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799B1 -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 Google Patents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799B1
KR101334799B1 KR1020120091353A KR20120091353A KR101334799B1 KR 101334799 B1 KR101334799 B1 KR 101334799B1 KR 1020120091353 A KR1020120091353 A KR 1020120091353A KR 20120091353 A KR20120091353 A KR 20120091353A KR 101334799 B1 KR101334799 B1 KR 10133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pper
fiber
nylon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동훈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김준식
주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식, 주동훈 filed Critical 김준식
Priority to KR102012009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3/00Treating materials to adapt them specially as upholstery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용 자켓, 침구류, 의류, 장갑 및 소파 등에 충진재로 적용되는 양털(Wool), 오리털(Duck Down) 및 거위털(Goose Down) 등의 우모 충진재, 목화솜, 실크 등의 천연섬유 충진재 및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 및 부착하여 기존의 보온 기능에 항균, 소취, 항곰팡이, 항바이러스 및 대전 방지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양털, 오리털 또는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Mixing filler of conductive having excellent deodorization or antibacterial}
본 발명은 혼합 충진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털(Wool), 오리털(Duck Down) 및 거위털(Goose Down)로 이루어지는 우모 충진재, 목화솜, 실크 등의 천연섬유 충진재 및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 및 부착하여 항균, 소취 및 대전 방지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침구, 장갑 및 소파 등에 사용되는 충진재로는 양털(Wool), 오리털(Duck Down) 및 거위털(Goose Down) 등이 소재로 적용되는 우모 충진재와 목화솜, 실크 등의 천연섬유 충진재 및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이 적용되는 화학소재의 인공 충진재로 구분된다.
이러한 우모 충진재, 천연섬유 충진재 및 인공 충진재는 최근 소득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그 수요가 획기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충진재로 적용되는 우모 충진재 및 화학소재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는 뛰어난 복원력과 높은 단열 성능 및 보온 효과로 목화솜 또는 연소 시 유독성 물질을 배출하는 스폰지 등의 기존 충진재를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우모 충진재, 천연섬유 충진재 또는 화학소재의 인공 충진재는 모두 습기를 흡수하기가 쉽고, 흡수된 습기의 배출 및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습하거나, 눅눅한 상태에서 진드기, 곰팡이 등 미생물 바이러스의 서식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일반 성인은 물론 면역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영, 유 및 노인에게 알러지(Allergy) 질환인 비염,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코막힘, 잦은 재채기, 결막염 등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진드기 및 곰팡이 등의 미생물 바이러스의 서식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양털, 오리털 및 거위털로 이루어지는 우모 충진재의 경우, 보온성, 흡습성, 투습성 및 방습성이 탁월함과 동시에 가볍고, 따뜻하며, 포근하다는 장점을 갖으나, 오리털 및 거위털의 경우, 제조 공정 중에 오리 및 거위 고유의 냄새를 100%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우천 또는 습한 날씨에 그 고유의 냄새가 재현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오리털 및 거위털에서 미세먼지가 발생되어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인체에 직접 접촉되어 땀, 피지 및 때 등 인체의 대사 노폐물이 외피에 묻게 되거나, 외피 내부의 충진재로 스며들어 충진재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생물, 곰팡이, 바이러스 및 사용자의 체취 등이 누적되어 위생상태를 불결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악취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위 및 오리 등의 가금(家禽)류의 경우, 털의 끝 부분이 단백질 성분으로 되어 있으나, 오리털 및 거위털의 사용 시 털 끝 부분의 단백질 성분을 제거하지 않은 채 사용하기 때문에 단백질 성분에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 및 서식하게 되어 장기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모 충진재가 적용된 의류, 침구, 장갑 및 소파 등에 별도로 항균방취 약물을 도포하거나, 우모 충진재에 항균제가 함유된 인공솜 등의 인공 충진재를 혼합하여 충진재로 적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충진재의 혼합 시 독성이 발생되거나, 기능을 부여하는 보장 기간이 수 개월에 그쳐 시장에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포츠용 자켓, 침구류, 의류, 장갑 및 소파 등에 충진재로 적용되는 양털(Wool), 오리털(Duck Down) 및 거위털(Goose Down) 등의 우모 충진재, 목화솜, 실크 등의 천연섬유 충진재 및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 및 부착하여 기존의 보온 기능에 항균, 소취, 항곰팡이, 항바이러스 및 대전 방지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모 충진재, 천연섬유 충진재 및 화학소재의 인공 충진재에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 등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충진재에서 발생되는 고질적인 정전기의 방지 및 제거가 가능함과 동시에 충진재를 내부에 포함하는 외피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의 방지가 가능한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털, 오리털 또는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양털 또는 오리털 또는 거위털이 80 내지 99 중량부, 전도성 섬유가 20 내지 1 중량부이다.
