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253B1 - 문틀 철봉 - Google Patents

문틀 철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253B1
KR101341253B1 KR1020120076074A KR20120076074A KR101341253B1 KR 101341253 B1 KR101341253 B1 KR 101341253B1 KR 1020120076074 A KR1020120076074 A KR 1020120076074A KR 20120076074 A KR20120076074 A KR 20120076074A KR 101341253 B1 KR101341253 B1 KR 10134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mber
nut
door frame
bolt
ir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102012007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파이프 부재; 상기 파이프 부재 양 단부 각각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에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 측으로부터 내면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중심부에 너트홀이 형성된 너트형 부재; 및 내부에 상기 너트형 부재의 상기 너트홀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막힌 원통형 형상의 원통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커버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하며,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형 부재의 상기 너트홀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측면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한 문틀 철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문틀 철봉{HORIZONTAL BAR INSTALLED BETWEEN DOOR FRAMES}
본 발명은 문틀 철봉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 문틀 사이에 횡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문틀 철봉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턱걸이 등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문틀 사이에 횡으로 고정되는 문틀 철봉이 공지되어 있다. 문틀 철봉은 턱걸이 등의 운동을 위한 운동 기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샌드백, 유아용 그네 등을 실내에 설치하기 위한 봉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도 1 은 공지의 문틀 철봉의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문틀 철봉은, 중공의 파이프 부재(1)와, 상기 파이프 부재(1)의 연장 방향을 따라 파이프 부재(1)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크류 부재(2), 상기 파이프 부재(1)의 양단에서 상기 스크류 부재(2)를 매개로 상기 파이프 부재(1)와 연결되는 길이 조절 부재(5)를 포함한다. 또한 문틀에 고정되는 단부 캡(6)을 추가로 포함하여, 양측 길이 조절 부재(5)의 단부를 단부 캡(6)에 끼워 문틀 철봉이 문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문틀 철봉에서는, 파이프 부재(1)의 내면에 스크류 부재(2)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블럭(3)을 포함한다. 고정 블럭(3)은 파이프 부재(1)의 내면 중간에 삽입되며 파이프 부재(1)의 주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4)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문틀 철봉에서 턱걸이 등의 운동을 수행하다가 파이프 부재(1)의 외면으로 돌출된 고정핀(4)에 얼굴 부위가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4) 부위에 스폰지 형태의 커버를 씌우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제조 공정 측면에서, 파이프 부재(1)의 주면을 관통하여 드릴링을 수행하고, 고정블럭(3)을 매개로 스크류 부재(2)를 파이프 부재(1)의 내면에 고정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여 작업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스크류 부재(2)는 파이프 부재(1)의 대응되는 길이의 봉 부재를 나사산 가공을 통해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문틀 철봉의 단가를 상승시키고 작업 공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1 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8 은 길이 조절 부재(5)와 단부 캡(6)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재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3244호(2007. 2. 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 부재의 양단으로 너트형 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길이 조절 부재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되고 구성을 간단히 하여 작업 공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문틀 철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틀에 장착된 상태에서 간단한 구조로 회전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문틀 철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파이프 부재; 상기 파이프 부재 양 단부 각각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에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 측으로부터 내면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중심부에 너트홀이 형성된 너트형 부재; 및 내부에 상기 너트형 부재의 상기 너트홀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막힌 원통형 형상의 원통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커버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하며,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형 부재의 상기 너트홀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측면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한 문틀 철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 부재는 내면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단면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형 부재는 상기 너트홀이 중심부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상기 단면 보강부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결합 공간부들에 끼워지는 결합 레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원통형 커버의 타단 내면에는 상기 볼트의 볼트 머리가 삽입되어 형상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볼트 고정홈이 형성되고, 타단 외면에는 자석이 수용되는 자석 설치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에 고정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타단이 수용되는 컵 형상의 단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커버의 타단 외면에서는 상기 단부 캡을 문틀에 고정시키는 나사못의 머리부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나사머리 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문틀 철봉에 의하면, 파이프 부재의 양단으로 너트형 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길이 조절 부재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스크류 부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류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파이프 부재의 외면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구성의 단순화와 안정성이 향상된 문틀 철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문틀 철봉의 제조시 규격 볼트의 사용이 가능하고, 구성을 간단히 하여 작업 공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 단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에 장착된 상태에서 간단한 구조로 회전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문틀 철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문틀 철봉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 철봉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 철봉의 단부측 분해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 철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틀 철봉의 단부측 분해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틀 철봉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틀 철봉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 철봉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 철봉의 단부측 분해도이며,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틀 철봉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틀 철봉의 단부측 분해도이고,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틀 철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철봉은 파이프 부재(10)와, 너트형 부재(20)와, 길이 조절 부재(30)를 포함한다.
