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890B1 - 밸브코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코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890B1
KR101337890B1 KR1020120096976A KR20120096976A KR101337890B1 KR 101337890 B1 KR101337890 B1 KR 101337890B1 KR 1020120096976 A KR1020120096976 A KR 1020120096976A KR 20120096976 A KR20120096976 A KR 20120096976A KR 101337890 B1 KR101337890 B1 KR 101337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ater
valve
module
coat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무근
박효근
유한덕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18Projection by scanning of th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4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engines
    • B23P19/045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engines for assembling valve cotters and retainers of engine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코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각 부분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형상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밸브코터의 불량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밸브코터의 전수검사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검사작업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밸브코터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밸브코터 검사장치는 밸브코터를 제공받아 검사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1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평면 또는 저면 영상을 촬영하여 밸브코터의 폭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촬영모듈(2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의 좌표를 획득하여 상면의 테이퍼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모듈(3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내면 비드부에 대한 좌표를 획득하여 내면 비드부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모듈(400); 및 상기 촬영모듈(200)에 의해 획득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폭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300)에서 획득된 테이퍼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퍼 각도 및 반할고를 검출하며, 상기 제2 센서모듈(400)에서 획득된 내면에 대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비드부 내경을 검출하여 해당 밸브코터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밸브코터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valve cotter}
본 발명은 밸브코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흡,배기 밸브 스프링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밸브코터의 폭, 테이퍼 각도, 반할고, 비드부 내경과 같은 형상정보를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을 통해 획득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합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한 밸브코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밸브코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2는 밸브코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엔진에는 실린더헤드에 형성된 흡기구 및 배기구를 적절한 시기에 개폐하여 공기 또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가스를 연소실로 공급하고, 연소실내의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밸브기구는 실린더헤드(10)에 형성된 흡기구(11)와 배기구를 밸브(21)의 상하 이동을 통해 개폐하는 것으로, 캠축(30)의 구동에 의해 밸브(21)가 하강하여 흡기구(11) 및 배기구를 개방하고, 밸브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하여 밸브(21)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흡기구(11) 및 배기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21)와 밸브스프링(22)은 리테이너(23)를 매개로 결합되며, 이러한 리테이너(23)를 밸브(2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밸브코터(4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밸브코터(40)는 리테이너와 밸브의 사이로 삽입되어 리테이너를 밸브에 견고히 결속시키는 쐐기로써, 원추형의 구조를 가지며, 2개의 부분(41,42)으로 분할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코터의 제조시 정확한 형상으로 가공되지 못하여 허용치 이상의 오차가 발생된 경우, 밸브가 정확한 시기기 개폐되지 못하여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된 밸브코터를 검사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밸브코터는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폭/테이퍼 각도/반할고/비드부 내경 등 여러 부분을 측정해야만 하므로, 정밀한 측정이 어렵고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전수검사를 대신하여 샘플링검사가 이용되고 있어 검사작업의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각 부분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형상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밸브코터의 불량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밸브코터의 전수검사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검사작업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밸브코터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밸브코터 검사장치는 밸브코터를 제공받아 검사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1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평면 또는 저면 영상을 촬영하여 밸브코터의 폭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촬영모듈(2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의 좌표를 획득하여 상면의 테이퍼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모듈(3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내면 비드부에 대한 좌표를 획득하여 내면 비드부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모듈(400); 및 상기 촬영모듈(200)에 의해 획득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폭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300)에서 획득된 테이퍼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퍼 각도 및 반할고를 검출하며, 상기 제2 센서모듈(400)에서 획득된 내면에 대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비드부 내경을 검출하여 해당 밸브코터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송모듈(100)의 인접한 위치에서 이송모듈(1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일정 자세로 공급되는 밸브코터를 이송모듈(100)에 형성된 장입홈(111)에 투입시키는 장입용 푸셔(610); 및 상기 장입용 푸셔(610)를 이동시키는 장입용 실린더(620)로 구성된 장입모듈(6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입용 푸셔(610)의 끝단부는 밸브코터의 소경부 끝단면에 밀착되는 평면부(610a)와, 상기 평면부(610a)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밸브코터의 측면형상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테이퍼부(610b)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모듈(100)은, 원판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원주 상에 다수개의 장입홈(111)이 형성된 턴테이블(110); 및 상기 턴테이블(110)을 소정 각도 단위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구동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장입홈(111)은, 상면과 저면 및 외측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저면은 투명부재(113)에 의해 폐쇄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110)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장입홈(111)에 투입된 채로 턴테이블(110)의 회전에 의해 검사위치로 이송되는 밸브코터가 원심력에 의하여 장입홈(1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모듈(200), 제1 센서모듈(300), 제2 센서모듈(4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에 앞서 장입홈(111)내의 밸브코터 유무를 검사하는 제품유무확인센서(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1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형성된 원점세팅용 표식(151); 및 상기 원점세팅용 표식(151)을 인식하여 턴테이블(110)이 