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691B1 -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 Google Patents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691B1
KR101340691B1 KR20130045807A KR20130045807A KR101340691B1 KR 101340691 B1 KR101340691 B1 KR 101340691B1 KR 20130045807 A KR20130045807 A KR 20130045807A KR 20130045807 A KR20130045807 A KR 20130045807A KR 101340691 B1 KR101340691 B1 KR 101340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rent
high voltage
high potentia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숙
Original Assignee
오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숙 filed Critical 오재숙
Priority to KR2013004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691B1/ko
Priority to DE112014002149.0T priority patent/DE112014002149B4/de
Priority to US14/764,566 priority patent/US9504823B2/en
Priority to PCT/KR2014/003661 priority patent/WO2014175700A1/ko
Priority to CN201480009185.0A priority patent/CN10499490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0Applying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고압트랜스포머로부터 고전압을 유기시켜 고전위를 발생하고, 발생한 고전위의 미세전류 조절을 통해 치료 부위에 최적화된 고전위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는 전원부를 통해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해주고, 조작부를 통해 주파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에서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되는 주파수에 따라 릴레이 제어신호와 출력 고전위의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릴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며, 고전압 출력부는 상기 릴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위를 출력하고, 전류 조절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전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치료 부위에 최적화된 고전위를 인가하게 된다.

Description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Micro current treatment device using high electric potential}
본 발명은 고전위(High Electric Potential)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트랜스포머로부터 고전압을 유기시켜 고전위를 발생하고, 발생한 고전위의 전류 조절을 통해 치료 부위에 최적화된 고전위를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위 치료기는 생생한 전계를 인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체의 상태를 최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고압의 전위차를 발생시켜 인체에 간접적으로 작용시킨다. 즉, 이온 정전요법으로 인체에 필요한 음이온을 전기적으로 부하 유도시킴으로써 인체가 전위 판에 접촉시 주위에 두터운 음이온 층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음이온 층의 작용에 의해 혈액 중의 미네랄 등이 유효하게 이용되어 혈액이 산성화되어 가는 것을 방지하고, 약 알칼리성의 혈액상태를 유지하여 질병의 예방 및 저항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예컨대, 전위 치료기는 고압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인체 주위에 두터운 음이온 층을 형성시켜서 세포의 조직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인체 내를 이온화시키면서 노폐물의 배출량을 증가시키고 신진대사 기능을 촉진시킨다. 또한, 산성화된 혈액을 이상적인 약알칼리성 혈액으로 전환시켜 각종 질병에 저항력이 강한 체질로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며, 동맥 혈관 벽의 콜레스테롤을 제거시키면서 말초 혈관을 확장시켜 혈행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고혈압 증상 및 당뇨 등 만성 질환을 예방하며, 자율신경을 조정하여 내분비의 조절기능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전위 치료기는 생생한 전계를 인위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고압을 발생하는 고압 트랜스를 주로 사용한다.
종래의 전위 치료기에 대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36007호(2001.10.08. 공고)(이하, "종래기술 1"이라 약칭함),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35868호(2010.04.07. 공개)(이하, "종래기술 2"라 약칭함) 및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43757호(2012.05.04. 공개)(이하, "종래기술 3"이라 약칭함)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기술 1은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고전압을 생성하고, 전위 발생기를 이용하여 고전압을 차등적으로 출력하고, 전자침에서 상기 차등적인 고전압을 이용하여 통증부위에 강·중·약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 2는 여러 대의 전위 치료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전위 치료기가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고압의 전기적 쇼크 발생 등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종래기술 3은 전위 치료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전위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전위 치료를 위한 고압 발생은 가능하나, 사용자의 치료 부위에 따라 고전위 전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상태에 따라 고전위에 포함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치료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데, 종래기술들은 이렇게 고전위에 포함되는 전류를 치료 부위의 상태에 알맞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기가 어려웠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36007호(2001.10.08. 공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35868호(2010.04.07. 공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43757호(2012.05.04.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고압트랜스로부터 고전압을 유기시켜 고전위를 발생하고, 발생한 고전위의 미세전류 조절을 통해 치료 부위에 최적화된 고전위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파수를 치료 부위의 상태에 따라 다단계로 변화시켜 심부까지 치료할 수 있도록 한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는,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
주파수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되는 주파수에 따라 릴레이 제어신호와 출력 고전위의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릴레이부;
상기 릴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위를 출력하는 고전압 출력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전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주파수 조작신호는 15Hz, 30Hz, 60Hz, 90Hz, 180Hz에 대응하는 주파수 조작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되는 주파수를 사용자의 치료 부위 상태로 인식하고, 그 인식한 치료 부위 상태에 대응하게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류 조절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전류 조절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를 차등적으로 조절하는 복수의 전류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류 조절기는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는,
상기 전류 조절부와 상기 고전압 출력부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고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고전위의 출력을 차단하는 고압 차단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주파수 레벨 상태,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고압 차단부는 휴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트랜스로부터 고전압을 유기시켜 고전위를 발생하되, 발생한 고전위의 미세전류 조절이 가능하여 치료 부위의 상태에 최적화된 고전위를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를 치료 부위의 상태에 따라 다단계로 변화시켜 고 전위가 심부까지 치료토록 함으로써, 미네랄 성분의 응집력을 높이고 자연 치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고전압 출력부, 고압 차단부 및 전류 조절부의 실시 예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전압 출력부, 고압 차단부 및 전류 조절부의 실시 예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는 전원부(10), 조작부(20), 표시부(30), 제어부(40), 릴레이부(50), 고전압 출력부(60), 고압 차단부(80) 및 전류 조절부(70)를 포함한다.
