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740B1 -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740B1
KR101337740B1 KR1020110077674A KR20110077674A KR101337740B1 KR 101337740 B1 KR101337740 B1 KR 101337740B1 KR 1020110077674 A KR1020110077674 A KR 1020110077674A KR 20110077674 A KR20110077674 A KR 20110077674A KR 101337740 B1 KR101337740 B1 KR 10133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anel
touch screen
touch
inspec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600A (ko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기
Priority to KR102011007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7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01R31/013Testing passive components
    • G01R31/016Testing of capac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선출원1 내지 2에 개시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입력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동작 유무를 검사 대상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손상 없이 검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영역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터치부(300); 상기 검사 영역에 검사 좌표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300)의 이동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400); 상기 검사 좌표에 터치 입력이 가해져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감지한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연산부(500); 및 상기 연산부(500)에 의해 계산된 터치 좌표와 상기 검사 좌표를 비교하는 판정부(600); 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부(300)는, 상기 검사 좌표에 터치 입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의해 드래그(Drag)로 상기 검사 영역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는 검사영역당 하나의 센서 불량 여부만을 판정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서 불량 여부에 대한 철저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X축, Y축 및 Z축 구동부를 두어 터치부를 다양한 패턴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를 더욱 철저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 영역에 대하여 하나의 터치 입력으로 검사를 수행하거나, 검사 영역을 구분하여, 구분된 검사 영역에 하나의 터치 입력으로 검사를 수행하여 양품 여부 판정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드래그(Drag) 방식으로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를 검사 영역으로 하고, 해당 검사 영역 전체에 대한 검사 수행이 가능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에 대한 철저한 검사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부에 복수 개의 전도봉을 결합함으로써, 적은 왕복 운동으로도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검사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복수 개의 전도봉을 하나의 묶음으로 하고 이를 하나 이상으로 분리함으로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한 검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APPARATUS FOR CHECKING A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영역 전체에 대하여 드래그 방식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입력에 의한 동작 유무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구현 원리와 동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식 즉,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흔하게 접하게 되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탑재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주로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에 따라 구현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대량 생산한 후 터치 스크린 패널이 터치 입력에 의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조립되어 구현되는 완제품에 이르기 전에 검사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하고자 제공된 발명으로써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테스트할 수 있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압력센서와 연결된 표시부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테스트 장치 및 방법"이 국내 특허출원 제10-2005-0134697호(이하 '선출원1'이라 한다)과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서 불량 검사를 자동화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이 국내 특허출원 제10-2006-0042621호(이하 '선출원2'라 한다)에 의해 먼저 출원이 되어 있다.
상기 선출원1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61), 압력센서(70)를 구성으로 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가압(S2)하고 압력을 측정(S3)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을 테스트하게 된고, 상기 선출원1은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테스트하는 데에 적합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선출원2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검사 영역을 구분하여 영역별로 한 번의 입력씩 순차적으로 또는 무작위로 선택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 기 출원된 선출원1 내지 2는 터치 입력을 복수로 구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터치 입력이 유지된 채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을 구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다양한 움직임의 터치 입력을 가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한 번에 하나의 터치 입력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선출원1의 경우에는 장비 조작자의 실수로 초과되는 압력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가해져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선출원1 내지 2에 개시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입력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동작 유무를 검사 대상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손상 없이 검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영역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터치부(300); 상기 검사 영역에 검사 좌표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300)의 이동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400); 상기 검사 좌표에 터치 입력이 가해져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감지한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연산부(500); 및 상기 연산부(500)에 의해 계산된 터치 좌표와 상기 검사 좌표를 비교하는 판정부(600); 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부(300)는, 상기 검사 좌표에 터치 입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의해 드래그(Drag)로 상기 검사 영역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터치부(300)가 Z축 이동대(342)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Z축 이동대(342)에 Z축 구동축(331)이 축설되어 상기 Z축 구동축(331)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Z축 구동축(33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Z축 구동부(330); 상기 Z축 구동부(330)를 일 측에 고정 결합한 X축 이동대(340)에 X축 구동축(311)이 축설되어 상기 X축 구동축(31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기 위해 상기 X축 구동축(3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X축 구동부; 및 상기 X축 구동부(310)를 일 측에 고정 결합한 Y축 이동대(341)에 Y축 구동축(321)이 축설되어 상기 Y축 구동축(321)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기 위해 상기 Y축 구동축(32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Y축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판정부(600)는, 상기 터치 좌표와 상기 검사 좌표를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서 불량 여부를 판정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터치 