파이프 부재(10)는 중공을 구비한 원통 형상으로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이프 부재(10)는 내부에 단면 보강부(12)를 포함한다. 단면 보강부(12)는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보강 리브와 보강 리브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내부관을 포함하는 데, 단면 보강부(12)는 상술한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면 보강부(12)는 파이프 부재(10)의 단면 강도를 보강하여 파이프 부재(10)의 강성을 증가시키며, 단면 보강부(12)에 의해 파이프 부재(1)의 내면에는 구획이 형성되면서 결합 공간부(15)가 형성된다.
파이프 부재(10)는 단면 보강부(12)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므로, 파이프 부재(10)의 주면 두께를 최소하면서 경량을 제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나아가 경량성 소재를 이용하여 파이프 부재(10)를 제조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이프 부재(10)는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여 압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경량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단면 보강부(12)에 형성되는 파이프 부재(10)의 내면에 형성되는 구획된 결합 공간부(15)는 파이프 부재(10)의 단면 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너트형 부재(20)의 고정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된다.
너트형 부재(20)는 파이프 부재(10)의 양측 단부 각각에 고정된다. 너트형 부재(20)는 파이프 부재(10)의 단부에 밀착되고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볼트(38)가 나사 체결되는 너트홀(24)이 형성된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10)의 내부로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를 포함한다. 너트홀(24)은 너트형 부재(2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끼움부는 결합 공간부(15)에 대응되는 대응으로 형성되어 결합 공간부(15)에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레그(25)로 이루어진다. 결합 레그(25)는 파이프 부재(10)의 내부에 단면 보강부(12)에 의해 내주면에 접하여 형성된 결합 공간부(15)에 끼움 결합된다.
결합 레그(25)들이 결합 공간부(15)에 끼움되어 너트형 부재(20)는 파이프 부재(10)의 양 단부측에 고정된다.
한편, 도 5 및 도 6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 철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대비하여 파이프 부재(10)와, 너트형 부재(20)의 형상을 달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파이프 부재(10)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 형성된다. 즉, 파이프 부재(10)는 단면 보강부(12)가 없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파이프 부재(10)를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소재로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단면 보강부(12)를 형성함이 없이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너트형 부재(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심부에 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너트홀(24)이 형성된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10)의 내부로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끼움부는 파이프 부재(10)의 내경에 맞는 외경을 가진 원통형 끼움부(23)로 형성된다. 너트홀(24)은 원통형 끼움부(23)를 관통하여 연장되므로서, 너트홀(24)은 너트형 부재(20)를 관통한다.
원통형 끼움부(23)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파이프 부재(10)의 내면에 억지 끼워 마춤 방식으로 결합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길이 조절 부재(30)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막힌 원통형 커버(31)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볼트(38)를 구비한다.
길이 조절 부재(30)는 파이프 부재(10)의 양단에 너트형 부재(20)를 매개로 결합하고, 볼트(38)가 너트형 부재(20)의 너트홀(28)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길이 조절 부재(30)가 파이프 부재(10)에 대하여 이동하면서 문틀 철봉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된다. 즉, 원통형 커버(31)의 개방된 일단이 파이프 부재(10)의 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파이프 부재(10)와 결합하며, 볼트(38)가 너트형 부재(20)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파이프 부재(10)에 대하여 측면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면서 문틀 철봉의 길이가 조절된다.
길이 조절 부재(30)의 원통형 커버(31)의 타단 내면에는 볼트 머리(39)가 삽입되어 볼트가 고정되는 볼트 고정홈(32)이 형성된다. 볼트 고정홈(32)은 예컨대, 볼트 머리(39)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각형의 볼트 머리(39)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볼트 머리(39)가 렌치 볼트와 같이 다각형 홈을 가진 형태인 경우 다각형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를 중심부에 가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볼트 고정홈(32)은 볼트 머리(39)가 형상적으로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38)는 규격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규격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문틀 철봉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길이 조절 부재(30)의 타단 외면에는 자석 설치홈(33)이 형성되고 자석(34)이 수용된다. 자석(34)은 볼트 고정홈(32)에 삽입되는 볼트 머리(39)에 당기는 힘을 제공하여 볼트(38)가 원통형 커버(31)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길이 조절 부재(30)에서 원통형 커버(31)와 볼트(38)는 제조 공정에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할 수 있다.
