 시료를 채취한 다음 전단력 측정기 TA. XT2 텍스처 분석기(Texture Technologies Group. Scarsdale, NY)로 측정하였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배최장근을 시료로 채취하여 콜레스테롤 분석용 효소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분 함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64.43%, 62.27%, 66.19%로 3중량%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 가 각각 12.09%, 15.30%, 11.78%로 3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한 반면에 5중량% 첨가구가 비교적 낮은 경향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22.23%, 21.18%, 20.78%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정 등(1993)이 근육에 있어서 수분 함량은 조지방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배최장근의 pH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5.71, 5.64, 5.59로 미역부산물 급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육색의 명도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39.65, 35.53, 36.32로 미역부산물을 급여함으로써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일반 양축가에서 한우에 해조류를 급여하면 육색이 짙어진다고 한 것과 유사하였다. 가열감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20.96%, 21.03%, 22.15%로 5% 첨가구가 비교적 높은 경향이었다. 전단력가는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13.62kg, 8.17kg, 11.07kg으로 미역부산물 급여에 의해 3중량%와 5중량% 첨가구 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미역부산물을 급여함으로 근내지방도가 향상되어 연도가 개선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콜레스테롤함량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29.18mg/100g, 16.25mg/100g, 12.06mg/100g으로 미역부산물 급여에 의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즉 대조구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100%로 본 경우 미역부산물을 급여한 한우의 경우는 이에 비해 콜레스테롤 함량이 44∼55.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상의 결과로 볼 때 3중량% 미역부산물의 급여는 연도 개선효과와 콜레스테롤 함량의 감소효과로 고품질육의 생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육의 이화학적 특성 조사
처리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이화학적 성분
수분(%) 64.43±2.85 62.27±2.37 66.19±0.29
조단백(%) 12.09±1.46b 15.30±1.71a 11.78±0.78b
조지방(%) 22.23±2.11 21.18±0.62 20.78±1.96
회분(%) 1.25±0.19 1.25±0.25 1.25±0.09
물리적 특성
pH 5.71±0.04 5.64±0.05 5.59±0.06
육색(명도) 39.65±1.48a 35.53±1.40b 36.32±1.32b
육색(적색도) 19.88±0.51 20.32±0.47 20.15±0.68
육색(황색도) 6.95±0.12 6.28±0.41 6.82±0.35
가열감량(%) 20.96±0.88 21.03±0.83 22.15±0.73
전단력(㎏) 13.62±0.62a 8.17±0.36b 11.07±0.45b
콜레스테롤(mg/100g) 29.18±1.44a 16.25±1.35b 12.06±2.16b
[주] 평균값 ± 표준오차(n=5)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열의 유의차(p〈0.05)
실험예 6 :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육의 지방산 조성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육의 지방산 조성은 도축 24시간후 냉도체중의 배최장근과 등지방을 시료로 채취하여 폴칠(Folch)등 (1957)의 방법에 따라 지질을 추출하였으며, 모리슨(Morrison)과 스미스(Smith)(1964)방법에 준하여 메틸화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80℃에서 보관하였으며 자동시료 주입기가 장착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베리안 3400, 미국)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기기의 조건은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휘발성 지방산의 분석조건
항목 분석조건
분석기기 베리안 스타 3400, 미국
컬 럼 Stabilwax-길이 30m, 내경 0.53mm필름두께 0.5μm
검 출 기 수소불꽃 이온화 검출기
운반기체 최고순도 질소(99.99%)
주입구 온도 170℃
컬럼온도 120℃에서 분당 10℃씩 승온, 170℃
감지기 온도 190℃
주 입 량 1.0μL
분 배 율 20:1
실험결과,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최장근에서 지방산 조성은 18:1, 16:0, 16:1, 18:0 순으로 낮았는데, 쇠고기의 맛과 풍미에 밀접하게 관련된 18:1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48.97%, 51.72%, 50.31%로 처리간에 유의성은 없었지만 3중량% 첨가구가 비교적 높았다. 성인병의 위험인자이며 콜레스테롤의 전구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16:0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25.33%, 24.62%, 23.13%로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미역첨가구가 각각 37.16%, 37.77%, 34.15%로 미역부산물의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다. 즉 미역부산물을 급여한 한우의 경우 대조구의 포화지방산 비율을 100%로 한 경우에 포화지방산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1∼8% 증가하였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59.89%, 61.17%, 63.69%로 미역부산물의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비교적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즉 미역부산물을 급여한 한우의 경우 대조구의 포화지방산 비율을 100%로 한 경우에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1∼6% 감소하였다.