좌표와 상기 검사 좌표를 비교하는 방법은 축 평균법 또는 구간 평균법에 의해 평균 좌표 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 좌표 값을 이용하여 좌표 비교법, 상대 좌표법, 절대 좌표법, 기울기 분석법, 연속성 판정법 및 축 비교법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터치부(300)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경우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전도봉; 상기 전도봉 일각이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전도봉 고정대(353); 및 전도봉 고정대(353)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를 고정하는 전도봉 베이스(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터치부(300)는, 상기 전도봉 베이스(350)에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를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와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전도봉 및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를 따라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가 자중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중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터치부(300)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경우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전도봉; 상기 전도봉 일각이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가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73, 383); 상기 제1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73)에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이 축설되어 상기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서브 X축 구동부(370); 및 상기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83)에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이 축설되어 상기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서브 X축 구동부(3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터치부(300)는, 제1 및 제2 서브 X축 구동부(370, 380)가 각각 양측에 고정 결합된 회전대(362)가 회전축(36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3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가 자중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중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작업자로부터 상기 터치부(300)의 이동을 수동 조작하거나 자동 검사의 시작 및 중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00); 상기 판정부(600)에 의한 판정 결과 또는 검사 과정을 나타내는 표시부(700);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부(8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는 검사영역당 하나의 센서 불량 여부만을 판정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서 불량 여부에 대한 철저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X축, Y축 및 Z축 구동부를 두어 터치부를 다양한 패턴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를 더욱 철저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 영역에 대하여 하나의 터치 입력으로 검사를 수행하거나, 검사 영역을 구분하여, 구분된 검사 영역에 하나의 터치 입력으로 검사를 수행하여 양품 여부 판정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드래그(Drag) 방식으로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를 검사 영역으로 하고, 해당 검사 영역 전체에 대한 검사 수행이 가능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에 대한 철저한 검사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부에 복수 개의 전도봉을 결합함으로써, 적은 왕복 운동으로도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검사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복수 개의 전도봉을 하나의 묶음으로 하고 이를 하나 이상으로 분리함으로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한 검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소정의 압력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가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손상에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입력시 자중에 의한 슬라이딩으로 전도봉에 의해 터치 입력을 가하게 되어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기존에는 압력에 의해 터치 입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입력시 자중에 의한 슬라이딩으로 터치 입력이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서브 X축 구동부를 구비하여 실제 터치 스크린 패널이 사용될 때, 두 터치 입력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입력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구동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영역 임의의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에 대하여 두 터치 입력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입력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과 연결된 FPCB가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연산부에 대한 접점을 강화하여 접촉 불량에 의한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Z축 이동대에 전도봉 베이스로 이루어진 터치부와 회전 구동부로 이루어진 터치부 간에 교체가 상호 가능함으로써, 추가적인 장비 없이도 다양한 검사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서보 모터와 정밀한 LM 가이드를 둠으로써, 검사 시간을 조절하거나 정밀한 검사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인가된 터치 입력에 대한 센서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다양한 판정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게 되어 양품 여부 판정시 양품의 정도를 구분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철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일 예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과 테스트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1c는 종래의 일 예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일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봉 베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봉 고정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전도봉 고정대를 나타낸 일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봉 베이스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대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일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봉 베이스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에 의한 시료 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고정 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고정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고도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도 3 내지 도 6에 각각 사시도, 정면도, 일 측면도 및 평면도로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1000)은 터치 스크린 패널(100), 입력부(200), 터치부(300), 동작 제어부(400), 연산부(500), 판정부(600) 및 표시부(70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제어부(400)는 터치부(300)를 상기 검사 영역에 검사 좌표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300)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X축 구동부(310), Y축 구동부(320) 및 Z축 구동부(330)를 포함하며, Z축 구동부(330)는, 상기 터치부(300)가 Z축 이동대(342)에 고정 결합하되, 상기 Z축 이동대(342)에 Z축 구동축(331)이 축설되어 상기 Z축 구동축(331)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Z축 구동축(331)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Z축 이동대(342)에 Z축 구동축(331)이 축설되는 구성은 일 예로써, 상기 Z축 이동대(342)에 회전 자유로운 베어링이 결합하되, 내주면은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베어링 일단은 상기 Z축 이동대(342)에 고정결합함으로써,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Z축 구동축(331)이 Z축 구동부(330)의 동작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이에 엇갈린 나사산에 의해 상기 Z축 이동대(342)는 이동하게 된다.
