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251B1 -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251B1
KR101336251B1 KR1020120095125A KR20120095125A KR101336251B1 KR 101336251 B1 KR101336251 B1 KR 101336251B1 KR 1020120095125 A KR1020120095125 A KR 1020120095125A KR 20120095125 A KR20120095125 A KR 20120095125A KR 101336251 B1 KR101336251 B1 KR 101336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tyrene
quantum dot
nanofibers
producing
styren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우
민성용
김성지
방지원
박준혁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2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cyclic compounds with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in the side chain
    • D01F6/2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cyclic compounds with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in the side chain from polystyr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스티렌 단량체를 사용하여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은 액상 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 혼합물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전기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ON OF ELECTROSPUN POLYSTYRENE NANOFIBER AND METHOD FOR FABRICATION OF ELECTROSPUN POLYSTYRENE-QUANTUM DOT HYBRID NANOFIBER USING STYRENE MONOMER}
본 발명은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LED(light-emitting diode)는 저가 공정, 저전력 구동이라는 장점이 있어, 이를 차세대 조명용 소자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백색광 LED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백색광 LED를 구현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한 소자 내에 적, 녹, 청색을 내는 발광체를 모두 사용하여 백색광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하지만, 온도의 증가에 따라 발광체가 쉽게 변형되어 색의 안정성(color stability)이 크게 변화한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 구현 방법은, 특정 가시광(visible light) 영역의 빛을 내는 LED 앞에 별도의 형광층(phosphor layer), 즉 발광 시트를 두는 방법이다. 형광층을 이용한 방법은 색의 조절은 쉽지만 빛이 형광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빛의 세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효율 측면에서는 좋지 못한 특성을 지닌다.
또한, 일반적으로 형광층은 에폭시 레진(epoxy resin)과 같은 투명한 모체(matrix)와 형광체를 혼합하여 형성시켜 제조하여, 형광체가 상기 모체에 둘러싸인 상태로 형광층 내에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형광층을 투과할 때, 모체를 통과하면서, 빛의 산란과 흡수가 일어나서 투과율이 급격히 떨어짐에 따라, 최종적인 빛의 세기가 감소된다.
또한, 모체에 둘러싸여있는 형광체들이 서로 뭉쳐있기 쉽기 때문에 고농도의 형광체에서 발광 현상이 억제되는 농도 약화(concentration quenching) 현상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형광체에 의한 발광이 약화되어 원하는 빛을 얻기가 힘들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두 가지 방식 이외에 양자점(quantum dot)을 이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즉, 형광층에 사용될 수 있는 무기 형광체(inorganic phosphor), 유기 형광체(organic phosphor), 양자점(quantum dot) 중에서, 양자점을 형광층에 이용하는 것이다. 양자점은 다른 형광체들과는 달리, 매우 넓은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매우 좁은 영역의 빛을 방출하며,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같은 물질이라도 방출하는 빛의 파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형광체로써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형광체이다.
양자점을 이용하는 방식은, 고분자, 양자점 및 용매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전기방사하여, 양자점이 첨가된 고분자 나노 섬유 층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백색광 구현을 위한 형광층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제작된 형광층은 고분자 나노 섬유 내에 양자점이 고르게 퍼져있기 때문에 농도 약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양자점의 분산(dispersion)에 적합한 용매만을 사용해야 하기에 용매의 선택에 제한이 있어, 실제 적용하기에는 다소 적절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전기방사를 통해 나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매의 증발 속도, 용해도 등을 고려해야하며, 또한 양자점을 잘 분산시켜야하므로, 이러한 특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용매 종류가 매우 한정적이므로 실제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스티렌 단량체만을 사용하여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을 사용하여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액상 스티렌 단량체를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스티렌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액상 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 혼합물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열 단계는 95℃ 내지 105℃의 온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단계는 1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 또는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는 15000cP 내지 45000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폴리스티렌 또는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 내의 폴리스티렌은 1000 내지 1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CdSe, CdS, ZnS, CdZnS, InP, TiO2, ZnO, SnO, SiO2, Mg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사 공정은 전기 방사(electrospinning)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간단한 공정으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시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제조된 폴리스티렌을 나타낸 사진.
도 5a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SEM 사진.
도 5b는 도 5a의 4000배 확대도.
도 6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굵기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형광현미경 사진.
도 8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폴리스티렌의 전기 방사 결과를 나타낸 광학 현미경 사진.