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하지방의 지방산 조성은 18:1, 16:0, 18:0, 16:1순으로 낮아졌는데, 18:1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52.32%, 56.04%, 52.61%로, 3중량% 첨가구는 대조구와 5중량%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16:0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25.05%, 21.90%, 23.81%로 3중량%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36.12%, 32.94%, 35.04%로 나타났다. 즉 대조구의 포화지방산 비율을 100%로 한 경우 3중량% 첨가구에서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9% 정도 감소하였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62.32%, 65.61%, 63.04%로 나타났다. 즉 대조구의 불포화지방산 비율을 100%로 한 경우 3중량% 첨가구에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5중량%정도 증가하였다.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의 비율에 대조구와 3중량%, 5중량% 첨가구가 각각 1.82, 2.06, 1.86으로 3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3중량% 처리구에서 쇠고기의 가장 특징적이며 맛을 좌우하는 지방산인 18:1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고기의 풍미와 조직감을 개선함은 물론 근내지방도의 증가와 도체등급을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미역이 일반적으로 혈중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을 억제한다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사료된다.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배최장근의 지방산 조성 조사 (지방산의 %)
처리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14:0 3.70±0.231) 3.11±0.14 2.65±0.67
14:1 1.65±0.15 1.13±0.20 1.08±0.53
16:0 25.33±1.44 24.62±0.39 23.13±2.36
16:1 6.94±0.59 6.03±0.27 5.84±0.78
18:0 8.14±1.80 10.04±0.77 8.38±0.16
18:1 48.97±2.96 51.72±0.41 50.31±1.27
18:2 2.33±0.22 2.29±0.35 6.46±1.72
18:3 -2) - -
기7타 2.94±0.80 1.06±0.08 2.16±0.63
지방산유형 :
포화지방산 37.16±1.43 37.77±0.61 34.15±2.43
불포화지방산 59.89±3.20 61.17±0.54 63.69±2.65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1.63±0.25 1.62±0.04 1.86±0.21
[주] 1) 평균값 ±표준오차 (n=5)2) 거의 측정이 되지 않음(0.01%>)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피하지방의 지방산 조성 조사 (지방산의 % )
처리구지방산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14:0 3.20±0.911) 2.61±0.38 2.97±0.33
14:1 1.37±0.03 1.00±0.19 1.29±0.35
16:0 25.05±4.04a 21.90±2.37b 23.81±3.03ab
16:1 6.56±0.68 6.18±1.17 6.37±1.59
18:0 7.86±1.12 8.42±2.25 8.26±2.59
18:1 52.32±3.51b 56.04±4.44a 52.61±3.19b
18:2 1.89±0.90 2.28±0.44 2.63±0.71
18:3 0.19±0.12 0.12±0.03 0.14±0.05
기타 1.56±0.38 1.46±0.38 1.91±0.55
지방산 유형 :
포화지방산 36.12±3.06a 32.94±4.85a 35.04±2.94a
불포화지방산 62.32±4.44b 65.61±4.59a 63.04±0.47b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 1.82±0.72b 2.06±0.59a 1.86±0.55b
주] 1) 평균값 ±표준오차 (n=5)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열의 유의차(p〈0.05)
실험예 7 :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육의 관능평가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육한우육에 대한 맛, 냄새 및 외관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 15명 중 1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맛, 냄새, 외관등의 기호도를 9점 등급제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표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에 있어 3중량% 첨가구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냄새에 있어서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3중량%와 5중량% 첨가구에서 비린내와 이취가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맛에 있어서는 3중량% 첨가구가 유의적(P<0.05)으로 맛이 있음을 나타냈다.
미역부산물이 첨가된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육의 관능평가 조사
처리구항목 대조구 3중량% 첨가구 5중량% 첨가구
외관 5.00±0.191) 5.67±0.13 4.83±0.23
냄새 5.00±0.02 5.33±0.19 5.50±0.13
5.00±0.04b 6.00±0.02a 5.25±0.03ab
주] 1) 평균값 ± 표준오차 (n=5)a∼b는 다른 숫자가 매겨진 동일열의 유의차(p〈0.05)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기되는 미역부산물을 첨가한 완전혼합 사료를 한우에 급여함으로써 가스발생량 감소, 총휘발성지방산 함량 증가, 암모니아 농도 증가, 건물소화율이 증가되어 반추위 발효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며, 사료효율을 개선하고 한우육의 등심단면적의 증가, 등지방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육량등급을 향상시키고 근내지방도, 조단백질함량, 조지방함량 및 불포화지방산을 증가시키고,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켜 육질등급을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육산업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되는 미역부산물을 한우용 사료로 개발하는 것이므로 경제적인 측면과 환경친화적인 측면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미역부산물이 함유된 완전혼합사료를 한우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육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역부산물이 함유된 완전혼합사료는 분쇄 옥수수 68.58 중량%, 소맥피 9.60 중량%, 대두박 6.67 중량%, 대두피 3.33 중량%, 석회석 1.67 중량%, 발효톱밥 3.33 중량%, 깻묵 3.33 중량%, 비타민 ·미네랄 복합제 0.49 중량%, 미역부산물 3.0 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육 생산방법.