정위치에 위치하였음을 인식하는 원점세팅용 센서(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모듈(200)은,밸브코터의 평면 또는 저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10); 상기 밸브코터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210)와 마주하도록 설치된 조명(220); 및 상기 카메라(210)를 이용한 촬영시 밸브코터가 일정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밸브코터를 밀어 이송모듈(100)에 형성된 장입홈(111)의 기준면(112)에 밀착시키는 제1 푸셔(23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센서모듈(3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이격되어 밸브코터의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의 좌표를 획득하는 한 쌍의 센서(311,312); 상기 두 센서(311,312)를 지지하며 두 센서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블록(320); 상기 이동블록(320)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330); 상기 지지블록(330)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록(320)과 연결되어 이동블록(3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송용 실린더(340); 상기 각각의 센서(311,312)에 결합되어 센서와 함께 이동하며, 하단부에는 밸브코터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팁(355,356)이 형성된 한 쌍의 센싱블록(351,352); 및 상기 센서에 의한 좌표 획득시 밸브코터가 일정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밸브코터를 밀어 이송모듈(100)에 형성된 장입홈(111)의 기준면(112)에 밀착시키는 제2 푸셔(3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팁(355,356)이 이송모듈(100)에 형성된 기준면(112)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L)를 조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지지블록(330)을 이동시키는 위치세팅용 스테이지(3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세팅용 스테이지(370)는, 상기 지지블록(330)과 결합되며, 지지블록(330)과 함께 이동하는 위치설정용 블록(37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면서 상기 위치설정용 블록(371)을 이동시키며, 지지블록(330)의 이동량을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게이지가 장착된 마이크로메타 헤드(372); 및 상기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조작에 의한 위치설정용 블록(371)의 위치설정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스핀들 또는 위치설정용 블록(371)에 마주하도록 이동하여 위치설정용 블록(371)의 세팅위치에 유지되는 세팅볼트(373)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센서모듈(400)은, 밸브코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면 비드부를 레이저로 조사하여 내면 비드부의 각 부분에 대한 좌표를 획득함으로써 내면 비드부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레이저모듈(410); 상기 레이저모듈(410)을 밸브코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이저모듈 이동부(420); 및 상기 레이저모듈(410)과 연결되어 레이저모듈(4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변위센서(43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센서모듈(300)은 이송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서모듈(400)은 제1 센서모듈(30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송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센서모듈(300)과 제2 센서모듈(400)이 함께 작동하여 밸브코터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밸브코터의 형상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모듈(100)의 장입홈(111)에 투입된 밸브코터로 에어를 분사하여 장입홈(111)내의 밸브코터를 장입홈(111)으로부터 취출하는 에어노즐(701); 및 상기 에어노즐(701)에 의해 취출되는 밸브코터를 투입받도록 이송모듈(10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되, 취출되는 밸브코터를 합격 또는 불합격 또는 재검으로 분류하기 위한 3개의 취출관(711,712,713)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3개의 취출관(711,712,713) 중 어느 하나의 취출관을 밸브코터가 취출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취출되는 밸브코터를 투입받도록 함으로써 해당 밸브코터를 합격 또는 불합격 또는 재검으로 분류하는 취출선별부(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코터를 검사위치로 이송시키며 검사가 요구되는 각 부분에 대한 형상정보를 촬영모듈과 제1,2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밸브코터의 불량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된 밸브코터의 전수검사가 가능하며, 검사작업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밸브코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밸브코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코터 검사장치의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검사가 요구되는 밸브코터의 각 부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모듈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모듈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입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입모듈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듈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모듈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모듈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팁과 밸브코터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상세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모듈의 정면도,
도 14 는 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흑백의 구분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처리한 영상,
도 15 는 밸브코터의 테이퍼 각도와 반할고의 검출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6 은 밸브코터의 내경 비드부의 형상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7 은 제2 센서모듈로부터 획득된 좌표를 이용하여 내면 비드부의 형상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코터 검사장치의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평면도를, 도 4는 검사가 요구되는 밸브코터의 각 부분을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코터 검사장치는 검사가 요구되는 밸브코터의 각 부분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밸브코터의 전수검사가 가능하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이송모듈(100)과, 촬영모듈(200)과, 제1 센서모듈(300)과, 제2 센서모듈(400)과, 제어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w는 대경부 폭, θ는 상면 테이퍼 각도, h는 반할고, d1 내지 d5는 내면 비드부 내경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모듈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모듈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입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송모듈(100)은 후술될 장입모듈(600: 도 3에 도시됨)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밸브코터를 제공받아 검사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모듈(100)은 투입된 밸브코터가 직선형의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검사위치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촬영모듈(200)과 제1,2 센서모듈(300,400)를 직선형의 구조로 나열해야만 하므로 검사장치가 점유하는 면적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모듈(100)은 밸브코터가 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면서 각각의 검사위치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검사장치가 점유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모듈(100)은 턴테이블(110)과 턴테이블 구동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턴테이블(110)은 원판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원주 상에는 다수개의 장입홈(111)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입홈(111)은 상면과 저면 및 외측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외측면을 통해 밸브코터를 투입받도록 구성되되, 저면은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투평부재(113)에 의해 폐쇄되어 장입홈(111)으로 투입된 밸브코터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촬영모듈(200)에 의한 평면 또는 저면 영상을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입홈(111)의 내측면은 밸브코터의 형상정보의 획득시 밸브코터가 항상 일정한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준면(112)으로 형성된다.