그러나 원통형 커버(31) 타단 내면에 볼트 고정홈(32)을 형성하고, 타단 외면으로 자석(34)이 수용되는 자석 설치홈(33)을 형성함으로써 인서트 사출 등의 제조 공정시의 추가적 공정 없이도 구매자가 사용시에 손쉽게 볼트(38)를 볼트 고정홈(32)에 볼트(38)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공정 상의 작업 공수 감축은 문틀 철봉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한다. 자석(34)이 볼트 고정홈(32)에서 삽입된 볼트(38), 구체적으로는 볼트 머리(39)를 자력으로 당기기 때문에 볼트 고정홈(32) 대한 엄격한 공차 관리가 없더라도 볼트(38)는 원통형 커버(3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길이 조절 부재(30)의 원통형 커버(31)의 타단 외면에는 복수의 나사머리 수용홈(36)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틀 철봉은 문틀(9)에 고정되는 단부 캡(40)을 더 포함한다. 단부 캡(40)은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 부재(30)의 타단이 끼워진다.
단부 캡(40)은 문틀(9)에 접하는 단부면(41)에 나사못(42)이 관통시켜 문틀(9)에 체결함으로써 문틀(9)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나사못(42)의 머리부(43)는 단부면(41)의 내측 표면에 위치한다.
단부 캡(40)의 단부면(41) 내면에 위치하는 나사못(42)의 머리부(43)는 원통형 커버(31)의 타단 외면의 나사머리 수용홈(36)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길이 조절 부재(30)는 단부 캡(40)에 밀착되고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나사못(42)의 머리부(43)가 각각 나사머리 수용홈(36)에 위치하므로 길이 조절 부재(30)의 타단이 단부 캡(40)의 단부면(41) 내측 표면과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나사머리 수용홈(36)에 삽입된 나사못(42)의 머리부(43)가 회전을 방지하는 스톱퍼 기능을 하므로 길이 조절 부재(3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틀 철봉은 종래와 달리 고무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길이 조절 부재(30)와 단부 캡(40)의 밀착이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고무재의 열화 및 고무재의 냄새에 의한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 부재(10)의 양단에서 너트형 부재(20)에 체결되는 볼트(38)는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양측 너트형 부재(20)의 너트홀(24)의 나사산도 이에 대응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문틀 철봉을 문틀(9)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이프 부재(10)를 일측 방향으로 돌리면, 길이 조절 부재(30)는 단부 캡(40)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볼트(38)가 길이 조절 부재(30)와 함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문틀(9) 사이에서 단단히 고정된다.
