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362B1 - 다목적 살수차 - Google Patents

다목적 살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362B1
KR101337362B1 KR1020130055810A KR20130055810A KR101337362B1 KR 101337362 B1 KR101337362 B1 KR 101337362B1 KR 1020130055810 A KR1020130055810 A KR 1020130055810A KR 20130055810 A KR20130055810 A KR 20130055810A KR 101337362 B1 KR101337362 B1 KR 10133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ing
sprinkler
spray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09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탱크부; 상기 차량의 하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하방 살수부; 상기 차량의 일측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제1 측면 살수부;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차량의 타측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제2 측면 살수부; 상기 탱크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와 제2 측면 살수부로 공급하는 분배관; 및 상기 하방 살수부, 제1 측면 살수부 및 제2 측면 살수부를 지지하며 높낮이를 조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은 선택적인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살수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살수차{MULTIFUNCTIONAL WATER SPRINKLING OF VEHICLES}
본 발명은 다목적 살수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다목적 살수차에 관한 것이다.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에 대해 주기적인 노면 관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노면 관리를 위해서는 노면 청소차, 살수차 등의 다양한 차량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살수차는 노면에 물을 뿌려 비산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의 열섬효과를 낮추게 된다.
살수차는 차량의 폭에 대응되는 살수장치가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노면으로 살수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살수차에는 탱크부가 구비되고, 탱크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살수장치를 통해 노면으로 살수된다.
그러나, 살수차는 살수장치가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만 구비되어 차량이 이동되는 노면에만 살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살수차에는 차량의 측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별도의 살수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살수 범위가 작다.
일예로, 살수차를 이용하여 겨울철에 제설용액제를 살포하는 경우, 제설용액제의 살포 범위가 작아 제설작업이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즉, 살수차를 이용하여 3개의 차선이 있는 도로에 대해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살수차는 1차선과 2차선 및 3차선을 각각 이동하며 제설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살수장치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살수장치에 구비되는 살수노즐이 고장나거나 파손될 경우, 일체형 살수장치 전체를 교체해야되는 문제가 있다. 즉, 살수노즐의 고장 또는 파손시 살수노즐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살수차의 측면으로 살수 작업이 가능하고, 살수노즐의 개별 교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사계절에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살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탱크부; 상기 차량의 하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하방 살수부; 상기 차량의 일측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제1 측면 살수부;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차량의 타측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제2 측면 살수부; 상기 탱크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와 제2 측면 살수부로 공급하는 분배관; 및 상기 하방 살수부, 제1 측면 살수부 및 제2 측면 살수부를 지지하며 높낮이를 조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은 선택적인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살수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살수부는, 상기 분배관과 결합되는 안내유닛; 상기 안내유닛과 탈착되며 상기 안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1 노즐이 구비된 제1 살수유닛; 상기 제1 살수유닛과 탈착되며 상기 안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2 노즐이 구비된 제2 살수유닛; 및 상기 제2 살수유닛과 탈착되며 상기 안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3 노즐이 구비된 제3 살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 및 제3 살수유닛의 결합시 상기 제1 노즐, 제2 노즐 및 제3 노즐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에는 2개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살수유닛에는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유닛,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 및 제3 살수유닛은 결합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살수부는, 상기 안내유닛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유닛을 고정하는 제1 고정대;와 상기 제3 살수유닛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살수유닛을 고정하는 제2 고정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유닛과 제3 살수유닛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는 상기 제1 고정대와 제2 고정대에 형성된 고정 삽입홀에 각각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는 상기 안내유닛과 제1 고정대를 결합하고, 상기 제3 살수유닛과 제2 고정대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 및 제3 살수유닛이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실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살수부가 안착 결합되는 제1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측면 살수부를 보호하는 제1 측면커버; 상기 제2 측면 살수부가 안착 결합되는 제2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측면 살수부를 보호하는 제2 측면커버; 상기 제1 측면커버와 제2 측면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하방 