이때, 전도성 섬유가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에 황화구리(CuS)를 이온 결합시킨다.
대안적으로는, 목화솜 또는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소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목화솜 또는 실크가 80 내지 99 중량부, 전도성 섬유가 20 내지 1 중량부이다.
이때, 전도성 섬유가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에 황화구리(CuS)를 이온 결합시킨다.
대안적으로는,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퀄로필 또는 할로필로 이루어지는 인조솜이 80 내지 99 중량부, 전도성 섬유가 20 내지 1 중량부이다.
이때, 전도성 섬유가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에 황화구리(CuS)를 이온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양털, 오리털 및 거위털로 이루어지는 우모 충진재, 목화솜, 실크 등의 천연섬유 충진재 및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 및 부착하여 항균, 소취, 항곰팡이, 항바이러스, 방취, 탈취, 비염 방지, 아토피 예방이 가능함과 동시에 그 기능을 반영구적으로 보장할 수 있으며, 스포츠용 자켓, 침구류, 의류, 장갑 및 소파 등 다양한 제품에 충진재로 활용이 가능하고, 충진재 및 충진재를 둘러싼 외피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 및 제거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는 양털, 오리털 및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 또는 목화솜, 실크 등의 천연섬유 충진재 또는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에 항균, 소취 및 전도성을 갖는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퀄로필은 섬유가닥에 7개의 구멍이 뚫려있는 원사를 지칭하고, 할로필은 섬유가닥에 4개의 구멍이 뚫어진 중공사(中空紗)로 섬유가닥에 뚫린 구멍 사이로 공기가 들어가서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인공 충진재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섬유는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는 나일론(Nylon)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켜 제조하고, 상기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는 아크릴(Acrylic)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켜 제조한다.
이렇게 상기 나일론 섬유 및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켜 제작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및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는 전도성을 갖으며, 기계적인 마찰이나, 화학작용에도 안정되어 있으며, 타 섬유와의 혼방 시에도 우수하다.
한편, 황화구리(CuS)는 항균금속으로서, 이온화한 후에 확산에 의해 미생물의 세포막에 도달하여 단백질과 흡착하는 동시에 세포의 구조를 파괴하여 신진대사를 불가능하게 함으로 균의 번식활동이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혼합 부착하여 충진재를 제작할 경우, 항균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땀 냄새, 악취 및 균 자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우수한 방취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악취 유기물을 분해하는 소취 기능이 부여된다.
또한, 황화구리(CuS)의 금속 성분이 열 운동을 하게 되어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된 충진재의 적용 시 보온 및 축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는 양털(Wool)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오리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가 양털 또는 오리털 또는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가 오리털과 거위털이 혼합된 상태의 우모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의 우모 충진재가 80 중량부 미만이거나, 전도성 섬유가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보온성 및 촉감이 저하됨과 동시에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우모 충진재가 99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전도성 섬유가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균, 소취, 항곰팡이, 항바이러스 및 대전 방지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는 목화솜을 포함하는 천연섬유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가 목화솜 또는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가 목화솜과 실크가 혼합된 상태의 천연섬유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의 천연섬유 충진재가 80 중량부 미만이거나, 전도성 섬유가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보온성 및 촉감이 저하됨과 동시에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천연섬유 충진재가 99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전도성 섬유가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균, 소취, 항곰팡이, 항바이러스 및 대전 방지 기능이 저하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는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20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의 인공 충진재가 80 중량부 미만이거나, 전도성 섬유가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도, 보온성 및 촉감이 저하됨과 동시에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인공 충진재가 99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전도성 섬유가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균, 소취, 항곰팡이, 항바이러스 및 대전 방지 기능이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가 양털, 오리털 또는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목화솜 또는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퀄로필 또는 할로필을 포함하는 인공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등 우모 충진재, 천연섬유 충진재 또는 인공 충진재 각각 단독으로 충진재를 형성한 후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가 우모 충진재와 천연섬유 충진재를 혼합한 후 다시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우모 충진재와 인공 충진재를 혼합한 후 다시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천연섬유 충진재와 인공 충진재를 혼합한 후 다시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우모 충진재에 천연섬유 충진재 및 인공 충진재를 혼합한 후 다시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도, 양털, 오리털 및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와 목화솜,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양털, 오리털 및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에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목화솜,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충진재와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공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양털, 오리털,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와 목화솜,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충진재 및 퀄로필, 할로필 등의 인공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 80 내지 99 중량부에 전도성 섬유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에 적용되는 전도성 섬유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가 첨가되거나,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전도성 섬유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및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를 혼합하여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도성 섬유를 제조한다. 즉, 나일론 또는 아크릴 재료를 일정 굵기를 갖는 다수개의 섬유 가닥으로 방사하는 방사공정을 수행한 후 방사된 각각의 섬유 가닥을 집속하는 집속공정을 수행하고, 집속공정을 통해 집속된 섬유가 일정 길이를 갖도록 커트(Cut)하는 숏커트(Short-Cut)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집속된 섬유는 5 내지 60mm의 길이를 갖도록 커트(Cut)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m의 길이를 갖도록 커트(Cut)한다.