상기 턴테이블 구동부(120)는 턴테이블(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프레임(F)에 설치되어 턴테이블(110)을 소정 각도 단위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턴테이블(1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턴테이블(110)의 장입홈(111)에 투입된 밸브코터가 턴테이블(110)의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장입홈(1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가이드(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130)는 턴테이블(110)의 인접한 위치에서 턴테이블(110)의 원주를 따라 연장된 구조로 설치되어 밸브코터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촬영모듈(200), 제1 센서모듈(300), 제2 센서모듈(4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에 앞서 장입홈(111)내에 밸브코터가 정상적으로 투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제품유무확인센서(140)가 턴테이블(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품유무확인센서(140)는 광 센서와 같은 공지의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입홈(111)으로 광을 조사하고, 밸브코터의 유무에 따라 발생되는 수신 광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코터 검사장치를 새로 가동하거나, 에러 발생시 턴테이블(110)의 원점을 세팅하기 위한 원점세팅용 표식(151)과, 원점세팅용 센서(15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점세팅용 표식(151)은 턴테이블(1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점세팅용 센서(150)는 원점세팅용 표식(151)을 인식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다. 한편 도 6에는 턴테이블(110)의 상면에 원점세팅용 표식(151)이 형성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부에 원점세팅용 센서(150)가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원점세팅용 표식(151)과 원점세팅용 센서(150)에 의하면, 장비의 초기 가동이나 에러의 발생으로 인한 재가동시 턴테이블(110)을 천천히 회전시키고, 턴테이블(110)에 형성된 원점세팅용 표식(151)이 원점세팅용 센서(150)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 턴테이블(11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그 위치를 턴테이블(110)의 원점으로 설정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입모듈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일정한 자세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밸브코터(40)를 이송모듈(100)로 자동으로 투입하기 위한 장입모듈(60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입모듈(600)은 장입용 푸셔(610)와, 장입용 실린더(62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입용 푸셔(610)는 턴테이블(110)의 인접한 위치에서 턴테이블(11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밸브코터를 턴테이블(110)에 형성된 장입홈(111)에 순차적으로 투입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장입용 푸셔(610)는 밸브코터의 소경부(40b) 끝단면에 밀착되는 평면부(610a)가 끝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610a)의 일측에는 밸브코터의 측면형상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구조를 갖는 테이퍼부(610b)가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사다리꼴 모양의 평면구조를 갖는 밸브코터를 장입홈(111)으로 안정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입용 실린더(620)는 장입용 푸셔(610)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베이스 프레임(F)에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듈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촬영모듈(200)은 밸브코터(40)의 평면 또는 저면 영상을 촬영하여 밸브코터의 폭(w)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카메라(210)와, 조명(220)과, 제1 푸셔(230)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210)는 턴테이블(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밸브코터(40)의 저면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물론 턴테이블(110)의 상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밸브코터(40)의 평면 평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220)은 밸브코터(40)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210)와 마주하도록 턴테이블(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명(220)은 LED를 이용하여 구성된 조명으로, 카메라(210)와 반대편에서 조명(220)을 조사함으로써, 카메라(210)가 음영이 명확하게 구분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상기 제1 푸셔(230)는 카메라(210)에 의한 영상의 촬영시 밸브코터가 장입홈(111)에 마련된 기준면(112)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카메라(210)에 의한 촬영시 밸브코터(40)가 항상 일정한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푸셔(230)는 밸브코터와 접촉하여 밸브코터를 밀어내는 푸싱바(231)와, 상기 푸싱바(231)를 이동시키는 실린더(23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모듈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모듈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팁과 밸브코터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센서모듈(300)은 밸브코터의 상면 테이퍼 각도(θ)를 산출하기 위한 형상정보로서 밸브코터의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의 좌표를 획득하는 것으로, 한 쌍의 센서(311,312)와, 이동블록(320)과, 지지블록(330)과, 상하이송용 실린더(340)와, 한 쌍의 센싱블록(351,352)과, 제2 푸셔(36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센서(311,3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이격된 구조로 배치되며, 각각의 센서(311,312)는 공지의 접촉식 변위센서로 구성되어 센싱블록(351,352)이 밸브코터(40)의 상면에 접촉할 때의 변위를 측정함으로써 밸브코터의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의 좌표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이동블록(320)은 상호 이격된 두 센서(311,312)를 지지하며, 두 