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625B1 -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625B1
KR100843625B1 KR1020070012684A KR20070012684A KR100843625B1 KR 100843625 B1 KR100843625 B1 KR 100843625B1 KR 1020070012684 A KR1020070012684 A KR 1020070012684A KR 20070012684 A KR20070012684 A KR 20070012684A KR 100843625 B1 KR100843625 B1 KR 10084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dietary
dietary sulfur
days
p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형규
배영정
김병균
민현길
강양수
이정일
김상선
Original Assignee
민형규
배영정
김병균
민현길
강양수
이정일
김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형규, 배영정, 김병균, 민현길, 강양수, 이정일, 김상선 filed Critical 민형규
Priority to KR102007001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원 교잡종 돼지에게 30일간 일반배합사료를 급여하는 급여준비과정과; 상기 급여준비과정후에 해당 돼지들에 식이유황이 배합된 배합사료를 항생제 투여없이 150일간 급여하는 유황급여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3원 교잡종 돼지에게 식이유황이 첨가된 배합사료를 항생제 투여없이 일정기간 급여하여 생산하므로써, 식이유황 급여로 인해 사육되는 돼지가 면역성이 증강되어 발육이 양호하므로 그에 따라 돈육의 생산성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식이유황급여, 무항생제, 돈육, 배합사료, 3원 교잡종

Description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method for Safely pork yielding without antibiotic by dietary methyl sulfonyl methane}
도 1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험용 사료조 2 : 혼합기
3 : 전자저울
본 발명은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원 교잡종 돼지에게 식이유황이 첨가된 배합사료를 항생제 투여없이 일정기간 급여하여 생산하므로써, 식이유황 급여로 인해 사육되는 돼지가 면역성이 증강시키는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류는 각종 질병에 대한 치료물질을 개발하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리고, 그러한 물질가운데는 특정 질병에 효과가 있는 물질이나 병원 균을 제거하는 항생제들이 발견 혹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그러한 물질중 유황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투여될 경우 독성이 강하여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에는 식물로부터 추출된 독성이 전혀 없는 천연식이유황이 FDA에서 승인을 얻어 미국 등지에서 건강보조식품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천연 식이유황(이하 MSM(methyl sulfonyl methane)이라 함)은 모든 살아 있는 유기체에서 발견되어지는 유기 유황의 자연 형태이며, 식물에서 추출해낸 무독성 천연 물질로서 화학분자식은(CH2)2SO2이다. 또한, 상기 MSM은 유기 형태의 유황을 공급해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물질로서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는데 효능이 있다. 예컨대, 이러한 MSM은 머리카락과 손톱, 발톱에 영양을 공급함은 물론 기생충과 싸우고 알러지를 깨끗하게 하며, 피부의 해독작용, 근육농과 근육경련의 완화, 위산과다 예방, 스트레스 완화, 당뇨병 예방, 소화 계통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관절염의 통증을 완화시켜 준다고 학술문헌(Lawrence 등, 1998)은 발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MSM은 정상적인 음식에서 발견되는 자연 영양소이며 대개의 척추동물에서 발견되는 유황 합성 물질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식이유황을 사용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은 현재 체계적으로 개시되어 있지못할 뿐만아니라, 돼지를 대량으로 사육할 경우 필연적으로 다량의 항생제를 그 사육되는 돼지들에게 급여해야하므로 그에 따라 그 도축된 돼지들을 식용하는 사람들 역시 항생제의 부작용에 노출될지도 모를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었으며, 그에 더하여 그 사육되는 돼지들 또한 항생제의 급여로 인해 돈육의 육질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식이유황 급여로 인해 사육되는 돼지가 면역성이 증강되어 발육이 양호하므로 그에 따라 돈육의 생산성이 증대되고 고급육의 생산이 가능한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육되는 돼지의 발병원인을 감소시키기위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이유황을 적절히 급여하므로 그에 따라 생산된 돈육을 섭취하는 사람들의 항생제에 대한 안정성도 향상시키는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원 교잡종 돼지에게 30일간 일반배합사료를 급여하는 급여준비과정과;
상기 급여준비과정후에 해당 돼지들에 식이유황이 배합된 배합사료를 항생제 투여없이 150일간 급여하는 유황급여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3원 교잡종 돼지에게 30일간 일반배합사료를 급여하는 급여준비과정(S1)과;
상기 급여준비과정(S1)후에 현재 일이 최초 사육을 시작한지 30일이 경과하였는 지를 체킹하는 경과기간 체킹과정(S2)과;
상기 경과기간 체킹과정(S2)후에 현재 일이 최초 사육을 시작한지 30일이 경과하였을 경우 해당 돼지들에 식이유황이 배합된 배합사료를 항생제 투여없이 150일간 급여하는 식이유황급여과정(S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식이유황급여과정(S3)에는 3원 교잡종 돼지의 월령이 생후 30일 내지 32일령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식이유황급여과정(S3)에는 3원 교잡종 돼지의 평균체중이 6.30kg 내지 6.31kg인 돼지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식이유황급여과정(S3)에는 배합사료가 식이유황 0.03 중량% 내지 0.05 중량%와 배합사료 99.97 중량% 내지 99.95중량%로 배합되는 사료를 사용한다.