살수부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하방 살수부를 보호하는 제1 중앙커버; 및 상기 제1 중앙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관을 보호하는 제2 중앙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안착바와 높이 조절바가 연결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중앙커버와 하방 살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높이 조절바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높이 조절바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높이 조절바와 조정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바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에는 상기 조절홀에 대응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홀과 조절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의 높낮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바에는 상기 하방 살수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부로부터 상기 분배관으로 공급되는 액체를 제어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분배관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와 제2 측면 살수부로 공급되는 액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보조 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살수차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살수차의 측면에는 제1 측면 살수부와 제2 측면 살수부가 구비되어 살수차의 측면으로 물 분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의 양측면으로 물 분사가 가능하기에 넓은 범위에 대해 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살수차가 겨울철에 제설차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넓은 범위에 대해 제설용액제의 살포가 가능하여 제설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측면 살수부에 구비된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 및 제3 살수유닛은 선택적인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 살수유닛 내지 제3 살수유닛의 고장 또는 파손시 해당 부품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부품의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교체 작업이 수월하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 및 제3 살수유닛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형성하여 다양한 살수 범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하방 살수부, 제1 측면 살수부 및 제2 측면 살수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살수부의 살수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노즐의 경사각을 다양하게 조절하고, 살수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살수 범위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하방 살수부, 제1 측면 살수부 및 제2 측면 살수부는 커버로 감싸져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일예로, 커버는 차량 운전 중 튀어오르는 돌들로부터 하방 살수부, 제1 측면 살수부 및 제2 측면 살수부를 보호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살수차에는 보조 밸브가 구비되어 제1 측면 살수부와 제2 측면 살수부로 이동되는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차량의 일측 방향 또는 양측 방향으로 선택적인 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살수차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살수차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덮여진 살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중앙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살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살수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살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로를 나타낸 제1 측면 살수부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살수차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살수차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덮여진 살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중앙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살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목적 살수차(1000)는 차량(100), 탱크부(200), 하방 살수부(300), 제1 측면 살수부(400), 제2 측면 살수부(500), 분배관(600) 및 지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의 전방에는 전방 살수부(110) 또는 제설기(미도시) 등이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즉, 여름철에는 고압 살수가 가능한 전방 살수부(110)가 설치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제설 작업이 가능한 제설기(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는 차량(100)의 전방에 전방 살수부(110)가 설치된 형태이다.
차량(100)에 설치된 탱크부(200)의 내부에는 액체가 저장되며, 탱크부(200)는 차량(100)이 운행되는 동안 차량(100)에 설치된 각각의 살수부로 액체를 공급된다. 이렇게 탱크부로부터 공급된 액체는 각각의 살수부를 통해 노면에 살수 작업이 이루어져 비산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의 열섬효과를 낮추게 된다. 이때, 탱크부(200)는 용도에 따라 물, 소독 약품, 제설용액제 등의 다양한 액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일예로, 다목적 살수차(1000)는 겨울철에 탱크부(200)에 제설용액제를 수용하여 살수부를 통해 노면으로 제설용액제를 살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목적 살수차(1000)에는 보조엔진룸(120)이 설치되며, 보조엔진룸(120)의 내부에는 보조엔진(미도시)이 구비된다. 보조엔진은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동력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동력을 제공하게 되며, 각종 살수부로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를 공급하는 펌프부(미도시)에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하방 살수부(300)는 차량(100)이 이동되는 경로에 대해 차량(100)의 하방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차량(1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방 살수부(300)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의 하방 노즐(310)이 구비되어 차량(100)의 하방으로 균일하게 액체를 분사하게 된다.