센서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블록(320)의 하단부에는 두 센싱블록(351,352)과 결합되는 걸림턱(321)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321)은 상하이송용 실린더(340)에 의한 이동블록(320)의 상승 동작시 센싱블록(351,352)에 형성된 걸림홈(353,354)에 결속되어 센싱블록(351,352)이 이동블록(320)과 함께 상승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록(330)은 이동블록(32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도록 수직하게 입설된 구조를 가지며, 이동블록(320)과 결합되어 이동블록(32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송용 실린더(340)는 지지블록(330)에 설치되며, 이동블록(320)과 연결되어 이동블록(320)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센싱블록(351,352)은 각각의 센서(311,312)에 결합되어 센서와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밸브코터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팁(355,356)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이동블록(320)에 형성된 걸림턱(321)에 대응하는 걸림홈(353,354)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코터는 10mm 이하 작은 부품으로, 이러한 작은 크기의 밸브코터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의 좌표에 한 쌍의 센서(311,312)를 직접 접촉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용의 센서로는 구성이 불가능하며, 센서를 매우 작은 크기로 별도 제작해야만 하는 단점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모듈(300)은 접촉팁(355,356)을 갖는 센싱블록(351,352)을 매개로 센서(311,312)가 밸브코터(40)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접촉식 변위센서를 그대로 사용하여 밸브코터의 상면에 위치한 두 점의 좌표를 획득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 푸셔(360)는 제1 센서모듈(300)에 의한 좌표의 획득시 밸브코터가 장입홈(111)에 마련된 기준면(112)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센서에 의한 좌표 획득시 밸브코터가 항상 미리 정해진 곳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제2 푸셔(360)는 밸브코터와 접촉하여 밸브코터를 밀어내는 푸싱바(361)와, 상기 푸싱바(361)를 이동시키는 실린더(36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팁(355,356)이 장입홈(111)의 기준면(112)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세팅용 스테이지(3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위치세팅용 스테이지(370)는 지지블록(330)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촉팁(355,356)과 기준면(112)의 이격거리(L)를 조정하는 것으로, 위치설정용 블록(371)과,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와, 세팅볼트(373)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설정용 블록(371)은 지지블록(33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조작에 의하여 지지블록(330)과 함께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촉팁(355,356)과 기준면(112)의 이격거리(L)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메타 헤드(372)는 주지된 바와 같이, 외측 마이크로메타의 프레임과 엔빌을 제외한 것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마이크로메타 헤드(372)는 측정기나 정밀스테이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지 관용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된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에는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작동에 의한 위치설정용 블록(371)의 이동량을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게이지(372`)가 일체형으로 장착된 디지털 마이크로메타 헤드(372)가 사용된다.
상기 세팅볼트(373)는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작동에 의하여 위치설정용 블록(371)의 위치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스핀들(372a) 또는 위치설정용 블록(371)과 마주한 채로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세팅볼트(373)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코터 검사장치가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F)에 고정된 고정블록(374)에 체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면서 스핀들(372a) 또는 위치설정용 블록(371)과 마주한 채로 접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설정용 스테이지(370)에 의하면, 접촉팁(355,356)의 위치설정이 요구되는 경우, 먼저 마이크로메타 헤드(372)를 조작하여 기준면(112)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접촉팁(356)이 기준면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에 장착된 디지털 게이지(372`)의 값을 초기화시킨다. 이후 마이크로메타 헤드(372)를 조작하여 접촉팁(356)이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고, 접촉팁(356)의 이동이 완료되면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디지털 게이지(372`)에 표시되는 값을 이격거리(L)로서 제어부(500)에 입력하게 되며, 세팅볼트(373)가 스핀들(372a) 또는 위치설정용 블록(371)에 마주하여 접하도록 체결하게 되면, 위치설정용 블록(371)의 위치가 이동된 경우에도, 세팅볼트(373)는 위치설정용 블록(371)의 최종 세팅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재설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모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센서모듈(400)은 밸브코터(40)의 내면 비드부에 대한 연속된 좌표를 획득하여, 내면 비드부의 각 부분에 대한 내경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레이저모듈(410)과, 레이저모듈 이동부(420)와, 변위센서(430)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모듈(410)은 턴테이블(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장입홈(111) 내에 놓인 밸브코터(40)의 내면 비드부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내면 비드부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다시 수신함으로써 내면 비드부에 대한 좌표를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레이저모듈(410)은 