다음에는 본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본원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언급되는 %는 모두 중량 %를 의미한다.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방법은 식이유황 급여수준을 달리하여 3 처리구(대조구, 처리구 1 및 처리구 2)로 설정하였다.
즉, 상기 대조구는 출하시(체중 : 111kg)까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배합사료를 도 2에 도시된 시험용 사료조(1)를 통해 급여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구 1은 처음 30일간은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고 그 이후에는 급여되는 사료함량(99.97%)에 유황 300ppm(0.03%)를 배합하여 도 2에 도시된 시험용 사료조(1)와 혼합기(2) 및 전자저울(3)을 통해 체중 6.3kg부터 종료체중인 114kg까지 158일간 급여한다.
또한, 상기 처리구 2는 처음 30일간은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고 그 이후에는 급여되는 사료함량(99.95%)에 식이유황을 500ppm(0.05%)를 첨가하여 개시체중 6.3kg부터 종료시 체중인 120kg 까지 158일간 급여하였다.
[ 실시예의 사양시험측정]
상기 실시예에 의해 사육된 돼지들을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5번 늑골~3번 요추사이)를 발골정형하여 처리구당 개체 3반복하여 wrap으로 함기포장한 후 냉장온도(4℃)에서 1, 3, 5 및 7일간 저장하면서 일반성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식이유황 돈육의 이화학적,조직적 특성분석(pH, 육색, 지방색, 전단가, 조직감, 육즙손실, 가열감량), 관능적 특성분석, 미네랄, 아미노산 조성, 지방산 조성 및 지방산화 등을 조사하여 식이유황 성분이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가. 사양시험 결과분석
상기 대조구는 출하시(체중 : 111kg)까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배합사료를 급여하였으며, 0.03% 첨가구는 급여되는 사료함량에 식이유황 300ppm을 개시체중 6.3kg부터 종료체중인 114kg까지 158일간 급여하였으며, 0.05% 첨가구는 사료함량에 식이유황을 500ppm 첨가하여 개시체중 6.3kg부터 종료시 체중인 120kg 까지 158일간 급여한 후 증체량, 사료급여량, 사료효율 및 도체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식이유황급여가 증체량, 사료효율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07011459382-pat00001
여기서, 표1상에 언급된 대조구와 처리구의 총사료 급여량(Kg)은 15마리의 돼지들을 3번씩(시험에러를 방지를 위해) 158일간 배합사료에 식이유황을 첨가하여 시험한 예입니다.
그러므로, 이 총사료 급여량(Kg) 11, 314(혹은 11,420 또는 11,426)는 예컨대, 15(마리)* 3 * 158(일)로 나눈다면 대략 한 마리당 평균 급이량은 1.6kg정도 됩니다.
또한, 상기 사양시험 초기에는 대조구 보다 식이유황 급여 시험구가 성장이 다소 느리게 보였으나 사양시험 기간이 경과하면서 식이유황 급여 시험구와 대조구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유황 급여 시험구 간에는 돼지 개체간에 성장속도가 비슷하여 체중이 비슷하게 성장하는 것이 관찰 되었고, 중기 이후에는 성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상기 사양후기 대조구에서는 개체별 체중의 편차가 큰 반면 식이유황 급여 시험구는 균일한 성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구에 있어서는 초기에 질병증상에 따른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뒤따랐고, 시험구에서는 항생제를 투입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시험구는 출하시까지 별다른 질병이 발생하지 않아 별도의 항생제 처방이 없었다.
