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935A -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935A
KR20130036935A KR1020110101181A KR20110101181A KR20130036935A KR 20130036935 A KR20130036935 A KR 20130036935A KR 1020110101181 A KR1020110101181 A KR 1020110101181A KR 20110101181 A KR20110101181 A KR 20110101181A KR 20130036935 A KR20130036935 A KR 20130036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ample
pork
pigs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희
Original Assignee
이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권희 filed Critical 이권희
Priority to KR102011010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6935A/ko
Publication of KR2013003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9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돈육의 육질을 개선하기 위한 돼지 사육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희토류와 법제/제독유황 및 사포닌을 이용한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자크기가 300메쉬로 분쇄한 희토류 200g~700g에 발효사포닌 1,000mg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분무한 뒤, 발효사포닌이 도포된 희토류 입자와 제독/법제유황 40g~60g과 비피더스미생물 8 × 1010cfu 및 말분 340g-760g 를 교반기에 넣고 4시간 동안 골고루 혼합하여 사료 첨가제를 제조란 것에 특징이 있고, 사료 첨가제 1 ~ 2kg 중량부와 일반사료 1톤 중량부로 배합하여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제품를 제조한다.

Description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FEED ADDITIVES FOR ADVANCED THE MEAT QUALITY OF A PIG AND MANUFACTURING THEREOF AND FEED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돈육의 육질을 개선하기 위한 돼지 사육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희토류와 법제/제독유황 및 발효사포닌을 이용한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의 소득증대와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보다 안전하고 질 좋은 먹거리를 추구하는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또한, 돈육의 경우 국가간 협정에 의해 무역장벽이 개방됨에 따라 다양하고 값싼 육류가 다량으로 국내로 수입되면서 수입돈육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고품질 돈육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 양돈농가나 양돈업체에서는 돈육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육환경의 개선과 사료의 품질 개선에 관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일 예로 한약부산물을 첨가한 사료, 유황을 첨가한 사료, 녹차를 첨가한 사료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돈육 생산용 사료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사료에 첨가되는 한약재는 먼저 인체의 질병치료나 보신용으로 사용한 한약재 부산물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사료에 첨가되는 한약성분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성분을 명확히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한약재를 사료에 첨가한 사료로 돼지를 사육할 경우 비육돈의 육질을 정형화하기 어려워 품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유황을 일반사료에 첨가하여 돼지를 키울 경우 육질에 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유황을 먹여 키운 돈육을 섭취할 경우 인체에 유용한 효과가 있어 제독/법제유황은 돈육의 육질개선에 유용한 소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유황을 먹여 돼지를 사육할 경우 돼지의 체질에 따라 유황을 해독하지 못하고 폐사하는 경우도 많아 성돈으로 성장하는 개체수 감소로 돈육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고, 또한 유황을 돼지에게 일정기간을 초과하여 먹일 경우 돼지의 체질은 유황 해독기능이 만성화되면서 필수아미노산이 감소하므로 육질개선효과 이면에는 불리한 측면도 상당히 있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또한 유황을 먹인 돼지의 돈분은 일반사료를 먹인 돼지의 돈분에 비해 점도가 크고 더 빨리 경화되기 때문에 돈분 처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어 유황을 사료에 첨가할 경우보다 체계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뒤받침 되어야 하지만 전문지식의 부족으로 대부분의 양돈업자들은 유황 오리의 사육사례를 그대로 돼지에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0455호 '인삼 사포닌이 함유된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등록특허 제10-105217호 '돼지 사육용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0962231호 '인삼의 잎과 줄기추출물을 이용한 양돈용 사료첨가제' 등록특허 제10-0481971호 '미생물 고상발효에 의한 사료용 효소제 및 그 제조방법' 등 고품질 육질을 지닌 돈육을 생산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가격에서 결코 저렴하지 않은 특수원료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특수원료를 돼지사료로 사용하는 사육장이 보편화되면서 그 돈육은 더 이상 고품질 육질로 평가받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을 뿐만 아니라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로 저가의 돈육이 대량으로 수입되면서 가격경쟁에서 밀려난 국내의 양돈농가나 양돈업체에서는 보다 차별적이고 특화된 고품질 돈육의 생산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돈육의 육질 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희토류와 제독/법제유황 및 사포닌을 이용한 돈육 육질 개선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돈육 육질개선을 위해 희토류와 법제/제독유황 및 사포닌을 이용한 음용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제1 목적에 따라 제조된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일반배합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에 따른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의 구현수단은,
입자크기가 300메쉬로 분쇄한 희토류 200g-700g에 발효사포닌 1,000mg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분무한 뒤, 발효사포닌이 도포된 희토류 입자와 제독/법제유황 40g~60g과 비피더스미생물 8 × 1010cfu 및 말분 340g-760g을 교반기에 넣고 4시간 동안 골고루 혼합하여 제조되는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 첨가제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에 따른 돼지 육질개선용 음용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의 구현수단은,