밸브코터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면 비드부의 각 부분에 대한 좌표를 연속적으로 획득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모듈 이동부(420)는 레이저모듈(41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레이저모듈 이동부(420)는 모터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430)는 레이저모듈(410)과 연결되어 레이저모듈(410)의 이동시 레이저모듈(4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센서모듈(400)에 의하면, 레이저모듈(410)에 의해 획득된 내면 비드부의 높이정보와, 변위센서(430)에 의해 획득되는 레이저모듈(410)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밸브코터의 내면 비드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연속된 좌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처럼 산출된 좌표를 이용하여 내면 비드부의 각 부분에 대한 내경값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센서모듈(4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은 턴테이블(110)의 하부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센서모듈(3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은 턴테이블(11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제1 센서모듈(300)을 턴테이블(110)의 상부에 배치하고, 제2 센서모듈(400)이 제1 센서모듈(300)의 수직하부에 위치하도록 턴테이블(110)의 하부에 배치하여 제1 센서모듈(300)과 제2 센서모듈(400)이 함께 작동하여 밸브코터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형상정보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검사장치의 부피를 축소하고, 형상정보의 획득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2 센서모듈(400)이 제2 푸셔(360)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밸브코터 검사장치를 제어하며, 촬영모듈(200)과 제1,2 센서모듈(300,400)로부터 획득되는 밸브코터의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폭(w), 테이퍼 각도(θ), 반할고(h), 내면 비드부 내경(d1,d2,d3,d4,5)을 산출하게 된다.
한편 검사작업이 완료된 밸브코터를 검사결과에 따라 구분하여 배출하는 취출선별부(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밸브코터의 취출이 이루어지는 턴테이블(110)의 취출측 상부에는 에어노즐(701)이 배치되며, 상기 에어노즐(701)은 장입홈(111)을 향하여 고압의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장입홈(111)내의 밸브코터를 취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취출선별부(700)는 장입홈(111)으로부터 취출되는 밸브코터를 투입받도록 턴테이블(11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검사결과에 따라 합격/불합격/재검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3개의 취출관(711,712,713)과, 상기 3개의 취출관(711,712,713) 중 어느 하나의 취출관이 밸브코터의 취출되는 곳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실린더(7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취출선별부(700)는 제어부(500)의 신호에 의해 실린더(720)가 구동하여 3개의 취출관(711,712,713) 중 어느 하나의 취출관이 취출되는 밸브코터를 투입받도록 이동시키게 되며, 각각의 취출관(711,712,713)으로 투입되는 밸브코터를 서로 다른 적재함으로 투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브코터 검사장치에 의하여 밸브코터의 검사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코터 검사장치로 공급되는 밸브코터는 반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사다리꼴의 평면구조를 갖고 있으며, 대경부(40a)는 장입홈(111)의 안쪽에 위치하고, 소경부(40b)는 장입홈(111)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내면 비드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정렬된 상태로 공급된다. 이러한 밸브코터의 정렬은 인력 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코터 검사장치로 공급되는 밸브코터는 장입모듈(600)에 의하여 턴테이블(110)의 장입홈(111)으로 투입된다. 즉 장입모듈(600)에 마련된 장입용 푸셔(610)로 밸브코터가 공급되면, 장입용 실린더(620)의 구동에 의해 장입용 푸셔(610)가 전진하여 밸브코터를 턴테이블(110)의 장입홈(111)으로 투입하게 되며, 이후 장입용 푸셔(610)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새로운 밸브코터를 공급받게 된다.
참고로 상기 턴테이블(110)은 턴테이블 구동부(120)에 의하여 일정각도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게 되며, 턴테이블(11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 장입모듈(600)에 의한 밸브코터의 투입과, 촬영모듈(200) 및 제1,2 센서모듈(300,4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장입모듈(600)에 의하여 장입홈(111)에 투입된 밸브코터는 턴테이블(110)이 회전에 의하여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게 되며, 제품유무확인센서(140)가 가장 먼저 장입홈(111) 내에 밸브코터가 정상적으로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만약 장입홈(111)에 밸브코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장입홈(111)에 대한 밸브코터의 합부 판정은 생략하게 된다.
도 14는 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흑백의 구분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처리한 영상을 나타내고 있다.
턴테이블(110)의 회전에 의하여 밸브코터가 촬영모듈(200)에 대응하는 검사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카메라(210)는 밸브코터(40)의 저면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210)에 의한 저면 영상의 촬영에 앞서 제1 푸셔(230)가 작동하여 장입홈(111) 내의 밸브코터(40)를 기준면(112)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처럼 밸브코터가 기준면에 밀착되어 항상 일정한 곳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하게 되므로, 측정이 요구되는 대경부 폭(w)은 항상 일정한 영역(녹색으로 표시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대경부 폭(w)이 포함된 영역을 검사영역으로 설정하고, 검사영역 내의 영상을 분석하여 밸브코터(40)의 대경부(40a) 폭(w)을 검출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500)로 전달되며, 제어부(500)는 카메라(21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내의 밸브코터와 배경이 흑백으로 명확히 구분될 수 있도록 도 14와 같이 처리하게 된다.