전원부(10)는 입력되는 상용교류 전원(AC220V)을 공급해주고, 전파정류를 통해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제어부(4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조작부(2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주파수 조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입력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주파수 조작신호는 15Hz, 30Hz, 60Hz, 90Hz, 180Hz에 대응하는 주파수 조작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40)는 상기 조작부(20)에 의해 설정되는 주파수에 따라 릴레이 제어신호와 출력 고전위의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부(40)는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컴, 컨트롤러,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제어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40)의 내부에는 설정되는 주파수에 대응하게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레이부(5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발생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10)에서 공급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릴레이부(50)는 릴레이 코일과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압 출력부(60)는 상기 릴레이부(50)에서 출력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위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전압 출력부(60)는 1차측으로 사용교류전압을 입력받고 이를 2차측으로 유기시켜 고압(3,000V)을 출력하는 고압 트랜스포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출력하고자 하는 고전위에 따라 고압 트랜스포머의 1차측과 2차측 권선비를 설정하게 된다.
전류 조절부(7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발생하는 전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전압 출력부(60)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류 조절부(7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발생하는 전류 조절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71); 상기 스위치(71)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전압 출력부(60)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를 차등적으로 조절하는 복수의 전류 조절기(R1 ~ R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류 조절기는 저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차단부(80)는 상기 전류 조절부(70)와 상기 고전압 출력부(6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고전압 출력부(60)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고전위의 출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압 차단부(80)는 휴즈(81)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3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주파수 레벨 상태,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고 전위로 치료하고자 하는 치료 부위의 상태에 따라 조작부(20)를 통해 주파수를 설정한다. 여기서 주파수 설정은 15Hz, 30Hz, 60Hz, 90Hz 및 180Hz로 설정할 수 있다. 주파수 설정 방식은 각각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버튼을 별도로 구현하여, 해당 버튼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주파수 설정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업다운 버튼을 구비하고, 업 버튼을 누르면 현재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단계별로 상승하고, 다운 버튼을 누르면 현재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단계별로 하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조작부(20)를 통해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상태에 따라 주파수가 설정되면, 제어부(40)는 이를 인식하고 내부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제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설정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류 제어신호를 인출하여 전류 조절부(70)에 전달한다. 예컨대, 데이터 저장장치에는 주파수와 그에 대응하게 전류 제어신호를 매핑한 제어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조작부(20)를 통해 주파수를 가변하면 즉시 제어 테이블을 통해 전류 제어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5개의 주파수 설정이 가능하고, 또한 설정 주파수에 따라 10개의 전류 제어신호가 존재한다. 실제로 주파수 설정 개수와 전류 제어신호 개수가 일 대 일로 매칭되어야 제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설정에 따라 자유롭게 상하 2개의 전류 제어신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컨대, 현재 주파수에 의해 제5 전류 제어신호가 대응하고 있다고 가정을 한 상태에서 주파수를 1단계 상승시키면 제6전류 제어신호와 제7전류 제어신호를 스위칭 방식으로 번갈아 이용한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위의 세기는 높아졌다가 낮아졌다를 반복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하나의 세기에 의한 치료보다는 더욱 효과적인 치료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5 전류 제어신호, 제6 전류 제어신호 및 제7 전류 제어신호는 도 2에서 복수의 전류 조절기 중 대응하는 전류 조절기를 선택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주파수 레벨은 표시부(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현재 주파수 레벨을 인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주파수가 설정된 상태에서, 동작 스위치가 조작되면, 전원부(10)는 공급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전파정류하고 평활하여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제어부(4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고, 동시에 입력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그대로 릴레이부(50)에 공급해준다.
제어부(40)는 동작 스위치가 온 상태로 동작하면, 릴레이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릴레이부(5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설정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류 조절부(70)에 전달한다.
릴레이부(50)는 인가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고전압 출력부(60)에 공급해주게 된다.