물탱크에 희토류 분말 200g~700g을 넣은 뒤 그 속에 정제수 2ℓ을 채운 뒤 24시간 숙성시키는 제1단계와;
다른 물탱크에 제1단계에서 숙성시킨 정제수를 옮겨 담고 제독/법제유황 40g~60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일간(120시간) 숙성 및 교반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숙성시킨 숙성수를 다른 물탱크로 옮긴 뒤 그 속에 사포닌농축액 1,000mg, 비피더스 미생물 8 × 1010cfu을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면서 숙성시킨 뒤 숙성된 용액을 용기에 포장하는 제3단계에 의해 제조된 액상의 돈육 육질개선용 첨가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일반사료와 혼합한 돼지 사료제조방법의 구현수단은 제1목적에 따라 제조된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 첨가제 1~2kg과 일반 배합사료 998-999kg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은 제조된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일반사료와 배합하여 돼지에게 급여한 결과, 돼지의 증체량이 증가하고, 면역체계를 강화시켜 체질적으로 더 건강해져 각종 질병으로부터의 저항력이 커져 폐사율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육질의 품질면에서 육질내에 필수아미노산이 증가하여 근내지방도(Marbling)가 개선되고, 보수력이 높고 가열감량이 낮으며 육질의 탄력이 더 강화된 고품질 돈육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돈육의 생산비용면에서 사료첨가제를 일반사료와 배합하여 사용함으로 사료첨가제의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므로 저가의 수입육과 가격경쟁이 가능하고 수익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부형제는 후술하는 제독/법제유황, 비피더스 미생물(Bifidobactririum longum , B. bifidum), 희토류을 배합하기 위한 예비 배합제로서, 부형제는 말분, 탄산칼슘 중 어느 한 종 혹은 복수의 종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희토류는 희토류란 란탄(lanthanum), 세륨(cerium), 디스프로슘(dysprosium) 등의 광물질로서 상기한 희토류 군중 어느 한 종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희토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다량으로 방출되는 광물질로서, 돼지에게 본 발명의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사료를 섭취한 돼지는 희토류에서 발생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에 의해 돼지의 대사작용과 세포증식의 활성화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희토류는 희토류 군중 디스프로슘(dysprosium)를 채용하여 300메쉬 크기로 분쇄한 형태로 사용된다.
정제수는 지하수나 상수도 중 어느 하나로서 수온이 상온인 상태로 사용된다.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 성분은 장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당분이 제거되어 체내로 흡수될 수 있는 컴파운드 K(Compound K)로 분해되는데, 일반인의 경우 약 25% 정도는 장내 미생물이 제대로 활동하지 않아 인삼 사포닌성분이 컴파운드 K로 분해되지 못하고 혈액으로 흡수되지 못한 채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포닌 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사포닌 성분이 컴파운드 K로 분해할 수 있도록 비피더스 미생물을 접종한다. 그에 대해서는 명세서의 하반부에 상세히 설명하게 될 것이다.
제독/법제유황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06473호 "법제유황 및 또는 키토산을 주제로 하는 보조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보조사료"에서 상세히 소개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 제독/법제유황 제법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돈육개선용 음용수 제조방법 실시예]
물탱크에 희토류분말 200g을 넣은 뒤 그 속에 정제수 2ℓ를 채운 뒤 24시간 숙성시키는 제1단계와;
다른 물탱크에 제1단계에서 숙성시킨 정제수를 옮겨 담고 제독/법제유황 50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0~120시간 숙성 및 교반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숙성시킨 숙성수 1ℓ를 다른 물탱크로 옮긴 뒤 그 속에 발효 사포닌농축액 1,000mg과 비피더스 미생물 8 × 1010cfu을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면서 숙성시켜 음용수 1리터 중량부 제조한다.
[실시예: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300메쉬 크기로 분쇄한 희토류 분말 500g에 발효사포닌 1,000mg을 혼합한 혼합액을 고르게 분무한 뒤, 혼합액이 도포된 희토류 입자와 제독/법제유황 50g, 비피더스미생물 8 × 1010cfu를 혼합한 사료첨가제 551g 중량부와 부형제(말분 449g)을 교반기에 넣고 4시간 동안 골고루 혼합하여 육질개선용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돼지 사양조건]
전술한 사료첨가제를 혼합한 사료와 음용수를 3원 교배종 120두(암돼지: 80두, 숫돼지: 40두)를 돈사에 넣어 상기한 사료로 급여하면서 90일령과 120일령이 이른 돼지 5마리를 각각 도축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90일령의 돼지의 시료는 시료 1 및 2로 구분하고, 120일령의 돼지는 시료 3 내지 5(시료 1 내지 5는 개체가 다른 돼지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일반사료와 혼합한 사료로 사육된 돈육을 "실험구"로, 시중의 홈플러스 매장에서 판매하는 돈육을 "대조구"로 구분한다.
또한 실험구나 대조구는 돈육의 부위에 따라 실험구나 대조구의 접두어로 돈육의 부위를 표기하여 구분한다.
1) 시료
실험구로서, 90일령과 120일령에 해당하는 돼지의 5마리에서 샘플링한 각각 삼겹살과 목살을 -21℃에 보관하고, 대조구로서 홈플러스에 판매되는 목우촌 삼겹살과 목살을 구매하여 실험구와 같은 조건에서 보관하고 아래와 같이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을 행한다.
2) 시험방법
일반성분은 AOAC(1990)방법에 준하였으며, 수분함량은 건조법, 조단백질은 macro-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법, 조회분은 550 직접 회분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성적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pH측정은 과도한 근막, 지방 등을 제거한 후 세절한 시료 10g에 증류수 90 ㎖를 가하여 5분간 균질한 후 pH 미터(Corning, M530, NY,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성적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지방산조성 분석실험은 추출한 총지방 및 중성지질, 당지질과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하기 전에 먼저 유리지방산을 얻기 위하여 지방질을 메틸에스터(methyl ester)화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지방산을 분석하였다.
