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727A -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 Google Patents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727A
KR20090097727A KR1020080023046A KR20080023046A KR20090097727A KR 20090097727 A KR20090097727 A KR 20090097727A KR 1020080023046 A KR1020080023046 A KR 1020080023046A KR 20080023046 A KR20080023046 A KR 20080023046A KR 20090097727 A KR20090097727 A KR 2009009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vestock
korean
acid
hanw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은옥
정진영
전우천
김자현
Original Assignee
(주)경희헬스앤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희헬스앤뷰티 filed Critical (주)경희헬스앤뷰티
Priority to KR102008002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727A/ko
Publication of KR2009009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한우 사육 사료에 인삼의 대량 출하로 인해 버려지는 인삼싹을 첨가하여 한우의 연육작용에 도움이 되고, 항산화 효과가 높은 유백피와 항균효과가 우수한 인진쑥을 함께 첨가하여 한우 사육용 사료를 제조하였을 때, 항생제를 대체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약재의 간접섭취로 인해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며, 고품질의 브랜드 생산화가 가능하여 지역 농가의 소득증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우수한 발명이다.
사료, 한우사육사료, 한약재 분말, 항산화, 항균, 육질개선

Description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Medical herb Containing for Korean cattle feed-composite and for livestock}
본 발명은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한우 사육 사료에 한약재 분말을 첨가하여 항산화, 항균작용이 있으면서 육질개선의 효과를 갖는 한약재 사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추가축을 비롯한 모든 동물의 사육은 최근에 이르러 기업화,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 밀집 사육을 할 수 있고, 또한 가축의 성장 속도를 증가시켜 원활한 식량자원의 공급을 위하여 사료 첨가제가 개발되었다. 사료 첨가제는 시판되는 가축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의 성장 속도를 증대시키고 밀집 사육으로 인한 가축들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으나, 종래의 사료첨가제는 대부분이 합성 항균제, 항생제, 방부제 및 탈색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축 사료에 첨가하는 성장촉진 항생물질(AGPs; Antibiotic Growth Promoters)은 인류의 식생활개선과 더불어 가축의 대량 생산에 따른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료에 적량을 사용함으로써 축산 발전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항생제 남용에 따른 논란이 크게 일면서 세계적으로 그 사용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는 2004년도부터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하여 2006년 1월부터는 사료내 항생제 첨가를 전면 금지한 바 있으며, 각 국가별로 동물용 의약품 안전사용 기준을 강화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4년 12월부터 항생제 사용범위를 54종에서 25종으로 감축하여 향후 그 숫자를 점차 줄여나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농가에서도 미약하지만 가축의 사육시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사료를 제조하여 투여하고 있으나, 항생제의 미사용으로 병원균에 대한 내성 저하와 폐사율 증가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 별도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육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항생제를 대처할 수 있는 항생물질이 함유된 사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최근 경제 발전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질병 치료와 건강보호를 목적으로 합성 물질 보다는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 생약자원을 이용한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생약자원인 약용식물에는 항균,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독소, 효소 활성 촉진 유익 미생물 균총 유지, 면역활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데 동물체가 이를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 신진대사 촉진, 면역력 강화 등으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식욕 증진, 소화율 개선 등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한우 사육 사료에 한약재 분말을 첨가하여 항산화, 항균작용이 있으면서 육질개선의 효과를 동시에 갖는 한약재 사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한우 고기는 오래전부터 식단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인정 받고 있으며, 수분이 약 70% 내외로 단백질, 지방, 무기질과 미량 유효성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우육내 지방중의 상강육은 근육중에서도 근원섬유 사이나 근육조모에까지 침착되는 지방조직으로 일명 근내 지방도라고 부른다. 또한 한우육에서 맛을 좌우하는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는 팔미트산(Palmit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그리고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이지만 그 중에서도 올레인산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올레인산의 축적은 품종, 사육방법,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2001년 쇠고기 수입이 자유화됨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사양관리의 차별화와 특수한 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쇠고기를 브랜드화 하는 것이 지역 농가 소득증대의 한 방안이 되고 있다.
