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052B1 - 배터리 커버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052B1
KR101335052B1 KR1020110139149A KR20110139149A KR101335052B1 KR 101335052 B1 KR101335052 B1 KR 101335052B1 KR 1020110139149 A KR1020110139149 A KR 1020110139149A KR 20110139149 A KR20110139149 A KR 20110139149A KR 101335052 B1 KR101335052 B1 KR 101335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fusion structure
cover
fused
batte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753A (ko
Inventor
박승복
이규형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1013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0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배터리 커버에 융착 구조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이중 융착을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융착 구조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제1 하부 융착 구조 및 제2 하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 커버; 및 제1 상부 융착 구조 및 제2 상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1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여 융착되고, 상기 제2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2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여 융착되는 배터리 커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에 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융착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배터리 커버에 대한 것이다.
차량용 밀폐형 배터리의 커버는 상, 하부 커버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융착 작업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융착 구조는 커버의 상,하부 면을 단일 구조로 융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형제품의 경우 중, 소형에 비해 융착할 부분의 면적이 크고, 작업 시 수평이 잘 맞지 않을 경우 융착이 약하게 되거나 융착이 안 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융착 구조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전해액이 흘러나와 차량 부식 및 사용자가 배터리를 옮기는 경우에 안전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배터리 커버에 융착 구조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이중 융착을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융착 구조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제1 하부 융착 구조 및 제2 하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 커버; 및 제1 상부 융착 구조 및 제2 상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1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여 융착되고, 상기 제2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2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여 융착되는 배터리 커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1 상부 융착 구조는 어느 하나의 구조가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구조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되고, 상기 제2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2 상부 융착 구조는 어느 하나의 구조가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구조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1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표면이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면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되고, 상기 제2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2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표면이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면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에는 제3 하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제3 상부 융착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융착을 함으로써 전해액의 유출을 단일 융착시보다 보다 더 잘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 융착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전해액의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커버의 하부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커버의 상부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의 이중 융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가 요철 모양으로 이중 융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에 형성된 제3 융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에 형성된 이중 융착 구조의 융착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커버의 하부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의 하부 커버(100)는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이중 융착 구조(110,120)를 가지고 있다. 이중 융착 구조(110,120)는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제2 하부 융착 구조(120)로 구성된다.
제1 하부 융착 구조(110)는 하부 커버의 내측에 구성된 융착 구조로 상부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융착 구조(210)과 서로 융착하여 하부 커버로 유출된 전해액이 있는 경우에 1차적으로 전해액의 외부 유출을 막는 구조이다.
제2 하부 융착 구조(120)는 하부 커버의 외측에 구성된 융착 구조로 제2 상부 융착 구조(220)와 서로 융착하여 제2의 융착 구조를 형성하여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제1 상부 융착 구조(210)가 불량이거나 융착이 잘못된 경우에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제1 상부 융착 구조(210) 사이를 통과한 전해액이 있는 경우에 2차적으로 전해액의 외부 유출을 막는 구조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커버의 상부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의 상부 커버(200)는 하부 커버(100)와 동일하게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이중 융착 구조(210,220)를 가지고 있다. 이중 융착 구조(210,220)는 제1 상부 융착 구조(210)와 제2 상부 융착 구조(220)로 구성된다.
제1 상부 융착 구조(210)는 상부 커버의 내측에 구성된 융착 구조로 하부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서로 융착하여 커버로 유출된 전해액이 있는 경우에 1차적으로 전해액의 외부 유출을 막는 구조이다.
제2 상부 융착 구조(220)는 상부 커버의 외측에 구성된 융착 구조로 하부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하부 융착 구조(120)와 서로 융착하여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제1 상부 융착 구조(210)가 불량이거나 서로 융착이 잘못된 경우,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제1 상부 융착 구조(210) 사이를 통과한 전해액이 있는 경우에 2차적으로 전해액의 외부 유출을 막는 구조이다.
또한 상부 커버(200)는 제1 상부 융착 구조(210)와 제2 상부 융착 구조(220)의 외측으로 상부 커버 측면구조(230)가 더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의 이중 융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200)의 단면도에는 제1 상부 융착 구조(210), 제2 상부 융착 구조(220) 및 상부 커버 측면구조(230)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100)의 단면도에는 제1 하부 융착 구조(110), 제2 하부 융착 구조(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200)의 제1 상부 융착 구조(210)는 하부 커버(100)의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서로 접하여 융착되고, 상부 커버(200)의 제2 상부 융착 구조(220)는 하부 커버(100)의 제2 하부 융착 구조(120)와 서로 접하여 융착된다.
여기서 상부 커버(200)의 제1 상부 융착 구조(210)와 하부 커버(100)의 제1 하부 융착 구조(110)가 서로 접하여 융착되는 것을 제1 융착 구조라고 하고, 상부 커버(200)의 제2 상부 융착 구조(220)와 하부 커버(100)의 제2 하부 융착 구조(120)가 서로 접하여 융착되는 것을 제2 융착 구조라고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가 요철 모양으로 이중 융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중 융착 구조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이 가능한데, 도4는 이러한 변경 구조의 한 예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00)의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상부 커버(200)의 제1 상부 융착 구조(210)는 어느 하나의 구조가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구조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고 융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버(100)의 제2 하부 융착 구조(120)와 상부 커버(200)의 제2 상부 융착 구조(220)는 어느 하나의 구조가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구조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고 융착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되는 경우에는 융착이 보다 더 견고하게 융착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에 형성된 제3 융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커버는 제3 융착 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융착 구조는 상부 커버(200)에 형성된 상부 커버 측면구조(230)와 하부 커버(100)에 형성되어 있는 융착 구조(130)가 서로 접하여 융착되는 구조이다.
이렇게 제3 융착 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융착 구조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전해액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에 형성된 이중 융착 구조의 융착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00)의 제1 하부 융착 구조(110)와 상부 커버(200)의 제1 상부 융착 구조(210)가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표면이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면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되고, 하부 커버(100)의 제2 하부 융착 구조(120)와 상부 커버(200)의 제2 상부 융착 구조(220)가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표면이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면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접하는 면이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보다 더 융착이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부 커버
110 : 제1 하부 융착 구조
120 : 제2 하부 융착 구조
200 : 상부 커버
210 : 제1 상부 융착 구조
220 : 제2 상부 융착 구조
230 : 상부 커버 측면구조