이렇게 일정 길이를 갖도록 커트(Cut)되는 숏커트(Short-Cut)공정이 완료된 섬유를 분산공정을 거쳐 10mm로 분산된 섬유를 만든다.
그 다음, 완료된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후 이온 결합이 완료된 섬유를 수세 및 건조시킨다. 즉, 일정 길이로 숏컷(Short-Cut)된 나일론 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키는 이온 결합시키는 이온 결합공정을 수행할 수 수세 및 건조공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리털 또는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를 혼합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거나, 목화솜,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충진재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를 혼합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거나, 퀄로필 또는 할로필을 포함하는 인공 충진재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를 혼합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우모 충진재와 천연섬유 충진재를 혼합한 후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를 혼합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거나, 우모 충진재에 인공 충진재를 혼합한 후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를 혼합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거나, 천연섬유 충진재에 인공 충진재를 혼합한 후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를 혼합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거나, 우모 충진재에 천연섬유 충진재 및 인공 충진재를 혼합한 후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된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를 혼합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전도성 혼합 충진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90 중량부의 양털(Wool)과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90 중량부의 양털(Wool)과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90 중량부의 오리털(Duck Down)과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90 중량부의 오리털(Duck Down)과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90 중량부의 거위털(Goose Down)과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90 중량부의 거위털(Goose Down)과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45 중량부의 오리털(Duck Down)과 45 중량부의 거위털(Goose Down)을 혼합한 후 혼합된 우모 충진재에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45 중량부의 오리털(Duck Down)과 45 중량부의 거위털(Goose Down)을 혼합한 후 혼합된 우모 충진재에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9
90 중량부의 목화솜과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90 중량부의 목화솜과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90 중량부의 실크와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90 중량부의 실크와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90 중량부의 퀄로필과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와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90 중량부의 퀄로필과 할로필 등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와 10 중량부의 전도성 섬유를 블렌딩(Blending/Mix)하여 전도성 혼합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아크릴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00 중량부의 양털로 우모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00 중량부의 목화솜으로 천연섬유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100 중량부의 인조솜으로 인공 충진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 마찰대전압 실험 조건-
* 마찰대전압(B법), Volt
면포 : 110
모포 : 120
* 시험조건 - 온도 : 20±2℃
상대습도 : 40±2℃ RH
마찰포 : KS K 0905에 규정된 면포 및 모포
- 항균성 실험 조건-
* 사용한 균 :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폐렴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 사용 비이온계면활성제 : TWEEN 80 (0.05%)
* 증식값 : 대조구의 증식값 (Mb/Ma=31.6 이상일때 유효)
황색포도상구균 -51.8
폐렴균 -491.7
* 정균감소값(S) : log Mb - log Mc (무가공시료에 대한 가공시료의 생균수의 차)
* 정균감소율(%) : (Mb-Mc)×100/Mb
Ma : 대조편의 접종 직후 생균수
Mb : 대조편의 18시간 배양후 생균수
Mc : 시료의 18시간 배양후 생균수
- 소취성 실험 조건-
* 일본 섬유평가기술협의회 시험법(JTETC)
* 5L의 테트라백에 10cm × 10cm의 제시 시료를 넣고, 초기농도로 조정한 가스 3L를 주입한 후 2시간 후 가스농도를 검지관으로 측정한다.