또한, X축 구동부(310)는, 상기 Z축 구동부(330)를 일 측에 결합한 X축 이동대(340)에 X축 구동축(311)이 축설되어 상기 X축 구동축(31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기 위해 상기 X축 구동축(311)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또한, Y축 구동부(320)는, 상기 X축 구동부(310)를 일 측에 결합한 Y축 이동대(341)에 Y축 구동축(321)이 축설되어 상기 Y축 구동축(321)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기 위해 상기 Y축 구동축(321)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X축, Y축 및 Z축 이동대(340, 341, 342)는 각각의 구동축(311, 321, 331)을 따라 이동할때, 레일(Rail)을 더 둘 수 있고, 상기 레일(Rail)은 터치부(300)가 정밀하게 이동가능하도록 LM 가이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X축, Y축 및 Z축 구동부(310, 320, 330)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서보(Servo) 모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터치부(100)는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검사 영역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부(100)는 전도봉, 전도봉 고정대(353) 및 전도봉 베이스(350)를 포함한다.
전도봉은 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인 경우에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전도성을 띠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경우 터치 입력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재료는 전도성 고무 또는 실리콘 내지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복적인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에 의하더라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패널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것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도봉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전도봉이 닿는 면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도봉은 상기 전도봉이 결합되는 전도봉 고정대(353) 또는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와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봉 고정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일 측면도이다.
전도봉 고정대(353)는 상기 전도봉의 일각이 돌출되도록 고정시키는 수단이며,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봉은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의 하단에 삽설되도록 전도봉 삽입부(35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봉 베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봉 베이스(350) 일면은 Z축 이동대(342)에 고정 결합되고, 타면 일단에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를 형성하여, 전도봉 베이스(350)에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가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가 슬라이딩 되도도록 끼움 결합되기 위해,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의 양측에 'ㄷ'자 형의 요홈을 구비하여, 'I'자 형의 단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가 양측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끼움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는 소정의 무게(바람직하게는 100g)를 형성하여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를 따라 자중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끼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에서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소정의 압력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가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은 장비에서 발생하는 오차, 압력 설정의 오류 내지 반복적인 검사 등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져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 패널에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터치 입력은 자중에 의한 슬라이딩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과정에서 검사 대상물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고, 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산부(500)는 상기 터치부(300) 및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의해 제공된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한 터치 좌표를 계산한다. 또한 연산부(500)는 상기 터치 좌표를 지속적으로 계산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에 전도봉이 닿은 상태에서 드래그한 경로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기타 검출된 터치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 후 터치 좌표가 계산되는 시간 및 터치 입력 후 터치 좌표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 감도 및 터치 좌표의 검출력을 계산함으로써 스크린 패널의 터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연산부(500)에 반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굽힘이 가능한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510)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산부(500)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510)과의 접점을 강화하기 위해 접점 고정부를 더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접점 고정부는 단순하게는 스티커 혹은 테이프나 고무밴드 등의 접착성 또는 탄력성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모터 등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누름 부재(520)가 상기 FPCB와 상기 연산부와의 접점 부위를 누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공압실린더에 공기를 인입함으로써 상기 공압실린더 일단과 연결된 누름 부재(520)를 상기 FPCB와 상기 연산부와의 접점 부위에 하강시켜 누름으로써 접점을 강화시킬 수 있다.