하방 살수부(300)는 공급관(800)과 결합되어 탱크부(200)로 공급되는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를 공급받게 되며, 공급관(800)에는 공급 밸브(810)가 구비되어 공급 밸브(810)의 개폐 작업을 통해 하방 살수부(300)로 공급되는 액체는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공급관(800)은 공급호스(미도시)와 결합되어 탱크부(200)에 수용된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살수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살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로를 나타낸 제1 측면 살수부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제1 측면 살수부(400)는 차량(10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차량(100)의 일측면으로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측면 살수부(400)는 차량(100)이 이동되는 경로의 일측 방향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측면 살수부(400)는 안내유닛(410), 제1 살수유닛(420), 제2 살수유닛(430), 제3 살수유닛(440), 제1 고정대(450) 및 제2 고정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유닛(410)은 분배관(600)과 결합되어 액체를 공급받게 된다. 이때, 분배관(600)은 연결호스(미도시)와 결합되어 탱크부(200)에 수용된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안내유닛(410)은 원형을 이루며, 안내유닛(410)의 일측에는 안내 고정돌기(412)가 형성된다. 이때, 안내 고정돌기(412)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나, 제1 고정대(450)와의 결합이 수월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1 고정대(450)에는 안내 고정돌기(41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 고정 삽입홀(451)이 형성되어 안내유닛(410)에 형성된 안내 고정돌기(412)는 제1 고정 삽입홀(451)에 삽입 지지된다.
여기서 안내유닛(410)에는 안내 결합홀(413)이 형성되어 제1 살수유닛(420)과 안내유닛(410)은 결합부재(47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안내 결합홀(413)은 안내유닛(4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2개 이상 형성된다. 일실시예에서는 안내 결합홀(413)이 4개 형성된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중심축은 안내유닛(410)의 중심 지점을 연결한 가상의 축을 말한다.
그리고 안내유닛(410)에는 안내 고정홈(414)이 형성되고, 제1 고정대(450)에는 안내 고정홈(414)과 대응되는 제1 관통홀(452)이 형성되어 고정부재(472)는 제1 관통홀(452)에 삽입된 후 안내 고정홈(414)에 삽입 결합되어 안내유닛(410)과 제1 고정대(450)를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유닛(410)은 분배관(600)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제1 살수유닛(420) 내지 제3 살수유닛(440)으로 안내하게 된다.
제1 살수유닛(420)은 안내유닛(410)과 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살수유닛(420)과 안내유닛(410)의 결합시, 제1 살수유닛(420)에 형성된 제1 공급로(421)는 안내유닛(410)에 형성된 안내 공급로(41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안내 공급로(411)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는 제1 살수유닛(4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살수유닛(420)에는 제1 노즐(422)이 구비되며, 제1 노즐(422)에 형성된 제1홀(423)은 제1 공급로(42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제1 공급로(421)로 공급되는 액체는 제1 노즐(42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1 살수유닛(420)에는 제1 결합홀(424)이 형성되되, 제1 결합홀(424)은 제1 공급로(4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의 반경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살수유닛(420)에 형성된 제1 결합홀(424)은 4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1 결합홀(424)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안내유닛(410)과 결합되는 제1 살수유닛(420)의 제1 노즐(422)의 경사각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살수유닛(430)은 제1 살수유닛(420)과 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살수유닛(430)과 제1 살수유닛(420)의 결합시, 제2 살수유닛(430)에 형성된 제2 공급로(431)는 제1 살수유닛(420)에 형성된 제1 공급로(42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안내 공급로(411)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는 제2 살수유닛(4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살수유닛(430)에는 제2 노즐(432)이 구비되며, 제2 노즐(432)에 형성된 제2홀(433)은 제2 공급로(43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제2 공급로(431)로 공급되는 액체는 제2 노즐(43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살수유닛(430)에는 제1 살수유닛(420)과 동일하게 제2 결합홀(434)이 형성되어 제2 살수유닛(430)은 제1 살수유닛(42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살수유닛(420)과 제2 살수유닛(430)의 결합시 제2 노즐(432)은 제1 노즐(422)과 다른 경사각이 형성되도록 제2 살수유닛(430)에 결합된다.