생약자원을 이용한 가축용 사료에 대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앙파와 생약재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730291호), 한약재를 함유한 성장촉진용 가축사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20932호), 약용식물을 이용한 가축사료용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와 음수(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801549호), 한약재 및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천연 가축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631317호), 쑥이 첨가된 가축사료 및 그 사료로 사육한 한우고기(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430403호)등 다양한 생약재 원을 이용한 가축용 사료가 개발되었으나, 인진쑥의 항균작용과 유백피의 항산화작용, 인삼싹의 연육작용의 효과를 내는 가축용 사료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식품에 대한 선호의식이 증가하면서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고, 올레인산이 많으면서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을 함유한 고품질육을 원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인삼싹과 유백피, 인진쑥의 효능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축산 사료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기초 사료에 한약재를 분말의 형태로 첨가, 배합함으로써 가축의 생산성 및 사료 효율을 극대화하여 항균, 항산화작용과 더불어 연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항생제를 대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약재의 간접 섭취로 인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항균,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연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항생제를 대체 할수 있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본 발명 한약재 분말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항균 작용이 있는 인진쑥과 항산화 작용이 있는 유백피 그리고 대량의 인삼 출하에 따라 버려지는 인삼싹(수삼의 윗 잎부분)을 이용하여 연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약재들을 살펴 보면 인삼은 예로부터 7가지 뛰어난 효능을 두고 인삼칠효설(人參七效設)이라 하였는데, 지금까지의 현대의학으로 증명된 효능은 강장 작용, 혈압조절작용, 빈혈치료, 당뇨병치료, 간 기능 강화, 두뇌 기능 강화, 면역 기능 강화, 강심작용, 항암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다. 특히 부인과 소아과 질환에 효능이 두드러지고 방사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삼의 인삼싹은 수확시 대부분 버려지고 있으나, 인삼 내에 들어 있는 유사한 구조와 효능을 가진 사포닌이 인삼 뿌리보다 2~3배 많은 10~13% 정도 함유되어 매우 가치 있는 의약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유백피(楡白皮, Ulmi cortex)는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낙엽 교목인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의 코르크 층을 벗긴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유피(楡皮)라고도 하며, 느릅나무 수피(Ulmi pumilae Cortex)는 한방에서는 유백피(楡白皮) 또는 백피(白皮)라고 부르며, β-sitosterol, phytosterol류, stigmasterol 등 여러 종류의 sterol류 및 tannin, 식물 교질, 지방유 등이 함유 되어있다. 그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다. 귀경은 대장, 위, 소장경으로 효능 및 주치는 이수통림(利水通淋)이며, 소변불리(小便不利), 오림종만(五腫滿), 수종(水腫), 천창불면(喘脹不眠) 등에 사용되며, 해독소종(解毒消腫)인 습열옹창(濕熱癰瘡)에도 이용된다. 유백피는 소변을 통리(通利)하여 소변단소열통(小便短少熱痛)하는 임병(淋病)과 소변이 불리(不利)하여 발생하는 부종을 치료한다. 아울러 관절을 통리(通利)하여 관절종통(關節腫痛)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유백피의 성분 중에는 셀룰로오즈 22.3%, 헤미셀룰로오즈 10.6%, 리그닌 25.2%, 펙틴 8.0%, 소량의 알긴산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friedelin, epifriedelanol 및 taraxerol 등이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진(茵蔯)쑥은 보통 더위지기 또는 사철쑥을 말한다. 인진쑥은 산과 들에 나는 초본형의 낙엽이 지는 관목이다. 강가나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흔히 나는 다년초이지만, 줄기 밑은 목질이다. 담즙분비량을 증가시켜 소화에 도움을 주며 혈행개 선으로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약재로도 사용되고, 인진은 혈청 콜레스테롤과 베타리보 단백을 강하시켜 혈관내 지방체의 축적을 방지한다. 또한 인진고에 함유된 정유와 chlorogenic acid는 이뇨작용을 가지며, 항균시험에서는 간염바이러스, 인형결핵균, 고초균, 티푸스균, 인프루엔자 바이러스, 피부병의 병원성 사상균에 대해 강한 억제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언급한 약재를 깨끗한 물에 수세한 후 양건하여 80메쉬(mesh)로 분말화 하여 통상의 한우 사육사료에 분말의 형태로 일정 배합비에 따라 첨가하여 혼합한 후 한우에게 급여한다.