도 9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시트에 대하여, 측정된 백색 발광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시트로부터 얻어진 백색광을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구현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액상 스티렌 단량체를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스티렌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액상 스티렌 단량체를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을 제조한다(110). 이때, 액상 스티렌 단량체는 별도의 용매가 첨가되지 않은, 즉, 상온에서 스티렌 단량체가 액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스티렌 단량체의 융점은 약 -30℃이다.상기 가열 공정에 따라 스티렌 단량체가 중합되어 폴리스티렌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가열 공정은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가열 공정을 상기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면, 열에 의해 스티렌 단량체가 폴리스티렌으로 중합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방사에 적합한 점도를 갖는 폴리스티렌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열 공정은 1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열 공정은 가열 시간에 따라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필요한 폴리스티렌의 분자량과 점도에 따라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가열 공정을 상기 온도를 벗어나는 범위에서 실시하는 경우, 폴리스티렌의 중합이 일어나지 않거나, 중합이 과도하게 빠르게 진행되어 분자량을 조절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가열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전기방사에 사용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제조된 폴리스티렌의 점도는 15000cP 내지 45000cP일 수 있다. 이 점도는 상온(18℃ 내지 20℃)에서 측정한 값으로서, 폴리스티렌을 0.3 RPM 내지 3 RPM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측정한 값일 수 있다. 폴리스티렌의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점도가 너무 크거나 작아서 전기 방사를 통해 섬유를 형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스티렌의 점도가 너무 큰 경우, 전기 방사 공정 중 용액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대로, 점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전기 방사 공정 중에서 섬유가 형성되지 않고 작은 액체 입자로 뿌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스티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폴리스티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보다 크면, 점도가 너무 커져서 전기방사에 이용할 수 없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반대로 점도가 너무 작아져서 적절하지 않다.
이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을 방사하여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를 제조한다(120). 이 방사 공정은 전기방사로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전기방사 공정은 노즐과 콜렉터 사이의 간격이 5 cm 내지 30 cm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고, 인가 전압은 1 kV 내지 30kV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액상 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 혼합물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액상 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 혼합물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제조한다(210). 이때, 액상 스티렌 단량체는 별도의 용매가 첨가되지 않은, 스티렌 단량체가 액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액상 스티렌 단량체가 용매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용매와 양자점의 상용성(compatibility)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적용이 보다 용이하다.
상기 가열 공정에 따라 스티렌 단량체가 중합되어 폴리스티렌이 형성되고, 양자점은 폴리스티렌 고분자 사슬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가열 공정은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가열 공정을 상기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면, 스티렌 단량체가 폴리스티렌으로 중합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방사에 적합한 점도를 갖는 폴리스티렌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열 공정은 1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열 공정은 가열 시간에 따라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필요한 폴리스티렌의 분자량과 점도에 따라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CdSe, CdS, ZnS, CdZnS, InP, TiO2, ZnO, SnO, SiO2, Mg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상 폴리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의 혼합 비율은 95 : 5 내지 99.5 : 0.5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액상 폴리스티렌 단량체과 양자점의 혼합 비율에서, 양자점의 비율이 너무 증가하면, 고농도의 형광체에서 발광 현상이 억제되는 농도 약화(concentration quenching) 현상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의 점도는 15000cP 내지 45000cP일 수 있다. 점도는 상온(약 18℃ 내지 20℃)에서 측정한 값으로서, 0.3 RPM 내지 3 RPM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예를 들어 회전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일 수 있다.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의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점도가 너무 크거나 작아서 전기 방사를 통해 섬유를 형성할 수가 없다. 즉, 점도가 너무 큰 경우에는, 전기 방사 공정 중 용액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점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전기 방사 공정 중에서 섬유가 형성되지 않고 작은 액체 입자로 뿌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 내의 폴리스티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을 방사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제조한다(220). 이 방사 공정은 전기방사로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전기방사 공정은 노즐과 콜렉터 사이의 간격이 5 cm 내지 30 cm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고, 인가 전압은 1 kV 내지 30kV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는 백색광 LED를 제조하기 위한 발광 시트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시트(1)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로 형성된 발광층(10)과 기판(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으로는 투명 전도성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 인듐 틴 옥사이드(ITO), 플루오로 도핑 틴 옥사이드(FTO), 안티몬 틴 옥사이드(ATO)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발광층과 기판 사이에 전도성 물질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은 당해 분야에 널리 알려진 공정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액상 스티렌 단량체를 100℃로 8시간 30분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폴리스티렌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액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된 폴리스티렌의 점도는 18.9℃에서 회전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3RPM의 회전 속도로 측정시 15603±346.63cP였고, 0.3RPM의 회전 속도로 측정시에는 42997±2335.77cP였다. 또한, 폴리스티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100이었다.