제3 살수유닛(440)은 제2 살수유닛(430)과 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3 살수유닛(440)과 제2 살수유닛(430)의 결합시, 제3 살수유닛(440)에 형성된 제3 공급로(441)는 제2 살수유닛(430)에 형성된 제2 공급로(43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안내 공급로(411)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는 제3 살수유닛(4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살수유닛(440)에는 제3 노즐(442)이 구비되며, 제3 노즐(442)에 형성된 제3홀(443)은 제3 공급로(44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제3 공급로(441)로 공급되는 액체는 제3 노즐(44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살수유닛(440)에는 결합홈(444)이 형성되어 제3 살수유닛(440)은 제2 살수유닛(430)과 결합된다. 즉, 안내유닛(410), 제1 살수유닛(420), 제2 살수유닛(430)을 관통한 결합부재(471)의 단부는 결합홈(444)에 삽입 결합되어 안내유닛(410), 제1 살수유닛(420), 제2 살수유닛(430) 및 제3 살수유닛(440)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재(471)에 의해 제2 살수유닛(430)과 제3 살수유닛(440)의 결합시 제3 노즐(442)은 제1 노즐(422) 및 제2 노즐(432)과 다른 경사각이 형성되도록 제3 살수유닛(440)에 결합된다. 즉, 제1 살수유닛(420)과 제2 살수유닛(430) 및 제3 살수유닛(440)의 결합시 제1 노즐(422) 내지 제3 노즐(442)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작업자는 다목적 살수차(1000)의 제1 노즐(422) 내지 제3 노즐(442)의 경사각 조절을 통해 다양한 살수 범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서로 다른 노즐의 위치를 갖는 제1 살수유닛(420) 내지 제3 살수유닛(440)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살수유닛(420) 대신에 제2 살수유닛(430)을 사용하여 노즐의 경사각을 조절한 후 결합할 수도 있는 듯 작업자는 제1 살수유닛(420)과 제2 살수유닛(430) 및 제3 살수유닛(440)의 선택적인 탈착을 통해 제1 노즐(422) 내지 제3 노즐(442)의 다양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목적 살수차(1000)의 측면으로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를 분사함에 있어, 제1 노즐(422) 내지 제3 노즐(442)의 다양한 경사각 조절을 통해 살수 거리를 조절하여 살수 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유닛(410), 제1 살수유닛(420), 제2 살수유닛(430) 및 제3 살수유닛(440)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 예를 들어, 제1 살수유닛(420)의 제1 노즐(422)이 파손된 경우에 작업자는 제1 살수유닛(420)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면 살수부(400)의 유지 보수 비용 및 관리가 수월하다.
한편, 제3 살수유닛(440) 일면에는 제3 고정돌기(445)가 형성되며, 제3 고정돌기(445)는 제2 고정대(460)와 결합된다. 이때, 제2 고정대(460)에는 제3 고정돌기(445)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고정 삽입홀(461)이 형성되어 제3 고정돌기(445)는 제2 고정 삽입홀(461)에 삽입 지지된다.
그리고 제3 살수유닛(440)에는 살수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 고정대(460)에는 살수 고정홈(미도시)과 대응되는 제2 관통홀(462)이 형성되어 고정부재(472)는 제2 관통홀(462)에 삽입된 후 살수 고정홈(미도시)에 삽입 결합되어 제3 살수유닛(440)과 제2 고정대(460)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안내유닛(410), 제1 살수유닛(420), 제2 살수유닛(430) 및 제3 살수유닛(440)이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실링홈(s)이 형성되고, 실링홈(s)에는 실링부재(480)가 구비되어 안내 공급로(411), 제1 공급로(421), 제2 공급로(431) 및 제3 공급로(441)로 이동되는 액체가 제1 측면 살수부(400)로부터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제2 측면 살수부(500)는 차량(100)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차량(100)의 타측면으로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 측면 살수부(500)는 차량(100)이 이동되는 경로의 타측 방향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측면 살수부(500)는 제1 측면 살수부(400)와 한 쌍을 이루는 구성으로, 제2 측면 살수부(50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 측면 살수부(400)와 제2 측면 살수부(500)는 차량(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에서는 제1 측면 살수부(400)와 제2 측면 살수부(500)가 차량(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3개씩 구비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에 따라, 한 쌍을 이루는 제1 측면 살수부(400)와 제2 측면 살수부(500)로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를 공급하는 분배관(600) 역시 3개로 이루어진다. 