본 발명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는 꾸준하게 소비되고 있는 인삼의 대량 출하로 인해 버려지는 인삼싹을 이용하여 한우의 연육작용에 도움이 되고, 항산화 효과가 높은 유백피와 항균효과가 우수한 인진쑥을 이용하여 한우 사육용 사료를 제조하였을 때, 항생제를 대체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약재의 간접섭취로 인해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며, 고품질의 브랜드 생산화가 가능하여 지역 농가의 소득증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는 일반 시판되고 있는 한우 배합사료에 연육작용에 도움을 주는 인삼싹, 항산화 효과가 높 은 유백피, 항균효과가 우수한 인진쑥을 80메쉬(mesh)분말화 하여 첨가하는 방법으로 일반 시판 사료에 1~10중량%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선 상기 한약재 분말을 5중량% 첨가하여 체중이 비교적 균일한 한우 송아지를 선정하여 6개월간 급여하여 한우를 사육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한약재 분말 5중량% 첨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육한 한우는 물리적 특성 측정과 육질형질 및 지방산 분석을 통해 일반 사료만을 급여한 한우와 한약재 분말을 첨가하여 사육한 한우를 비교 측정하였다. 일반 사료만을 급여한 한우는 이하 대조구, 한약재 분말을 첨가하여 사육한 한우는 이하 첨가구로 표기한다.
등심과 우둔육의 물리적 특성 측정인 조직감 측정은 신선육을 shearing cutting test로 전단력(sher force)은 computer와 rheometer(Sun, CR300, Japan)으로 측정하였으며, 파쇠성(brittleness), 경도(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ness), 점착성(gumminess) 등 함께 조사하였다.
일반 사료를 급여 사육한 한우와 한약재 첨가 사료를 급여 사육한 한우의 등심과 우둔육의 물리적 특성 측정
항목 물리적 특성
경도(g) 부착성(g) 응집성(%) 탄력성(%) 점착성(kg) 파쇄성(g%)
등심 대조구 483.5 153.2 36.1 112.4 243.8 311.5
첨가구 472.5 134.8 46.2 92.4 346.5 325.7
우둔 대조구 712.1 175.1 32.1 94.2 352.1 341.2
첨가구 509.2 95.1 86.7 74.2 239.1 203.4
표 1의 결과에서 볼 때, 한약재 분말 5중량% 첨가구에서는 경도가 낮게 나타나 고기의 연육작용에 도움이 된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된 한우는 사양시험 종료 후 24시간 절식시킨 다음 도축하여 24시간 냉각 후에 한국 쇠고기 등급기준(축산물등급판정소. 2003)에 따라 육질형질(근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를 측정하였다.
일반 사료를 급여 사육한 한우와 한약재 첨가 사료를 급여 사육한 한우의 육질 형질 측정
구분 근내지방도1 육색2 지방색3 조직감4 성숙도5 육질등급6
대조구 2.69±1.82 4.84±0.38 2.85±0.44 2.8±0.65 2.16±0.42 1.84±0.70
첨가구 4.01±1.11 4.92±0.38 3.00±0.42 2.3±1.56 2.40±1.62 2.9±0.23
1 : 1=devoid, 7=abundant; 2 : 1=dark red, 7=brigh red; 3 : 1=white, 7=yellow; 4 : 1=maturey, 3=youthful; 5 : 1=fine, 3=coarse; 6 : 1+=3, 1st grade=2, 2nd grade=1, 3rd grade=0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약재 분말 5중량% 첨가구가 대조구에 근내지방도가 높게 차이가 나타났고, 이외에 육색, 지방색, 성숙도, 육질등급에서도 더 높은 경항을 보였다.