한편 도 14에서 녹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대경부 폭이 포함된 검사영역을 나타낸 것으로, 검사영역 내의 영상을 분석하여 좌측의 피크점(P1)과 우측의 피크점(P2)을 검출하고, 검출된 두 피크점(P1,P2)을 이용하여 대경부 폭(w)을 검출하게 된다.
참고로 도 14에는 밸브코터가 기준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제1 푸셔(230)의 일부가 함께 촬영된 영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처럼 영상 내에 존재하는 제1 푸셔(230)는 검사영역의 밖에 위치하게 되므로, 영상의 분석과정에서 제외된다.
상기와 같은 촬영모듈(2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턴테이블(110)이 회전하여 밸브코터를 제1 센서모듈(300)과 제2 센서모듈(400)에 대응하는 검사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15는 밸브코터의 테이퍼 각도와 반할고의 검출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6은 밸브코터의 내경 비드부의 형상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7은 제2 센서모듈로부터 획득된 좌표를 이용하여 내면 비드부의 형상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센서모듈(300)은 해당 검사위치로 밸브코터가 이송되면, 제2 푸셔(360)를 작동하여 밸브코터를 기준면에 밀착시키고, 상하이송용 실린더(340)를 작동하여 이동블록(320)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블록(320)의 하강에 의하여 두 센서(311,312)가 하강하게 되며, 이때 두 센서(311,312)에 각기 결합된 센싱블록(351,352)의 접촉팁(355,356)이 밸브코터(40)의 상면에 접촉하여 눌리게 되며, 이때 밸브코터(40)의 상면 테이퍼 각도(θ)에 의하여 각각의 접촉팁(355,356)이 서로 다른 양으로 눌리게 됨에 따라 각각의 센서(311,312)는 서로 다른 변위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각각의 센서(311,312)에서 발생되는 변위신호를 이용하여 밸브코터(40)의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P3,P4)의 높이에 대한 좌표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두 점(P3,P4)의 높이에 대한 좌표가 획득되면, 두 접촉팁(355,356)의 사이거리(L1)와 두 점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상면 테이퍼 각도(θ)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검출된 두 점(P3,P4)을 지나는 직선(S1)과, 밸브코터가 밀착된 기준면(112)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직선(S2)의 교점(C)을 구하여 밸브코터의 반할고(h)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반할고의 산출은 두 직선(S1,S2)의 교점(C)을 구하는 것 외에도 접촉팁(355,356)에 의해 검출된 두 점(P3)의 좌표와, 산출된 테이퍼 각도(θ), 그리고 접촉팁(355,356)과 기준면 사이거리(L)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센서모듈(3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시 제2 센서모듈(400)도 함께 작동하여 내면 비드부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모듈(4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과정을 설명하면, 레이저모듈(410)을 구동시켜 밸브코터(40)의 내면 비드부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레이저모듈 구동부(420)를 이용하여 레이저모듈(410)을 밸브코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되, 레이저모듈(410)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변위센서(430)로부터 검출되는 레이저모듈(410)의 위치값과 레이저모듈(410)에서 검출되는 내면 비드부의 높이값을 매칭시키게 되면, 내면 비드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획득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내면 비드부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도 17참조), 검사가 요구되는 부분에 대한 높이정보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촬영모듈(200)과 제1,2 센서모듈(300,4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이 완료되면, 제어부(500)는 획득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각 부분에 대한 합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500)의 판단결과 밸브코터가 양품으로 확인되면, 양품 적재함으로 연장되는 취출관(712)을 턴테이블(110)의 취출측에 위치시키고, 반대로 불량품으로 확인되면, 불량품 적재함으로 연장되는 취출관(713)을 턴테이블(110)의 취출측에 위치시킴으로써 검사결과에 따른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송모듈 (110) : 턴테이블
(111) : 장입홈 (112) : 기준면
(113) : 투명부재 (120) : 턴테이블 구동부
(130) : 이탈방지 가이드 (140) : 제품유무확인센서
(150) : 원점세팅용 센서 (151) : 원점세팅용 표식
(200) : 촬영모듈 (210) : 카메라
(220) : 조명 (230) : 제1 푸셔
(300) : 제1 센서모듈 (311),(312) : 센서
(320) : 이동블록 (330) : 지지블록
(340) : 상하이송용 실린더 (351),(352) : 센싱블록
(355),(356) : 접촉팁 (360) : 제2 푸셔
(370) : 위치세팅용 스테이지 (371) : 위치설정용 블록
(372) : 마이크로메타 헤드 (373) : 세팅볼트
(400) : 제2 센서모듈 (410) : 레이저모듈
(420) : 레이저모듈 이동부 (430) : 변위센서
(500) : 제어부 (600) : 장입모듈
(610) : 장입용 푸셔 (610a) : 평면부
(610b) : 테이퍼부 (620) : 장입용 실린더
(700) : 취출선별부 (701) : 에어노즐
(711),(712),(713) : 취출관

Claims (14)

  1. 밸브코터를 제공받아 검사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1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평면 또는 저면 영상을 촬영하여 밸브코터의 폭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촬영모듈(2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의 좌표를 획득하여 상면의 테이퍼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모듈(300);
    상기 이송모듈(100)에 의해 이송된 밸브코터의 내면 비드부에 대한 좌표를 획득하여 내면 비드부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모듈(400); 및
    상기 촬영모듈(200)에 의해 획득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밸브코터의 폭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센서모듈(300)에서 획득된 테이퍼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퍼 각도 및 반할고를 검출하며, 상기 제2 센서모듈(400)에서 획득된 내면에 대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비드부 내경을 검출하여 해당 밸브코터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100)의 인접한 위치에서 이송모듈(1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일정 자세로 공급되는 밸브코터를 이송모듈(100)에 형성된 장입홈(111)에 투입시키는 장입용 푸셔(610); 및