즉, 분배관(600)은 제1 분배관(610), 제2 분배관(620) 및 제3 분배관(630)으로 각각 구분되어 제1 측면 살수부(400)와 제2 측면 살수부(500)로 액체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분배관(600)에는 각각의 메인 밸브(650)가 구비되며, 각각의 메인 밸브(650)는 개폐 조절을 통해 분배관(600)으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입을 제어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메인 밸브(650)를 제1 분배관(610)과 제2 분배관(620)만 열어두고, 제3 분배관(630)은 닫을 수도 있는 등 차량의 측면으로 분사되는 살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분배관(600)은 2개로 분지(分枝)되어 갈라진 하나는 제1 측면 살수부(400)에 결합되고, 또 다른 하나는 제2 측면 살수부(50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배관(600)의 분지 지점에는 보조 밸브(6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밸브(660)는 선택적인 개폐에 따라 제1 측면 살수부(400) 또는 제2 측면 살수부(500)로 공급되는 액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보조 밸브(660)가 제1 측면 살수부(400)로 공급되는 관로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액체는 제2 측면 살수부(500)로만 공급되고, 제2 측면 살수부(500)로 공급되는 관로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액체는 제1 측면 살수부(400)로만 공급될 수 있고, 두 관로를 모두 개방할 경우에는, 제1 측면 살수부(400)와 제2 측면 살수부(500)로 액체를 모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밸브(650) 및 보조 밸브(660)는 운전자가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 살수차(1000)의 측면에는 제1 측면 살수부(400)와 제2 측면 살수부(500)가 구비되어 다목적 살수차(1000)의 측면으로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의 이동 방향뿐만 아니라 차량(100)이 이동되는 차량(100)의 측면 방향에 대해서도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를 분사할 수 있다.
일예로, 겨울철에 다목적 살수차(1000)가 제설차 용도로 사용되어 2차선을 따라 이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측면 살수부(400)는 1차선으로 제설용액제를 분사하고, 하방 살수부(300)는 2차선에 대해 제설용액제를 분사하며, 제2 측면 살수부(500)는 3차선으로 제설용액제를 분사할 수 있다. 즉, 다목적 살수차(1000)는 차량(100)의 측면에 제1 측면 살수부(400)와 제2 측면 살수부(500)가 각각 구비되어 살수 범위를 넓게 형성하여 제설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측면커버(910)는 차량(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측면 살수부(4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측면커버(910)에는 제1 삽입 공간부(911)가 형성되며, 제1 측면 살수부(400)는 제1 삽입 공간부(911)에 안착 결합된다. 이때, 제1 고정대(450)와 제2 고정대(460)의 하측에 형성된 안착 고정홀(455,465)에는 결합구(475)가 삽입되어 제1 측면 살수부(400)는 제1 측면커버(91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측면커버(920)는 차량(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2 측면 살수부(5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측면커버(920)에는 제2 삽입 공간부(921)가 형성되며, 제2 측면 살수부(500)는 제2 삽입 공간부(921)에 안착 결합된다.
제1 중앙커버(930)는 일단부는 제1 측면커버(9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측면커버(920)에 결합되어 공급관(800)과 하방 살수부(300)를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중앙커버(930)의 하단부는 안착바(711)에 지지되어 안착바(71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 측면 살수부(400), 제2 측면 살수부(500) 및 하방 살수부(300)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중앙커버(940)는 제1 중앙커버(930)의 상부에 구비되며 분배관(6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커버는 하방 살수부(300), 제1 측면 살수부(400) 및 제2 측면 살수부(500)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일예로, 각 커버는 차량 운전 중 노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돌이나 기타 물건으로부터 살수부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지지부(700)는 하방 살수부(300), 제1 측면 살수부(400) 및 제2 측면 살수부(50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즉, 지지부(700)는 하방 살수부(300)와 제1 중앙커버(93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로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 측면 살수부(400) 및 제2 측면 살수부(50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700)는 지지바(710)와 조정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710)는 'ㄴ'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안착바(711)는 가로 형태를 이루고 높이 조절바(715)는 세로 형태를 이루며, 안착바(711)와 높이 조절바(715)는 연결 형성된다.