시료 0.2g을 정확히 취해 이형 플라스크에 넣고 0.5 N MeOH-NaOH 4㎖을 첨가하여 냉각관을 설치하였고 30분간 반응시킨 후 BF3-메탄놀 5㎖ 첨가하고 2분 후에 냉각관을 통해 핵산(hexane) 3㎖을 넣고 1분 후 포화된 소금용액을 첨가해 핵산층만 옮긴다. 이에 무수황산나트륨(sodium sulfate)를 넣어 핵산층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한 다음 여과하여 GC/MSD(Agilent, 1371A, DE,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GC/MSD의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사용한 컬럼은 J&W Scientific (0.32㎜ ID × 30m × 0.25㎛), 주입온도는 250℃, 덩어리(mass)의 온도는 230℃, 오븐(oven) 50/min-10/min-230/26min, 주입값(injection volume)은 1 uL이었다. 그 성적은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지방질 분류 및 종류확인실험은 규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으로 분리하였다. 규산은 콜로이드성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로 2번 세척하고, 메탄놀로 2번 세척하여 105~110에서 12시간 활성화시켰다. 1.7 ㅧ 42㎝ column을 사용하여 유량은 1~3 ㎖/min으로, solvent volume은 BV(bed volume)의 6배로 하여 클로로포름(chloroform), 아세톤(acetone), 메탄놀 순서로 용출시켜, 중성지방질은 클로로포름에서, 당지질은 아세톤에서, 인지방질은 메탄놀을 용출시켜 분획하였다. 그 성적은 표 3 내지 10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보수력(water holding capacity) 및 가열감량(cooking loss) 실험은 마쇄한 시료 1g을 70℃의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10분간 냉각하여 1,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무게를 측정하여 보수력(%)을 산출하였다.
가열감량은 시료를 두께 2cm로 일정하게 절단하여 무게를 측정한 다음, 지퍼백(zipper bag)에 넣고 항온수조에서 심부온도가 70℃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한 후 식힌 다음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그 성적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3) 실험결과
일반성분의 분석결과는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삼겹살, 목살에서의 지방함량은 대체로 90일간 사료를 급여한 실험구의 각 시료 1, 2(삽겹살 및 목살 시료)에서 높게 나타났고, 사료급여일수와 상관없이 개체간에서도 차이를 나타냈으나 단백질 함량은 개체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한 돼지고기의 삼겹살과 목살의 일반조성 및 지질
시료구분 pH 보수력 (%) 가열감량 (%)
삼겹살 대조구 5.48 58.±1.3 22.3


삽겹살 실험구
시료 1 90일령
5.26 63.9±3.1 20.7
시료 2 5.55 70.6±0.42 18.8
시료 3
120일령
5.62 51.±1.4 24.1
시료 4 5.68 65.2±1.5 19.8
시료 5 5.40 66.9±1.1 19.7
목살 대조구 5.81 59.6±2.8 21.4


목살 실험구
시료 1 90일령
5.35 73.6±1.2 18.2
시료 2 5.57 61.7±5.0 21.0
시료 3
120일령
5.47 61.4±5.6 20.4
시료 4 5.39 48.8±2.1 26.1
시료 5 5.70 43.9±2.4 27.2
실험구와 대조구를 비교해 보면, 단백질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조구의 지방함량은 삼겹살 40.8%, 목살 32.7%로 나타났는데, 실험구에서 삼겹살 성적 30.0%, 목살의 평균 24.8% 성적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본 발명의 시료들의 수분함량이 높아 지방함량에 차이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보수성, 육색, pH 이다. 부위별에 따른 돈육의 pH, 보수력, 가열감량에 대한 성적은 전술한 표 14와 같이 나타내었다.
pH는 육색, 보수성, 단백질용해도, 미생물 변패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험결과 pH는 5.26~5.81 범위로 일반적인 수치와 비슷하게 나타났고, 보수력은 43.9~73.6%로 삼겹살이 비교적 높았으며 가열감량도 18.2~27.2%로서 보수력이 높을수록 가열감량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높은 보수력은 육즙의 손실을 줄여줌으로 관능적인 기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즉 보수력이 높고 가열감량이 낮을수록 육질의 등급이 높아 우수한 품질을 지닌 돈육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대조구와 실험구의 삼겹살 및 목살내의 지질의 종류와 량은 아래의 표 2와 같은 성적을 보였다.
대조구와 실험구의 삼겹살 및 목살내의 지질량(%)
시료구분 중성지질
(Neural lipid)
당지질
(lycolipid)
인지질
(Phospho lipid)
삼겹살 대조구 93.6 0.8 5.7


삼겹살
실험구
시료 1 94.3 0.6 5.1
시료 2 96.1 0.4 3.5
시료 3 94.5 0.4 5.1
시료 4 95.5 0.3 4.2
시료 5 92.6 0.3 7.1
목살 대조구 91.5 0.6 7.9

목살
실험구
시료 1 88.2 3.3 8.5
시료 2 92.7 2.5 4.9
시료 3 88.5 2.9 8.6
시료 4 89.5 2.4 8.1
시료 5 88.8 3.3 8.0
위 표 2를 살펴보면, 지방질은 시료 1 내지 시료 5에서는 모두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의 순서로 함량을 나타내었다. 인지질은 생체막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생체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인지능력 개선에 도움을 주고,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는 기능 등으로 알려져 있다.