Claims (4)

  1.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제1 하부 융착 구조 및 제2 하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 커버; 및
    제1 상부 융착 구조 및 제2 상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1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여 융착되고, 상기 제2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2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여 융착되되,
    상기 제1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1 상부 융착 구조는 어느 하나의 구조가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구조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되고, 상기 제2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2 상부 융착 구조는 어느 하나의 구조가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구조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되는 배터리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1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표면이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면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되고, 상기 제2 하부 융착 구조와 상기 제2 상부 융착 구조는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표면이 볼록하고 다른 하나의 면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되는 배터리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에는 제3 하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제3 상부 융착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배터리 커버.
KR1020110139149A 2011-12-21 2011-12-21 배터리 커버 KR10133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49A KR101335052B1 (ko) 2011-12-21 2011-12-21 배터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49A KR101335052B1 (ko) 2011-12-21 2011-12-21 배터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53A KR20130071753A (ko) 2013-07-01
KR101335052B1 true KR101335052B1 (ko) 2013-11-29

Family

ID=4898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149A KR101335052B1 (ko) 2011-12-21 2011-12-21 배터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801U (ko) 2015-02-03 2016-08-12 세방전지(주)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2287A (ja) * 1995-09-14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の電槽
JP2005317391A (ja) * 2004-04-28 2005-11-10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2008287987A (ja) * 2007-05-16 2008-11-27 Sony Corp バッテリパック
JP2011076968A (ja) * 2009-10-01 2011-04-14 Panasonic Corp 電池収納ケースとその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2287A (ja) * 1995-09-14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の電槽
JP2005317391A (ja) * 2004-04-28 2005-11-10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2008287987A (ja) * 2007-05-16 2008-11-27 Sony Corp バッテリパック
JP2011076968A (ja) * 2009-10-01 2011-04-14 Panasonic Corp 電池収納ケースとその接合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801U (ko) 2015-02-03 2016-08-12 세방전지(주)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53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08577A1 (zh) 二次电池的注液孔焊接组件
JP5786974B2 (ja) バッテリケース
US20140370372A1 (en) Pouch-Type Batter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Type Battery
WO2011093171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2124131A (ja) バッテリケース
JP2011155088A5 (ko)
BR112015020267A2 (pt) Conjunto do piston com apoio de solda
KR101335052B1 (ko) 배터리 커버
CN203855052U (zh) 粉罐车罐顶行走平台及粉罐车
KR101852654B1 (ko)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5145B1 (ko) 3층 접착 연결부를 통해 서로 밀봉 접착된 하우징 구성요소를 구비한 배터리셀과, 그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31779A (ko)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368056A (zh) 蜂窝浮箱组件及浮盘系统
JP2015217698A (ja) リザーバタンク
KR101390139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07276543A (ja) 燃料タンク構造
US10749152B2 (en) Sea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CN201890132U (zh) 汽车燃油箱及其汽车
JP2015069962A (ja) 蓄電素子
CN204184514U (zh) 摩托车油箱出油嘴结构
KR200482018Y1 (ko)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CN103840098A (zh) 铅酸蓄电池极柱多重密封结构
KR101971522B1 (ko) 전해액 주입 시스템
JP2013141567A (ja) 便座ユニット
KR20150047160A (ko) T형 버트 용접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