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527Y1 - 저주파 자극기 - Google Patents

저주파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527Y1
KR200427527Y1 KR2020060018927U KR20060018927U KR200427527Y1 KR 200427527 Y1 KR200427527 Y1 KR 200427527Y1 KR 2020060018927 U KR2020060018927 U KR 2020060018927U KR 20060018927 U KR20060018927 U KR 20060018927U KR 200427527 Y1 KR200427527 Y1 KR 200427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stimulator
unit
mpu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판수
이청산
Original Assignee
정판수
이청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판수, 이청산 filed Critical 정판수
Priority to KR2020060018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5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가 편리하고 인체에 전기자극을 주어 신경계통이나 근육통증을 치료하거나 근육을 완화시키는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저주파 자극기는 버튼정보 또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MPU(Micro processor unit)와 동작상태를 입력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저주파펄스발생부 및 원적외선발광부와 상기 저주파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저주파 펄스가 인체에 접촉되는 전극부 및 전체 회로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저주파 자극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조작부가 간편하여 노약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며, 미사용 또는 장시간사용시에는 안전을 위하여 전원이 자동 차단되고, 또한, 통증부위에는 저주파자극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투광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므로 해서 통증을 단시간에 이완시키기 위한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자극기, 자극기, 전기자극기, 마사지기