사료효율에서는 0.05%(2.36)>0.03%(2.41)>대조구(2.42)의 순으로 식이유황 급여 시험구가 사료효율 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도체등급은 A?B 출현율이 모든 처리구에서 100%로 나타나 유황급여가 성장 및 도체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무항생제 돈육을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나. 식이유황급여 수준에 따른 육질특성 분석
[1] pH의 변화
pH 결과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가 대조구와 식이유황 300ppm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pH를 보였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 초기인 2일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높거나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일반성분 변화
일반성분 분석결과 함유수분, 조단백질,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높은 조지방 함량을 보였다.
[3] 육즙감량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초기인 저장 2일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300ppm 급여 처리구는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지만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는 유의적으로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다(P<0.05). 저장 2일 이후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300ppm 급여 처리구가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면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육즙감량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거나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가열감량
저장 4일에는 식이유황 급여 500ppm 처리구가 유황 300ppm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으며(P<0.05), 저장 6일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다(P<0.05).
[5] 육색변화
명도는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유황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한 경향이 없어 유황 급여가 육색 중 명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체적으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처리구가 약간 증가하였다. 적색도를 비교하면 전 저장기간 동안 명도의 값과 같이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있지만 유황 급여수준이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개체간에서 오는 차이라고 사료된다. 황색도를 비교하면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유황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한 경향이 없어 유황 급여가 육색 중 황색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6]지방색 변화
명도를 비교하면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유황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한 경향이 없어 유황 급여가 지방색중 명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뚜렷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와 황색도에서도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어 유황 급여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전단가 변화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면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8] 조직감
경도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가 대조구와 식이유황 300ppm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경도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대조구와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부착성은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응집성과 탄력성은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또한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점성과 파쇄성은 대조구과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 저장 초기인 2일째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9] 지방산화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으며, 특히 저장 4일에는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가 대조구와 유황 300ppm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으며(P<0.05), 저장 말기인 8일째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비교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10] 관능검사
육색 결과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높은 육색을 보였으며, 저장 초기인 2일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육색을 보였다(P<0.05).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비교에서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즙감량에서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간의 비교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으며, 특히 저장 2일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육즙감량을 보였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마블링 스코어는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근내지방 함량을 보였으며, 처리구별로는 대조구 < 유황 300ppm 급여 처리구 < 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 순으로 근내지방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향기는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급여 처리구가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향기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성 평가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 간에는 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은 평가를 받는 경향이었다.
[11] 무기물
무기물 중 K, Mn, P의 함량은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식이유황 급여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물 중 Na, Mg 및 C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Fe, Cu 및 Zn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S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12] 아미노산 함량
serine과 valine 함량은 대조구와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300ppm 급여 처리구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반면 alanine, phenylalanine 및 lysine 함량은 대조구가 식이유황 300ppm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P<0.05),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에 비해서는 표 2와 같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즉, 식이유황 급여수준이 돈육 등심의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spartic acid, theron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histidine, arginine 함량은 대조구와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식이유황 급여로 아미노산 함량에 영향을 미쳤는데, serine과 valine 함량은 대조구와 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300ppm 급여 처리구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반면 alanine, phenylalanine 및 lysine 함량은 대조구가 식이유황 300ppm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P<0.05), 식이유황 500ppm 급여 처리구에 비해서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식이유황 급여로 일부 아미노산 조성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식이유황 급여가 돈육 등심의 아미노산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07011459382-pat00002
1) 대 조 구 : 주문배합사료 100% 급여.
0.03% 구 : 주문배합사료 100%에 식이유황 300ppm 첨가.
0.05% 구 : 주문배합사료 100%에 식이유황 500ppm 첨가.
AB 처리구간에 유의차 표시(p<0.05).
[13] 지방산 조성 변화
지방산 조성 중 palmitic, stearic과 oleic acid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P<0.05), 반면에 linoleic와 linolenic acid 함량은 식이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포화지방산 함량은 식이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반면에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즉, 본 발명의 방법에서와 같이 식이유황을 급여하여 비육시킨 돈육 등심부위의 경시적인 지방산 조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식이유황 급여가 돈육 등심의 지방산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07011459382-pat00003
1) 대 조 구 : 주문배합사료 100% 급여.