이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을 콜렉터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10cm로 하고, 인가 전압은 5kV의 조건으로 전기 방사하여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액상 스티렌 단량체와 CdSe/CdZnS 양자점의 혼합물(99.4 : 0.6 중량비)을 100℃로 8시간 30분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의 점도는 18.9℃에서 회전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1.5RPM의 회전 속도로 측정시 22680 ± 608cP였다. 또한,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 내의 폴리스티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이었다.
이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전기 방사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기 방사 공정은, 콜렉터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9cm로 하고, 인가 전압은 4kV로 하여 실시하였다.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SEM 사진을 도 5a에 나타내었으며, 도 5a의 4000 배 확대도를 도 5b에 나타내었으며, 대부분 균일한 모양의 섬유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굵기를 측정하여, 그 분포도를 도 6에 나타내었으며, 평균 굵기는 약 470nm이었다.
아울러,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형광현미경 사진을 도 7에 나타내었으며, 양자점의 발광이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 내부에서도 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참고예 1)
액상 스티렌 단량체를 80℃로 8시간 30분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폴리스티렌의 점도는 18.5℃에서 회전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3RPM의 회전 속도로 측정시 10500 ± 232.6cP였고, 폴리스티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은 800이었다.
이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을 콜렉터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10cm로 하고, 인가 전압은 5kV 의 조건으로 전기 방사하여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기 방사 공정은, 콜렉터와 노즐 사이의 거리를 9cm로 하고, 인가 전압은 4kV로 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합 온도가 너무 낮아서 분자량과 점도가 충분치 않은 경우, 작은 입자 형태가 형성되면서, 일부 형성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와 분리되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즉, 중합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나노 섬유가 약간 형성되더라도, 나노 섬유가 아닌, 입자 형태가 많이 형성되고, 이러한 입자 형태가 나노 섬유와 완전 분리되어 존재하므로, 이는 나노 섬유가 제조되었다고 볼 수 없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를 투명한 ITO 기판 2개에 각각 위치시켜, 섬유층을 형성하고, 섬유층이 형성된 기판들을 적층하여, 도 3에 나타낸 구조의, 발광층이 형성된 발광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발광 시트를 청색 LED 앞에 위치시킨 후, 473 nm 파장의 청색 광원을 조사하여, 백색 발광 스펙트럼을 얻었다. 그 백색 발광 스펙트럼을 도 9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청색 LED의 발광 스펙트럼 측정 결과도 도 9에 함께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약 473 nm, 544 nm 및 623 nm의 피크가 검출되었고, 이로부터 백색 발광이 얻어짐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백색광이 얻어짐은 얻어진 발광 사진을 나타낸 도 10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액상 스티렌 단량체를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스티렌을 방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 스티렌 단량체를 95℃ 내지 105℃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인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을 제조하는 단계는 1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인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은 15000cP 내지 45000cP의 점도를 갖는 것인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은 1000 내지 1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인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공정은 전기 방사로 실시하는 것인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7. 액상 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 혼합물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방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은 CdSe, CdS, ZnS, CdZnS, InP, TiO2, ZnO, SnO, SiO2, Mg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 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 혼합물을 95℃ 내지 105℃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 스티렌 단량체와 양자점 혼합물을 1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는 15000cP 내지 45000cP의 점도를 갖는 것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양자점 복합체 내의 폴리스티렌은 1000 내지 10000 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공정은 전기 방사로 실시하는 것인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KR1020120095125A 2012-08-29 2012-08-29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KR101336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25A KR101336251B1 (ko) 2012-08-29 2012-08-29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25A KR101336251B1 (ko) 2012-08-29 2012-08-29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251B1 true KR101336251B1 (ko) 2013-12-03

Family

ID=4998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125A KR101336251B1 (ko) 2012-08-29 2012-08-29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2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441B1 (ko) 2016-09-23 2017-11-20 주식회사 휴비스 전자파 저감 메타아라미드 섬유