시험결과 삼겹살 실험구의 시료 5에서 특히 높은 인지질 함량을 보였고, 목살 실험구는 개체간에 큰 차이없이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삼겹살에 비해 목살에서 대체로 높은 인지질 함량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목살 실험구의 당지질 2.4~3.3%은 목살 대조구 0.6%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방산 조성]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를 먹여 사육한 돼지의 부위별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측정결과는 표 3과 표 4와 같은 성적을 보였다.
돈육의 삼겹살에 포함된 지방산의 종류와 함량
검출 지방산(%) 대조구 삼겹살 실험구(120일령 기준)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팔미틱산(C16:0) 22.6 24.5 22.1 21.7 13.9 25.4
스테이르산(C18:0) 13.2 17.0 13.8 9.2 3.9 15.2
불포화지방산(C18:1) 51.5 47.4 46.6 53.5 66.6 44.3
레놀산(18:2) 12.8 11.1 17.6 15.6 15.5 15.1
포화지방산 35.8 41.5 35.9 30.9 17.8 40.6
불포화지방산 64.3 58.5 64.2 69.1 82.1 59.4
돈육의 목살에 포함된 지방산의 종류와 함량
검출 지방산(%) 대조구 목살 실험구(120일령 기준)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팔미틱산(C16:0) 23.8 29.1 20.7 19.9 25.3 22.6
스테이르산(C18:0) 15.2 11.9 10.5 10.1 14.6 9.4
불포화지방산(C18:1) 47.7 48.8 48.7 52.9 47.0 53.6
레놀산(18:2) 13.3 10.2 20.1 17.1 13.1 14.4
포화지방산 39.0 41.0 31.2 30.0 39.9 32.0
불포화지방산 61.0 59.0 68.8 70.0 60.1 68.0
위 표 3과 표 4에서 삼겹살 실험구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의 평균함량이 66.7%로 삼겹살 대조구 64.3% 함량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일반 소비자가 선호하는 제주산 흑돼지(홈플러스에서 판내되는 돈육)의 삼겹살 불포화지방산을 전술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53.3%로 확인되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삼겹살 실험구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제주도산 흑돼지에 비해 더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표 3과 4에서 삼겹살 실험구의 시료 4는 불포화지방산이 8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또한 표 4에서 목살 실험구 시료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은 평균 65.2%이고, 포화지방산이 평균 34.8%로 확인되어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평균 2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시료 3에서 가장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량 70.0%을 보였다. 이는 불포화지방산이 58.4%인 일반 돼지뿐만 아니라 우수한 육질로 널리 알려진 제주도산 흑돼지의 목살의 성적보다 높은 성적이다.
돈육은 삼겹살 실험구와 목살 실험구에 상대적으로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지방산은 올레익산이였고, 포화지방산에서는 팔미틱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 3과 표 4의 성적서를 종합해 보면, 사료급여일과 상관없이 개체종류의 차이나 유전적 차이 그리고 사육환경, 스트레스요인 등에 의해 육질이 개선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사료를 120일 동안 급여하여 키운 돈육에서 높은 불포화지방산을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삼겹살과 목살 시료에 따른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표 5 내지 표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성적을 보였다.
돈육의 삼겹살에 포함된 중성지질의 종류와 함량
검출 지방산 삼겹살 대조구 삽겹살 실험구(120일령 기준)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팔미틱산(C16:0) 28.7 20.2 24.0 29.3 24.2 27.1
스테이르산(C18:0) 18.1 17.5 13.7 19.9 13.8 15.1
불포화지방산(C18:1) 43.6 46.6 43.6 39.1 49.9 40.9
레놀산(18:2) 37.8 15.7 18.7 11.7 12.1 16.8
포화지방산 46.8 37.7 37.7 49.1 38.0 42.2
불포화지방산 53.2 62.3 62.3 50.8 62.0 57.7
돈육의 목살에 포함된 중성지질의 종류와 함량
검출 지방산 목살 대조구 목살 실험구(120일령 기준)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팔미틱산(C16:0) 25.1 26.2 23.7 26.6 26.3 25.1
스테이르산(C18:0) 15.6 18.5 13.4 15.5 15.2 14.6
불포화지방산(C18:1) 44.2 43.2 44.0 41.8 45.4 47.6
레놀산(18:2) 15.1 12.0 18.9 16.1 13.1 12.7
포화지방산 40.7 44.7 37.1 42.1 41.5 39.7
불포화지방산 59.3 55.3 62.9 57.9 58.5 60.3
돈육의 삼겹살에 포함된 당지질의 종류와 함량
검출 지방산 삼겹살 대조구 삽겹살 실험구(120일령 기준)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팔미틱산(C16:0) 60.0 45.9 49.7 60.6 18.0 55.8
스테이르산(C18:0) 40.0 54.1 50.3 39.4 82.0 44.2
불포화지방산(C18:1) ND ND ND ND ND ND
레놀산(18:2) ND ND ND ND ND ND