0.03% 구 : 주문배합사료 100%에 식이유황 300ppm 첨가.
0.05% 구 : 주문배합사료 100%에 식이유황 500ppm 첨가.
AB 처리구간에 유의차 표시(p<0.05).
2) 포화지방산.
3) 불포화지방산.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식이유황 급여수준이 돈육 등심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육류의 근육내 지방산 조성에서 돈육은 급여 사료의 질에 영향을 받으나, 소나 양과 같은 반추동물의 경우는 반추위의 대사기능에 연유되어 영양물질이 제 1위내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급여 지방산 수준이 근육내 지방산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이유황 급여로 인하여 지방산 조성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palmitic(C16:0), stearic(C18:0)과 oleic acid(C18:1)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식이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P<0.05), 반면에 linoleic(C18:2)와 linolenic acid(C18:3) 함량은 식이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지방산을 제외한 myristic(C14:0), palmitoleic(C16:1), arachidonic acid (C20:4)는 처리구간에 함량 차이는 있지만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 함량은 식이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식이유황 급여가 돈육내 포화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단위가축은 반추가축과는 달리 급여하는 사료의 지질원 조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본발명의 방법에서는 돼지에게 급여한 식이유황은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methyl sulfonyl methane(MSM)으로 체내 지방산 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평균체중 6.30kg정도의 생후 28일 내지 32일령된 3원 교잡종 돼지에게 식이유황 0.03 중량% 내지 0.05 중량%와 배합사료 99.97 중량% 내지 99.95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된 배합사료를 항생제 투여없이 150일 내지 180일간 급여하여 사육하므로써, 식이유황 급여로 인해 사육되는 돼지가 면역성이 증강되어 발육이 양호하므로 그에 따라 돈육의 생산성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육되는 돼지의 발병원인을 감소시키기위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이유황을 적절히 급여하므로 그에 따라 생산된 돈육을 섭취하는 사람들의 항생제에 대한 안정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3원 교잡종 돼지에게 30일간 일반배합사료를 급여하는 급여준비과정과;
    상기 급여준비과정후에 생후 30일 내지 32일령되고 평균체중이 6.30kg 내지 6.31kg인 돼지들에 식이유황 0.03 중량% 내지 0.05 중량%와 배합사료 99.97 중량% 내지 99.95중량%로 배합된 배합사료를 항생제 투여없이 158일간 급여하는 유황급여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 생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12684A 2007-02-07 2007-02-07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 KR10084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84A KR100843625B1 (ko) 2007-02-07 2007-02-07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84A KR100843625B1 (ko) 2007-02-07 2007-02-07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625B1 true KR100843625B1 (ko) 2008-07-04

Family

ID=3982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684A KR100843625B1 (ko) 2007-02-07 2007-02-07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6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11B1 (ko) 2011-09-26 2012-10-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황돈육 생햄 제조방법
KR20150097271A (ko) * 2014-02-18 2015-08-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황돈육 단기 생햄 제조방법
KR20150113411A (ko) * 2014-03-28 2015-10-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 첨가 유황돈육 살라미 제조방법
KR20210129313A (ko) * 2020-04-17 2021-10-28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유황 및/또는 셀레늄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사육 방법
KR20220085367A (ko) 2020-12-15 2022-06-22 주식회사 잇다 기능성 발효 녹차 복합 생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5451A (ko) 2021-10-18 2023-04-26 정재경 돈육질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722A (ko) * 2003-06-23 2003-12-31 (주)휴먼엘씨에스코리아 Msm을 이용한 수중 생물 및 육상 생물의 양식 방법
KR20050080746A (ko) * 2005-07-25 2005-08-17 (주)보원헬텍 천연유기유황을 함유하는 사료 및 영양액, 그 사료 및영양액의 제조 방법, 그 사료 및 영양액에 의한 사육방법,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천연유기유황이 함유된 돈육 및우육,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소에서 착유한천연유기유황이 함유된 우유
KR20060112083A (ko) * 2005-04-26 2006-10-31 권석은 천연식이유황을 함유하는 양계용 영양액, 그 영양액의 제조방법, 그 영양액에 의한 닭의 사육방법, 그 사육 방법으로 사육된 닭, 및 그 닭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식이유황이 함유된 계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722A (ko) * 2003-06-23 2003-12-31 (주)휴먼엘씨에스코리아 Msm을 이용한 수중 생물 및 육상 생물의 양식 방법
KR20060112083A (ko) * 2005-04-26 2006-10-31 권석은 천연식이유황을 함유하는 양계용 영양액, 그 영양액의 제조방법, 그 영양액에 의한 닭의 사육방법, 그 사육 방법으로 사육된 닭, 및 그 닭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식이유황이 함유된 계란
KR20050080746A (ko) * 2005-07-25 2005-08-17 (주)보원헬텍 천연유기유황을 함유하는 사료 및 영양액, 그 사료 및영양액의 제조 방법, 그 사료 및 영양액에 의한 사육방법,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천연유기유황이 함유된 돈육 및우육,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소에서 착유한천연유기유황이 함유된 우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식이유황 MSM(methyl sulfonyl methane) 급여가 돼지의 성장 및 질소와 칼슘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권3호,page 361~365/2005/조진호 외