지지부(700)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하방 살수부(300)와 제1 중앙커버(9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안착바(711)에는 하방 살수부(300)가 흔들림없이 안착되도록 하방 살수부(300)와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7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바(711)에는 하방 살수부(300)를 보호하는 제1 중앙커버(930)의 하단부가 지지된다. 즉, 제1 중앙커버(930)는 제1 측면커버(910), 제2 측면커버(920) 및 제2 중앙커버(940)와 결합된 구성으로 제1 중앙커버(93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시 제1 측면커버(910), 제2 측면커버(920) 및 제2 중앙커버(940)도 함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진다.
높이 조절바(715)는 차량(100)에 결합된 조정부(7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높이 조절바(715)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조절홀(716)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바(715)는 조정부(7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정부(720)에는 높이 조절바(715)와 같이 일정 높이 간격으로 고정홀(721)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바(715)는 다양한 높이로 조정부(7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바(715)가 조정부(720)와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고정핀(730)은 조절홀(716)과 고정홀(721)에 관통 삽입되어 높이 조절바(715)와 조정부(720)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높이 조절바(715)의 높이 조절을 통해 하방 살수부(300), 제1 측면 살수부(400) 및 제2 측면 살수부(500)의 살수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제1 측면 살수부(400)와 제2 측면 살수부(500)에 구비되는 각 살수유닛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노즐의 다양한 경사각을 형성할 수도 있고, 지지부(700)의 높이 조절을 통해 하방 살수부(300), 제1 측면 살수부(400) 및 제2 측면 살수부(5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는 등 살수부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물, 제설용액제 등)의 살수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200: 탱크부
300: 하방 살수부 400: 제1 측면 살수부
410: 안내유닛 420: 제1 살수유닛
430: 제2 살수유닛 440: 제3 살수유닛
450: 제1 고정대 460: 제2 고정대
500: 제2 측면 살수부 600: 분배관
650: 메인 밸브 640: 보조 밸브
700: 지지부 711: 안착바
715: 높이 조절바 720: 조정부
800: 공급관 910: 제1 측면커버
920: 제2 측면커버 930: 제1 중앙커버
940: 제2 중앙커버 1000: 다목적 살수차

Claims (9)

  1. 차량에 설치되며 액체가 저장되는 탱크부;
    상기 차량의 하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하방 살수부;
    상기 차량의 일측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제1 측면 살수부;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차량의 타측면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제2 측면 살수부;
    상기 탱크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와 제2 측면 살수부로 공급하는 분배관; 및
    상기 하방 살수부, 제1 측면 살수부 및 제2 측면 살수부를 지지하며 높낮이를 조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살수부는, 상기 분배관과 결합되는 안내유닛; 상기 안내유닛과 탈착되며 상기 안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1 노즐이 구비된 제1 살수유닛; 상기 제1 살수유닛과 탈착되며 상기 안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2 노즐이 구비된 제2 살수유닛; 및 상기 제2 살수유닛과 탈착되며 상기 안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3 노즐이 구비된 제3 살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 및 제3 살수유닛의 결합시 상기 제1 노즐, 제2 노즐 및 제3 노즐은 선택적인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유닛,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에는 2개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살수유닛에는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유닛,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 및 제3 살수유닛은 결합부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살수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살수부는,
    상기 안내유닛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유닛을 고정하는 제1 고정대;와
    상기 제3 살수유닛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3 살수유닛을 고정하는 제2 고정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유닛과 제3 살수유닛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는 상기 제1 고정대와 제2 고정대에 형성된 고정 삽입홀에 각각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는 상기 안내유닛과 제1 고정대를 결합하고, 상기 제3 살수유닛과 제2 고정대를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살수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 제1 살수유닛, 제2 살수유닛 및 제3 살수유닛이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실링홈이 형성되는 다목적 살수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살수부가 안착 결합되는 제1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측면 살수부를 보호하는 제1 측면커버;
    상기 제2 측면 살수부가 안착 결합되는 제2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측면 살수부를 보호하는 제2 측면커버;
    상기 제1 측면커버와 제2 측면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하방 살수부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하방 살수부를 보호하는 제1 중앙커버; 및
    상기 제1 중앙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관을 보호하는 제2 중앙커버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살수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안착바와 높이 조절바가 연결되어 'ㄴ'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중앙커버와 하방 살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높이 조절바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높이 조절바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높이 조절바와 조정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바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에는 상기 조절홀에 대응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홀과 조절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의 높낮이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살수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바에는 상기 하방 살수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살수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부로부터 상기 분배관으로 공급되는 액체를 제어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분배관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 살수부와 제2 측면 살수부로 공급되는 액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보조 밸브가 더 포함되는 다목적 살수차.