판정부(600)는 상기 연산부(500)에 의해 계산된 터치 좌표와 상기 검사 좌표를 비교 분석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서 불량 여부를 판정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봉 베이스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에 의한 시료 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도 16a는 양품인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한 검사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6b 및 도 16c는 불량품인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한 검사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판정부(600)에서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기준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축 평균법, 구간 평균법, 좌표 비교법, 상대 좌표법, 절대 좌표법, 기울기 분석법, 연속성 판정법, 축 비교법을 제안한다. 각각의 판정 기준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축 평균법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검출된 다수의 터치 좌표에 의하여 형성된 선형의 축에 대한 평균 좌표 값을 산출하는 방법이고, 구간 평균법은 상기 축 평균법과 달리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검출된 다수의 터치 좌표에 의하여 형성된 선형의 축에 대한 전 구간이 아닌 일부 구간에 대하여 평균 좌표 값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좌표 비교법은 상기 축 평균법 또는 상기 구간 평균법에 의해 구한 평균 좌표 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검출된 좌표와의 차이 값을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이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상대 좌표법은 하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형성된 터치 좌표에 의한 하나 이상의 선형 축에 대하여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수 회 검사하여 형성된 터치 좌표에 의한 하나 이상의 선형 축에 대하여, 각각의 축 평균법에 의한 좌표 또는 구간 평균법에 의한 좌표를 서로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서로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이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절대 좌표법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형성된 터치 좌표에 의한 하나의 선형 축에 대하여, 축 평균법 또는 구간 평균법에 의한 좌표를 작업자에 의하여 기 설정된 검사 패턴에 따라 대응되는 하나의 선형 축에 대한 좌표와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이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기울기 분석법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검출된 둘 이상의 터치 좌표를 연결하였을 경우 형성된 선형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상기 상대 좌표법과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선형의 기울기 간을 서로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서로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지, 서로 간의 기울기가 상이한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이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연속성 판정법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검출된 터치 좌표들의 간격, 터치 시간 또는 터치 검출 속도를 계산하여 터치의 연속성을 판정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이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축 비교법은 X, Y, Z축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검사좌표와 터치부를 통한 터치 입력에 의한 터치 좌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이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판정기준에 의해 판정된 일 예로써,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해 반환된 터치 좌표가 직선을 따라 드래그(Drag) 방식으로 일정하게 입력된 검사 좌표를 기준으로 양품 인정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도 16b의 중간 부분)에는 상술한 다양한 검사 방식에 의해 불량품으로 판정을 하게 되고, 또한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해 반환된 터치 좌표가 없는 경우(도 16c의 중간 부분)에도 역시 불량품으로 판정하게 된다.
입력부(200)는 작업자로부터 상기 터치부(300)의 이동을 수동 조작하거나 자동 검사의 시작 및 중지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200)는 버튼,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부(200)로부터 상기 동작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터치부(300)의 위치 이동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고, 기타 자동 검사의 시작 또는 중지 명령을 입력받으며, 기타 검사 내용에 대한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표시부(700)는 상기 판정부(600)에 의한 검사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입력부(200)를 통한 입력 내용을 나타낸다. 상기 표시부(700)는 검사 과정을 바로 나타내어 줌으로써 실시간으로 작업자가 검사 과정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고정 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고정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안착부(800)는 상면에 검사 대상인 터치 스크린 패널이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진공 발생 장치(미도시)를 구성하고, 상기 안착부(800) 상면에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진공에 의해 흡착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진공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진공을 제공하기 위한 흡착공(810)을 구성할 수 있다. 기타 터치 스크린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안착부 상면에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 고정 홈(820)을 더 구비하거나, 상기 안착부(800)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고정하도록 하는 다수의 터치 스크린 패널 고정 패드(8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800)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고정 홈의 내부 상면인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안착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84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감지 수단(840)으로써 조도 센서 혹은 근접 센서 내지는 무게 센서 또는 압력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상기 감지 수단으로써 조도 센서 혹은 근접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b 및 도 18b는 상기 감지 수단으로써 무게 센서 또는 압력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무게 센서 또는 압력센서는 안착부 전반에 걸쳐 설치되거나 안착부 일부에 설치되어 무게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도봉 베이스(350)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구현한 사진을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대(362)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일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대를 구현한 실제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에서는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 터치 입력을 두 개 동시에 입력하여, 양 터치 입력 사이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터치 입력을 가한다. 