포화지방산 100 100 100 100 100 100
돈육의 목살에 포함된 당지질의 종류와 함량
검출 지방산 목살 대조구 목살 실험구(120일령 기준)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팔미틱산(C16:0) 21.4 21.2 31.7 27.8 29.4 12.4
스테이르산(C18:0) 28.4 24.0 24.0 16.0 27.6 29.6
불포화지방산(C18:1) 35.7 41.7 33.8 17.4 24.0 28.5
레놀산(18:2) 14.5 13.0 10.5 38.8 19.0 29.5
포화지방산 49.8 45.2 55.6 43.8 57.0 42.0
불포화지방산 50.2 54.8 44.4 56.2 43.0 58.0
돈육의 삼겹살에 포함된 인지질의 종류와 함량
검출 지방산 삼겹살 대조구 삽겹살 실험구(120일령 기준)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팔미틱산(C16:0) 24.3 21.1 23.9 23.9 22.6 23.8
스테이르산(C18:0) 21.4 28.9 24.9 19.7 25.0 22.3
불포화지방산(C18:1) 24.3 22.5 21.7 25.8 23.8 22.4
레놀산(18:2) 30.0 27.5 29.5 31.7 28.6 31.6
포화지방산 45.7 50.0 48.8 43.6 47.6 46.1
불포화지방산 54.3 50.0 51.2 57.4 52.4 53.9
돈육의 목살에 포함된 인지질의 종류와 함량
검출 지방산(%) 목살 대조구 목살 실험구(120일령 기준)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팔미틱산(C16:0) 17.4 23.0 22.4 23.2 22.2 28.5
스테이르산(C18:0) 23.9 23.9 24.9 23.0 24.8 19.1
불포화지방산(C18:1) 20.3 16.3 16.9 16.0 24.5 20.3
레놀산(18:2) 38.4 36.7 35.8 37.8 28.6 32.1
포화지방산 41.4 47.0 47.3 46.2 47.0 47.6
불포화지방산 58.6 53.0 52.7 53.8 53.0 52.4
위 표 5 내지 표 10의 성적을 보면, 대체로 총지방질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는데 삼겹살 시료의 경우 중성지질과 인지질은 팔미트릭산(palmitric acid)(C16:0), 스테이르산(stearic acid)(C18:0), 올레익산(oleic acid)(C18:1), 레놀레익산(linoleic acid)(C18:2)이 주된 지방산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당지질은 대표적인 올레익산과 레놀레익산은 검출되지 않고 팔미트릭산과 스테이르산만 검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로 사육한 돼지의 목살 실험구의 시료들에서는 삼겹살 실험구와는 달리 중성지질, 인지질, 당지질 모두에서 팔미트릭산과 스테이르산, 올레익산과 레놀레익산이 주된 지방산으로 검출되었다.
본 발명의 표 5 내지 표 10의 성적을 종합해 보면 사료급여일과 상관없이 개체간의 차이와 샘플링 부위 및 유전적 특성에 의해 육질의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해 사육된 돼지의 육질이 크게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증체량]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로 120일 키운 돼지를 도축한 뒤 24시간이 되는 시점에 늑골 5번째와 6번째 늑골 사이의 등심부위를 등급판정 기준인 면적자(1cm3)를 이용하여 등심의 단면적을 ㎠로 측정하였다. 그 성적은 표 11과 같다.
등심의 시료 1 내지 시료 5는 희토류의 함량비별 성적이다. 시료별 희토류의 구성비(함량)는 시료 1: 희토류 300g, 시료 2: 희토류 400g, 시료 3: 희토류 500g, 시료 4: 희토류 600g, 시료 5: 희토류 700g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돈육 사료첨가제에 첨가된 희토류 함량별 등심의 단면적
등심 대조구 단면적(㎠)
(홈플러스 구입 등심)
등심 실험구 단면적(㎠)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34.53 35.11 35.54 37.23 37.33 37.80
위 표 11과 표 12의 성적에서 각 등심 실험구의 시료들 성적을 보면, 희토류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등심의 단면적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표 11의 시료 5는 단면적이 37.80㎠로 다른 시료에 비해 가장 큰 단면적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등심 실험구의 시료 4와 시료 5는 희토류의 함량이 시료 3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에도 등심의 단면적은 시료 3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희토류의 함량이 시료 3 이상을 첨가하더라도 돼지의 증체효과가 비례적으로 개선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180일 동안 돼지를 사육한 돼지의 체중과 일반사료로 먹여 키운 돼지와 비교하였다. 그 성적은 표 12와 같다.
일령별 돼지의 증체량
성별 실험두수 초기중량(Kg) 최종중량(Kg) 증체량(Kg) 증체량/일(g)

대조구
암돼지 80 1,306.0 2,750.0 1,444 622.4
숫돼지 40 570.0 1,370.0 800.0 689.7
합계 120 1,876.0 4,120.0 2,244 644.8

실험구
암돼지 80 1,300.0 2,785.0 1,485 640.1
숫돼지 40 560.0 1,365.0 805.0 694.0
합계 120 1,860.0 4,150.0 2,290.0 658.0
표 12에서는 실험구(표 11의 시료 1 내지 시료 5)의 암돼지와 숫돼지의 일일 증체량은 대조구의 암돼지와 숫돼지 보다 각각 633.6g, 4.3g 더 증체되고 전체적으로 13.2g 더 증체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일일 증체면에서 대조구와 실험구의 성적은 미차로 보여지나 성돈 180일령이 되었을 때 총체적 증체량의 차이는 큰 격차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가 표 11에서 확인된 희토류의 이상적인 첨가 비율로 판단되는 등심 실험구의 시료 3에 대하여 육즙감량, 관능검사, 육색, 근내지방도, 육질단력(경도)를 대조구와 대비하여 실험하였다.