본 발명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한우의 육내 지방산은 시료를 0.5g 취한 후 메틸화(methylation)하였다. 시료에 메탄올과 벤젠을 4:1(v/v)로 혼합한 혼합액 2㎖에 아세틸클로라이드(acetyl chloride) 200㎕를 가한 후 100℃의 히터 블럭(Heating block)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를 실온에 충분히 방치한 다음 헥산(Hexane) 1㎖과 6% 포타슘 카보네이트(potassium carbonate) 5㎖를 가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0.5㎕를 취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GA-17A, Shimdzu, Japen)에 주입하였고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칼럼의 초기온도는 180℃에서 시작하여 1.5℃/분의 속도로 230℃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2분간 유지하였다. 이때 주입기(injector)와 검출기(detector)(FID)의 온도는 각각 240℃, 260℃로 하였고, 지방산은 표준품과 유지시간(retention time)을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함량은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일반 사료를 급여 사육한 한우와 한약재 첨가 사료를 급여 사육한 한우의 지방산 측정
성분명 대조구 첨가구
C14:0 (Myristic acid) 2.47±0.52 2.82±0.54
C16:0 (Palmitic acid) 27.02±2.12 27.28±1.25
C16:1 n-7 (Palmitoleic acid) 3.17±0.48 4.25±0.43
C18:0 (Stearic acid) 14.01±0.86 12.12±1.12
C18:1 n-9 (Oleic acid) 50.41±1.47 50.21±1.28
C18:1 n-7 (Vaccenic acid) 0.20±0.06 0.53±0.01
C18:2 n-6 (Linoleic acid) 2.23±0.04 2.02±0.02
C18:3 n-6 (Y-Linoleic acid) 0.07±0.03 0.09±0.03
C18:3 n-3 (Linolenic acid) 0.19±0.24 0.17±0.02
C20:1 n-9 (Eicosenoic acid) 0.17±0.16 0.42±0.14
C20:2 n-2 (Eicosenoic acid) - -
C20:3 n-6 (Eicosatrienoic acid) - -
C20:4 n-6 (Arachidonic acid) 0.06±0.03 0.06±0.01
C20:5 n-3(EPA) (Eicosapentaenoic acid) - -
C22:4 n-6 (Docosahexaenoic acid) - 0.03±0.05
C22:5 n-3 (Docosahexaenoic acid) - -
C22:6 n-3(DHA) (Docosahexaenoic acid) - -
100.00 100.00
포화 지방산 45.39±2.55 42.74±2.36
불포화 지방산 54.61±1.52 57.26±1.48
표 3은 일반 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한약재 사료를 급여한 첨가구의 지방산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팔미토레인산(palmitoleic acid)은 대조구 보다 한약재 분말 5중량%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한약재 분말 5중량%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불포화지방산 측정치가 높았다.

Claims (2)

  1. 한우의 연육작용에 도움이 되는 인삼싹과 항산화 효과가 높은 유백피와 항균효과가 우수한 인진쑥을 수세한 후 양건하여 80 메쉬(mesh)로 분말화 하여 통상의 한우 사육 사료에 1~10중량%의 배합비로 현재 시판되는 통상의 한우 사육용 사료에 첨가하여 제조한 한우 사육용 한약재를 첨가한 사료.
  2. 제 1항에 의하여 사육한 한우고기.