    상기 장입용 푸셔(610)를 이동시키는 장입용 실린더(620)로 구성된 장입모듈(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입용 푸셔(610)의 끝단부는 밸브코터의 소경부 끝단면에 밀착되는 평면부(610a)와, 상기 평면부(610a)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밸브코터의 측면형상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테이퍼부(610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100)은,
    원판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원주 상에 다수개의 장입홈(111)이 형성된 턴테이블(110); 및 상기 턴테이블(110)을 소정 각도 단위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 구동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장입홈(111)은, 상면과 저면 및 외측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저면은 투명부재(113)에 의해 폐쇄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110)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장입홈(111)에 투입된 채로 턴테이블(110)의 회전에 의해 검사위치로 이송되는 밸브코터가 원심력에 의하여 장입홈(1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200), 제1 센서모듈(300), 제2 센서모듈(400)에 의한 형상정보의 획득에 앞서 장입홈(111)내의 밸브코터 유무를 검사하는 제품유무확인센서(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110)의 상면 또는 저면에 형성된 원점세팅용 표식(151); 및
    상기 원점세팅용 표식(151)을 인식하여 턴테이블(110)이 정위치에 위치하였음을 인식하는 원점세팅용 센서(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200)은,
    밸브코터의 평면 또는 저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10);
    상기 밸브코터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210)와 마주하도록 설치된 조명(220); 및
    상기 카메라(210)를 이용한 촬영시 밸브코터가 일정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밸브코터를 밀어 이송모듈(100)에 형성된 장입홈(111)의 기준면(112)에 밀착시키는 제1 푸셔(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모듈(3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이격되어 밸브코터의 상면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점의 좌표를 획득하는 한 쌍의 센서(311,312);
    상기 두 센서(311,312)를 지지하며 두 센서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블록(320);
    상기 이동블록(320)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330);
    상기 지지블록(330)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록(320)과 연결되어 이동블록(3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송용 실린더(340);
    상기 각각의 센서(311,312)에 결합되어 센서와 함께 이동하며, 하단부에는 밸브코터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팁(355,356)이 형성된 한 쌍의 센싱블록(351,352); 및
    상기 센서에 의한 좌표 획득시 밸브코터가 일정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밸브코터를 밀어 이송모듈(100)에 형성된 장입홈(111)의 기준면(112)에 밀착시키는 제2 푸셔(3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팁(355,356)이 이송모듈(100)에 형성된 기준면(112)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L)를 조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지지블록(330)을 이동시키는 위치세팅용 스테이지(37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위치세팅용 스테이지(370)는,
    상기 지지블록(330)과 결합되며, 지지블록(330)과 함께 이동하는 위치설정용 블록(37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면서 상기 위치설정용 블록(371)을 이동시키며, 지지블록(330)의 이동량을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게이지가 장착된 마이크로메타 헤드(372); 및
    상기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조작에 의한 위치설정용 블록(371)의 위치설정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이크로메타 헤드(372)의 스핀들 또는 위치설정용 블록(371)에 마주하도록 이동하여 위치설정용 블록(371)의 세팅위치에 유지되는 세팅볼트(3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모듈(400)은,
    밸브코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면 비드부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내면 비드부의 각 부분에 대한 좌표를 획득함으로써 내면 비드부에 대한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레이저모듈(410);
    상기 레이저모듈(410)을 밸브코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이저모듈 이동부(420);
    상기 레이저모듈(410)과 연결되어 레이저모듈(4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변위센서(4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모듈(300)은 이송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센서모듈(400)은 제1 센서모듈(30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송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센서모듈(300)과 제2 센서모듈(400)이 함께 작동하여 밸브코터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밸브코터의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100)의 장입홈(111)에 투입된 밸브코터로 에어를 분사하여 장입홈(111)내의 밸브코터를 장입홈(111)으로부터 취출하는 에어노즐(701); 및
    상기 에어노즐(701)에 의해 취출되는 밸브코터를 투입받도록 이송모듈(10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되, 취출되는 밸브코터를 합격 또는 불합격 또는 재검으로 분류하기 위한 3개의 취출관(711,712,713)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3개의 취출관(711,712,713) 중 어느 하나의 취출관을 밸브코터가 취출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취출되는 밸브코터를 투입받도록 함으로써 해당 밸브코터를 합격 또는 불합격 또는 재검으로 분류하는 취출선별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코터 검사장치.