[육즙감량시험]
상기한 본 발명의 등심 시료 3의 두께:2cm, 무게:200g, 온도:4℃에서 4일간 보관하면서 근육으로부터 수분손실을 중량으로 측정하였다. 그 성적은 표 13과 같다. 표 13의 성적은 표 11의 등심 실험구의 시료 1 내지 5의 평균값이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에 첨가된 희토류 함량별 육즙 성적표
일별 중량 평균값
1일 2일 3일 4일
등심 대조구 2.96 1.02 1.01 0.95 5.94
등심 실험구 2.44 1.11 1.08 0.98 5.61
[관능검사]
상기한 표 13의 성적표에 기재된 등심실험구의 시료 3에 대한 육질 관능검사는 NPPC(2000) 기준에 따라 9명의 관능검사 요원이 육색 기준 1~5(숫자가 클수록 선명함), 근내지방도:1~5(숫자가 클수록 마블링 분포가 균일함), 경도:1~5(숫자가 클수록 육질의 탄력이 좋음)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4과 같다. 아래의 등심 대조구는 5회 평균값이고, 등심 실험구 성적은 표 11의 시료 3의 5회 평균값이다.
관능검사 성적표
육색 (color) 근내지방도(marbling) 탄력(firmness)
등심 대조구 2.3 1.7 1.8
등심 실험구 2.5 1.8 2.2
[가열감량 및 지방산 패도검사]
상기한 표 13에 기재된 시료 3의 가열감량 및 지방산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험방법은 등심 200g을 정확히 취하여 항온수조 75℃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상온에서 30분간 공냉시킨 뒤 유리되는 육즙의 량을 백분율로 산출하고, 지방산패도는 Witte(1970)의 TBA(thiobarbituriv acid)측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성적은 아래의 표 15와 같다.
가열감량 및 지방산 패도검사 성적표
가열감량(Cook loss %) 지방패도(TBARS, mg. MA/kg)
등심 대조구 38.64 37.66
등심 실험구 0.012 0.0009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포함된 희토류는 돼지의 소화기관과 장기활성화와 소화력향상 및 혈액순환 개선 대사작용을 향상시켜 돼지의 체중을 증체시키는 효과가 있고, 돈육의 육색이 일반사료로 사육한 돈육에 비해 선명하고 탄력이 좋아지며, 또한 육즙의 보존력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구에서 희토류의 구성비를 200g이하로 첨가한 경우 증체량이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고, 또한 700g을 초과하여 첨가한 경우에도 증체량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효과는 미미하고 오히려 사료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불리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에 첨가되는 희토류의 구성비는 200g~700g에서 유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g이다.
제독/법제유황을 일반사료에 첨가하여 돼지를 사육하는 경우 돈육의 육질을 개선하는 것에 관하여 "울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보 제5권 399-408, 2009 유황먹인 돼지와 일반 사육돼지의 성분 비교분석" 연구원 이윤정, 김미희, 박성웅, 이경미 외 4인이 발표한 함께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제독/법제유황을 사료에 첨가하여 돼지를 사육한 경우 일반사료를 먹인 돼지에 비해 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일반사료를 먹인 돼지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 항아미노산이자 강력한 산화방지제 역할을 하는 씨스테인(cystein)은 특히 80%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고 체내 메틸화반응(methylation)으로 해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아미노산이자 황함유 아미노산인 메티오닌(methionine)의 함량도 일반사료를 먹인 돼지에 비해 13%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성분에는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총아미노산의 함량의 증가여부와 사료화에 따른 구체적인 제독/법제유황의 이상적인 구성비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해야할 미제로 남겨두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에 포함한 법제/제독유황의 구성비는 아래의 표 16의 사료 첨가제 1 내지 7과 같이 각각 제조하였다.
제독/법제유황의 함량별 사료 첨가제의 구성비
희토류 사포닌 법제유황 비피더스 미생물 부형제(말분)
사료 첨가제 1 200g 1,000mg 20g 8 × 1010cfu 879g
사료 첨가제 2 300g 1,000mg 30g 8 × 1010cfu 769g
사료 첨가제 3 400g 1,000mg 40g 8 × 1010cfu 659g
사료 첨가제 4 500g 1,000mg 50g 8 × 1010cfu 449g
사료 첨가제 5 600g 1,000mg 60g 8 × 1010cfu 339g
사료 첨가제 6 700g 1,000mg 60g 8 × 1010cfu 239g
사료 첨가제 7 700g 1,000mg 70g 8 × 1010cfu 229g
위 표 16의 각 사료 첨가제 1 내지 5를 일반사료 1톤과 배합하여 비육돈(180일령 기준)의 출하전 60일전(120일령)부터 사육중인 돼지에게 급여하여 180일령의 성돈 삼겹살과 목살을 전술한 바와 같이 두께 1cm로 절단하여 관응검사, 일반성분 검사, 구성 아미노산 종류와 함량분석 및 황함유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미노산과 황함량에서 제독/법제유황의 함량별 성적은 표 17과 표 18과 같은 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로 아미노산 검사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돼지의 육질내 황함량 성적표
구 분 황함량(ppm)
삼겹살과 목살 대조구의 평균값 86.09
삼겹살과 목살 실험구의 평균값 87.93
돈육의 육질내 아미노산 종류별 함량 성적표(단위 mmol/ℓ)

항목
대조구 실험구
목살 삽겹살 목살 삽겹살
Asp 82.65 77.36 79.40 92.62
Ser 46.92 45.23 50.68 55.10
Glu 128.56 104.32 122.43 137.21
Gly 56.32 52.73 64.31 62.97
His 461.31 512.42 495.23 533.78
Arg 54.31 52.62 61.01 63.95
Thre 49.85 47.88 53.21 60.98
Ala 78.41 73.01 84.78 92.54
Pro 42.25 42.77 51.32 53.34
Cys 4.23 8.21 12.02 9.83
Tyr 34.03 29.72 35.59 35.02
Val 60.98 56.21 63.44 70.93
Met 16.87 10.18 17.83 14.01
Lys 67.54 61.78 73.12 84.91
Ile 43.21 51.32 62.65 64.28
Leu 83.01 73.42 87.48 95.25
Phe 44.21 38.31 43.25 49.37
또한, 관능시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육즙감량, 관능검사, 육색, 근내지방도(Marbling), 육질탄력(경도)를 검사한 결과 일반사료를 먹인 돼지의 삼겹살과 목살을 비교하였을 때 실험구는 대조구의 삽겹살과 목살 시험항목과 별다른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표 1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황함량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내는 성적으로 보였다.