상기 고전압 출력부(60)는 1차측으로 입력되는 고전압을 고압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2차측으로 유기시켜 고전위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전류 조절부(70)는 상기 제어부(40)에서 발생하는 전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71)가 동작하여 저장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전류 조절기 중 특정의 전류 조절기를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40)에서 발생하는 전류 제어신호는 스위치(71)의 이동량을 결정하게 되고, 이렇게 결정되는 스위치의 이동량에 따라 스위치(71)는 이동 위치가 달라져 복수의 전류 조절기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게 된다. 이때 접속되는 라인에 연결된 저항에 의해 상기 고전압 출력부(60)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가 조절된다. 여기서 전류 조절기는 저항으로 구현되고, 이러한 저항은 전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복수 저항(R1 ~ R10)의 저항치를 각기 다르게 하면 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량도 달라진다. 예컨대, 저항(R1)은 1MΩ, 저항(R2)은 2MΩ, 저항(R3)은 3MΩ, 저항(R4)은 4MΩ, 저항(R5)은 5MΩ, 저항(R6)은 6MΩ, 저항(R7)은 7MΩ, 저항(R8)은 8MΩ, 저항(R9)은 9MΩ, 저항(R10)은 10MΩ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전위의 전류는 0.3㎃ ~ 0.03㎃까지 차등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프로브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량을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상태에 대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 전류량 조절로 최적의 치료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상태가 통증이 심하거나 염증이 심할 경우에는 고전위에 포함된 전류량을 높여 치료 효과가 상승되도록 하고, 이와는 달리 사용자의 치료 부위의 상태가 통증이 약하거나 염증이 약할 경우에는 고전위에 포함된 전류량을 낮추어 사용자에게 충격을 적게 주면서도 치료 효과가 최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고전위에 포함된 전류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을 해치거나 프로브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압 차단부(80)를 적용하였다. 이렇게 적용된 고압 차단부(80)는 휴즈(81)로 이루어져 고전위에 포함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를 초과할 경우 휴즈(81)가 자동으로 끊어지도록 한다. 과전류에 의해 휴즈(81)가 자동으로 끊어지면 고압의 출력이 차단되어, 인체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전원부
20… 조작부
30… 표시부
40… 제어부
50… 릴레이부
60… 고전압 출력부
70… 전류 조절부
80… 고압 차단부

Claims (7)

  1. 고전위를 이용하여 치료를 하기 위한 치료기에 있어서,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
    사용자의 치료 부위 상태에 대응한 주파수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되는 주파수에 따라 릴레이 제어신호와 출력 고전위의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릴레이부;
    상기 릴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상용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위를 출력하는 고전압 출력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전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를 상기 사용자의 치료 부위 상태에 대응하게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조작신호는 15Hz, 30Hz, 60Hz, 90Hz, 180Hz에 대응하는 주파수 조작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설정되는 주파수를 사용자의 치료 부위 상태로 인식하고, 그 인식한 치료 부위 상태에 대응하게 전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전류 조절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를 차등적으로 조절하는 복수의 전류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기는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부와 상기 고전압 출력부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고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의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고전위의 출력을 차단하는 고압 차단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주파수 레벨 상태,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압 차단부는 휴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KR20130045807A 2013-04-25 2013-04-25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KR101340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807A KR101340691B1 (ko) 2013-04-25 2013-04-25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DE112014002149.0T DE112014002149B4 (de) 2013-04-25 2014-04-25 Mikrostrom-Therapievorrichtung zur Verwendung mit hohem elektrischen Potential
US14/764,566 US9504823B2 (en) 2013-04-25 2014-04-25 Micro-current therapy device using high electric potential
PCT/KR2014/003661 WO2014175700A1 (ko) 2013-04-25 2014-04-25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CN201480009185.0A CN104994905A (zh) 2013-04-25 2014-04-25 利用高电位的微电流治疗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807A KR101340691B1 (ko) 2013-04-25 2013-04-25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691B1 true KR101340691B1 (ko) 2013-12-12

Family

ID=4998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807A KR101340691B1 (ko) 2013-04-25 2013-04-25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04823B2 (ko)