Description

저주파 자극기{Low frequency pulse stimula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
110; 몸체 120; LCD
121; 강약표시 122; 극성표시
130; 버튼 140; 전원스위치
150; 전극팁 160; 원적외선LED
170; 배터리뚜껑 200; 디스플레이부
210; MPU 220; 버튼부
230; 저주파펄스발생부 240; 전극부
250; 원적외선발광부 260; 전원공급부
270; 고전압발생부 280; 극성제어부
본 고안은 휴대가 편리하고 인체에 전기자극을 주어 신경계통이나 근육통증을 치료하거나 원적외선을 투광하여 통증부위를 완화시켜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하는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자극기는 신경계통이나 피부의 신경을 자극하여 물리적으로 전기적인 저주파신호를 인체에 인가함으로 해서 근육통증을 완화 시키거나 통증을 치료하는 전자침 역활을 하는 것이다. 특히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자극에 의한 것으로 중독성이 없으며, 전기자극은 저전압에 의한 자극방법으로 보통 10~100볼트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0.5~300Hz의 저주파수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저주파 자극기는 휴대하기에 용이 하지만 패드를 사용하여 붙이는 방식이 주류이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조작이 비교적 복잡하여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전원을 끄지 않은 채로 방치해서 전지의 소모를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전기적인 자극만 가해지므로 치료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조작이 간편하여 노약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조작부를 간편화하고, 미사용 또는 장시간사용시에는 안전을 위하여 전원이 자동 차단되도록 함은 물 론, 통증부위에는 저주파자극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투광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으로 해서 단시간에 통증을 이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저주파 자극기는 버튼정보 또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MPU(Micro processor unit)와 동작상태를 입력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저주파펄스발생부 및 원적외선발광부와 상기 저주파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저주파 펄스가 인체에 접촉되는 전극부 및 전체 회로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100)는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인 LCD(120)가 몸체(110)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LCD(120)의 좌우측에는 UP 또는 DOWN기능 및 극성전환을 하도록 버튼(130)이 구비되고, 상기 LCD(120)의 하단에는 전원의 ON 또는 OFF가 가능하도록 전원스위치(140)가 위치되며, 상기 몸체(110)의 상단 끝에는 인체와 접촉하여 저주파 전극이 가해지는 전극팁(15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극팁(150)은 분리가 가능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서 여러종류의 전극팁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팁(150)을 향하여 몸체(110)내부에는 원적외선 LED(16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제일 하단에는 배터리뚜껑(170)이 구비되어 있다. 물론 내부에는 배터리(미도시)가 수납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튼정보 또는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MPU(210)와 동작상태를 입력하는 버튼부(220)와 상기 버튼부(220)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저주파펄스발생부(230) 및 원적외선발광부(250)와 상기 저주파펄스발생부(230)에서 발생한 저주파 펄스가 인체에 접촉되는 전극부(240) 및 전체 회로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6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우선 전원공급부(260)는 각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여 버튼(130)과 전원스위치(140)로 구성된 버튼부(220)에 있는 전원스위치(140)가 ON이 되면 MPU(210)가 작동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220)의 버튼(130)조작에 의하여 UP, DOWN기능 및 극성전환이 바뀌게 되며, 이러한 버튼(130)정보는 MPU(210)가 즉각 LCD(120)에 버튼(130)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LCD(120)에 UP 또는 DOWN의 수치가 강약표시(121)된다. 또한 양극 또는 음극표시는 극성표시(122)에 출력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한눈에 동작상태를 알게 된다.
즉 상기 MPU(210)는 버튼부(220)에서 입력된 정보를 LCD(120)에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의하여 상기 MPU(210)는 저주파펄스발생부(230)와 원적외선발광부(250)에 신호를 전송하는데, 먼저 상기 저주파펄스발생부(230)의 내에 구성된 고전압발생부(270)와 극성제어부(280)는 상기 MPU(210)의 제어를 받게된다.
상기 고전압발생부(270)는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이 코일 L1,L2를 거쳐 피드백되는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상승된 전압을 다이오드 D1을 통과시킨다. 이때 다이오드 D1을 통과한 전류는 콘덴서 C1에 충전되어 방전될 때 평활되어 안정된 고전압이 발생되는 것으로 저항체 R1을 통하여 출력된다.
상기 MPU(210)의 제어를 받게 되는 극성제어부(280)는 트랜지스터 Q1과 Q4를 동작시켜 양극을 출력하게 하고, 반대로 트랜지스터 Q2와 Q3을 동작시켜 음극을 출력하게 한다. 따라서 저항체 R1을 통하여 출력된 고전압이 트랜지스터 Q1과 Q4 및 트랜지스터 Q2와 Q3에 낮은 주파수대의 고전압이 출력되고 이러한 출력값은 트랜지스터 Q3와 Q4에 연결된 전류를 제어하여 출력값이 조절된다. 이렇게 저주파펄스발생부(230)에서 발생된 양극 또는 음극의 전극중 하나가 선택되어 전극부(240)에 출력되어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전극부(240)가 양극으로 선택되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몸체(110)는 음극으로 접지되며, 전극부(240) 즉 전극팁(150)을 통하여 양극에서 접지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피부신경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상승시키고, 통증을 치료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반대로 전극부(240) 즉 전극팁(150)이 음극으로 선택되면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몸체(110)는 양극이 되어 몸체(110)에서 전극팁(150)방향으로 역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피부는 잔잔하게 신경활동이 억제되고 전체적으로 혈액순환 및 통증이 완화되는 느낌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저주파펄스발생부(230)가 작동되고 있는 동안 트랜지스터 Q6도 동시에 작동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 Q6의 콜렉트에 연결된 원적외선LED(160)도 발광하게 된다. 이렇게 발광된 빛은 사용자의 환부에 직접 투광되므로 치료효과를 더욱 배가 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적외선LED(160)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LED이외에도 시판중인 저전력용 원적외선 소형램프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로, 도면을 참조하여 동작상태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전원스위치를 ON(S10)하고 미사용상태에서 5분이상이 경과(S15)하면 MPU(210)는 전원을 OFF(S20)하라고 명령하여 전체 전원이 꺼진다. 이때 버튼조작(S25)에 의하여 UP, DOWN기능 및 극성전환 기능(S30)이 상기 버튼조작(S25)에 의하여 행해진다. 여기서 UP, DOWN은 저주파펄스의 강약 즉 0~9까지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고, 극성전환은 UP을 1초이상 길게 누르면 양극으로 전환된다. 반대로 DOWN을 1초이상 길게 누르면 음극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강약의 수치 및 극성전환을 위한 시간은 임의적 변경사항이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MPU(210)는 길게 눌러진 버튼을 체크(S35)하여 음극전환(S40) 또는 양극전환(S45)중 하나가 선택되게 하고, 동시에 UP 또는 DOWN버튼이 눌러진 상태를 인식하여 저주파펄스의 강약을 조절하도록 MPU(210)가 다음 진행을 제어(S50)하게 된다. 이때 MPU제어(S50)상태를 체크하여 15분이상 사용(S15)시 안전을 위하여 전원이 자동 차단(S20)된다. 반대로 차단된 전원을 재가동 시키고자 한다면 전원스위치를 ON(S10)하면 초기화 된다.
이렇게 MPU제어(S50)된 신호정보에 의하여 저주파펄스발생(S55)이 생기고, 발생된 저주파는 전극부(S65)에 공급되어 인체의 피부를 자극하게 된다. 동시에 MPU제어(S50)에서 출력된 신호는 원적외선발광(S60)에 공급되어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고 있는 전극부(S65)를 향하여 투광되어 치료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조작이 간편하여 노약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미사용 또는 장시간사용시에는 안전을 위하여 전원이 자동 차단된다.
또한, 통증부위에는 저주파자극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투광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통증을 단시간에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몸체(110)의 상단부에 전극부(240)즉 전극팁(150)이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된 일반적인 자극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중앙에 강약표시(121) 및 극성표시(122)를 하는 LCD(120)가 구비되고; 상기 LCD(120)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거나 작동기능을 제어하는 MPU(210)와; 상기 MPU(210)에 연결되어 상기 MPU(210)를 제어하게 하는 버튼부(220)와; 상기 버튼부(220)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상기 MPU(210)의 동작을 수행하는 고전압발생부(270) 및 극성제어부(280)와 트랜지스터 Q1~Q4로 구성된 저주파펄스발생부(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극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PU(210)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 Q6와; 상기 트랜지스터 Q6에 연결되어 원적외선 빛이 발산되는 적어도 1개이상의 원적외선LED(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극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220)는 UP, DOWN기능 및 극성전환을 수행하는 버튼(130)과 전원스위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자극기.
KR2020060018927U 2006-07-12 2006-07-12 저주파 자극기 Expired - Lifetime KR200427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927U KR200427527Y1 (ko) 2006-07-12 2006-07-12 저주파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927U KR200427527Y1 (ko) 2006-07-12 2006-07-12 저주파 자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527Y1 true KR200427527Y1 (ko) 2006-09-27