KR1020120096976A 2012-09-03 2012-09-03 밸브코터 검사장치 KR101337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976A KR101337890B1 (ko) 2012-09-03 2012-09-03 밸브코터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976A KR101337890B1 (ko) 2012-09-03 2012-09-03 밸브코터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890B1 true KR101337890B1 (ko) 2013-12-06

Family

ID=4998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976A KR101337890B1 (ko) 2012-09-03 2012-09-03 밸브코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437B1 (ko) * 2015-12-14 2016-11-07 (주)청화정밀 기계 부품 검사 장치
CN114951020A (zh) * 2022-05-17 2022-08-30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产品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4707A (ja) * 1988-02-23 1989-08-29 Mazda Motor Corp バルブシートの組付け状態検査装置
JPH08233538A (ja) * 1995-02-24 1996-09-13 Nittetsu Hokkaido Seigyo Syst Kk 寸法測定装置
JPH10180559A (ja) * 1996-12-20 1998-07-07 Fuji Heavy Ind Ltd バルブコッタの組付け検査装置
JP2000045731A (ja) 1998-07-27 2000-02-15 Fuji Heavy Ind Ltd バルブコッタ組付け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4707A (ja) * 1988-02-23 1989-08-29 Mazda Motor Corp バルブシートの組付け状態検査装置
JPH08233538A (ja) * 1995-02-24 1996-09-13 Nittetsu Hokkaido Seigyo Syst Kk 寸法測定装置
JPH10180559A (ja) * 1996-12-20 1998-07-07 Fuji Heavy Ind Ltd バルブコッタの組付け検査装置
JP2000045731A (ja) 1998-07-27 2000-02-15 Fuji Heavy Ind Ltd バルブコッタ組付け検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437B1 (ko) * 2015-12-14 2016-11-07 (주)청화정밀 기계 부품 검사 장치
CN114951020A (zh) * 2022-05-17 2022-08-30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产品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N114951020B (zh) * 2022-05-17 2024-01-16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产品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203B1 (ko) 전자 부품용 부품-핸들링 장치의 자가-조절 장치 및 방법
US10094845B2 (en) Sample processing apparatus and sample processing method
CN109212282B (zh) 一种全自动探针检测台及其探针定位模组
US201600847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tire
KR20050032530A (ko)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의 자동 검사장치
US200900669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defect in a finnish ring of a glass
KR200462977Y1 (ko) 체결부재용 검출장치
CN106471331A (zh) 用于检查铆钉的方法
CN111266305B (zh) 全自动轴类零件检测分选机及检测分选方法
KR101416748B1 (ko) 연속 핀 자동 검사 장치
CN109622399B (zh) 管件长度一体式检测装置
CN112461850A (zh) 工件表面瑕疵检测系统
KR101337890B1 (ko) 밸브코터 검사장치
CN107421488A (zh) 工件测量设备及测量方法
CN111721778B (zh) 芯片缺陷立式视觉检测设备
KR20040091386A (ko) 불량품 검출 및 취출 시스템
KR101682091B1 (ko) 캡 검사장치
CN207467662U (zh) 一种打火机自动调火用传送装置
KR101400672B1 (ko) 리클라이너용 기어림의 외관 자동검사장치 및 방법
KR102283431B1 (ko) 피스톤링의 방향판별 및 계수검사를 위한 비젼검사장치
CN115184375A (zh) 一种塑料件外观检测设备以及检测方法
CN211275560U (zh) 一种视觉检测装置
CN116802482A (zh) 用于检测玻璃容器的水平模具密封件的缺陷的方法
US116851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inting and inspecting tablet
TW202106601A (zh) 用以偵測捲盤中存在異常的裝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