KR (1) KR101340691B1 (ko)
CN (1) CN104994905A (ko)
DE (1) DE112014002149B4 (ko)
WO (1) WO201417570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856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셀레큐어 상처 치유용 미세전류 자극장치
KR20220107857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셀레큐어 상처 치유용 미세전류 자극장치의 작동방법
KR20220147843A (ko) 2021-04-28 2022-11-04 (주)리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211A (ko) * 2016-03-09 2017-09-19 오재숙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CN110464993A (zh) * 2019-09-05 2019-11-19 陈明仁 人体细胞能量矫正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324A (ja) 2000-11-07 2002-05-21 Marutaka Co Ltd 電位治療器
KR100426630B1 (ko) 2001-03-30 2004-04-08 주식회사 씨에이치씨 전위 치료기
KR20090034319A (ko) * 2006-06-30 2009-04-07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단일 스플리트 힌지를 구비한 전자 장치
JP2010063764A (ja) 2008-09-12 2010-03-25 Ion Balance:Kk 電気治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9693A1 (de) 1992-09-05 1994-03-10 Achim Dr Hansjuergens Elektrotherapeutisches Gerät
JPH08332234A (ja) * 1995-06-07 1996-12-17 Masahiro Iimori 低周波治療器
US5913836A (en) * 1996-02-20 1999-06-22 Allied Health Association, Inc. Body ton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236007Y1 (ko) 2001-03-14 2001-10-08 이영민 개인용 전위 치료기
JP2004243048A (ja) * 2003-02-10 2004-09-02 Besutekku:Kk 電位治療装置制御方法、電位治療装置及び白血球分画の顆粒球とリンパ球との比率を調整する方法
CN2695019Y (zh) * 2003-09-22 2005-04-27 梁平 高电位综合治疗仪
CN2675160Y (zh) * 2004-01-19 2005-02-02 毛强 微电脑高电位仪
CN101164635B (zh) * 2006-10-20 2010-05-12 王玉玲 低频共振生物电治疗仪
DE102007034065B4 (de) * 2007-07-20 2012-07-12 Prontomed Gmbh Schmerztherapievorrichtung
JP4980167B2 (ja) 2007-08-01 2012-07-18 伊藤超短波株式会社 電位治療器
US8340756B2 (en) * 2008-08-05 2012-12-25 Tony Picciano Electronic stimulation device
JP2012502699A (ja) * 2008-09-19 2012-02-02 ムーア、テリー・ウィリアム・バートン 電気操作を通して筋肉の緊張を低減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KR100990839B1 (ko) 2008-09-29 2010-10-29 장명균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JP4484092B1 (ja) 2009-07-24 2010-06-16 株式会社白寿生科学研究所 電位治療装置
CN102284133A (zh) * 2011-07-14 2011-12-21 申炳潮 一种高电位保健治疗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324A (ja) 2000-11-07 2002-05-21 Marutaka Co Ltd 電位治療器
KR100426630B1 (ko) 2001-03-30 2004-04-08 주식회사 씨에이치씨 전위 치료기
KR20090034319A (ko) * 2006-06-30 2009-04-07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단일 스플리트 힌지를 구비한 전자 장치
JP2010063764A (ja) 2008-09-12 2010-03-25 Ion Balance:Kk 電気治療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856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셀레큐어 상처 치유용 미세전류 자극장치
KR20220107857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셀레큐어 상처 치유용 미세전류 자극장치의 작동방법
KR102525070B1 (ko) * 2021-01-26 2023-05-30 주식회사 셀레큐어 상처 치유용 미세전류 자극장치의 작동방법
KR102526663B1 (ko) * 2021-01-26 2023-05-30 주식회사 셀레큐어 상처 치유용 미세전류 자극장치
KR20220147843A (ko) 2021-04-28 2022-11-04 (주)리솔 사용자 인지형 미세전류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04823B2 (en) 2016-11-29
WO2014175700A1 (ko) 2014-10-30
DE112014002149T5 (de) 2016-01-07
CN104994905A (zh) 2015-10-21
US20150374979A1 (en) 2015-12-31
DE112014002149B4 (de)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691B1 (ko)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US8983621B2 (e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KR20170105211A (ko)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KR102120386B1 (ko) 전위 치료 장치
JP4179625B2 (ja) 電位治療装置及び組合せ電気治療装置
KR100715343B1 (ko) 고주파 전기 전극치료기
CN102872530B (zh) 有序切换输出治疗电压的静电场治疗仪
KR101340764B1 (ko) 휴대용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JP5294011B2 (ja) 干渉低周波治療器
JP3203547U (ja) 高電位を用いた微小電流治療器
JP2009183639A (ja) 睡眠補助装置
CN102470244B (zh) 电位治疗装置
CN104394928B (zh) 电位治疗仪
JP2013103107A (ja) 電位治療装置及び組合せ電気治療装置
KR100483970B1 (ko)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KR102356272B1 (ko) 전위발생 장치
CN204601122U (zh) 针灸辅助刺激仪
JP2016073372A (ja) 電位治療器
JP5982656B2 (ja) 生体刺激装置
CN203399070U (zh) 一种治疗吞咽功能障碍的脉冲发生装置
KR20190014845A (ko) Ret 및 cet 고주파 치료 기능을 구비한 전기 치료기
KR102352218B1 (ko) 어싱 및 음전위 파동 발생기
JP2005143829A (ja) 低周波治療器
KR100990839B1 (ko)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CN204092845U (zh) 一种高电位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