US9899575B2 (en) 2015-04-30 2018-02-20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Method of continuous flow synthesis and method of correcting emission spectrum of light emitting device
KR20200023336A (ko) * 2020-02-20 2020-03-04 주식회사 큐디엠 양자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자선, 양자직물
KR20200107309A (ko) * 2019-03-07 2020-09-1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점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발광 필라멘트, 발광시트의 제조방법
CN111886931A (zh) * 2018-03-22 2020-11-03 夏普株式会社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CN114481351A (zh) * 2022-02-21 2022-05-13 青岛大学 一种共聚物原位包埋CdSe量子点纳米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739A (ko) * 1993-06-26 1995-01-03 이덕림 발포성 폴리스티렌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KR100226458B1 (ko) * 1996-12-13 1999-10-15 유현식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60012583A (ko) * 2003-04-14 2006-02-08 아크조 노벨 엔.브이. 스티렌을 중합시키기 위한 퍼옥사이드 투여 공정을포함하는 현탁 방법
JP4026942B2 (ja) * 1998-08-03 2007-12-2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スチレン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739A (ko) * 1993-06-26 1995-01-03 이덕림 발포성 폴리스티렌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KR100226458B1 (ko) * 1996-12-13 1999-10-15 유현식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4026942B2 (ja) * 1998-08-03 2007-12-2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スチレン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
KR20060012583A (ko) * 2003-04-14 2006-02-08 아크조 노벨 엔.브이. 스티렌을 중합시키기 위한 퍼옥사이드 투여 공정을포함하는 현탁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9575B2 (en) 2015-04-30 2018-02-20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Method of continuous flow synthesis and method of correcting emission spectrum of light emitting device
KR101799441B1 (ko) 2016-09-23 2017-11-20 주식회사 휴비스 전자파 저감 메타아라미드 섬유
CN111886931A (zh) * 2018-03-22 2020-11-03 夏普株式会社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CN111886931B (zh) * 2018-03-22 2023-08-22 夏普株式会社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KR20200107309A (ko) * 2019-03-07 2020-09-1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점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발광 필라멘트, 발광시트의 제조방법
KR102202276B1 (ko) 2019-03-07 2021-01-13 주식회사 엔엘씨 양자점 생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발광 필라멘트, 발광시트의 제조방법
KR20200023336A (ko) * 2020-02-20 2020-03-04 주식회사 큐디엠 양자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자선, 양자직물
KR102160002B1 (ko) * 2020-02-20 2020-09-25 주식회사 엔엘씨 양자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자선, 양자직물
CN114481351A (zh) * 2022-02-21 2022-05-13 青岛大学 一种共聚物原位包埋CdSe量子点纳米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251B1 (ko) 스티렌 단량체를 이용한 전기 방사된 폴리스티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및 폴리스티렌-양자점 하이브리드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KR100996374B1 (ko) 광 여기 발광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4434B1 (ko) 색변환 발광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TWI381029B (zh) Surface luminous body
US8847487B2 (en) Luminescent device
CN103459550A (zh) 具有有机磷光体的聚合物基体及其制造
CN104701430B (zh) 一种改善量子点发光二极管寿命的方法
CN105122491B (zh) 具光提取层的有机发光二极管
JP2014060273A (ja) 金属系粒子集合体
CN107342348B (zh) 一种led器件的制备方法
CN108251117A (zh) 核壳量子点及其制备方法、及含其的电致发光器件
CN107828416A (zh) 一种量子点荧光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593492B (zh) 基于高强度纳米纤维膜制备液晶显示器背光膜的方法
CN105810840B (zh)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291557B1 (ko) 다중노즐 전기방사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색 발광 부직포의 제조방법
WO2015192480A1 (zh) 有机水氧阻隔材料、oled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7792877A (zh) 一种离心搅拌合成CsPbBr3纳米晶体的方法
CN102612189A (zh) 一种薄膜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Liang et al. Polystyrene-fiber-rod hybrid composite structure for optical enhancement in quantum-dot-converted light-emitting diodes
CN104584178B (zh) 场致电子发射膜、场致电子发射元件、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CN108547009B (zh) 一种纳米荧光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40132589A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616984B1 (ko) 발광 초분지 공액화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부직포의 제조방법
Xue et al. Electrospun supramolecular hybrid microfibers from conjugated polymers: color transformation and conductivity evolution
KR20140093377A (ko) 전계 발광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