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839B1 -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 Google Patents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839B1
KR100990839B1 KR1020080095236A KR20080095236A KR100990839B1 KR 100990839 B1 KR100990839 B1 KR 100990839B1 KR 1020080095236 A KR1020080095236 A KR 1020080095236A KR 20080095236 A KR20080095236 A KR 20080095236A KR 100990839 B1 KR100990839 B1 KR 10099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neon lamp
state
high voltage
potential 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868A (ko
Inventor
장명균
Original Assignee
장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균 filed Critical 장명균
Priority to KR102008009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8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4Leading-off electric charges, e.g. by ear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AC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고압출력트랜스를 통하여 고압의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음이온층을 형성하는 전위치료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위치료기용 위상제어기는 네온램프, 포토 트랜지스터, 위상전환회로 및 M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온램프는 상기 AC전원의 입력전원의 상태에 따라(Hot Line or G Line) ON/OFF를 유지한다. 포토 트랜지스터는 상기 네온램프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네온램프의 상태를 전류량으로 출력한다. 위상전환회로는 상기 AC전원으로부터 상기 고압출력트랜스에 전달되는 전원의 위상을 전환한다. MPU는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 네온램프의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위상전환회로가 전달하는 전력의 위상을 전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전위 치료기는 다수개가 동시에 운용되는 경우라도 각각 동일한 전압과 위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Figure R1020080095236
전위치료기, 전압위상, 위상제어기

Description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Controller for input signal phase of potential therapeutic device}
본 발명은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대의 전위치료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각각의 전위치료기가 동일한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압의 전기적 쇼크발생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지구 상공의 약 100㎞ 위치는 '이온 투과담체'라고 불리는 미립 분자층이 형성되어 있고, 방대한 크기의 전계는 양(+)으로 채워진 상기 이온 투과담체와 음(-)으로 채워진 지구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구 둘레의 자연적인 전계는 이온 투과담체 이하에 있는 모든 생명체에 영향을 주고 있다.
전위 치료기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는 고기능의 전기 요법 기계로서 생생한 전계를 인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체의 상태를 최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고압의 전위차를 발생시켜 인체에 간접적으로 작용시킨다. 즉, 이온 정전요법으로 인체에 필요한 음이온을 전기적으로 부하 유도시킴으로써 인체가 전위판 에 접촉시주위에 두터운 음이온층이 발생되고, 발생된 두터운 음이온층의 작용에 의해 혈액 중의 미네랄 등이 유효하게 이용되어 혈액이 산성화되어 가는것을 방지하고, 약 알칼리성의 혈액상태를 유지하여 질병의 예방 및 저항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위 치료기는 고압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인체주위에 두터운 음이온층을 형성시켜서 세포의 조직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인체 내를 이온화시키면서 노폐물의 배출량을 증가시키고 신진대사 기능을 촉진시키며, 산성화된 혈액을 이상적인 약알칼리성 혈액으로 전환시켜 각종 질병에 저항력이 강한 체질로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며, 동맥 혈관 벽의 콜레스테롤을 제거시키면서 말초 혈관을 확장시켜 혈행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고혈압 증상 및 당뇨등 만성 질환을 예방하며, 자율신경을 조정하여 내분비의 조절기능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전위 치료기는 생생한 전계를 인위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고압을 발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고압 트랜스를 많이 사용하고, 고압 트랜스의 1차 코일에 복수의 탭을 구비하며, 그 복수의 탭에서 입력되는 복수의 전압을 절환 스위치로 스위칭시켜 원하는 하나의 고압을 출력 및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위 치료기를 다수 운용하는 경우 각각의 전위 치료기가 동일한 전압과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가까운 위치의 다른사용자와 접촉시 고압의 전기적 쇼크를 일으킬 염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의 전위 치료기를 운용하더라도 각각의 전위 치료기가 동일한 전압와 동일한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C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고압출력트랜스를 통하여 고압의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음이온층을 형성하는 전위치료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위치료기용 위상제어기는 네온램프, 포토 트랜지스터, 위상전환회로 및 M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온램프는 상기 AC전원의 입력상태에 따라(Hot Line or G Line) ON/OFF를 유지한다.
포토 트랜지스터는 상기 네온램프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네온램프의 상태를 전류량으로 출력한다.
위상전환회로는 상기 AC전원으로부터 상기 고압출력트랜스에 전달되는 전압의 위상을 전환한다.
MPU는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 네온램프의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위상전환회로가 전달하는 전력의 위상을 전환시킨다.
또한 상기 위상전환회로는 제1 릴레이 및 제2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릴레이는 상기 MPU가 네온램프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작동시킴으로써 하기 제2 릴레이의 접점의 변화를 유도한다.
제2 릴레이는 접점의 변화에 따라 상기 AC전원의 입출력단자와의 접속을 교대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전위 치료기는 다수개가 동시에 운용되는 경우라도 각각 동일한 전압과 위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위치료기용 위상제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온램프(Neon Lamp),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 위상전환회로(RLY_1, RLY_2) 및 MPU([도 2]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네온 램프(Neon Lamp)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온램프(Neon Lamp)는 상기 AC전원의 입력상태에 따라(Hot Line or G Line)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온 상태일 경우에는 후술할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 를 향하여 빛을 방사하게 된다. 즉 AC_2 라인이 HOT LINE인지 G LINE인지에 따라 네온램프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 따라 ON/OFF가 결정된다.
[도 1]을 참조하여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를 설명한다.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는 공지의 소자로서 비추는 빛의 세기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는 상술한 네온램프(Neon Lamp)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네온램프의 밝기 정도를 전류량으로 출력(CP_1)하게 되는 것이다. 출력되는 전류(CP_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MPU의 CP_1 PIN으로 전달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위상전환회로(RLY_1 및 RLY_2)를 설명한다.
위상전환회로(RLY_1 및 RLY_2)는 일반적인 전위치료기의 구성인 교류전원(AC)과 고압출력트랜스의 사이에 개재(介在)하여 전달되는 전압의 위상을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위상전환회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릴레이(RLY_1) 및 제2 릴레이(RLY_2)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릴레이의 접접이 B접점으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제1 릴레이의 C 라인이 B접점으로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여 MPU에 대하여 설명한다.
MPU는 전원 투입후 전체회로가 전기적으로 안정이 되었을 때 CP_1 PIN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량으로부터 네온램프의 상태를 체크하고 "H" 신호인 경우에는 CP_2 PIN을 "L"로 하여 제2 릴레이를 동작시키게 된다.
즉 결과적으로 CP_1 PIN으로부터 "H"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2 릴레이(RLY_2)를 통하여 제1 릴레이의 C 라인을 B접점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본 회로에서 네온램프에 불이 켜지면 AC_2 라인은 Hot Line이기 때문에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가 동작하여 CP_1으로부터 "H"신호가 출력되므로 MPU에서 CP_2 PIN을 "L"로 하여 제2 릴레이(RLY_2)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 릴레이(RLY_1)의 C 라인을 B접점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제1 릴레이의 B접점이 C라인에 연결되는 경우 전원으로부터 고압출력트랜스로 전달되는 전압의 위상이 바뀌게 된다.
네온램프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 상술한 바와 반대로 동작을 하여 전위 출력 트랜스의 출력전압이 동일한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력된 전압은 고압출력트랜스를 통하여 음이온을 형성하기 위한 전압으로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의 첫 번째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의 두 번째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Claims (2)