이와 같은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서 불량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300)는 전도봉 베이스(350)를 포함하는 것이 아닌 전동봉,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 제1 및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73, 383), 제1 및 제2 서브 X축 구동부(370, 3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는 상기 전도봉의 일각이 돌출되도록 고정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 하단에 상기 전도봉이 삽설되어 고정되도록 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73, 383)는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90)에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가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미도시)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미도시)는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ㄷ'자 형의 요홈을 구비하여, 'I'자 형의 단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가 슬라이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는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무게(바람직하게는 100g)를 형성하여, 자중으로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미도시)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 서브 X축 구동부(370)는 상기 제1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73)에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이 축설되어 상기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2 서브 X축 구동부(380)는 상기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83)에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이 축설되어 상기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두 개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가하는 것을 한 방향이 아닌 여러 방향으로 가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서 불량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300)는 제1 서브 X축 구동부(370) 및 제2 서브 X축 구동부(380)가 양측에 각각 고정 결합된 회전대(362)가 Z축과 나란한 회전축(36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360)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Z축 이동대(34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봉 베이스(350)를 포함하는 터치부(300)가 상기 전도봉 베이스(350)에 형성된 고정구(351)에 의해 고정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고, 또한, 회전 구동부(360)를 포함하는 터치부(300)가 Z축 이동대(342)에 고정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 입력을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다른 장치를 구비하거나 둘 이상의 검사 장치 없이도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부(300)를 Z축 이동대(342)에 장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다양한 패턴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터치부(300)는 상기 검사 좌표에 터치 입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의해 드래그(Drag)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영역을 이동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이 미는 입력 즉, 드래그 입력인 경우에 대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동작 여부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부(300)가 드래그(Drag)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부(300)를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만큼의 높이 즉, 전도봉 고정대(353)가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352)를 따라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높이까지 Z축 구동부(330)를 구동하여 상기 터치부(300)가 터치 입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X축 구동부(310) 및 Y축 구동부(320)를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X축 구동부(310) 및 Y축 구동부(320)를 구동 제어함에 그 속도는 연산부(500)가 검사 좌표에 인가된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한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작업자가 원하는 검사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즉, 터치 입력에 의해 발생한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짧다면 X축 구동부(310) 또는 Y축 구동부(320)에 의해 터치부(300)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더라도 터치 스크린 패널 양불 판정에 기준이 되는 좌표 데이터의 검출 수량이 충분하여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충분히 짧지 않은 경우에 상기 터치부(300)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한다면 양불 판정에 기준이 되는 좌표 데이터의 검출 수량이 부족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에 대한 정확한 결과는 기대할 수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드래그(Drag) 방식으로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를 검사 영역으로, 해당 검사 영역 전체에 대한 철저한 검사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터치부(300)가 전도봉 베이스(350)를 포함하는 경우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봉,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 및 전도봉 고정대(353)를 하나의 쌍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고, 상기의 쌍은 여러 쌍을 하나의 묶음으로 하나 이상의 묶음으로 상기 전도봉 베이스(350)에 형성될 수 있음으로 해서, 다수의 입력을 터치 스크린 패널에 가하게 되고,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터치부(300)는 상기 전도봉 베이스(350)에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를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와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전도봉 및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를 포함한다. 