즉, 표 18에서 목살 실험구의 경우 목살 대조구에 비해 필수아미노산(The, Val, Met, Lys, Ile, Leu, Phe)의 성분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에 포함된 제독/법제 유황성분이 필수아미노산이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와 법제/제독유황만을 일반사료에 첨가하여 돼지의 암수 각 120두(암돼지 80두, 숫돼지 40두)를 각각의 돈사에서 180일령 동안 사육하면서 돼지의 폐사율을 기록한 결과 아래의 표 19와 같은 성적을 얻었다.
돼지 폐사 성적표
30일 60일 90일 120일 150일 180일
사육 1(제독/법제유황 + 일반사료를 사육초기부터 급여) 4 2.3 2.8 1.8 1.4 0.8
사육 2(본 발명의 사료첨가제+일반사료를 처음부터 급여) 2.3 2 1 - - -
사육 3(본 발명의 사료첨가제+일반사료를 돼지 120일령부터 급여함) 3.5 3.1 2 1.3 1.6 -
위 표 19의 사육 1의 경우 60일 동안 6.3두 즉, 폐사: 6두, 건강이상: 0.3두의 성적을 보였으나 사육기간이 길어질수록 폐사율이 낮아지는 성적으로 보였다. 사육1의 성적은 폐사하거나 건강이상을 보인 돼지는 사료에 첨가된 제독/법제유황의 해독능력이 유전적 혹은 체질적으로 약하거나 건강하지 않은 돼지로 보여지고 반대로 성돈으로 성장한 돼지는 유황을 해독하면서 성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사육 2의 경우 60일령 기간에 5.3두 즉, 폐사 5두, 건강이상 0.3두의 성적을 보였고 사육기간이 경과할 수록 역시 사육 1과 같이 점차 폐사율은 감소되는 성적을 보였다. 이는 초기에 돼지가 제독/법제유황을 해독하지 못해 폐사했거나 유전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돼지로 판단되지만 돼지가 성돈으로 자라는 동안 나타난 성적은 제독/법제유황을 먹은 돼지가 사육 1에 비해 돼지의 폐사율이 감소한 성적으로 볼 때 돼지의 체질이 더 건강해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사육 2는 돼지 사육 방법론에서 사육 1 즉, 돼지를 사육하는 초기부터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일반사료에 배합하여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도 돼지의 폐사율을 낮추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육 3은 120일령부터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일반사료와 배합하여 급여한 결과 120일 동안에 폐사한 돼지는 9.9두, 건강이상: 0.9두의 성적을 보였는데, 이 성적은 질병이나 기타 사유로 폐사한 것으로 예측되나 사육 3의 120일부터 180일 동안 나타난 폐사성적은 수치적으로 사육 1에 비해 "2.9" 더 많은 수치이나 평균적으로 사육 3이 사육 1에 비해 성돈으로 성장한 개체수가 더 많은 것을 볼 때 체질적으로 더 건강해졌다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사육 2과 사육 3의 성적으로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사육 개시일부터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보다 돼지가 일정기간 성장한 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급여하는 것이 폐사율을 낮추고 건강한 성돈으로 성장하는데 유리한 사육방법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돼지가 70~120일령 전에 폐사하는 돼지의 손실을 줄이는 효과를 감안한다면 사육 2의 사료급여조건도 사육 3에 비해 결코 불리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한편, 사포닌과 비피더스 미생물을 설명함에 있어 사포닌에 대해서는 서두에서 기술한 "인삼의 잎과 줄기추출물을 이용한 양돈용 사료첨가제 제조방법"에서 인삼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사료첨가제로 사용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발효 홍삼 사포닌 성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사료 첨가물의 구성물질과 상호 보완적으로 돼지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의 최적화 및 저렴한 사료제조에 본 발명자는 관심을 두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사포닌 성분은 흡수율이 낮기 때문에 혈액에 흡수되는 효율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발효홍삼 사포닌 성분을 컴파운드 K로 분해시키기 위해 비피더스 미생물이 활용되었다.
본 발명에 채용된 비피더스 미생물은 Bifidobactririum longum , Bifidobactririum. bifidum 채택하였다. probiotics
생균제는 젖산으로 다른 탄수화물과 설탕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산업에서 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 유제품의 신맛을 있고 성장을 위해 손상된 조직을 재건하기도 하며 pH를 낮추어 부식방지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비피더스 미생물을 사료 첨가제에 첨가하였을 때 표 12에 나타난 증체량 증가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비피더스 미생물을 미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돼지는 일일 증체량이 평균 220g 감소되는 성적으로 보였다. 120일에서 180일동안 성장한 돼지가 평균 13.2kg 더 증체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폐사율에서 표 19의 사육 3과 같은 사료 급여조건에서는 비피더스 미생물을 첨가한 사료로 성장한 돼지는 폐사율이 비피더스 미생물을 미첨가한 사료를 먹인 돼지에 비해 0.8두 감소한 성적으로 보였다.