KR1020080023046A 2008-03-12 2008-03-12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KR20090097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046A KR20090097727A (ko) 2008-03-12 2008-03-12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046A KR20090097727A (ko) 2008-03-12 2008-03-12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727A true KR20090097727A (ko) 2009-09-16

Family

ID=4135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046A KR20090097727A (ko) 2008-03-12 2008-03-12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7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5801A1 (en) * 2009-10-12 2011-04-21 Neminath Patil Prashant Herbal cattle feed supplement compositions for enhancing productivity and quality of milk
WO2011045802A1 (en) * 2009-10-12 2011-04-21 Neminath Patil Prashant Herbal compositions improving lactation of farmed livestock
WO2011055387A2 (en) * 2009-11-07 2011-05-12 Prashant Neminath Patil Herbal milk replacer compositions for calf
WO2011061756A2 (en) * 2009-11-23 2011-05-26 Prashant Neminath Patil Herbal calf starter composition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5801A1 (en) * 2009-10-12 2011-04-21 Neminath Patil Prashant Herbal cattle feed supplement compositions for enhancing productivity and quality of milk
WO2011045802A1 (en) * 2009-10-12 2011-04-21 Neminath Patil Prashant Herbal compositions improving lactation of farmed livestock
US8663623B2 (en) 2009-10-12 2014-03-04 Prashant Neminath Patil Herbal cattle feed supplement compositions for enhancing productivity and quality of milk
US20150017268A1 (en) * 2009-10-12 2015-01-15 Prashant Neminath Patil Methods for improving milk letting down in milch animals
US9827284B2 (en) 2009-10-12 2017-11-28 Prashant Neminath Patil Methods for improving milk letting down in milch animals
WO2011055387A2 (en) * 2009-11-07 2011-05-12 Prashant Neminath Patil Herbal milk replacer compositions for calf
WO2011055387A3 (en) * 2009-11-07 2011-06-30 Prashant Neminath Patil Milk replacer for calves with herbal supplementation
US8668945B2 (en) 2009-11-07 2014-03-11 Prashant Neminath Patil Herbal milk replacer compositions for calf
WO2011061756A2 (en) * 2009-11-23 2011-05-26 Prashant Neminath Patil Herbal calf starter compositions
WO2011061756A3 (en) * 2009-11-23 2011-07-14 Prashant Neminath Patil Starter composition for calves with herbal supplementation
US8663719B2 (en) 2009-11-23 2014-03-04 Prashant Neminath Patil Herbal calf starter composi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922B1 (ko) 바이오가스 부산물을 함유한 젖소 사료 첨가제
CN111513211A (zh) 一种用于畜禽与水产养殖的水溶性营养精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KR101864351B1 (ko) 축산용 사료
CN102100318A (zh) 鸡饲料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1377B1 (ko)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1773205A (zh) 畜禽桑饲料的加工方法
KR102213743B1 (ko) 한약재를 함유하는 동물 면역력 증강 성장촉진용 보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165654A (zh) 一种改善肉质中草药发酵型功能饲料的制备方法
KR20090097727A (ko)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KR20080086719A (ko) 산야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축산용 발효 조성물
CN108771016A (zh) 一种猪用中药饲料添加剂及其应用
KR100643596B1 (ko)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CN104082574A (zh) 一种富含蛋白质的鸡饲料配方及其制备方法
Ölmez et al. The impact of an essential oil mixture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histology in native Turkish geese (Anser anser).
CN107307229B (zh) 一种改善淘汰蛋鸡肉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037184A (zh) 高蛋白植物精油复配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082568A (zh) 一种易消化的鸡饲料配方及其制备方法
CN107712415A (zh) 一种蛋鸡增蛋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012808B (zh) 奶牛高蛋白浓缩饲料
CN103609909A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水产饲料添加剂
Al-Khaldani et al. Effect of adding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with or without probiotic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ome biochemical blood characteristics for broiler
KR20120114523A (ko)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우용 사료
KR100657375B1 (ko) 인진쑥, 마늘 및 오가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이용한 올레인산 강화 닭고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