"육성-비육돈에 있어 MSM(methyl sulfonyl methane)급여가 성장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18권2호, page116~120/2006/장해동 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11B1 (ko) 2011-09-26 2012-10-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황돈육 생햄 제조방법
KR20150097271A (ko) * 2014-02-18 2015-08-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황돈육 단기 생햄 제조방법
KR101648957B1 (ko) * 2014-02-18 2016-08-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황돈육 단기 생햄 제조방법
KR20150113411A (ko) * 2014-03-28 2015-10-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 첨가 유황돈육 살라미 제조방법
KR101658871B1 (ko) * 2014-03-28 2016-09-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 첨가 유황돈육 살라미 제조방법
KR20210129313A (ko) * 2020-04-17 2021-10-28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유황 및/또는 셀레늄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사육 방법
KR102599836B1 (ko) 2020-04-17 2023-11-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유황 및/또는 셀레늄을 포함하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사육 방법
KR20220085367A (ko) 2020-12-15 2022-06-22 주식회사 잇다 기능성 발효 녹차 복합 생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5451A (ko) 2021-10-18 2023-04-26 정재경 돈육질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keman Effects of metabolic modifiers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Dunshea et al. Effects of dietary factors and other metabolic modifiers on quality and nutritional value of meat
Tartrakoon et al. Effects of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to saturated fatty acid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KR100843625B1 (ko) 유황급여 무항생제 안전돈육생산방법
Majdoub-Mathlouthi et al. Carcass traits and meat fatty acid composition of Barbarine lambs reared on rangelands or indoors on hay and concentrate
Maiorano et al.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vitamin E administration on performance and intramuscular collagen properties of lambs
Nourozi et al. Effect of terbutaline and metaproterenol (two beta-adrenergic agonists) on performance and carcass composition of culled Moghani ewes
Whitney et al. Redberry juniper as a roughage source in lamb feedlot rations: Wool and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fatty acid profiles, and sensory panel traits
Hardman Effect of dietary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and pig removal strategy at harvest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 qua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KR100843627B1 (ko) 활성수 및 천연 합성 광물질 급여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AU2013330213B2 (en) Animal feed supplement comprising ractopamine and caffeine
KR20070031815A (ko) 사료첨가제 및 이 사료첨가제가 배합된 사료로 사육된 가축
KR101438440B1 (ko) 비육우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비육우 급여방법
KR101341991B1 (ko)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Anoh et al. Growth response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blood meal with enzyme supplementation as a replacement for fish meal
Polidori et al. Quality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donkey meat
RU2656401C2 (ru)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скота для улучшения характеристик туши
Omar et al. Effect of ground flaxseed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Karadi male lambs
Anneke et al. Effects of supplementing crude glycerin in concentrated diet and castration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Thai Native x Anglo Nubian goats
RU253572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раморного мяса свиней высокого качества
Nadhifah et al. The effects of addition MarolisTM probiotics for broiler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Gallus gallus domesticus Linnaeus, 1758)
Amine et al. Pigmeat Consumption Survey and Impact of Algo-Bio®(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Pig Food on Meat Nutritive Quality in Côte d’Ivoire
Ramírez et al. Influence of corn forage type and flaxseed on the productive parameters, meat quality and sensory analysis in Pelibuey lambs
Pieterse Effects of increased slaughter weight of pigs on pork production
Lee Evaluation of corn germ and DDGS in diets fed to p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