일 예로써, 도 7에 도시한 전도봉 베이스를 참고하여 살펴보건데, 전도봉,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 및 전도봉 고정대(353)는 하나의 쌍으로 5개의 쌍을 하나의 묶음으로 두 개의 묶음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로써, 하나 이상의 묶음을 형성함으로써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동시에 센서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되어, 복수 개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동시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응되는 하나의 묶음에는 전도봉,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 및 전도봉 고정대(353)로 이루어진 쌍이 여러 쌍 형성됨으로써, 적은 수의 터치부(300)의 왕복 운동으로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 영역에 대해 드래그(Drag) 방식의 검사가 이루어져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터치부(300)가 제1 및 제2 서브 X축 구동부(370, 380)는 각각 제1 및 제2 서브 X축 구동축(371, 381)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각각의 구동축이 축설된 제1 및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73, 383)에 끼움 결합된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를 통해 터치 입력을 두 개 동시에 입력하여, 양 터치 입력 사이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 및 제2 서브 X축 구동부(370, 380)를 고정 결합한 회전대 전체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360)를 더 포함함으로써 동시에 입력되는 두 개의 터치 입력을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한 방향이 아닌 전 방향으로 또는 임의의 터치 스크린 패널 전 영역에서 양 터치 입력 사이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터치 입력을 제공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 영역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터치 입력에 대한 센서 동작여부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치부(300)는 동작 제어부(400)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에 다양한 패턴의 검사 좌표를 인가할 수 있으며, 검사 패턴은 터치 스크린 패널 상면의 검사 영역에 사각형의 패턴, X형의 패턴, 지그재그형의 패턴 등이 가능하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드래그(Drag) 이동하며 검사를 함이 검사 영역 전체에 대한 빠짐없는 센서 불량 여부 판단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터치 스크린 패널 가장자리에 대한 검사를 철저하게 하기 위해 사각형 방식의 검사도 수행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터치 스크린 패널 200 : 입력부
300 : 터치부 310 : X축 구동부
311 : X축 구동축 312 : X축 LM 가이드
320 : Y축 구동부 321 : Y축 구동축
322 : Y축 LM 가이드 330 : Z축 구동부
331 : Z축 구동축 332 : Z축 LM 가이드
340 : X축 이동대 341 : Y축 이동대
342 : Z축 이동대 350 : 전도봉 베이스
351 : 고정구 352 :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
353 : 전도봉 고정대 354 : 전도봉 삽입부
360 : 회전 구동부 361 : 회전축
362 : 회전대 370 : 제1 서브 X축 구동부
371 : 제1 서브 X축 구동축 372 : 제1 서브 X축 LM 가이드
373 : 제1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 380 : 제2 서브 X축 구동부
381 : 제2 서브 X축 구동축 382 : 제2 서브 X축 LM 가이드
383 :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 390 :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400 : 동작 제어부 500 : 연산부
510 : FPCB 520 : 누름 부재
530 : 실린더 540 : 가이드 레일
600 : 판정부 700 : 표시부
800 : 안착부 810 : 흡착공
820 :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 홈 830 : 터치 스크린 패널 고정 패드
1000 :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Claims (10)

  1.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영역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터치부(300); 상기 검사 영역에 검사 좌표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300)의 이동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400); 상기 검사 좌표에 터치 입력이 가해져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감지한 터치 좌표를 계산하는 연산부(500); 및 상기 연산부(500)에 의해 계산된 터치 좌표와 상기 검사 좌표를 비교하는 판정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부(300)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경우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전도봉; 상기 전도봉 일각이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가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73, 383); 상기 제1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73)에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이 축설되어 상기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서브 X축 구동축(37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서브 X축 구동부(370); 및 상기 제2 집게용 전도봉 베이스(383)에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이 축설되어 상기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서브 X축 구동축(38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서브 X축 구동부(380);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좌표에 터치 입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400)에 의해 드래그(Drag)로 상기 검사 영역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400)는,
    상기 터치부(300)가 Z축 이동대(342)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Z축 이동대(342)에 Z축 구동축(331)이 축설되어 상기 Z축 구동축(331)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Z축 구동축(33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Z축 구동부(330);
    상기 Z축 구동부(330)를 일 측에 고정 결합한 X축 이동대(340)에 X축 구동축(311)이 축설되어 상기 X축 구동축(311)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기 위해 상기 X축 구동축(3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X축 구동부; 및