(사용검지관 : 암모니아 3La)
마찰대전압(v) 항균(정균감소율; %) 소취(암모니아; %)
실시예 1 560 99.8 99.0
실시예 2 520 99.9 99.4
실시예 3 500 99.7 98.4
실시예 4 380 99.8 97.9
실시예 5 500 99.9 98.6
실시예 6 400 99.9 98.0
실시예 7 540 99.9 97.2
실시예 8 420 99.9 99.3
실시예 9 650 99.8 99.8
실시예 10 620 99.8 99.7
실시예 11 620 99.9 99.4
실시예 12 600 99.9 99.5
실시예 13 580 99.8 99.8
실시예 14 540 99.9 99.0
비교예 1 6000 12.0 14.0
비교예 2 5500 11.0 15.0
비교예 3 5300 11.5 16.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된 전도성 혼합 충진재는 스포츠용 자켓, 침구류, 의류, 장갑 및 소파 등에 충진재로 적용되어 기존의 보온 기능에 항균, 소취, 항곰팡이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이 결합되어 고질적인 정전기의 방지 및 제거가 가능함과 동시에 충진재를 내부에 포함하는 외피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의 방지가 가능하다는 등의 대전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도성 혼합 충진재가 우모 충진재, 천연섬유 충진재 또는 인공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작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전도성 섬유만으로 충진재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섬유만으로 충진재를 제작할 경우, 정전기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항취, 탈취와 더불어 보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파 차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오리털 또는 거위털을 포함하는 우모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되, 상기 오리털 또는 거위털이 80 내지 99 중량부, 전도성 섬유가 20 내지 1 중량부이고,
    상기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Nylon)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아크릴(Acrylic)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일론(Nylon) 섬유 또는 아크릴(Acrylic) 섬유가 5 내지 60mm의 길이로 컷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2. 삭제
  3. 삭제
  4. 목화솜 또는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소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되, 상기 목화솜 또는 실크가 80 내지 99 중량부, 전도성 섬유가 20 내지 1 중량부이고,
    상기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Nylon)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아크릴(Acrylic)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일론(Nylon) 섬유 또는 아크릴(Acrylic) 섬유가 5 내지 60mm의 길이로 컷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5. 삭제
  6. 삭제
  7. 퀄로필 또는 할로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인조솜으로 이루어지는 인공 충진재에 전도성 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되, 상기 퀄로필 또는 할로필로 이루어지는 인조솜이 80 내지 99 중량부, 전도성 섬유가 20 내지 1 중량부이고,
    상기 전도성 섬유는 나일론(Nylon)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나일론(Nylon) 단섬유(S/F) 또는 아크릴(Acrylic) 섬유에 황화구리(CuS)로부터 생성된 구리 이온을 결합시킨 동도전 아크릴(Acrylic) 단섬유(S/F)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일론(Nylon) 섬유 또는 아크릴(Acrylic) 섬유가 5 내지 60mm의 길이로 컷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8. 삭제
  9. 삭제
KR1020120091353A 2012-08-21 2012-08-21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KR10133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53A KR101334799B1 (ko) 2012-08-21 2012-08-21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53A KR101334799B1 (ko) 2012-08-21 2012-08-21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799B1 true KR101334799B1 (ko) 2013-12-02

Family

ID=4998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53A KR101334799B1 (ko) 2012-08-21 2012-08-21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7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503A (ko) * 1995-11-14 1997-06-24 최희천 아넥트론 텍스
KR101074692B1 (ko) * 2010-10-15 2011-10-19 장신우 도전성 황화구리 나일론섬유 제조를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503A (ko) * 1995-11-14 1997-06-24 최희천 아넥트론 텍스
KR101074692B1 (ko) * 2010-10-15 2011-10-19 장신우 도전성 황화구리 나일론섬유 제조를 위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5023B2 (en) Antibacterial nonwoven member, antibacterial nonwoven fabric, and antibacterial buffer material
CN105420890A (zh) 一种凉爽抗菌面料及其制备工艺
CN104250880A (zh) 一种多功能聚酯絮片的制备方法
CN106637911A (zh) 一种功能型民用防护聚烯烃无纺布及其制备方法
JP2002302838A (ja) コットン・ウール混紡糸及びこれを用いた布地、衣料、特殊衣料、衣料用副資材並びにインテリア繊維製品
KR101334799B1 (ko) 소취 및 항균성이 우수한 전도성 혼합 충진재
KR101393640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누빔 침구류
CN104414286A (zh) 一种莲纤维蛋白被
CN105755642A (zh) 一种贴身运动服面料及其制备方法
JP6919343B2 (ja) 布、衣料、および医療部材
CN105803605A (zh) 一种纱线及其制备方法
CN107557994A (zh) 一种抗菌羽绒被填充物
CN105803569A (zh) 一种清凉吸湿的复合羽绒纤维
CN209111643U (zh) 一种抗菌防螨内衣
CN204434856U (zh) 三明治结构布料、衣服、裤子以及床单
CN201495355U (zh) 天然抗菌环保型汽车内饰纺织品
CN104414264A (zh) 一种莲纤维保健坐垫
CN208447109U (zh) 一种不易脏且除螨杀菌的羽绒被
CN201424539Y (zh) 竹炭竹纤维
JP6950287B2 (ja) 動物の体表面の菌抑制方法、人間を除いた動物の白癬菌治療方法、および動物用の衣類
CN105193146A (zh) 多功能环保羊毛床垫及其制造方法
JP3086355U (ja) 畳構造
Kumar et al. A study of the thermo-physiological comfort properties of fabrics treated with neem and Bermuda grass herbal finishes
CN214239864U (zh) 一种带有保暖功能的新型床单面料
CN216330519U (zh) 一种抗菌阻燃环保纤维地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