  3. 삭제
KR10-2001-0028502A 2001-05-23 2001-05-23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KR10040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502A KR100401486B1 (ko) 2001-05-23 2001-05-23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502A KR100401486B1 (ko) 2001-05-23 2001-05-23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722A KR20020089722A (ko) 2002-11-30
KR100401486B1 true KR100401486B1 (ko) 2003-10-10

Family

ID=2770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502A KR100401486B1 (ko) 2001-05-23 2001-05-23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77B1 (ko) * 2006-12-11 2008-07-03 이성우 사과를 함유하는 돼지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US8747916B1 (en) 2012-10-30 2014-06-10 Donald M. Smith Selecting, producing, and feeding whole algae as a feed supplement for cattle and bison to produce meat high in omega 3's for human health
MA40997A (fr) * 2014-11-19 2017-09-26 Donald M Smith Procédé pour augmenter les teneurs en acides gras oméga-3 dans des produits bovins et par administration d'un régime alimentaire à base d'herbe et d'algue
KR102502267B1 (ko) * 2022-04-08 2023-02-23 대한민국 괭생이모자반 발효사료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171A (ko) * 2001-05-18 2002-11-27 해남군 한우육질개선을위한미역사료급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171A (ko) * 2001-05-18 2002-11-27 해남군 한우육질개선을위한미역사료급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722A (ko) 200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jula et al. Effect of feeding rubber seed kernel and palm kernel cake in combination on nutrient utilizati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goats fed on Briachiaria humidicola hay-based diets
KR101735759B1 (ko)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Syahruddin et al. Effect of fermented katuk leaf (Sauropus androgynus L. Merr.) in diets on cholesterol content of broiler chicken carcass
CN110558428A (zh) 添加青贮高粱的肉牛育肥日粮配方及其应用
TW200539821A (en) Alkaloid-containing feed and feed additive
Santoso et al. Effect of duck diet supplemented with fermented seaweed waste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indigenous Indonesian ducks
Vahedi et al. Supplementation of macro algae (Azolla pinnata) in a finishing ration alters feed efficiency, blood parameters, carcass traits and meat sensory properties in lambs
Bhatt et al. Dietary inclusion of nonconventional roughages for lowering enteric methane production and augmenting nutraceutical value of meat in cull sheep
RU2366271C1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как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домашних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KR100401486B1 (ko)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CN107912626A (zh) 一种提高肥猪生长性能的桑叶饲料及其制备方法
Maysa et al. The effect of dietary humic acid supplementation on some productive and physiological traits of laying hens
CN116349645A (zh) 一种富硒肉牛饲养及冷冻冷鲜富硒牛肉制备方法
Obeidat et al. Nutrient intake, in vivo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growing lambs fed concentrate diets containing sweet lupin grain (Lupinus angustifolius)
KR100847354B1 (ko) 잣나무잎을 이용한 동물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기능성 산물
KR101341991B1 (ko)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Besharati et al. Optimization of dietary lemon seed essential oil to enhance alfalfa silag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degradability
KR20130130468A (ko) 비육우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비육우 급여방법
Ny et al. Effects of Lysine and Methionine supplementation on first antler growth in fallow deer (Dama dama)
Metwally et al. Effects of a specific blend of essential oil on rumen degradability,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rumen fistulated cows
KR100886780B1 (ko) 진세노사이드가 다량 함유된 동물의 유즙 및 그의 제조방법
Metwally et al. Effect of inactivated yeast on rumen dry matter degradation and fermentation of low concentrate feed
KR100515012B1 (ko) 잣나무 생지엽의 혐기발효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육우 급식용 조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Yadollahi et al. The effect of using different levels of tannic acid on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on milk consuming Semintal calves
Abilov et al. Efficiency of protein-rich plant and animal additives in feeding broiler chic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