    상기 X축 구동부(310)를 일 측에 고정 결합한 Y축 이동대(341)에 Y축 구동축(321)이 축설되어 상기 Y축 구동축(321)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기 위해 상기 Y축 구동축(32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Y축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600)는,
    상기 터치 좌표와 상기 검사 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센서 불량 여부를 판정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사양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터치 좌표와 상기 검사 좌표를 비교하는 방법은 축 평균법 또는 구간 평균법에 의한 평균 좌표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 좌표값을 이용하여 좌표 비교법, 상대 좌표법, 절대 좌표법, 기울기 분석법, 연속성 판정법 또는 축 비교법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352)를 따라 상기 전도봉 고정대(353)가 자중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중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300)는,
    제1 및 제2 서브 X축 구동부(370, 380)가 각각 양측에 고정 결합된 회전대(362)가 회전축(36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3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집게용 전도봉 고정대(390)가 자중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중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상기 터치부(300)의 이동을 수동 조작하거나 자동 검사의 시작 및 중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00);
    상기 판정부(600)에 의한 판정 결과 또는 검사 과정을 나타내는 표시부(700);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부(8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KR1020110077674A 2011-08-04 2011-08-04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KR10133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674A KR101337740B1 (ko) 2011-08-04 2011-08-04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674A KR101337740B1 (ko) 2011-08-04 2011-08-04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600A KR20130015600A (ko) 2013-02-14
KR101337740B1 true KR101337740B1 (ko) 2013-12-06

Family

ID=4789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674A KR101337740B1 (ko) 2011-08-04 2011-08-04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055B1 (ko) * 2014-07-31 2015-12-07 최재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KR102220547B1 (ko) * 2020-12-27 2021-02-24 심태선 터치스크린 패널 히팅 테스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252B1 (ko) * 2013-09-06 2015-02-26 (주)티메이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능 검사 장치
KR101426770B1 (ko) * 2014-05-09 2014-08-05 주식회사 에스피텍 터치펜 그립용 지그
KR102343598B1 (ko) 2016-02-22 2021-12-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864779B1 (ko) * 2017-02-28 2018-06-05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휴대통신 단말의 터치스크린 패널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CN113551889B (zh) * 2021-05-25 2023-09-26 安徽华森九源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使用寿命检测装置
KR102486189B1 (ko) * 2022-09-07 2023-01-10 주식회사 에스피에스 터치센서 감지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533A (ko) * 2006-05-11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JP2010250557A (ja) * 2009-04-15 2010-11-04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タッチパネル検査機
KR101019096B1 (ko) * 2010-07-29 2011-03-07 주식회사 엘디케이 터치스크린패널 라이팅 테스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533A (ko) * 2006-05-11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JP2010250557A (ja) * 2009-04-15 2010-11-04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タッチパネル検査機
KR101019096B1 (ko) * 2010-07-29 2011-03-07 주식회사 엘디케이 터치스크린패널 라이팅 테스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055B1 (ko) * 2014-07-31 2015-12-07 최재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KR102220547B1 (ko) * 2020-12-27 2021-02-24 심태선 터치스크린 패널 히팅 테스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600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74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검사 장치
CN105093013B (zh) 触摸屏检测装置
JP6703953B2 (ja) 容量性タッチスクリーンフィルムを試験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0508899B2 (en) Method for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a sensor chain of a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CMM)
KR102229364B1 (ko) 표시장치의 테스트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CN105675043B (zh) 一种触摸屏性能检测设备
JP6066999B2 (ja) 実装ヘッド洗浄装置
KR10106501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4887205B2 (ja) 電子部品装着方法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US20120146956A1 (en) Touch Screen Testing Platform
KR20100077298A (ko) 터치패널 자동검사장치
CN104249547B (zh) 位置检测装置、基板制造装置、位置检测方法及基板的制造方法
US20170339335A1 (en) Finger camera offset measurement
CN219533326U (zh) 电容式检测装置
CN207636673U (zh) 一种触摸屏检测装置
KR20070109533A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107796957A (zh) 探针着陆检测
KR101111237B1 (ko) 터치패널 검사장치
KR101348278B1 (ko) 듀얼 터치방식의 터치 패널 검사장치
CN205749338U (zh) 一种触摸屏性能检测设备
KR101160911B1 (ko) 패드 테스트 장치
JP2018004341A (ja) 打点試験装置及び打点試験方法
KR101249750B1 (ko) 터치패널 검사 장비
CN207688824U (zh) 一种产品尺寸检测机
JP7260414B2 (ja) 表面性状測定装置および表面性状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