본 발명자의 실험과 연구에 의하면 사포닌 성분이 사료첨가제를 구성하는 구성물질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보다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일부 있으나 비피너스 미생물이 사포닌 성분을 흡수가 용이한 컴파운드 K로 변화되어 사포닌 성분이 지니고 있는 약리작용이 돼지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 면역력 강화, 항산화작용 등이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첨가된 비피더스 미생물이 사포닌 성분의 체내흡수를 높여 돼지의 체질이나 대사작용을 즉, 면역체계나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저항력, 항산화작용, 소화촉진, 식욕증진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예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질 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제품은 돈육의 지방산의 비율을 높이고 고소한 맛이 강해지며, 쫄깃하고 부드러워지며, 육질이 잘 굳지 않는다. 또한 고밀도 콜레스테롤을 줄여주고 몸의 해독에 유익하게 작용하게 되고 생체저항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입자크기가 300메쉬로 분쇄한 희토류 200g ~ 700g에 발효사포닌 1,000mg을 스프레이로 고르게 분무한 뒤, 발효사포닌이 도포된 희토류 입자와 제독/법제유황 40g ~ 60g과 비피더스미생물 8 × 1010cfu 및 말분 340g ~ 760g를 교반기에 넣고 4시간 동안 골고루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의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 1 ~ 2kg과 일반 배합사료 998 ~ 999kg로 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 육질개선용 사료제품.
  3. 물탱크에 희토류를 200g~700g을 넣은 뒤 그 속에 정제수 2ℓ를 채운 뒤 24시간 숙성시키는 제1단계와;
    다른 물탱크에 제1단계에서 숙성시킨 물을 옮겨 담고 법제유황 40g~60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일간(120시간) 숙성 및 교반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숙성시킨 숙성수를 다른 물탱크로 옮긴 뒤 그 속에 사포닌 농축액 1,000mg, 비피더스 미생물 8 × 1010cfu을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면서 숙성시킨 뒤 숙성된 용액을 용기에 포장하는 제3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 육질 개선용 음용수 제조방법.
  4. 제3항에 의해 제조된 음용수 1 ~ 2ℓ를 정제수 1톤 중량부에 넣어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제품.
KR1020110101181A 2011-10-05 2011-10-05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30036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81A KR20130036935A (ko) 2011-10-05 2011-10-05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81A KR20130036935A (ko) 2011-10-05 2011-10-05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935A true KR20130036935A (ko) 2013-04-15

Family

ID=4843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181A KR20130036935A (ko) 2011-10-05 2011-10-05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69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271A (ko) * 2014-02-18 2015-08-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황돈육 단기 생햄 제조방법
KR101974032B1 (ko) * 2019-01-02 2019-04-30 이중서 고기능성 생산물을 위한 복합미네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3075A (ko) * 2020-02-13 2021-08-23 조준래 사료 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271A (ko) * 2014-02-18 2015-08-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황돈육 단기 생햄 제조방법
KR101974032B1 (ko) * 2019-01-02 2019-04-30 이중서 고기능성 생산물을 위한 복합미네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3075A (ko) * 2020-02-13 2021-08-23 조준래 사료 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30999B (zh) 一种果渣发酵饲料添加剂的制备方法及应用
CN105265811B (zh) 一种增加猪肉瘦肉率及风味的添加剂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CN105166482A (zh) 鸡饲料
Hamdi et al. Carcass traits, contractile muscle properties and meat quality of grazing and feedlot Barbarine lamb receiving or not olive cake
KR101735759B1 (ko)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CN104171369A (zh) 一种添加桑叶粉和桑枝灵芝下脚料粉的畜禽饲料及其用途
CN103564262A (zh) 一种大猪饲料
KR20100104540A (ko) 옻이 함유된 발효사료 제조방법
Kowalska et al. Meat quality of rabbits fed a diet supplemented with fish oil and antioxidant.
KR20130036935A (ko) 돈육 육질개선용 음용수 및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과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일반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643596B1 (ko)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Baranowski et al. Fattening performance, slaughter indicators and meat chemical composition in lambs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linseed and mineral bioplex.
KR101341991B1 (ko)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KR20060111245A (ko) 신규한 염소 또는 양 사육용 사료 조성물과 그를 이용하여생산된 노린내 없는 육고기
CN107307229B (zh) 一种改善淘汰蛋鸡肉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70060527A (ko)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및 올레산 함량과 항산화능이 강화된계란
KR20190118720A (ko) 사철쑥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및 친환경성 돼지사료용 보조제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및 그 돈육
KR20090097727A (ko)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CN107772126A (zh) 鸵鸟幼龄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401486B1 (ko) 미역부산물의 급여에 의한 고품질 한우육의 생산 방법
Abilov et al. Efficiency of protein-rich plant and animal additives in feeding broiler chickens
KR100680308B1 (ko) 감초 추출액이 첨가된 쑥 또는 산약 부산물을 이용한 육질개선용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질개선용 가축사료첨가제 및 상기 가축사료첨가제를 급여하여 생산된 한우육
KR102432652B1 (ko)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80056915A (ko) 포도부산물의 효율을 증대시킨 사료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