한편, 파이프 부재(10)의 외주면에는 손 미끄럼을 방지하지하고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폰지 커버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철봉에 의하면, 그 구조가 단순화면서도 사용자의 조립 편의성 및 안정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철봉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실시예를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 파이프 부재 20: 너트형 부재
30: 길이 조절 부재 40: 단부 캡

Claims (4)

  1.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파이프 부재;
    상기 파이프 부재 양 단부 각각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에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 측으로부터 내면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중심부에 너트홀이 형성된 너트형 부재;
    내부에 상기 너트형 부재의 상기 너트홀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막힌 원통형 형상의 원통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커버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하며,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형 부재의 상기 너트홀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 부재에 대하여 측면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 부재; 및
    문틀에 고정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타단이 수용되는 컵 형상의 단부 캡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커버의 타단 외면에서는 상기 단부 캡을 문틀에 고정시키는 나사못의 머리부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나사머리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는 내면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단면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형 부재는 상기 너트홀이 중심부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상기 단면 보강부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결합 공간부들에 끼워지는 결합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커버의 타단 내면에는 상기 볼트의 볼트 머리가 삽입되어 형상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볼트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커버의 타단 외면에는 자석이 수용되는 자석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KR1020120076074A 2012-07-12 2012-07-12 문틀 철봉 KR10134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074A KR101341253B1 (ko) 2012-07-12 2012-07-12 문틀 철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074A KR101341253B1 (ko) 2012-07-12 2012-07-12 문틀 철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253B1 true KR101341253B1 (ko) 2013-12-13

Family

ID=4998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074A KR101341253B1 (ko) 2012-07-12 2012-07-12 문틀 철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25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777A (ko) 2014-10-06 2016-04-15 김민종 문틀 철봉의 펀칭볼 장착장치
KR20160061758A (ko) 2014-11-24 2016-06-01 안태진 철봉 운동용 기구
KR101833668B1 (ko) * 2017-03-14 2018-03-02 하성수 철봉 운동용 기구
KR20190067348A (ko) 2017-12-07 2019-06-17 김현구 문틀평행철봉
KR20200011798A (ko) 2018-07-25 2020-02-04 안태진 풀림방지용 문틀 철봉
WO2020248594A1 (zh) * 2019-06-14 2020-12-17 谢昱顺 一种健身单杠
KR102270941B1 (ko) 2020-11-09 2021-06-30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비즈 나사 고정을 이용한 문틀에 설치되는 철봉
CN113144529A (zh) * 2021-04-30 2021-07-23 宿州学院 一种多功能舞蹈把杆
KR20210126909A (ko)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이고진 가로 지지 구조물의 지지력 증강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06Y1 (ko) 2001-11-16 2002-02-21 기 헌 신 문틀용 철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06Y1 (ko) 2001-11-16 2002-02-21 기 헌 신 문틀용 철봉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777A (ko) 2014-10-06 2016-04-15 김민종 문틀 철봉의 펀칭볼 장착장치
KR101633991B1 (ko) 2014-10-06 2016-07-08 김민종 문틀 철봉의 펀칭볼 장착장치
KR20160061758A (ko) 2014-11-24 2016-06-01 안태진 철봉 운동용 기구
US9789358B2 (en) 2014-11-24 2017-10-17 Tae Jin An Exercise bar mounted on door frame
KR101833668B1 (ko) * 2017-03-14 2018-03-02 하성수 철봉 운동용 기구
KR20190067348A (ko) 2017-12-07 2019-06-17 김현구 문틀평행철봉
KR20200011798A (ko) 2018-07-25 2020-02-04 안태진 풀림방지용 문틀 철봉
WO2020248594A1 (zh) * 2019-06-14 2020-12-17 谢昱顺 一种健身单杠
KR20210126909A (ko)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이고진 가로 지지 구조물의 지지력 증강 구조
KR102270941B1 (ko) 2020-11-09 2021-06-30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비즈 나사 고정을 이용한 문틀에 설치되는 철봉
CN113144529A (zh) * 2021-04-30 2021-07-23 宿州学院 一种多功能舞蹈把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253B1 (ko) 문틀 철봉
JP6692794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9340158B2 (en) Outer mirror
CA2845701A1 (en) Tension rod with threaded end cap
US20120261370A1 (en) Curtain Pole Assembly
KR102016761B1 (ko) 풀림방지를 위한 탈착형 와셔
BR112017018289B1 (pt) Suporte, e tubo para um suporte de separação
US8991847B2 (en) Quick release structure for a bicycle
DE10202350C1 (de) Befestigungselement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AU2008324400A1 (en) Connecting fitting and installation arrangement
KR20190067348A (ko) 문틀평행철봉
US10465432B1 (en) Frame Assembly with shim jack
US10207765B2 (en) Bicycle frame element
KR101980594B1 (ko) 충격 및 진동 감소와 경량화가 이루어진 진동방지용 해머
KR101501474B1 (ko) 도어 트림의 체결 구조
JP7015063B2 (ja) ハンドル
KR200467062Y1 (ko) 댐핑기능을 갖는 창호용 손잡이
US20100186161A1 (en) Shower rod mount
EP2103763B1 (en) Tubular handle for doors and windows
RU86637U1 (ru) Ручка дверная
CN211449834U (zh) 使用寿命长且成本低的分体配重把手
KR101949955B1 (ko) 창틀고정구
RU69126U1 (ru) Ручка дверная (варианты)
KR102122310B1 (ko) 풀림방지용 문틀 철봉
CN211449835U (zh) 改善连接强度的分体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