Family

ID=4177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927U Expired - Lifetime KR200427527Y1 (ko) 2006-07-12 2006-07-12 저주파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5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839B1 (ko) 2008-09-29 2010-10-29 장명균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KR101396191B1 (ko) 2012-06-22 2014-05-19 (주)서흥메가텍 스캐닝 방식의 저주파 자극기
KR101566791B1 (ko) * 2015-04-17 2015-11-06 (주)와이브레인 전기 자극 장치
US10413725B2 (en) 2016-08-11 2019-09-17 Y-Brain Inc.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839B1 (ko) 2008-09-29 2010-10-29 장명균 전위치료기를 위한 입력위상 제어기
KR101396191B1 (ko) 2012-06-22 2014-05-19 (주)서흥메가텍 스캐닝 방식의 저주파 자극기
KR101566791B1 (ko) * 2015-04-17 2015-11-06 (주)와이브레인 전기 자극 장치
US10413725B2 (en) 2016-08-11 2019-09-17 Y-Brain Inc.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133B2 (en)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564103B2 (en) Electrical stimulator and method of use
US8972016B2 (en)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3192971U (ja) 美容器
KR200412781Y1 (ko)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CN106823144B (zh) 中低频治疗仪
KR101534525B1 (ko) 휴대형 다기능 치료기
US2023017327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itching
AU2013207901A1 (en)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27527Y1 (ko) 저주파 자극기
KR20130095146A (ko) 가시광선 조사 및 진동자극 기능이 탑재된 재활치료용 기능적 전기자극기
KR20190085351A (ko) 고주파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휴대용 고주파 두피 마사지기
CN108434595A (zh) 一种头带式脑部电刺激仪及其电刺激方法
KR100614799B1 (ko) 휴대용 피부 미용기
KR200163117Y1 (ko) 저주파를 이용한 신체자극장치
KR102341817B1 (ko) 스마트 스킨 케어 디바이스의 구동 제어 방법
KR20200027106A (ko) 체형관리용 저주파 마사지기
KR101396191B1 (ko) 스캐닝 방식의 저주파 자극기
RU95259U1 (ru) Двунаправленный прибор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и терапии
CN207477799U (zh) 中低频治疗仪
KR20080087962A (ko) 개인용 저주파 자극기
RU2043760C1 (ru) Аппарат для биоэнерготерапии &#34;дата-т&#34;
KR200384814Y1 (ko) 피부측정장치 및 레이저 조사기가 장착된 마사지기
CN221431925U (zh) 一种经络电刺激治疗仪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71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4052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