  1. AC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고압출력트랜스를 통하여 고압의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음이온층을 형성하는 전위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AC전원의 위상변화에 따라 온오프 상태를 반복하는 네온램프;
    상기 네온램프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네온램프의 상태를 전류량으로 출력하는 포토 트랜지스터;
    상기 AC전원으로부터 상기 고압출력트랜스에 전달되는 전원의 위상을 전환하는 위상전환회로; 및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로부터 네온램프의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위상전환회로가 전달하는 전력의 위상을 전환시키는 M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치료기용 위상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전환회로는,
    상기 MPU가 네온램프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작동시킴으로써 하기 제2 릴레이의 접점의 변화를 유도하는 제1 릴레이; 및
    접점의 변화에 따라 상기 AC전원의 입출력단자와의 접속을 교대시키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 치료기용 위상제어기.
KR1020080095236A 2008-09-29 2008-09-29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KR10099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36A KR100990839B1 (ko) 2008-09-29 2008-09-29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36A KR100990839B1 (ko) 2008-09-29 2008-09-29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68A KR20100035868A (ko) 2010-04-07
KR100990839B1 true KR100990839B1 (ko) 2010-10-29

Family

ID=4221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36A KR100990839B1 (ko) 2008-09-29 2008-09-29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91B1 (ko) 2013-04-25 2013-12-12 오재숙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101A (ja) 1998-07-02 2000-01-21 Techno Sophia:Kk レーザー生体透視画像診断治療装置
KR200359450Y1 (ko) 2004-05-21 2004-08-21 (주) 한국나노 의료기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KR200427527Y1 (ko) 2006-07-12 2006-09-27 정판수 저주파 자극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101A (ja) 1998-07-02 2000-01-21 Techno Sophia:Kk レーザー生体透視画像診断治療装置
KR200359450Y1 (ko) 2004-05-21 2004-08-21 (주) 한국나노 의료기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KR200427527Y1 (ko) 2006-07-12 2006-09-27 정판수 저주파 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68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6656B (zh) 能够用半导体闸流管调节能级的强脉冲光发生装置
KR101340691B1 (ko)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KR100990839B1 (ko)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JP5051625B2 (ja) 生体刺激装置
JP2017158998A (ja) 高電位を用いた微小電流治療器
JP4807176B2 (ja) 低周波治療器及びその制御方法
EP1521506A3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KR101340764B1 (ko) 휴대용 고전위를 이용한 미세전류 치료기
JP5392245B2 (ja) 生体刺激装置
KR102120383B1 (ko) 전위 치료 장치
TWI499440B (zh) Potential therapeutic apparatus
KR200453125Y1 (ko) 휴대용 전위 발생기
KR102080839B1 (ko) 플라스마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EP1223480A3 (en) Control of electrical heater to reduce flicker
KR100426630B1 (ko) 전위 치료기
JP2009125358A (ja) 電位治療器
KR100394512B1 (ko) 저주파가 구비된 매트 및 장판
CN207722236U (zh) 经络电刺激器
JP2000099167A5 (ko)
KR200191597Y1 (ko) 전위 치료기의 전압 조절장치
JP2000271233A (ja) 電位治療器
JP2001321451A (ja) 電位治療器及びその電位治療器を用いた治療方法
JP2007111196A (ja) 電位治療器
KR100345947B1 (ko) 전위온열 치료기
CN201453839U (zh) 理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