KR1020130055810A 2013-05-16 2013-05-16 다목적 살수차 KR10133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10A KR101337362B1 (ko) 2013-05-16 2013-05-16 다목적 살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10A KR101337362B1 (ko) 2013-05-16 2013-05-16 다목적 살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362B1 true KR101337362B1 (ko) 2013-12-06

Family

ID=4998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810A KR101337362B1 (ko) 2013-05-16 2013-05-16 다목적 살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3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658B1 (ko) * 2016-10-13 2017-11-15 주식회사 자동기 가온장치를 갖는 광폭형 제설제자동살포기
KR2020000950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신정개발 워터젯 유닛을 구비한 세정로봇 장치
US11926978B2 (en) 2021-06-25 2024-03-12 The Toro Company Modular boom for surface deicing with br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97Y1 (ko) * 2001-05-31 2001-10-29 (주)대진에스티씨 액상 제설제 살수 장치
KR101073886B1 (ko) * 2011-07-08 2011-10-17 김종순 살수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97Y1 (ko) * 2001-05-31 2001-10-29 (주)대진에스티씨 액상 제설제 살수 장치
KR101073886B1 (ko) * 2011-07-08 2011-10-17 김종순 살수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658B1 (ko) * 2016-10-13 2017-11-15 주식회사 자동기 가온장치를 갖는 광폭형 제설제자동살포기
KR2020000950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신정개발 워터젯 유닛을 구비한 세정로봇 장치
KR102140282B1 (ko) * 2018-07-19 2020-07-31 (주)신정개발 워터젯 유닛을 구비한 세정로봇 장치
US11926978B2 (en) 2021-06-25 2024-03-12 The Toro Company Modular boom for surface deicing with br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63037U (zh) 一种洒水车及其水路系统
KR101337362B1 (ko) 다목적 살수차
US7883035B2 (en) Mobile drip system
KR101044526B1 (ko) 도로 표지병
US9328466B2 (en) Integrated carriage fogging system for concrete pavers
KR101252655B1 (ko) 돌출차선표시용 시공장치
KR101359589B1 (ko) 살수 차량용 살수장치
KR20170027605A (ko) 관수장치
KR20100009157A (ko) 비닐하우스용 작물 약액 살포기
KR101365132B1 (ko) 터치형 컨트롤러를 적용한 다목적도로관리차
US9247693B2 (en) Irrigation systems
JP2018102180A (ja) 散布作業車
KR102116337B1 (ko) 차량용 제설제 살포기를 활용한 다목적 청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5781B1 (ko) 가이드레일 자동 세척장치
CN210845683U (zh) 一种移动式降尘装置
JP2007020490A (ja) 乗用管理機用潅水装置及び乗用管理機
KR20090108885A (ko) 다용도용 분사장치
KR101344839B1 (ko) 살수차
CN205390126U (zh) 一种生物农药喷洒装置
KR200415463Y1 (ko)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JP5791665B2 (ja) 道路用清掃装置
JP2016220653A (ja) 除草剤散布車
JP3189021U (ja) ダンプトラック用散水装置
KR20210111511A (ko) 미스트 분사노즐과 그 노즐을 이용한 분사장치 및 시스템
CN207383075U (zh) 大棚水车和灌溉轨道对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